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843U - 고정형 각도기울기가 부착된 칼 연삭기 - Google Patents

고정형 각도기울기가 부착된 칼 연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843U
KR20180002843U KR2020180004202U KR20180004202U KR20180002843U KR 20180002843 U KR20180002843 U KR 20180002843U KR 2020180004202 U KR2020180004202 U KR 2020180004202U KR 20180004202 U KR20180004202 U KR 20180004202U KR 20180002843 U KR20180002843 U KR 201800028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grinding
support
grindston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제갑
Original Assignee
문제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제갑 filed Critical 문제갑
Priority to KR2020180004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843U/ko
Publication of KR201800028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8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5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hand or table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6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performing a reciprocating movement, e.g. during which the sense of rotation of the working-spindle is rever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칼의 날을 세우기 위한 작업공정에 관한 것으로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는 숫돌의 좌, 우 측면에 각도 ( 5˚)의 기울기로 형성된 지지대를 설치하고 설치된 지지대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끼움홀 (1~20개)을 형성하고 다수의 끼움홀 중 하나에 칼받침대를 결합하여 결합된 받침대에 칼의 등을 거치하고 칼의 날을 세우기 위한 연삭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과정에서 지지대에 수직으로 형성된 다수의 끼움홀 (1~20개)은 지지대의 기울어진 각도에 의하여, 상단의 끼움홀과 하단의 끼움홀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각도 ( 5˚)의 기울기로 형성된 사선이 그려진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각도에 의하여 숫돌면과 각도지지대의 거리가 사선을 그리며 벌어지는 구조가 형성되며
이러한 효과로 칼받침대에 칼을 거치하고 숫돌면을 향하여 기울기를 주어 연삭작업을 시행할 때 칼의 연삭면이 숫돌과 접촉되는 각도가 다양하게 제공된다.
이와 같이 다양하게 제공되는 각도에 의하여, 칼의 넓이가 다르고 연삭면의 넓이가 다양한 칼의 연삭작업을 지지대에 형성된 다수의 끼움홀 중 하나에 칼받침대를 결합하는 단순한 방법으로 칼에 형성되어 있는 연삭면을 숫돌의 면에 일치시켜 연삭작업을 시행할 수 있으며 고도의 숙련된 기술이 없어도 칼의 날을 예리하게 세우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기울기를 가진 각도지지대를 숫돌면을 향해 이송할 수 있는 이송축과 스크류볼트를 형성하고 각도지지대의 일측에 스크류넛트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각도지지대는 넛트를 이용하여 숫돌의 면과 일정거리에 이송시키며 반복 연삭작업으로 숫돌의 면에 마모가 발생하였을 때 마모된 거리만큼 숫돌면을 향하여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Description

고정형 각도기울기가 부착된 칼 연삭기{omitted}
본 고안은 칼의 연삭면의 넓이와 연삭면의 각도가 각기 다른 칼의 날을 세우기 위에서 회전하는 숫돌면에 칼의 연삭하고자 하는 면을 밀착시키고, 숫돌의 회전에 의해서 칼의 좌,우 면을 연삭하여 칼의 날이 예리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회전하는 숫돌을 이용한 칼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칼 연삭기는 수직이나 수평으로 회전하는 숫돌에 칼의 연삭하고자 하는 면의 상단면을, 작업자의 손으로 힘을 가해 눌러서 숫돌에 칼의 연삭하고자 하는 면을 일치시키고 연삭작업을 하는 고도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였다.
또한 연삭작업 중에 칼의 날이 예리하게 형성되어지는 상태를 확인하며 재연삭 작업을 수회 반복하여 실시하는 작업 공정상 적업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숫돌의 면과 칼의 연삭하고자 하는 면이 일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연삭면에 두 개 혹은 세 개의 연삭면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칼의 날을 예리하게 세우기 위하여 입도가 거친 숫돌에서 1차 연삭 작업을 마치고 입도가 고운 숫돌에서 2차 마무리 연삭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도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숫돌의 면과 칼의 연삭면이 일치하지 못하는 문제로 인하여 칼의 날을 예리하게 세우기 위한 연삭 방법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칼의 상단면을 손끝으로 힘을 가해 누르며 연삭작업을 하는 공정으로 인하여 숫돌의 회전력에 의한 칼의 이탈로 부상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었다.
또한 수직으로 회전하는 숫돌에서는 숫돌의 중심부에 칼의 끝이 위치할 수 있도록 칼의 등을 거치할 수 있는 칼받침대를 숫돌의 좌,우 측면에 형성하고 형성된 칼받침대를 전,후로 이송하여 숫돌의 면과 칼의 연삭면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상,하로 칼받침대를 이송하여 연삭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연삭작업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칼의 종류마다 연삭면의 넓이와 칼의 넓이가 다양하여 칼의 날을 원형으로 형성된 숫돌의 중심에 일치시키는 작업공정과 연삭면을 숫돌과 일치시키는 각도 조정 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칼의 종류마다 다양한 넓이와 칼의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는 칼의 연삭면을 연삭하는 공정에서, 칼에 형성되어 있는 연삭면과 숫돌의 면을 일치시키는 공정을 기울기를 가진 각도지지대를 통하여 정밀한 연삭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칼의 손잡이를 잡고 연삭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수직으로 회전하는 숫돌에서 숫돌의 좌, 우 측면을 사용하여 연삭하는 방법으로 숫돌의 좌, 우 측면에 숫돌의 면과 일정한 거리에 각도 ( 5˚) 의 기울기로 형성되어지는 지지대를 설치하고 설치된 지지대에 수직방향으로 다수 (1~20개)의 끼움홀을 형성하고 끼움홀에 결합되어지는 칼의 등을 거치할 수 있는 칼받침대를 형성한다.
형성된 칼받침대는 각도 ( 5˚) 의 기울기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끼움홀 중 하나에 결합되어지고 결합되어 있는 칼받침대에 칼의 등을 거치하고 칼의 연삭하고자 면을 칼의 손잡이를 잡고 좌, 또는 우로 기울기를 주어 숫돌의 면과 칼의 연삭하고자 하는 면을 일치되도록 하여 연삭 작업을 실시한다.
또한 각도 ( 5˚) 의 기울기를 가진 지지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끼움홀 중 하나의 끼움홀에 결합되어지는 칼받침대는 끼움홀의 높고 낮은 위치에 따라서 칼의 연삭되어지는 면에 다양한 각도가 제공되며 이러한 효과로 다양한 넓이를 형성하고 있는 칼의 종류와 칼의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는 칼의 연삭면을 정밀하게 연삭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거친 입도의 숫돌에서 1차 연삭작업을 실시하고 입도가 고운 숫돌에서 마무리 연삭공정을 실시하는 과정에서는 거친 숫돌의 좌, 우 측면의 일정거리에 지지대를 고정시키고 고운 숫돌의 좌, 우 측면에 형성되어있는 지지대는 거친 숫돌의 좌, 우측면에 고정된 지지대와 동일한 거리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지지대의 끼움홀에 수평선 상의 위치에 칼받침대를 결합하면 거친 숫돌에서의 칼 연삭면과 고운 숫돌에서의 연삭면이 동일한 각도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칼의 날이 예리하게 형성되는 효과를 가져오며 연삭면에 두 개 혹은 세 개의 면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삭면의 일체성을 갖게 된다.
본 고안은 칼의 넓이가 다양하고 연삭면의 넓이가 다양한 칼의 날을 세우기 위한 연삭작업을 실시함에 있어서 숫돌의 좌, 우 측면에 각도 ( 5˚)의 기울기를 가진 지지대를 설치하고 지지대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까움홀을 형성하여 다수의 끼움홀 중 하나에 칼받침대를 결합하는 단순한 방법으로 칼의 연삭면을 숫돌의 면과 일치시키는 각도를 제공한다.
또한 거친 숫돌에서 연삭 후 고운 숫돌에서 마무리 연삭공정을 실시할 때에도 지지대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홀 중 하나의 수평선상에 칼받침대를 결합하는 단순한 방법으로 거친 숫돌에서의 연삭 각도와 고운 숫돌에서의 연삭 각도를 동일한 각도로 형성하게 하여 칼의 날을 예리하게 세우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고정된 칼받침대에 칼을 거치하고 연삭작업을 시행하므로 반복하여 연삭잡업을 실시하여도 고정된 각도에 의하여 두 개 혹은 세 개의 연삭면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칼의 연삭면이 일정한 단면을 형성하는 안정성을 제공한다.
또한 칼의 손잡이를 잡고 연삭작업을 실시하도록 하여 칼의 미끌림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수 있다.
도 [가]는 본 고안에 의한 정면도와 측면도
도 [나]는 각도 ( 5˚)의 기울기를 가진 지지대의 끼움홀의 높이에 따른 칼 연삭면의 각도 변화와 연삭면의 넓이를 표시한 도
도 [다]는 수평선상에 위치한 끼움홀의 높이에 따른 거친 숫돌과 고운 숫돌에서의 연산각도의 동일성을 표시한 도
도 [라]는 종래의 방법으로 수평으로 회전하는 숫돌에서의 연삭과정중 연삭면이 일치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표시한 도
도 [마]는 종래의 방법으로 수직으로 회전하는 숫돌에서 칼의 넓이가 다른 칼이 숫돌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연삭되는 현상을 표시한 도
도 [마-1]는 확대 도면으로 숫돌의 중심에서 연삭하는 과정을 표시한 도
도 [마-2]는 확대 도면으로 칼의 넓이 차이로 숫돌의 중심에 일치하지 못하는 상태를 표시한 도
도 [마-3]는 확대 도면으로 칼의 넓이 차이로 숫돌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를 표시한 도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가] 내지 도 [다]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숫돌 [가 1], [가 2]의 좌, 우 측면에 숫돌면을 향해 각도 ( 5˚)의 기울기로 형성된 각도지지대 [가 5, 6, 7, 8]을 형성하고 형성된 각도지지대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끼움홀 [나, 9. 9-1, 9-2, 9-3]을 형성한다. 형성된 끼움홀 중의 하나에 칼받침대 [가 11]을 결합하고 결합된 칼받침대에 칼을 거치하고 칼 [가 10]의 연삭하고자 하는 면을 숫돌 [가 2] 면을 향하여 기울기를 주어 연삭 작업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상기 각도지지대 [가. 5, 6, 7, 8]에는 좌 또는 우로 이송하는 넛트 [가 14]와 이송축 [가 16]에 결합되는 홀을 형성하고 일정거리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 [가 13]을 형성한다.
형성된 넛트 [가 14]와 홀은 고정축 [가 12, 12-1]에 형성되어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나사 [가 15]와 이송축 [가 16]에 결합되고 결합된 각도지지대 [가. 5, 6, 7, 8]는 각도지지대에 형성된 넛트 [가 14]의 회전에 의해 고정축 [가 12, 12-1]에 결합된 스크류나사 [가. 15]와 이송축 [가 16]을 따라서 좌 또는 우로 이송되어진다.
상기에 기술한 각도지지대 [가. 5, 6, 7, 8]를 이송하여 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거친 숫돌 [가. 1]의 좌, 우측면에 형성된 각도지지대 [가 8]과 [가 7]을 거친 숫돌 [가-1]의 좌, 우 측면의 일정한 거리에 이송하여 고정볼트 [가-13]로 이송축 [가-16]에 고정시킨다.
고운 숫돌 [가-2]의 좌, 우측면에 형성된 각도지지대 [가 6]와 [가-5]를 고운 숫돌 [가-2]의 좌, 우측면의 일정한 거리에 이송하여 고정볼트 [가 13]로 이송축 [가 16]에 고정시킨다.
고정된 각도지지대 [가 5, 6, 7, 8]에 수직으로 형성된 끼움홀 [가 9, 9-1, 9-2, 9-3]중의 하나에 칼받침대 [가 11]를 결합하고 칼받침대에 칼 [가 10]의 등을 거치하고 숫돌의 면을 향해 기울기를 주어 연삭작업을 실시한다.
이러한 연삭과정을 도면 [나]에 상세히 기술한다.
도 [나]의 각도지지대 [나 5]에 형성된 다수의 끼움홀 [나 9, 9-1, 9-2, 9-3]중 하나에 칼받침대 [나 11]를 결합하고 연삭작업을 실시하여 칼 [나 10]의 연삭되어지는 각도와 각도에 따라 연삭면의 넓이가 다양하게 제공되는 것을 도면[나 17, 18, 19, 20]에 기술하였다.
도 [나 17]에서는 끼움홀 [나 9-3]에 칼받침대 [나 11]를 결합하여 숫돌면을 향해 기울기를 주어 형성되는 각도 (11.54˚)와 칼의 연삭면의 넓이는 (5mm)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도 [나 17]의 하단에 표시하였으며,
도 [나 18]에서는 끼움홀 [나 9-2]에 칼받침대 [나 11]를 결합하면 칼의 기울기가 각도 (8.99˚)로 형성되고 연삭면의 넓이는 (6.40mm)로 형성되는 것을 하단에 표시하였다.
이와 같이 도 [나 19], 도 [나 20]에서도 칼받침대 [나 11]를 결합하는 끼움홀의 높고 낮은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칼의 연삭면이 형성되는 것을 하단에 표시하였다.
또한 거친 숫돌[가 1]에서 연삭작업을 실시한 후 고운 숫돌[가 2]에서 마무리 연삭 공정을 실시할 때 거친 숫돌에서 형성된 칼 [가 10]의 연삭면이 입도가 고운 숫돌에서도 연삭면의 각도와 넓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도 [다 21, 22]에 표시하였다.
거친 숫돌 [다 1]과 고운 숫돌 [다 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각도지지대 [다 7], [다5]가 숫돌면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고정되어 있고 칼받침대 [다 11]를 수평선 [다 23]상에 위치한 끼움홀에 결합하면 거친 숫돌 [다1]에서 형성된 연삭면과 고운 숫돌 [다 2]에서의 연삭면도 동일한 각도로 연삭면이 형성되는 상태를 도 [다 21, 22]의 하단에 표시하였다.
도 [라]는 종래의 방법으로 수평으로 회전하는 숫돌에서 연삭하는 공정을 표시하였으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칼의 연삭면이 숫돌의 연삭면과 일치하지 못하는 현상을 표시하였다.
도 [마]에서는 종래의 방법으로 수직으로 회전하는 숫돌의 좌, 우 측면에 칼받침대를 형성하고 형성된 받침대에 칼을 거치하여 숫돌의 상단면의 중심부에 칼의 날 끝을 위치시키고 연삭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을 표시하였다.
상기 과정에서 칼의 넓이가 다양한 칼의 날 끝을 숫돌 상단면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조정작업의 어려움과 이로 인한 각도의 변화가 발생하는 관계로 칼의 넓이가 다르고 사용 용도에 따라 연삭면의 넓이가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는 칼의 연삭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확대 도면을 통하여 도 [마 1], 도 [마 2], [마 3]에 표시하였다.

Claims (2)

  1. 칼의 날을 세우기 위하여 연삭 숫돌의 좌, 우의 측면을 사용하여 칼의 면을 연삭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숫돌의 좌, 우 측면에 숫돌면을 향하여 각도 ( 5˚)의 기울기를 가진 지지대를 형성하고 형성된 지지대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끼움홀 (1~20개)을 형성하여 끼움홀의 높고 낮은 위치에 따라 다양한 연삭 각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다수의 끼움홀 중 하나에 결합되는 칼받침대
  2. 1항에 있어서 각도 ( 5˚)의 기울기를 가진 지지대를 숫돌면을 향하여 좌, 우로 이송하는 미송축과 스크류볼트와 넛트를 이용한 제어수단
KR2020180004202U 2018-09-10 2018-09-10 고정형 각도기울기가 부착된 칼 연삭기 KR201800028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202U KR20180002843U (ko) 2018-09-10 2018-09-10 고정형 각도기울기가 부착된 칼 연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202U KR20180002843U (ko) 2018-09-10 2018-09-10 고정형 각도기울기가 부착된 칼 연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843U true KR20180002843U (ko) 2018-10-04

Family

ID=6386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202U KR20180002843U (ko) 2018-09-10 2018-09-10 고정형 각도기울기가 부착된 칼 연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84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079U (ko) 2020-07-01 2022-01-10 목정현 휴대가 용이한 이유식용 숟가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079U (ko) 2020-07-01 2022-01-10 목정현 휴대가 용이한 이유식용 숟가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74063A (zh) 一种修磨角度可调的齿轮滚刀修磨机
JP2018202539A (ja) 多角刃の研磨機
KR20180002843U (ko) 고정형 각도기울기가 부착된 칼 연삭기
JP6374679B2 (ja) 航空機外板表面平削り
EP1056567B1 (en) Rotary mower blade grinding
WO2014063075A1 (en) Setup platform apparatus for bench and pedestal grinders
JP6268064B2 (ja) レール削正装置
CA2323321A1 (en) Dressing apparatus for grinding wheels
KR200191364Y1 (ko) 공구연마대
US3354589A (en) Portable jointer sharpener
US7666067B2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pening a cutting tool
JP2012161864A (ja) スライド摺動面の修正装置
KR20070034199A (ko) 숫돌·공구의 위치 및 자세 변경이 가능한 만능 공구 연마기
US2549147A (en) Portable knife grinder for woodworking machines
US20220072672A1 (en) Apparatus for cutting, grinding, and polishing work pieces at multiple axes
CN110802447B (zh) 能任意调整二斜面或三斜面钻头静点大小的钻头磨刃机
KR200436195Y1 (ko) 각도기가 구비된 그라인더용 지그
US352802A (en) Saw-sharpening machine
US20220097222A1 (en) Bevel grinding adjustable tool rest
KR102658849B1 (ko) 칼갈이 기구
CN220279134U (zh) 一种磨平倒角设备
TWM482471U (zh) 主軸內孔線上研磨機
JP6900042B2 (ja) 研削装置
CN212666222U (zh) 海绵斜切机
CN220389013U (zh) 一种角磨机切割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