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401Y1 -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 - Google Patents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401Y1
KR200486401Y1 KR2020170004431U KR20170004431U KR200486401Y1 KR 200486401 Y1 KR200486401 Y1 KR 200486401Y1 KR 2020170004431 U KR2020170004431 U KR 2020170004431U KR 20170004431 U KR20170004431 U KR 20170004431U KR 200486401 Y1 KR200486401 Y1 KR 2004864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od
damping force
bar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4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빈
이정호
이기석
Original Assignee
타입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입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입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44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4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4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4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46Adjustment of valve bias or pre-str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B60G13/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압식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의 상부 측면에 별도의 감쇠력조절유닛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의 탈부착 작업없이 손쉽게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의 감쇠력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탈착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차량의 정비시간이 단시간 내에 이루어져 차량운행을 바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Damping force adjustment mechanism for oil pressure-type Shock absorber}
본 고안은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오일이 채워지는 오일로드(110)와 상기 오일이 상기 오일로드(110)로 유입되거나 상기 오일로드(110)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유로(111)가 형성되는 피스톤로드(100);와, 상기 피스톤로드(100)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감쇠력을 조절하는 감쇠력조절유닛(2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는 자동차가 주행시 차량이 받는 충격을 흡수하고 완화해 주어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서스펜션의 구성 중 하나의 주요장치이다.
상기한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의 종류로는 크게 유압식, 가스식, 가변식이 있으며, 최근에는 가변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ECS(전자 제어 서스펜션, electronic control suspension)는 차량의 속도 및 상태에 따라 승차감과 코너링을 제어하는 것으로 저속에서는 부드럽게, 고속에서는 딱딱하게 만드는 등 진동 흡수의 수준을 조절한다.
이러한 쇽업 소버 중에서 유압식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는 이동로드가 상하운동함에 따른 유압에 의하여 충격력이 완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압식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공개되어 있고, 이 중 하기 특허문헌 1의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1484호)”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베이스 쉘과, 상기 베이스 쉘의 내측에 설치되며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 설치된 피스톤 밸브에 의해 내부가 컴프레션 챔버와 리바운드 챔버로 구획되며, 하부에는 바디 밸브가 설치된 인너 튜브와, 상기 베이스 쉘과 상기 인너 튜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쉘의 내부를 리바운드 챔버와 연결되는 고압측과 리저버 챔버인 저압측으로 구획하는 세퍼레이터 튜브와, 상기 바디 밸브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압측 또는 상기 저압측과 각각 연결되는 고압측 유로 및 저압측 유로가 형성된 감쇠력 가변 밸브로 구성되어 감쇠력 가변 밸브의 용접으로 인한 제품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차체에 장착시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는 감쇠력 가변밸브에 이물질 또는 기타 오염물질이 끼게 되는 경우, 차체와 서스펜션, 쇽업소버를 분리한 후 감쇠력 가변밸브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탈착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차량의 정비시간이 많이 소모되어 일정시간 차량운행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1484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식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의 상부 측면에 별도의 감쇠력조절유닛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의 탈부착 작업없이 손쉽게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의 감쇠력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탈착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차량의 정비시간이 단시간 내에 이루어져 차량운행을 바로 할 수 있는 유압식 쇼크 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쇼크 업소버의 작동시 제2 탄성부재 및 오일저장홈의 구성에 의해 내부이동로드의 헤드부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억제시켜줌으써, 신뢰성이 향상된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유압식 쇼크 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는, 내부에 오일이 채워지는 오일로드(110)와 상기 오일이 상기 오일로드(110)로 유입되거나 상기 오일로드(110)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유로(111)가 형성되는 피스톤로드(100);와, 상기 피스톤로드(100)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감쇠력을 조절하는 감쇠력조절유닛(2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일로드(110)의 상부에는 단턱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로드(110)의 내부에는 푸시바(300)가 구비되며, 상기 단턱부(112)에는 제1 탄성부재(40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400)의 상부측에는 상기 푸시바(300)의 상부와 접촉하는 볼베어링(500)이 구비되며, 상기 감쇠력조절유닛(200)의 내측에는 상기 오일로드(110)의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로(21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로(21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클릭바노출로(220)가 구성되며, 상기 클릭바노출로(22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클릭바이동로(230)가 구성되고, 상기 클릭바이동로(230)에 삽입되는 클릭바(241)를 포함하는 회전손잡이뭉치(2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베어링(500)의 일부는 상기 클릭바노출로(220)에 위치되어 상기 클릭바(241)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베어링(500)과 접촉되는 상기 클릭바(241)의 전면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부(242)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손잡이뭉치(2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클릭바(241)가 내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볼베어링(500)이 상기 경사면부(242)를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푸시바(300)도 함께 하강하고, 상기 회전손잡이뭉치(2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클릭바(241)가 외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볼베어링(500)이 상승하면서 상기 오일로드(110)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상기 푸시바(300)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로드(100)는, 상기 오일로드(110)의 내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오일이 채워지는 오일통로(121)가 형성되는 내부관(120)과, 상기 내부관(120)의 하부측에 구비되되, 상부에 상기 오일통로(121)의 하부에 삽입되는 헤드부(131)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131)의 내부에는 오일이 채워지는 오일저장홈(132)이 형성되는 내부이동로드(130)와, 상기 내부관(120)과 내부이동로드(130) 사이에는 상기 오일이 상기 오일통로(121)에 유입되어 상기 오일유로(111)를 통해 배출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내부이동로드(130)를 상승시키는 제2 탄성부재(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유압식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의 상부 측면에 별도의 감쇠력조절유닛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의 탈부착 작업없이 손쉽게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의 감쇠력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탈착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차량의 정비시간이 단시간 내에 이루어져 차량운행을 바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쇼크 업소버의 작동시 제2 탄성부재 및 오일저장홈의 구성에 의해 내부이동로드의 헤드부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억제시켜줌으써, 신뢰성이 향상된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의 단면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의 구성 중 회전손잡이뭉치를 회전하여 푸시바를 하강시키는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의 단면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 또는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1)는 크게 피스톤로드(100) 및 감쇠력조절유닛(200)으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도 3을 기준으로 오른쪽을 전면 또는 전면방향, 왼쪽을 후면 또는 후면방향으로 설정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중 제1, 2 탄성부재(400, 140)는 인장, 압축이 가능한 탄성력을 가진 구성요소로서, 다양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중 스프링이 대표적이다.
먼저, 피스톤로드(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피스톤로드(1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유압식 쇼크업소버에 완충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오일이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오일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피스톤로드(100)의 내부에는 오일이 채워지는 오일로드(110)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로드(100)의 측면에는 상기 오일이 상기 오일로드(110)로 유입되거나 상기 오일로드(110)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유로(1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오일로드(110)의 상부에는 단턱부(112)가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볼베어링(500)을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400)가 안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재(400)의 상부측에는 볼베어링(500)이 구비되고, 상기 오일로드(110)의 내부에는 상기 볼베어링(500)을 지지하는 푸시바(3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감쇠력조절유닛(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감쇠력조절유닛(200)은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피스톤로드(100)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마운트(미도시)의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압식 쇼크업소버용의 감쇠력을 조절하여 운전자가 승차감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요소로서, 삽입로(210), 클릭바노출로(220), 클릭바이동로(230), 회전손잡이뭉치(2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로(210)는 상기 감쇠력조절유닛(200)의 내측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오일로드(110)의 상부가 삽입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상기 피스톤로드(100)가 상기 감쇠력조절유닛(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로(210)에는 상기 단턱부(112)가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릭바노출로(220)는 상기 삽입로(21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단턱부(112)에 위치된 상기 볼베어링(500)의 일부가 위치되 고 후술할 회전손잡이뭉치(240)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회전손잡이뭉치(240)에 형성된 후술할 클릭바(241)가 위치되어 상기 볼베어링(500)과 접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클릭바이동로(230)는 상기 클릭바노출로(220)로부터 수평방향, 즉 상기 감쇠력조절유닛(200)의 측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클릭바(230)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손잡이뭉치(240)에 의해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 한다.
상기 회전손잡이뭉치(240)는 상기 감쇠력조절유닛(2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전면측에 상기 클릭바이동로(230)에 삽입되는 클릭바(241)가 형성성된다.
한편, 상기 클릭바(241)의 전면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부(24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클릭바(241)가 전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클릭바(241)의 전면과 접촉되어 있는 상기 볼베어링(500)을 밀 경우, 보다 부드럽게 밀면서 상기 경사면부(242)의 가압에 의해 상기 볼베어링(500)을 하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볼베어링(500)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회전손잡이뭉치(2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클릭바(241)가 내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볼베어링(500)이 상기 경사면부(242)를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푸시바(300)도 함께 하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회전손잡이뭉치(2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클릭바(241)가 외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볼베어링(500)이 상승하면서 상기 오일로드(110)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상기 푸시바()가 상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즉, 상기 회전손잡이뭉치(240)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오일로드(110) 내의 의 유압을 조절하여 완충스프링(미도시)의 진동을 멈추거나 완화시킴으로써, 유압식 쇼크업소버의 감쇠력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승차감을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1)의 피스톤로드(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오일로드(110)의 내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오일이 채워지는 오일통로(121)가 형성되는 내부관(120)과, 상기 내부관(120)의 하부측에 구비되되, 상부에 상기 오일통로(121)의 하부에 삽입되는 헤드부(131)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131)의 내부에는 오일이 채워지는 오일저장홈(132)이 형성되는 내부이동로드(130)와, 상기 내부관(120)과 내부이동로드(130) 사이에는 상기 오일이 상기 오일통로(121)에 유입되어 상기 오일유로(111)를 통해 배출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내부이동로드(130)를 상승시키는 제2 탄성부재(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관(120)은 상기 피스톤로드(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내부관(120)의 내부에는 오일이 채워지고, 하부에는 오일통로(1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히다.
한편, 상기 내부관(120)의 안쪽에도 상기 오일통로(121)가 형성되어 상기 오일유로(111)와 연통되어 오일이 들어오거나 나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이동로드(130)는 상기 오일유로(111)의 하부에 접촉되는 헤드부(131)가 설치되어 상기 내부관(120)의 하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신장 또는 압축작용을 통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이동로드(130)의 상승, 하강 작동을 통해 유압식 쇼크업소버가 완충력을 갖는다.
한편, 상기 내부이동로드(130)는 그 외주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형링(미도시)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헤드부(131) 외측에는 헤드부(131)의 상승 또는 하강시 헤드부(131)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제2 탄성부재(14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탄성부재(140)의 일측은 상기 헤드부(131)의 상부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내부관(120)의 하부에 고정되어 헤드부(131)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제2 탄성부재(140)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상기 내부이동로드(130)의 진동을 잡아줌으로써 상기 내부이동로드(130)의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이나 열을 막아줄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부(131)의 내부에는 오일이 채워지는 오일저장홈(13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오일저장홈(1320)의 공간만큼 오일이 채워져 공간의 부피만큼 유압이 더 발생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헤드부(131)가 상기 내부관(120)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2 탄성부재(140)를 압축하는 경우, 상기 오일통로(121)를 통해 오일이 유입되어 상기 오일유로(111)로 배출된다. 이 작동은 유압식 쇼크업소버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이다.
반면에, 상기 헤드부(131)가 상기 내부관(120)과 이탈되어 후진하면서 상기 제2 탄성부재(140)가 신장되는 경우, 상기 오일유로(111)를 통해 오일이 유입되어 상기 오일 통로(121)로 배출된다. 이 작동은 유압식 쇼크업에 반발력이 생기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유압식 쇼크업소버의 작동시 상기 내부이동로드(130)의 헤드부(131)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잡아줌으로써, 보다 품질이 향상된 유압식 쇼크업소버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해 준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
100: 피스톤로드
110: 오일로드 111: 오일유로
112: 단턱부
120: 내부관 121: 오일통로
130: 내부이동로드 131: 헤드부
132: 오일저장홈
140: 제2 탄성부재
200: 감쇠력조절유닛
210: 삽입로 220: 클릭바노출로
230: 클릭바이동로 240: 회전손잡이뭉치
241: 클릭바 242: 경사면부
300: 푸시바
400: 제1 탄성부재
500: 볼베어링

Claims (5)

  1. 삭제
  2. 내부에 오일이 채워지는 오일로드(110)와 상기 오일이 상기 오일로드(110)로 유입되거나 상기 오일로드(110)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유로(111)가 형성되는 피스톤로드(100);
    상기 피스톤로드(100)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감쇠력을 조절하는 감쇠력조절유닛(2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오일로드(110)의 상부에는 단턱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로드(110)의 내부에는 푸시바(300)가 구비되며,
    상기 단턱부(112)에는 제1 탄성부재(40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400)의 상부측에는 상기 푸시바(300)의 상부와 접촉하는 볼베어링(500)이 구비되며,
    상기 감쇠력조절유닛(200)의 내측에는 상기 오일로드(110)의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로(21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로(21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클릭바노출로(220)가 구성되며,
    상기 클릭바노출로(22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클릭바이동로(230)가 구성되고,
    상기 클릭바이동로(230)에 삽입되는 클릭바(241)를 포함하는 회전손잡이뭉치(2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1).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베어링(500)의 일부는 상기 클릭바노출로(220)에 위치되어 상기 클릭바(241)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1).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베어링(500)과 접촉되는 상기 클릭바(241)의 전면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부(242)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손잡이뭉치(2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클릭바(241)가 내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볼베어링(500)이 상기 경사면부(242)를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푸시바(300)도 함께 하강하고,
    상기 회전손잡이뭉치(2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클릭바(241)가 외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볼베어링(500)이 상승하면서 상기 오일로드(110)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상기 푸시바(300)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1).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100)는,
    상기 오일로드(110)의 내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오일이 채워지는 오일통로(121)가 형성되는 내부관(120)과,
    상기 내부관(120)의 하부측에 구비되되, 상부에 상기 오일통로(121)의 하부에 삽입되는 헤드부(131)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131)의 내부에는 오일이 채워지는 오일저장홈(132)이 형성되는 내부이동로드(130)와,
    상기 내부관(120)과 내부이동로드(130) 사이에는 상기 오일이 상기 오일통로(121)에 유입되어 상기 오일유로(111)를 통해 배출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내부이동로드(130)를 상승시키는 제2 탄성부재(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1).
KR2020170004431U 2017-08-22 2017-08-22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 KR2004864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431U KR200486401Y1 (ko) 2017-08-22 2017-08-22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431U KR200486401Y1 (ko) 2017-08-22 2017-08-22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401Y1 true KR200486401Y1 (ko) 2018-05-14

Family

ID=62166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431U KR200486401Y1 (ko) 2017-08-22 2017-08-22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4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683A (ko) 2021-09-08 2023-03-15 이정호 조립성이 향상된 감쇠력 가변형 쇽업쇼버의 피드톤로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4859A (ja) * 2002-12-20 2004-07-22 Hks Co Ltd 油圧緩衝器の減衰力調整装置
KR20080081484A (ko) 2007-03-05 2008-09-10 주식회사 만도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JP2010286076A (ja) * 2009-06-12 2010-12-24 Kayaba Ind Co Ltd 緩衝装置
KR20160002162U (ko) * 2014-12-15 2016-06-23 타입포 주식회사 유압 쇽업 소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4859A (ja) * 2002-12-20 2004-07-22 Hks Co Ltd 油圧緩衝器の減衰力調整装置
KR20080081484A (ko) 2007-03-05 2008-09-10 주식회사 만도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JP2010286076A (ja) * 2009-06-12 2010-12-24 Kayaba Ind Co Ltd 緩衝装置
KR20160002162U (ko) * 2014-12-15 2016-06-23 타입포 주식회사 유압 쇽업 소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683A (ko) 2021-09-08 2023-03-15 이정호 조립성이 향상된 감쇠력 가변형 쇽업쇼버의 피드톤로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6125B2 (ja) 車高調整装置と、車高調整装置の組み付け方法
KR101218839B1 (ko) 쇽업소버
CN102011824B (zh) 具有自诊断特征的防漏减振器
CN101570227A (zh) 液压缓冲器
US9581217B2 (en) Shock absorber
KR200486401Y1 (ko) 유압식 쇼크업소버용 감쇠력 조절기구
JP6239420B2 (ja) 油圧緩衝器
US8146721B2 (en) Self leveling shock absorber
KR101724736B1 (ko)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JP5395746B2 (ja) 流体圧緩衝器
JP2013072455A (ja) 緩衝装置
KR102477647B1 (ko) 감쇠력 조정이 가능한 쇼크 업소버
CN217519116U (zh) 一种减振器加强型复原液压缓冲结构
JP2005145388A (ja) 車高調整機構
CN209054006U (zh) 一种建筑机械用减震活塞杆
CN212804036U (zh) 一种汽车底盘悬挂减震器结构
KR100803156B1 (ko) 외장형 셀프 펌핑유닛을 갖는 쇽업소버
KR100744481B1 (ko) 쇼크업소버용 밸브
JP2007120674A (ja) フロントフォーク
KR101194805B1 (ko) 컴프레션 스프링을 갖는 쇽업소버
KR101239917B1 (ko) 쇽업소버의 바이패스 개방형 바디 밸브 조립체
KR20160134090A (ko) 오일 쇽업소버
CN207728791U (zh) 机车后避震器
KR20100072725A (ko) 쇽업소버
KR20160133858A (ko) 리프 스프링 충격 저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