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428Y1 -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 - Google Patents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428Y1
KR200486428Y1 KR2020130008100U KR20130008100U KR200486428Y1 KR 200486428 Y1 KR200486428 Y1 KR 200486428Y1 KR 2020130008100 U KR2020130008100 U KR 2020130008100U KR 20130008100 U KR20130008100 U KR 20130008100U KR 200486428 Y1 KR200486428 Y1 KR 2004864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plate
abacus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396U (ko
Inventor
김성수
신찬엽
장창진
윤순신
정재완
조정석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한조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한조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8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428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3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3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4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4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72Auxiliary arrangements; Interconnections between auxiliary tables and movable machine elements
    • B23Q1/76Steadies;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8Carriages forming part of a cut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 B23K7/10Auxiliary devices, e.g. for guiding or supporting the to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02Magnetic work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선박 주판의 후면에 설치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이 선박 주판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받침판을 선박 주판에 고정하거나 분리하는 마그네틱 조립체; 상기 받침판의 상단에서 이송블록 및 롤러가이드의 전후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단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록; 상기 이송블록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가이드;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선박 주판의 후단부에서 선박 주판 절단기를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선박 주판의 측면 후단까지 자동으로 베벨 절단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 { SUPPORT FOR VESSEL MAIN PLATE CUTTING MACHINE }
본 고안은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주판의 끝 부분에서 선박 주판 절단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선박 주판을 끝까지 자동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주판은 다른 선박 주판과의 용접을 위해서 측면을 일정 각도로 베벨(Bevel) 절단을 하며, 이러한 상기 선박 주판의 베벨 절단은 주행바디와 절단토치,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선박 주판 절단기를 사용하는 예가 많다.
상기 선박 주판 절단기는 주행바디를 선박 주판의 상부면에 올려놓고 가이드롤러를 선박 주판의 측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선박 주판의 선단에 절단토치를 셋팅하고, 절단토치 및 주행바디를 가동하면 주행바디와 함께 절단토치, 가이드롤러가 선박 주판의 후단으로 이동하게 되며, 절단토치에 의해 선박 주판의 베벨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 선박 주판 절단기의 가이드롤러는 절단토치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가이드롤러가 선박 주판의 측면에서 이탈될 때에 절단토치가 주판의 후단부를 완전히 절단하지 못하게 되며, 절단토치가 선박 주판의 후단을 절단하는 위치까지 이동되면 주행바디가 선박 주판에서 추락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가이드롤러가 선박 주판의 측면에서 이탈되기 전에 주행바디를 잡아주어야 한다.
또한, 선박 주판의 측면 후단부에 대한 베벨 절단 작업은 작업자가 선박 주판 절단기의 주행바디를 잡고 수동으로 절단토치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진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선박 주판 측면 후단부에 대한 베벨 절단면의 품질이 크게 좌우되며, 미숙한 작업자의 경우 베벨 절단면에 노치(notch)가 발생되는 등 절단 불량의 우려가 많게 된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조선소나 장교 건설 현장에서 철판을 베벨 절단하는 데에 사용되는 토치 회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씨엔씨 절단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주행부 몸체에 주횔과 보조휠이 설치되어 주행부 몸체가 대상물의 절단 대상면을 따라 이동되는 절단 토치 가이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의 특허문헌 검색결과 주행바디와 절단토치, 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선박 주판의 측면을 베벨 절단하는 선박 주판 절단기에 관련된 기술은 검색되지 않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8260호(2009년 2월 20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9423호(2011년 3월 23일 공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주행바디와 절단토치,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선박 주판 절단기를 사용하여 선박 주판의 베벨 절단 작업을 할 때에 작업자가 선박 주판의 후단부에 대기하고 있다가 선박 주판의 측면 후단부에 대한 베벨 절단을 수동으로 진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게 될 뿐 아니라 베벨 절단 품질이 떨어지게 될 우려가 많은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 주판의 측면에 대한 베벨 절단을 수행하는 선박 주판 절단기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여 선박 주판 절단기가 선박 주판의 측면 후단부까지 자동으로 베벨 절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는 선박 주판의 후면에 선박 주판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단 좌측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판이 선박 주판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판을 선박 주판에 고정하거나 분리하는 마그네틱 조립체; 상기 받침판의 상단 우측에 마련되어 이송블록 및 롤러가이드의 전후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단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록; 상기 이송블록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는 상기 받침판의 상부면 후단부에 선박 주판 절단기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블록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방부위가 받침판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부위가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부위가 선박 주판의 상부면에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는 상기 마그네틱 조립체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마그네틱블록, 마그네틱블록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는 상기 마그네틱 조립체가 수평상태의 스위치레버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수직방향으로 세웠을 때에 마그네틱블록이 작동되어 선박 주판에 부착되고, 수직상태의 스위치레버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수평방향으로 눕혔을 때 마그네틱블록의 작동이 정지되어 선박 주판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전방에 선박 주판의 상부면에 올려지는 지지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는 상기 롤러가이드가 선박 주판의 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접촉가이드부, 상기 접촉가이드부의 후단에서 우측방향으로 절곡되어 가이드롤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는 상기 롤러가이드가 상기 지지부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송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각도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에 의하면, 선박 주판의 후단부에서 선박 주판 절단기를 받쳐줄 수 있게 되므로 선박 주판의 측면 후단까지 자동으로 베벨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에 의하면, 작업자가 선박 주판의 측면 후단 부위를 수동으로 절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에 의하면 선박 주판의 측면 후단 부위를 다른 부위와 마찬가지로 고르게 베벨 절단할 수 있게 되므로 선박 주판 측면의 베벨 절단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의 평면도,
도 3은 동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의 요부 확대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동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의 요부 우측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동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100)는 받침판(110), 지지프레임(120), 마그네틱 조립체(130), 가이드프레임(140), 이송블록(150), 롤러가이드(160)를 포함한다.
받침판(110)은 선박 주판(200)의 후면에 선박 주판(200)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선박 주판 절단기(300)의 주행몸체(310)를 받쳐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받침판(110)의 상부면 후단부에는 선박 주판 절단기(300)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블록(111)이 마련된다.
지지프레임(120)은 상기 받침판(110)을 선박 주판(200)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받침판(110)의 상단 좌측에 마련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후방부위가 받침판(110)에 고정되고, 전방부위가 상기 받침판(110)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받침판(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프레임(120)의 전방부위는 선박 주판(200)의 상부면에 올려지게 된다.
마그네틱 조립체(130)는 상기 받침판(110)을 선박 주판(200)에 고정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전방에 마련된다.
상기 마그네틱 조립체(130)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에 고정되는 마그네틱블록(131), 마그네틱블록(131)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레버(132)를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틱 조립체(130)는 수평상태의 스위치레버(132)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수직방향으로 세웠을 때에 마그네틱블록(131)이 작동되어 선박 주판(200)에 부착되고, 수직상태의 스위치레버(132)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수평방향으로 눕혔을 때 마그네틱블록(131)의 작동이 정지되어 선박 주판(200)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프레임(140)은 후술할 이송블록(150) 및 롤러가이드(160)의 전후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받침판(110)의 상단 우측에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전방에는 선박 주판(200)의 상부면에 올려지는 지지부(141)가 돌출 형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의 요부 확대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동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의 요부 우측면도이다.
이송블록(150)은 후술할 롤러가이드(160)를 전후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상단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롤러가이드(160)는 선박 주판 절단기(300)의 가이드롤러(32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송블록(150)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롤러가이드(160)는 선박 주판(200)의 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접촉가이드부(161), 상기 접촉가이드부(161)의 후단에서 우측방향으로 절곡되어 가이드롤러를 지지하는 지지부(162)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가이드(160)는 상기 지지부(160)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송블록(150)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각도조절볼트(163)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1차 베벨 절단되어 일정각도의 베벨 경사면을 가지는 선박 주판(200)에 대해 좀더 큰 각도로 2차 베벨 절단을 실시할 때에 각도조절볼트(153)를 풀거나 조여 롤러가이드(160)의 접촉가이드부(161)의 경사각도를 선박 주판(200)의 베벨 경사면 각도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100)는 선박 주판(200)의 후단부에서 선박 주판 절단기(300)의 주행을 지지한다.
따라서, 선박 주판 절단기(300)가 선박 주판(200)의 후단을 벗어난 후에도 추락하지 않고 일정거리만큼 계속 주행할 수 있게 되므로 선박 주판(200)의 측면의 끝 부분까지 베벨 절단이 자동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박 주판 절단기(300)를 통해 선박 주판(200)의 측면을 베벨 절단할 때에는 선박 주판 절단기(300)의 가이드롤러(320)를 선박 주판(200)의 측면에 접촉시키고 선박 주판 절단기(300)의 절단토치(330)를 선박 주판(200)의 측면 선단에 셋팅한 후 절단토치(330)와 주행몸체(310)를 작동하게 되면 선박 주판 절단기(300)가 후방으로 주행하면서 절단토치(330)를 통해 자동으로 베벨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100)는 선박 주판 절단기(300)를 통해 선박 주판(200)의 측면에 대한 베벨 절단을 시작하기 전이나 선박 주판(200)의 측면에 대한 베벨 절단이 진행되는 동안에 선박 주판(200)의 후단부에 장착하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100)를 선박 주판(200)에 장착할 때는 선박 주판(200)의 후면에 받침판(110)의 전면을 밀착시키고 선박 주판(200)에 올려진 마그네틱 조립체(130)의 스위치레버(132)를 후방으로 회전 작동시켜 마그네틱블록(131)이 선박 주판(200)에 부착되도록 하면 된다.
상기에서 선박 주판(200)의 후면에 받침판(110)을 밀착시킬 때에는 지지프레임(120)의 전방부위와 함께 가이드프레임(140)의 지지부(141)가 선박 주판(200)의 상부면에 올려지도록 하고, 이송블록(150)의 우측 전방에 설치된 롤러가이드(160)의 접촉가이드부(161)가 선박 주판(200)의 측면 후단에 위치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100)가 선박 주판(200)에 장착된 경우 후방으로 주행하면서 절단토치(330)를 통해 자동으로 선박 주판(200)의 측면을 베벨 절단하는 선박 주판 절단기(300)의 가이드롤러(320)가 선박 주판(200)의 측면 후단을 벗어나는 때에도 롤러가이드(160)의 접촉가이드(161)에 접촉되어 계속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롤러가이드(160)의 접촉가이드(161)에 접촉되어 이동하는 선박 주판 절단기(300)의 가이드롤러(320)는 롤러가이드(160)의 지지부(162)에 닿게 되며, 이때부터는 가이드롤러(320)가 롤러가이드(160)를 밀게 되므로 가이드롤러(320)와 롤러가이드(160), 이송블록(150)이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에서 가이드롤러(320)와 롤러가이드(160), 이송블록(150)의 이동은 가이드프레임(140)을 통해 지지된다.
이처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100)를 선박 주판(200)의 후면에 장착하게 되면 선박 주판 절단기(300)의 가이드롤러(320)가 선박 주판(200)을 벗어나는 때에도 가이드롤러(320)를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선박 주판 절단기(300)가 계속 같은 경로로 주행하면서 선박 주판(200)의 측면을 끝 부분까지 자동으로 베벨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100)를 사용하게 되면 작업자가 선박 주판(200)의 후방에서 대기하다가 수동으로 선박 주판(200)의 측면 끝 부분을 수동으로 베벨 절단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100)는 각도조절볼트(163)을 통해 롤러가이드(160)의 각도를 조절하는 형태이지만 상기 롤러가이드(160)의 각도 조절 형태는 예측 가능한 다른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100 :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
110 : 받침판
120 : 지지프레임
130 : 마그네틱 조립체
140 : 가이드프레임
150 : 이송블록
160 : 롤러가이드

Claims (8)

  1. 선박 주판(200)의 후면에 선박 주판(200)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받침판(110);
    상기 받침판(110)의 상단 좌측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판(110)이 선박 주판(200)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120);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판(110)을 선박 주판(200)에 고정하거나 분리하는 마그네틱 조립체(130);
    상기 받침판(110)의 상단 우측에 마련되어 이송블록(150) 및 롤러가이드(160)의 전후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프레임(140);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상단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록(150);
    상기 이송블록(150)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가이드(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10)의 상부면 후단부에 선박 주판 절단기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블록(111)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후방부위가 받침판(110)에 고정되고, 전방부위가 상기 받침판(110)으로부터 돌출되며, 지지프레임(120)의 전방부위가 선박 주판(200)의 상부면에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조립체(130)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에 고정되는 마그네틱블록(131), 마그네틱블록(131)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레버(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조립체(130)는 수평상태의 스위치레버(132)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수직방향으로 세웠을 때에 마그네틱블록(131)이 작동되어 선박 주판(200)에 부착되고, 수직상태의 스위치레버(132)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수평방향으로 눕혔을 때 마그네틱블록(131)의 작동이 정지되어 선박 주판(200)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전방에 선박 주판(200)의 상부면에 올려지는 지지부(141)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이드(160)는 선박 주판(200)의 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접촉가이드부(161), 상기 접촉가이드부(161)의 후단에서 우측방향으로 절곡되어 가이드롤러를 지지하는 지지부(1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이드(160)는 상기 지지부(162)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송블록(150)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각도조절볼트(16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
KR2020130008100U 2013-10-01 2013-10-01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 KR2004864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100U KR200486428Y1 (ko) 2013-10-01 2013-10-01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100U KR200486428Y1 (ko) 2013-10-01 2013-10-01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396U KR20150001396U (ko) 2015-04-09
KR200486428Y1 true KR200486428Y1 (ko) 2018-05-17

Family

ID=5302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100U KR200486428Y1 (ko) 2013-10-01 2013-10-01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42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03983B4 (de) 2016-03-04 2019-03-14 Stefan Konrad Pinselkappe
CN114178627B (zh) * 2022-01-14 2024-02-23 镇江康福船舶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船舶钢结构加工的数控切割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019B1 (ko) 2005-07-05 2006-08-07 Stx조선주식회사 용접캐리지의 용접구간 연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84526A1 (en) * 2000-10-16 2002-04-29 Kabushiki Kaisha Kokuho Copying welding equipment
KR20090018260A (ko) 2007-08-17 2009-02-20 세신버팔로 주식회사 각도절단을 위한 토치 회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씨엔씨절단기
KR101005935B1 (ko) * 2008-10-13 2011-0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캐리지 가이드 장치
KR101159197B1 (ko) 2009-09-15 2012-06-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절단 토치 가이드 장치
KR101168288B1 (ko) * 2010-09-06 2012-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캐리지 장치
KR20130002536U (ko) * 2011-10-19 2013-04-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캐리지 안내용 연장 레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019B1 (ko) 2005-07-05 2006-08-07 Stx조선주식회사 용접캐리지의 용접구간 연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396U (ko) 2015-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1970B2 (en) Miter saw with adjustable fence
JP6258527B2 (ja) 大型パイプ高速切断機
US11446843B2 (en) Material loading apparatus
KR101669330B1 (ko) 파인애플 오토필러
JP2008221812A (ja) 卓上切断機
KR101435000B1 (ko) 자동 본딩 장치 거치 유닛
KR200486428Y1 (ko) 선박 주판 절단기 받침대
KR20120077204A (ko) 용접용 회전테이블
US20120204696A1 (en) Cutting machine, particularly for hides and the like, with simplified accessibility
JP2010005750A (ja) 卓上切断機
US1639039A (en) Saw guide
CN205385827U (zh) 带有活动工作台的锯骨机及活动工作台装置
JP3165294U (ja) 丸鋸切断機用補助具
CN105817985B (zh) 金属切割机
JP2005178281A (ja) 上部テーブル付卓上丸鋸
KR101159197B1 (ko) 절단 토치 가이드 장치
CN106393307B (zh) 一种仿形铣设备
JP2016064493A (ja) 作業台
JP2012157931A (ja) 卓上切断機
CN205021096U (zh) 绞刀叶片堆焊耐磨层工装
KR20090118696A (ko) 원형 절단용 지그
CN109434931A (zh) 一种变压器绝缘纸下料机
US2229644A (en) Saw sharpener
KR20180002843U (ko) 고정형 각도기울기가 부착된 칼 연삭기
US1826056A (en) Tile cu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