KR200486945Y1 -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 - Google Patents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945Y1
KR200486945Y1 KR2020170006147U KR20170006147U KR200486945Y1 KR 200486945 Y1 KR200486945 Y1 KR 200486945Y1 KR 2020170006147 U KR2020170006147 U KR 2020170006147U KR 20170006147 U KR20170006147 U KR 20170006147U KR 200486945 Y1 KR200486945 Y1 KR 2004869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member
inner spiral
rotary shaft
fertilizer composition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식
Original Assignee
김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식 filed Critical 김주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9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9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01F27/72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with two or more helices in the sam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01F27/726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with two helices with opposite pitch on the same shaft; with two helices on the same axis, driven in opposite directions or at different speeds
    • B01F7/081
    • B01F7/088
    • C05F17/02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05Mixing or agitating manure, dung
    • B01F2215/000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축분 및 비료 조성물이 투입되는 교반 탱크; 상기 교반 탱크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제 1 방향으로 권선된 채로 연장되는 제1 내측 나선 부재;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의 권선 반경보다 큰 권선 반경으로 권선된 채로 연장되는 외측 나선 부재;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의 권선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권선된 채로 연장되는 제2 내측 나선 부재; 및 일단은 상기 외측 나선 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를 향해 방사상 안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교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할 때, 상기 교반 플레이트는 상기 교반 탱크의 바닥에 있는 축분 및 비료 조성물을 상층부로 밀어 올리도록 구성된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 {Device for mixing muck and manure components}
본 고안은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분과 비료 조성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에 관한 것이다.
우분, 돈분, 계분과 같은 축분은 마른 풀, 볏짚, 낙엽 및 왕겨 등의 비료 조성물과 혼합된 뒤, 소정 기간의 발효 과정을 거쳐 비료로 사용된다. 이때, 마른 풀, 볏짚, 낙엽 및 왕겨 등의 비료 조성물은 주소 탄소질의 공급원이며, 축분은 질소질의 공급원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비료 생산에 있어서 수분이 많은 축분과 수분이 적은 비료 조성물을 효과적으로 혼합하여 수분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건조된 축분의 경우에도, 우수한 비료 생산을 위해서는 축분과 비료 조성물을 골고루 혼합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060705호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비료 생산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 고안은 회전축에 부착된 제 1 교반부재와 제 2 교반부재가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와 반응제를 혼합하는 교반기를 포함한다. 그런데, 제 1 교반부재와 제 2 교반부재는 수용부의 바닥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에서 각각 회전하므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와 반응제의 효과적인 혼합을 보장할 수 없다. 즉, 수용부의 바닥에 가까운 교반부재(예컨대, 제 1 교반부재)는 수용부의 바닥에 가라 앉아 있는 내용물을 일방향으로 이송할 뿐이고, 반면에 수용부의 바닥으로부터 비교적 이격된 교반부재(예컨대, 제 2 교반부재)는 상기 바닥에 있는 내용물의 상층부에 위치하는 내용물을 반대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 과정에서 일부 상층부와 하층부의 내용물이 섞일 수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상층부와 하층부의 내용물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송될 뿐이고 원활하게 서로 혼합되지 못한다. 특히, 볏짚이나 마른 풀 등의 비교적 크기가 큰 조성물의 경우에는 이러한 경향이 더욱 심화된다.
아울러, 볏짚 등의 비교적 크기가 큰 비료 조성물은 수용부의 바닥에 가라 앉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대형 조성물을 효과적으로 절단 및 분쇄할 수단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0705호 :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비료 생산 장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교반 탱크 내부에서 하층부의 조성물을 간헐적으로 상층부로 상승시킴으로써 축분과 비료 조성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는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교반 탱크의 바닥에 가라 앉아 있는 비교적 크기가 큰 조성물을 효과적으로 절단 및 파쇄할 수 있는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는 내부에 축분 및 비료 조성물이 투입되는 교반 탱크; 상기 교반 탱크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제 1 방향으로 권선된 채로 연장되는 제1 내측 나선 부재;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의 권선 반경보다 큰 권선 반경으로 권선된 채로 연장되는 외측 나선 부재;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의 권선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권선된 채로 연장되는 제2 내측 나선 부재; 및 일단은 상기 외측 나선 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를 향해 방사상 안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교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할 때, 상기 교반 플레이트는 상기 교반 탱크의 바닥에 있는 축분 및 비료 조성물을 상층부로 밀어 올리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에 따르면, 교반 탱크 내부 바닥의 하층부에 위치하는 축분 및 비료 조성물을 별도의 교반 플레이트에 의해 상층부를 향해 간헐적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하층부와 상층부의 축분 및 비료 조성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는 서포트 바의 종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블레이드를 채용함으로써 교반 탱크의 바닥에 가라 앉아 있는 비교적 크기가 큰 조성물(예컨대, 마른 풀, 볏짚, 낙엽 등)까지도 모두 절단 및 파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향상된 효과와 이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의 교반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의 교반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의 교반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의 교반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의 혼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축분"은 우분, 돈분 및 계분을 포함하며,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비료 조성물"이란 비료 제조를 위해 상기 축분과 혼합되는 성분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마른 풀, 볏짚, 왕겨, 톱밥, 재 및 부엽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비료 조성물은 축분과 기타 조성물들의 혼합과 발효를 촉진하는 촉매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비료 조성물은 본 고안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는, 축분과 비료 조성물(미도시)이 투입되어 혼합되는 교반 탱크(10), 상기 교반 탱크(10) 내에 설치되어 투입된 축분과 비료 조성물을 혼합하는 교반 어셈블리(20), 및 상기 교반 어셈블리(2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 탱크(10)는 원통형의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밀봉하도록 결합된 전면 커버(12) 및 후면 커버(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의 상부에는 축분을 투입하는 제 1 투입구(14)와, 마른 풀, 볏짚, 왕겨, 톱밥, 재 및 부엽토 등의 비료 조성물을 투입하는 제 2 투입구(15), 및 상기 교반 탱크(10) 내부에서 축분과 비료 조성물의 혼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16)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는 제 1 투입구(14)와 제 2 투입구(15)의 기능과 구성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투입구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투입구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축분과 비료 조성물을 투입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 1 및 제 2 투입구는 교반 탱크(10)의 일단 근처에 형성되거나 그 외 기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 탱크(10)의 측면에는 내부에서 혼합된 축분 및 비료 조성물의 혼합물을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구는 수동으로 개폐되거나 또는 유압식으로 자동 개폐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구성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채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인출구를 채택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교반 탱크(10)의 내부에는 축분과 비료 조성물을 혼합하기 위한 교반 어셈블리(20)가 설치되는데, 상기 교반 어셈블리(20)는 상기 교반 탱크(10) 내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축(21)과, 상기 회전축(21)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회전축(21)의 둘레에 제 1 방향으로 권선되도록 연장되어 있는 제1 내측 나선 부재(22)와, 상기 회전축(21)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회전축(21)의 둘레에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 방향으로 권선되도록 연장되어 있는 외측 나선 부재(23) 및 상기 회전축(21)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21)의 둘레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의 권선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권선된 채로 연장되는 제2 내측 나선 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와 외측 나선 부재(23) 및 제2 내측 나선부재(24)는 후술하는 도 2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축(21)의 양단은 상기 전면 커버(12)와 후면 커버(13)의 중심에 각각 형성된 부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1)의 일단에는 종동 스프라켓(29)이 결합되고, 상기 종동 스프라켓(29)은 구동부(30)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31)와, 상기 모터(31)와 벨트(3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모터(31)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기(33)와, 감속된 회전력을 상기 종동 스프라켓(29)으로 전달하기 위해 체인(34)에 의해 상기 종동 스프라켓(29)과 연결되는 구동 스프라켓(35)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구동부(30)는 일 예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그 외에도 상기 회전축(21)을 회전시키기 위해 다양한 구성의 구동부가 채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교반 탱크(1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열원(40)이 구비되어, 상기 교반 탱크(10) 내부에서 혼합되는 축분과 비료 조성물의 반응과 발효를 촉진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의 교반 어셈블리(2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의 교반 어셈블리(20)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의 교반 어셈블리(20)에 채용된 회전축(21)에는 제1 내측 나선 부재(22)와 외측 나선 부재(23) 및 제2 내측 나선부재(24)가 서포트 바(25)에 의해 지지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제1 내측 나선 부재(22)와 외측 나선 부재(23) 및 제2 내측 나선부재(24)는 서로 다른 서포트 바에 결합되거나, 또는 동일한 서포트 바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는 상기 회전축(21)의 둘레에 제 1 방향(예컨대, 도 3을 기준으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가면서 반시계방향으로 권선된 채로 연장되며, 외측 나선 부재(23)는 상기 회전축(21)의 둘레에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 방향(예컨대, 도 3을 기준으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가면서 시계방향)으로 권선된 채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내측 나선 부재(24)는 상기 회전축(21)의 둘레에 외측 나선 부재(23)와 같은 방향인 제 2 방향(예컨대, 도 3을 기준으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가면서 시계방향)으로 권선된 채로 연장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내측 나선 부재(22)와 외측 나선 부재(23) 및 제2 내측 나선부재(24)의 권선 방향이 회전축(21)의 방사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서로 반대인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21)이 회전할 때 상층부의 조성물과 중층부의 조성물 및 하층부의 조성물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혼합하기 위함이다.
상기 외측 나선 부재(23)의 권선 반경은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의 권선 반경에 비해 크다. 따라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는 상기 외측 나선 부재(23)의 방사상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 내측 나선 부재(24)의 권선 반경은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의 권선 반경에 비해 작다. 따라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내측 나선 부재(24)는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의 방사상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 바(25)에는 내부 조성물을 절단 및 분쇄하기 위한 블레이드(26)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6)는 회전축(21)에 인접한 지점(P1)에서부터 상기 외측 나선 부재(23)가 결합되어 있는 서포트 바(25)의 종단(P2)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26)는 회전축(21)의 회전 방향(예컨대, 반시계방향)을 향해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블레이드(26)는 그 끝단이 상기 교반 탱크(10)의 바닥부 근처까지 닿게 되므로, 상기 교반 탱크(10)의 바닥에 가라 앉아 있는 마른 풀, 볏짚, 낙엽 등의 비교적 크기가 큰 조성물을 효과적으로 절단 및 파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 나선 부재(23)에는 교반 탱크(10) 내부의 조성물을 효과적으로 혼합하기 위한 교반 플레이트(5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교반 플레이트(50)는 인접하는 외측 나선 부재(2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교반 플레이트(50)의 일단은 상기 외측 나선 부재(23)에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를 향해 방사상 안쪽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교반 플레이트(50)는 하층부의 조성물 또는 상기 교반 탱크(10)의 바닥에 가라 앉아 있는 조성물을 상층부로 밀어 올리는 역할을 담당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반 플레이트(50)의 최고 지점(즉, 타단부)(HP)은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와 접촉하지 않고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최고 지점(HP)"이란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바닥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비록 본 고안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교반 플레이트(50)는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와 접촉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교반 플레이트(50)의 최고 지점(HP)이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와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가 상기 외측 나선 부재(23) 사이의 중심선(도 8의 CL 참조) 상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와 상기 교반 플레이트(50)의 최고 지점(HP) 사이의 간격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교반 플레이트(50)가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가 상기 외측 나선 부재(23) 사이의 중심선(도 8의 CL 참조) 상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와 상기 교반 플레이트(50)의 최고 지점(HP)과 접하도록, 상기 교반 플레이트(5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구성은 도 8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의 교반 어셈블리(2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의 교반 어셈블리(20')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에 구비된 교반 어셈블리(20')는 상기 회전축(21)의 둘레에 제 1 방향(예컨대, 도 5를 기준으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가면서 반시계방향)으로 권선된 채로 연장되는 제1 내측 나선 부재(22)와, 상기 회전축(21)의 둘레에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 방향(예컨대, 도 5를 기준으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가면서 시계방향)으로 권선된 채로 연장되는 외측 나선 부재(23)와, 상기 회전축(21)의 둘레에 상기 제 2 방향(예컨대, 도 5를 기준으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가면서 시계방향)으로 권선된 채로 연장되는 제2 내측 나선 부재(24)와, 상기 외측 나선 부재(23)에 결합된 교반 플레이트(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교반 플레이트(50')는, 상기 외측 나선 부재(23)로부터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부(51)와, 상기 상기 경사부(51)로부터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의 접선과 평행하도록 연장된 수평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51)는 하층부의 조성물 또는 상기 교반 탱크(10)의 바닥에 가라 앉아 있는 조성물을 상층부로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하며, 상기 수평부(52)는 밀어 올려진 조성물이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에 의해 이송되면서 혼합될 수 있는 시간을 최대한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반 플레이트(50')의 수평부(52)는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와 접촉하지 않고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본 고안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교반 플레이트(50')의 수평부(52)는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와 접촉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가 상기 외측 나선 부재(23) 사이의 중심선(도 8의 CL 참조) 상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와 상기 교반 플레이트(50')의 수평부(52) 사이의 간격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교반 플레이트(50)가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가 상기 외측 나선 부재(23) 사이의 중심선(도 8의 CL 참조) 상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와 상기 교반 플레이트(50')의 수평부(52)가 접하도록, 상기 교반 플레이트(5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구성은 도 8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에 의해 축분과 비료 조성물을 혼합하는 동작을 도 6 내지 도 8을 추가로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6 내지 도 8은 도 2 및 도 4의 A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에서의 동작을 기준으로 도시된 것이며, 해칭선으로 도시된 각각의 블럭들은 내부 조성물(즉, 축분과 비료 조성물)과 접촉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제1 내측 나선 부재(22)와 외측 나선 부재(23) 및 제2 내측 나선 부재(24)를 각각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다.
먼저, 비료 제조를 위해 축분과 마른 풀, 볏짚, 왕겨, 톱밥, 재, 부엽토 및 그 밖의 반응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료 조성물을 제 1 및 제 2 투입구(14 및 15)를 통해 교반 탱크(10) 내에 투입한다. 이때, 비교적 크기가 큰 조성물은 예비적으로 절단한 후에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30)의 모터(31)가 구동하면, 그 회전력은 상기 감속기(33)를 거친 후, 상기 구동 스프라켓(35)에 결합된 체인(34)에 의해 종동 스프라켓(29)으로 전달되고, 따라서 상기 회전축(21)은 일 방향(예컨대, 도 3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축(21)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21)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1 내측 나선 부재(22)와 외측 나선 부재(23) 및 제2 내측 나선 부재(24)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는, 도 3에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제 1 방향(즉, 반시계방향)으로 권선되어 있으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와 접촉하는 축분 및 비료 조성물은 화살표(R)과 같이 오른쪽으로 이송되는 효과를 가진다.
반면, 상기 외측 나선 부재(23)와 제2 내측 나선 부재(24)는, 도 3에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제 2 방향(즉, 시계방향)으로 권선되어 있으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나선 부재(23) 및 제2내측 나선부재(24)와 접촉하는 축분 및 비료 조성물은 화살표(L)과 같이 왼쪽으로 이송되는 효과를 낳는다. 다시 말해, 상대적으로 중층부에 위치한 내부 조성물은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에 의해 오른쪽으로 이송되고, 상대적으로 하층부(즉, 상기 교반 탱크(10)의 바닥에 인접한 영역) 및 상층부(즉, 회전축(21)에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 내부 조성물은 상기 외측 나선 부재(23) 및 제2내측 나선부재(24)에 의해 왼쪽으로 이송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이송 과정에서 상층부의 조성물과, 중층부의 조성물과 하층부의 조성물은 부분적으로 상호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블레이드(26)가 상기 외측 나선 부재(23)를 지지하는 서포트 바(25)의 종단까지 연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축(21)이 회전할 때, 상기 블레이드(26)가 상기 교반 탱크(10)의 바닥 인접부까지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 탱크(10)의 바닥에 침잠되어 있는 비교적 크기가 큰 조성물(예, 볏짚, 마른 풀, 낙엽 등)도 용이하게 절단 및 분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21)이 더욱 회전하여, 상기 교반 플레이트(50)가 상기 교반 탱크(10)의 바닥부 근처까지 도달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 플레이트(50)의 경사면 또는 경사부(51)가 상기 외측 나선 부재(23) 사이에 있는 (다시 말해, 바닥에 있는) 축분 및 비료 조성물(미도시)을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 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교반 플레이트(50)에 의해 상승된 축분 및 비료 조성물은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에 의해 화살표(R)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혼합 작용이 촉진된다.
상기 회전축(21)이 더욱 회전하여 도 8의 상태에 이르면, 상기 축분과 비료 조성물은 상기 교반 플레이트(50)의 최고 지점(HP)에 이르게 되고, 이때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와 교반 플레이트(50) 사이의 간격은 최소가 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가 상기 외측 나선 부재(23) 사이의 중심선(CL) 상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22)와 교반 플레이트(50) 사이의 간격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교반 플레이트(5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교반 플레이트(50)에 의해 위로 상승되는 축분 및 비료 조성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송 및 혼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교반 플레이트(50)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52)를 채용한 경우에는, 상기 축분 및 비료 조성물이 상승되는 체류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상기 축분 및 비료 조성물의 이송 및 혼합은 더욱 촉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21)이 더욱 회전하면, 상기 교반 플레이트(50)에 상승되었던 일부 축분 및 비료 조성물은 상부층으로(즉, 회전축(21)을 향해) 또는 다시 하부층으로 (즉, 상기 교반 탱크(10)의 바닥을 향해) 하강하면서 혼합 동작이 계속된다.
요컨대, 상기 교반 플레이트(50)에 의해 하부층의 축분 및 비료 조성물은 간헐적으로 상승, 이송 및 하강 작용을 반복하게 되고, 이 과정을 거쳐 축분 및 비료 조성물은 더욱 효과적으로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측 나선 부재(23) 사이에 한 개의 교반 플레이트(50)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교반 플레이트(50)가 서로 나란하게 또는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교반 탱크(1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열원(40)이 구비되어, 상기 교반 탱크(10) 내부에서 혼합되는 축분과 비료 조성물의 반응과 발효를 촉진할 수 있다.
10: 교반 탱크 11: 몸체
12: 전면 커버 13: 후면 커버
14: 제1 투입구 15: 제2 투입구
20: 교반 어셈블리 21: 회전축
22: 제1 내측 나선 부재 23: 외측 나선 부재
24: 제2 내측 나선부재 29: 종동 스프라켓
30: 구동부
31: 모터 32: 벨트
33: 감속기 34: 체인
35: 구동 스프라켓 40: 열원

Claims (9)

  1. 내부에 축분 및 비료 조성물이 투입되는 교반 탱크;
    상기 교반 탱크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제 1 방향으로 권선된 채로 연장되는 제1 내측 나선 부재;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의 권선 반경보다 큰 권선 반경으로 권선된 채로 연장되는 외측 나선 부재;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의 권선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권선된 채로 연장되는 제2 내측 나선 부재; 및
    일단은 상기 외측 나선 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를 향해 방사상 안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교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할 때, 상기 교반 플레이트는 상기 교반 탱크의 바닥에 있는 축분 및 비료 조성물을 상층부로 밀어 올리며, 상기 외측 나선 부재로부터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의 접선과 평행하도록 연장된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와, 상기 제2 내측나선부재 및 상기 외측 나선 부재를 상기 회전축에 결합시키는 서포트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바의 회전축에 인접한 지점에서부터 상기 외측 나선 부재가 결합된 상기 서포트 바의 종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플레이트의 최고 지점(HP)은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가 상기 외측 나선 부재 사이의 중심선(CL) 상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와 상기 교반 플레이트의 최고 지점(HP) 사이의 간격이 최소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가 상기 외측 나선 부재 사이의 중심선(CL) 상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와 상기 교반 플레이트의 최고 지점(HP)과 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가 상기 외측 나선 부재 사이의 중심선(CL) 상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와 상기 교반 플레이트의 수평부 사이의 간격이 최소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내측 나선 부재와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
KR2020170006147U 2017-08-15 2017-11-29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 KR20048694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21021584.6 2017-08-15
CN201721021584.6U CN207356971U8 (zh) 2017-08-15 2017-08-15 畜粪和肥料组合物的混合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945Y1 true KR200486945Y1 (ko) 2018-07-16

Family

ID=62423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147U KR200486945Y1 (ko) 2017-08-15 2017-11-29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6945Y1 (ko)
CN (1) CN207356971U8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304B1 (ko) * 2021-07-21 2022-01-11 전희철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반응장치
KR102370596B1 (ko) * 2021-07-21 2022-03-03 전희철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5696A (zh) * 2018-06-15 2018-11-30 山东海容节能新材料有限公司 单轴分层螺带式搅拌系统

Citation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102A (ko) * 1996-11-05 1998-08-05 구자홍 음식폐기물 처리장치의 교반기
KR19980034102U (ko) * 1996-12-10 1998-09-05 박병재 자동차용 냉각장치
KR19990020143A (ko) * 1997-08-30 1999-03-25 오세원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방법 및 그 장치
JP3359887B2 (ja) * 1999-07-14 2002-12-24 株式会社日本製鋼所 有機質物の発酵処理方法および発酵処理装置
JP2004337786A (ja) * 2003-05-16 2004-12-02 Sekkeishitsu Soil:Kk 撹拌装置及び撹拌方法
JP3850283B2 (ja) * 2001-12-14 2006-11-29 文三 小林 有機廃棄物処理装置
JP2008104417A (ja) * 2006-10-26 2008-05-08 Masaaki Suzuki 粉状体集合物の殺菌装置および殺菌方法
KR100893589B1 (ko) * 2007-10-18 2009-04-17 주식회사 이레 수평 교반식 축분자원의 연료 및 퇴비화 장치
KR100918951B1 (ko) * 2008-08-08 2009-09-25 길현익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비료 생산방법
JP2010004417A (ja) * 2008-06-23 2010-01-07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4518137B2 (ja) * 2007-11-27 2010-08-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および充填方法
KR100987940B1 (ko) * 2009-06-19 2010-10-18 김태영 음식물 발효 건조장치
KR101060705B1 (ko) 2009-07-14 2011-08-31 길현익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비료 생산장치
KR101160565B1 (ko) * 2012-04-13 2012-06-28 (주)자연과이레 발효된 도축 혈액용 냉각탱크
KR101283337B1 (ko) * 2012-12-07 2013-07-09 김영호 유기성 슬러지 생물 반응 건조기
JP5922385B2 (ja) * 2011-12-01 2016-05-24 株式会社村上製作所 攪拌軸および同攪拌軸を利用した攪拌処理装置
KR20160060365A (ko) * 2014-11-20 2016-05-30 홍영옥 음식물 쓰레기, 가축분뇨 및 하수 슬러지 처리 장치
US20170226023A1 (en) * 2014-10-23 2017-08-10 Hunan Sakal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 Inclined reactor of bottom gas-inlet type for aerobic fermentation and method for aerobic fermentation
KR101796725B1 (ko) * 2017-04-20 2017-11-10 김석이 축인분을 이용한 비료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102A (ko) * 1996-11-05 1998-08-05 구자홍 음식폐기물 처리장치의 교반기
KR19980034102U (ko) * 1996-12-10 1998-09-05 박병재 자동차용 냉각장치
KR19990020143A (ko) * 1997-08-30 1999-03-25 오세원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방법 및 그 장치
JP3359887B2 (ja) * 1999-07-14 2002-12-24 株式会社日本製鋼所 有機質物の発酵処理方法および発酵処理装置
JP3850283B2 (ja) * 2001-12-14 2006-11-29 文三 小林 有機廃棄物処理装置
JP2004337786A (ja) * 2003-05-16 2004-12-02 Sekkeishitsu Soil:Kk 撹拌装置及び撹拌方法
JP2008104417A (ja) * 2006-10-26 2008-05-08 Masaaki Suzuki 粉状体集合物の殺菌装置および殺菌方法
KR100893589B1 (ko) * 2007-10-18 2009-04-17 주식회사 이레 수평 교반식 축분자원의 연료 및 퇴비화 장치
JP4518137B2 (ja) * 2007-11-27 2010-08-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および充填方法
JP2010004417A (ja) * 2008-06-23 2010-01-07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KR100918951B1 (ko) * 2008-08-08 2009-09-25 길현익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비료 생산방법
KR100987940B1 (ko) * 2009-06-19 2010-10-18 김태영 음식물 발효 건조장치
KR101060705B1 (ko) 2009-07-14 2011-08-31 길현익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비료 생산장치
JP5922385B2 (ja) * 2011-12-01 2016-05-24 株式会社村上製作所 攪拌軸および同攪拌軸を利用した攪拌処理装置
KR101160565B1 (ko) * 2012-04-13 2012-06-28 (주)자연과이레 발효된 도축 혈액용 냉각탱크
KR101283337B1 (ko) * 2012-12-07 2013-07-09 김영호 유기성 슬러지 생물 반응 건조기
US20170226023A1 (en) * 2014-10-23 2017-08-10 Hunan Sakal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 Inclined reactor of bottom gas-inlet type for aerobic fermentation and method for aerobic fermentation
KR20160060365A (ko) * 2014-11-20 2016-05-30 홍영옥 음식물 쓰레기, 가축분뇨 및 하수 슬러지 처리 장치
KR101796725B1 (ko) * 2017-04-20 2017-11-10 김석이 축인분을 이용한 비료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304B1 (ko) * 2021-07-21 2022-01-11 전희철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반응장치
KR102370596B1 (ko) * 2021-07-21 2022-03-03 전희철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7356971U (zh) 2018-05-15
CN207356971U8 (zh)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945Y1 (ko) 축분 비료 조성물 혼합기
US5622323A (en) Hay processing system for a mixer feeder
US7566166B2 (en) Animal feed and industrial mixer having staggered rotor paddles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same
WO2011027556A1 (ja) 粉粒体攪拌装置
EP1513606A1 (en) Mixer with dissimilar augers
EP0833558B1 (en) Mixing and dispensing apparatus
US4712922A (en) Material mixing apparatus
KR101960078B1 (ko) 해초비료 제조장치
JP2004315259A (ja) 堆肥等の攪拌装置
KR200443600Y1 (ko) 퇴비제조장치용 에스컬레이터식 교반기의 퇴비파쇄장치
KR101897497B1 (ko) 롤 베일용 조사료 파쇄유닛이 구비된 스크류컨베이어
KR101629432B1 (ko) 가금류 농장 바닥에 깔린 수분조절제 처리장치
US3415492A (en) Feed mixer
KR101348034B1 (ko) 수산생물 친환경 처리기
KR101331102B1 (ko) 자동 사료 찜장치 및 그 수행방법
KR20210023378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연속식 석회반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3530913A (en) Corn processor
JP4975374B2 (ja) 籾がら処理方法、籾がらを使った生ゴミ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CN110922230B (zh) 一种堆肥好氧发酵前处理装置
CN211358490U (zh) 一种畜牧业饲料混合装置
JP2004315260A (ja) 堆肥等の撹拌排出装置
CN219749633U (zh) 一种具有粉碎功能的喂料车
WO1996008963A1 (en) Apparatus for mixing and dispensing material
JP2006076859A (ja) 堆肥攪拌装置
GB2081117A (en) Mixing and dispens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