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124Y1 - 티슈 보관함 - Google Patents

티슈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124Y1
KR200485124Y1 KR2020170002979U KR20170002979U KR200485124Y1 KR 200485124 Y1 KR200485124 Y1 KR 200485124Y1 KR 2020170002979 U KR2020170002979 U KR 2020170002979U KR 20170002979 U KR20170002979 U KR 20170002979U KR 200485124 Y1 KR200485124 Y1 KR 200485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
case
tissue
support memb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9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원
Original Assignee
이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원 filed Critical 이제원
Priority to KR20201700029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1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1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A47K10/42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means for urging the whole stack upwards towards the dispensing opening, e.g. a spring, a counter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3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티슈 보관함은, 상면에 인출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에 비어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 및 상기 내부 공간에서 양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서로 마주보는 우측 벽 및 좌측 벽의 내면에 각각 접착되는 2개의 고정부와, 상기 2개의 고정부 사이에 연결되고 외력에 의해 상하로 팝업 가능한 팝업부를 구비하는 상승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티슈 보관함{TISSUE CONTAINER}
이하의 설명은 티슈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슈는 티슈 보관함의 내부에 적층되어 수용되고, 티슈 보관함의 상면에 형성된, 인출 구멍을 통해서, 한 장씩 인출되어 사용된다.
티슈를 인출하게 되면, 상측에 위치한 티슈부터 소진되고, 일정량 이상의 티슈를 인출하게 되면 티슈 보관함의 내부 공간에서 잔여 티슈의 높이는 점점 줄어들어, 잔여 티슈와 인출 구멍 사이의 간격이 점점 커지게 된다.
그 결과, 잔여 티슈는 인출 구멍에 걸리지 않아서 티슈 보관함 내로 쓰러져 들어가거나 인출되는 티슈와 연결된 다음의 티슈가 서로 인출 도중에 분리되어 다음의 티슈가 인출 구멍 밖으로 걸쳐지지 못하고 쓰러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티슈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티슈 보관함은, 상면에 인출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에 비어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 및 상기 내부 공간에서 양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서로 마주보는 우측 벽 및 좌측 벽의 내면에 각각 접착되는 2개의 고정부와, 상기 2개의 고정부 사이에 연결되고 외력에 의해 상하로 팝업 가능한 팝업부를 구비하는 상승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팝업부는, 휘어질 수 있는 재질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초기 상태에서 하측으로 팝업되어 있고, 상기 팝업부의 하면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팝업부의 적어도 일부가 설정 위치만큼 상승하면, 상기 팝업부는 상측으로 팝업되어, 상기 팝업부의 중앙부가 상기 설정 위치보다 높게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고정부는, 각각 상기 케이스에 면 접착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고정부의 하단의 위치는 상기 케이스의 높이의 1/8 내지 1/2인 지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고정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팝업부의 길이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17056077715-utm00001
(여기서, W1은 2개의 고정부가 접착되어 있는 케이스의 내면 사이의 폭, H2는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고정부의 하단까지의 높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티슈 보관함은, 상기 팝업부의 상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착되고 상측으로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티슈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티슈 보관함.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지지 부재의 중앙부는 상기 팝업부의 중앙부에 접착되고, 상기 지지 부재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팝업부에 접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 및 팝업부의 접착 부위는 상기 우측 벽 및 좌측 벽과 평행하게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지지 부재의 폭은, 상기 우측 벽 및 좌측 벽 사이의 거리의 50% 내지 80% 사이일 수 있다.
상기 상승 부재는 휘어질 수 있는 재질의 일체의 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승 부재는, 상기 고정부 및 팝업부를 구획하고,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팝업부가 절곡 가능하도록 형성된 절곡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측 벽 및 좌측 벽 사이의 거리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 벽 및 후방 벽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티슈 보관함에 의하면, 티슈를 일정량만큼 사용한 후, 잔여 티슈를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티슈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티슈 보관함에 의하면, 사용자가 저면에 형성된 저면 구멍을 통해 상승 부재를 일정 길이만큼만 밀어올리면, 상승 부재가 팝업(pop-up) 현상에 의해 상측으로 젖혀짐으로써, 작은 힘과 간단한 동작만으로 티슈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티슈 보관함에 의하면, 상승 부재 상에 부착된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팝업 현상에 의해 젖혀진 형상의 상승 부재의 굴곡 의 영향을 받지 않고, 티슈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티슈 보관함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티슈 보관함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승 부재가 제 1 상태일 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승 부재가 제 2 상태일 때의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티슈 보관함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티슈 보관함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티슈 보관함(100)은 케이스(10), 인출 구멍(17), 저면 구멍(18), 상승 부재(20) 및 지지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내부에 티슈(40)를 저장하고, 인출 구멍(17)을 통해 티슈(40)를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예를 들면, 육면체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의 형상은 육면체가 아니더라도 티슈를 수용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형 부재라면 어떠한 형상을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본 고안에서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케이스(10)는 상면(11), 저면(16), 우측 벽(12), 좌측 벽(15), 전방 벽(13) 및 후방 벽(14)을 포함하는 육면체 형상의 케이스(10)인 것으로 설명할 것이지만, 케이스(10)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인출 구멍(17)은, 케이스(10)의 상면(11)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인출 구멍(17)을 통하여,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된 티슈를 인출할 수 있다.
저면 구멍(18)은, 케이스(10)의 저면(16)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면 구멍(18)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막대형 부재가 내부로 삽입되어,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 상승 부재(20)를 상측으로 밀 수 있다.
상승 부재(20)는, 양 단부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마주보는 내면에 각각 접착되어, 외력에 의해 상하로 팝업 가능한 판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상승 부재(20)는 고정부(21), 팝업부(23) 및 절곡선(2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1)는, 케이스(10)의 마주보는 내면에 면 접착되는 상승 부재(20)의 양단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고정부(21)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케이스(10)의 우측 벽(12) 및 좌측 벽(15)의 내면에서 각각 같은 높이의 영역에 면 접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팝업부(23)는, 2개의 고정부(21)의 하단 사이에서 연결되는 판형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팝업부(23)는 종이, 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팝업부(23)의 길이는, 우측 벽(12) 및 좌측 벽(15)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팝업부(23)는 팝업부(23)에 작용되는 외력의 방향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팝업(pop-up) 동작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팝업부(23)는 양측이 고정부(21)에 고정된 상태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휘어진 아치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팝업부(23)가 하측으로 휘어진 상태를 "제 1 상태"라고 하고, 팝업부(23)가 상측으로 휘어진 상태를 "제 2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제 1 상태는 "초기 상태"라고 할 수도 있다.
절곡선(22)은, 2개의 고정부(21) 및 팝업부(23)를 구획하고, 고정부(21)에 대하여 팝업부(23)가 절곡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절곡선(22)은, 예를 들어, 하나의 판형 부재를 절곡하는 과정에서 구획되는 고정부(21) 및 팝업부(23) 사이의 경계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절곡선(22)은, 하나의 판형 부재에서 프레스 방식 등으로 가압하여 형성되거나, 일렬로 늘어선 복수 개의 홀(hole)으로 이루어지는 선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팝업부(23)가 고정부(21)에 대해서 용이하게 절곡됨으로써 상측으로 팝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절곡선(22)을 미리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승 부재(20) 중 고정부(21)를 제외한 부분은 팝업부(23)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이 반드시 절곡선(22)을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상승 부재(2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케이스(10)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폭 사이의 간격이 작은 2개의 벽의 내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우측 벽(12) 및 좌측 벽(15) 사이의 거리는, 전방 벽(13) 및 후방 벽(14) 사이의 거리보다 짧고, 상승 부재(20)는 우측 벽(12) 및 좌측 벽(15)의 내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승 부재(20)가 폭 사이의 간격이 큰 전방 벽(13) 및 후방 벽(14)의 내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 비교하여, 높은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지지 부재(30)는, 팝업부(23)의 상면에 부착되는 판형 부재로서 상측으로 티슈(40)를 지지할 수 있다. 팝업부(23)가 상하로 팝업됨에 따라서, 지지 부재(30)도 팝업부(23)와 같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지 부재(30)는, 상기 팝업부(23)보다 경도가 높은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승 부재(20) 및 지지 부재(30)에 의하면, 티슈(40)가 일정 정도 소진되어, 티슈(40)와 인출 구멍(17) 사이의 간격이 커질 경우, 상승 부재(20)의 팝업부(23)를 상측으로 팝업시킴으로써 티슈(40)와 인출 구멍(17)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티슈(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티슈(40)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연속하여 인출되는 티슈(40)가 인출 구멍(17) 밖으로 걸쳐지지 못하고 내부로 쓰러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티슈(40)를 인출 구멍(17)을 통해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승 부재가 제 1 상태일 때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승 부재가 제 2 상태일 때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10)의 저면(16)으로부터 고정부(21)의 하단까지의 높이(H2)는 케이스(10)의 높이(H1)의 1/8 내지 1/2일 수 있다.
케이스(10)의 저면(16)으로부터 고정부(21)의 하단까지의 높이(H2)가 케이스(10)의 높이(H1)의 1/2를 초과할 경우, 제 2 상태에서 티슈(40)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고, 팝업부(23)의 팝업 동작이 불가능할 수 있다.
반대로 케이스(10)의 저면(16)으로부터 고정부(21)의 하단까지의 높이(H2)가 케이스(10)의 높이(H1)의 1/8 미만이면, 제 2 상태에서 팝업부(23)가 티슈(40)를 충분히 상승시키지 못하게 된다.
예를 들어, 고정부(21)와 케이스(10)의 내측벽 사이의 접촉 면적의 상하 폭은, 케이스(10)의 높이의 1/4 내지 1/2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고정부(21)의 하단으로부터 팝업부(23)의 길이는, 다시 말하면, 휘어진 팝업부(23)의 둘레의 길이는 고정부(21) 하단의 높이(H2)의 2배의 값과 좌측 벽(15) 및 우측 벽(12) 사이의 내면 사이의 폭(W1)을 합한 값의 70% 내지 95%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팝업부(23)의 길이는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7056077715-utm00002
팝업부(23)의 길이가 수학식 1에 기재된 상한보다 크게 형성되면, 팝업부(23)를 상측으로 팝업시킬 경우, 팝업부(23)의 넓은 길이에 의해 지지력이 분산되고 팝업부(23) 자체의 중량의 증가에 의해서 상측으로 팝업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또한 팝업부(23)가 상측으로 팝업 되더라도 티슈(40)의 중량을 지지하지 못하여 상측으로 팝업된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무너져 내릴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반면, 팝업부(23)의 길이가 수학식 1에 기재한 하한보다 짧게 형성된 경우, 상측으로 팝업되는 높이가 작아지게 될 수 있어서 티슈를 충분히 상측으로 이동시키지 못할 수 있다. 또한 팝업부(23)의 상측에 부착되는 지지 부재(30)의 폭(W2)을 티슈를 지지할 만큼 충분히 크게 형성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팝업부(23)의 길이를 수학식 1과 같이 적절히 길게 설정할 수 있음에 따라서, 지지 부재(30)의 폭(W2)을 충분히 넓게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제 1 상태에서 지지 부재(30)를 가능한 낮게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지지 부재(30) 상으로 가능한 많은 양의 티슈(40)를 안정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y축 방향에서 볼 때, 지지 부재(30)의 폭(W2)의 크기는 좌측 벽(15) 및 우측 벽(12) 사이의 폭(W1)의 크기의 50% 내지 80% 사이일 수 있다.
지지 부재(30)의 폭이 좌측 벽(15) 및 우측 벽(12) 사이의 폭(W1)의 50% 미만일 경우, 지지 부재(30)의 면적이 티슈(40)의 면적보다 작아질 수 있다. 이 경우, 팝업부(23)가 상측으로 팝업되는 경우, 티슈(40)가 지지 부재(30) 바깥쪽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반대로, 지지 부재(30)의 폭이 좌측 벽(15) 및 우측 벽(12) 사이의 폭(W1)의 95% 이상의 크기로 형성될 경우, 제 1 상태에서 팝업부(23) 양측의 일부가 지지 부재(30)의 가장자리에 의해 간섭되어 케이스(10)의 양 내벽 쪽으로 눌려지기 때문에 팝업부(23)의 중앙 부분이 충분히 하측으로 위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티슈 보관함(100)의 상승 부재(20)가 제 2 상태 있을 때의 케이스(10) 내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 상태에서 티슈(40)가 일정 정도 인출된 후, 잔여 티슈(40)를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상승 부재(20)는 도 4와 같이, 상측으로 팝업 되어, 지지 부재(30)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지 부재(30)에 의해 지지되는 티슈(40) 또한, 상측으로 이동하여 티슈(40)의 상면과 인출 구멍(17) 사이의 간격이 가깝게 유지될 수 있다.
상승 부재(20)를 제 1 상태에서 상측으로 휘어진 제 2 상태로 변환시키는 것은, 저면 구멍(18)을 통해서 상승 부재(20)의 하면에 상측으로 외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손가락을 저면 구멍(18)으로 밀어 넣어서, 상승 부재(20)의 하면을 밀어 올릴 수 있거나, 임의의 부재를 저면 구멍(18)에 삽입하여 상승 부재(20)의 하면을 밀어 올려 제 2 상태로 팝업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승 부재(20)를 상측으로 팝업시키기 위해서, 팝업부(23)의 하면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팝업부(23)의 적어도 일부가 설정된 위치만큼 상승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위치는, 고정부(21)의 상단 및 하단 사이의 위치일 수 있다.
팝업부(23)가 상측으로 설정된 위치까지 밀어 올려지면, 팝업부(23)는 팝업 효과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측으로 팝업되게 되어 팝업부(23)의 중앙은 설정된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놓이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30)는 상승 부재(20)가 케이스(10) 사이에서 연결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 다시 말하면,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y축 방향에서 볼 때, 지지 부재(30)의 중앙부는, 팝업부(23)의 중앙부에 접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팝업부(23)에 접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30)는 y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팝업부(23)에 길게 접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지 부재(30) 및 팝업부(23)의 접착 부위는 우측 벽(12) 및 좌측 벽(15)과 평행하게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팝업부(23)가 상측으로 팝업되어 팝업부(23)의 양 단부가 하측으로 휘어지는 형상을 갖는 경우에도, 지지 부재(30)는 대략 지면에 평행한 방향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지지 부재(30) 상에 티슈(40)가 쌓여 있더라도 티슈(40)의 무게로 인해 티슈(40)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티슈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30) 및 팝업부(23) 상의 접촉 면적이 중앙부를 따라서 그 폭이 작게 형성됨에 따라서, 상승 부재(20)가 상측으로 팝업되는 경우, 지지 부재(30)는, 상측으로 아치형으로 휘어진 팝업부(23)의 중앙 부분에만 부착될 수 있으므로, 제 2 상태에서 지지 부재(30)는 가능한 상측에서 위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티슈(40)를 가능한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상면에 인출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에 비어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내부 공간에서 양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서로 마주보는 우측 벽 및 좌측 벽의 내면에 각각 접착되는 2개의 고정부와, 상기 2개의 고정부 사이에 연결되고 외력에 의해 상하로 팝업 가능한 팝업부를 구비하는 상승 부재; 및
    상기 팝업부의 상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착되고 상측으로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티슈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부는, 휘어질 수 있는 재질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초기 상태에서 하측으로 팝업되어 있고, 상기 팝업부의 하면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팝업부의 적어도 일부가 설정 위치만큼 상승하면, 상기 팝업부는 상측으로 팝업되어, 상기 팝업부의 중앙부가 상기 설정 위치보다 높게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지지 부재의 중앙부는 상기 팝업부의 중앙부에 접착되고, 상기 지지 부재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팝업부에 접착되지 않는 티슈 보관함.
  2. 상면에 인출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에 비어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스; 및
    상기 내부 공간에서 양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서로 마주보는 우측 벽 및 좌측 벽의 내면에 각각 접착되는 2개의 고정부와, 상기 2개의 고정부 사이에 연결되고 외력에 의해 상하로 팝업 가능한 팝업부를 구비하는 상승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승 부재는 휘어질 수 있는 재질의 일체의 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승 부재는, 상기 고정부 및 팝업부를 구획하고,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팝업부가 절곡 가능하도록 형성된 절곡선을 더 포함하는 티슈 보관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고정부는, 각각 상기 케이스에 면 접착되고,
    상기 2개의 고정부의 하단의 위치는 상기 케이스의 높이의 1/8 내지 1/2인 지점 사이에 위치하는 티슈 보관함.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고정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팝업부의 길이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결정되는 티슈 보관함.
    <수학식>
    Figure 112017087901164-utm00003

    (여기서, W1은 2개의 고정부가 접착되어 있는 케이스의 내면 사이의 폭, H2는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고정부의 하단까지의 높이이다.)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및 팝업부의 접착 부위는 상기 우측 벽 및 좌측 벽과 평행하게 길게 형성되는 티슈 보관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지지 부재의 폭은,
    상기 우측 벽 및 좌측 벽 사이의 거리의 50% 내지 80% 사이인 티슈 보관함.
  9. 삭제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벽 및 좌측 벽 사이의 거리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 벽 및 후방 벽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티슈 보관함.
KR2020170002979U 2017-06-13 2017-06-13 티슈 보관함 KR200485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979U KR200485124Y1 (ko) 2017-06-13 2017-06-13 티슈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979U KR200485124Y1 (ko) 2017-06-13 2017-06-13 티슈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124Y1 true KR200485124Y1 (ko) 2017-11-29

Family

ID=6048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979U KR200485124Y1 (ko) 2017-06-13 2017-06-13 티슈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12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6614A (ja) * 1998-01-20 1999-08-03 Yukiyo Matsumoto ティッシュペーパー入り山底箱
KR20120091536A (ko) * 2011-02-09 2012-08-20 김재길 화장지 카트리지 및 그 받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6614A (ja) * 1998-01-20 1999-08-03 Yukiyo Matsumoto ティッシュペーパー入り山底箱
KR20120091536A (ko) * 2011-02-09 2012-08-20 김재길 화장지 카트리지 및 그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417B2 (en) Food container with a holder for a condiment cup
KR102187130B1 (ko) 컵홀더 및 핸드-홀을 갖는 트레이
KR200485124Y1 (ko) 티슈 보관함
JP5698408B2 (ja) 棒状物品のパッケージ
JP2006199433A (ja) プリンタ装置
JP2015205715A (ja) 表示装置の梱包構造
JP5973515B2 (ja) ペーパータオルディスペンサー
JP2009029511A (ja) 衛生薄葉紙ディスペンサー
KR200459567Y1 (ko) 탄성지지부를 내장한 화장지 케이스
JP2016069074A (ja) 青果物パック収納用トレー
JP2006320520A (ja) スライドテーブル
KR200456820Y1 (ko)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담배갑 디스플레이
KR101343630B1 (ko) 물품 보관 케이스
JP2006281579A (ja) ファイルボックス内の書類押さえ具
JP3166178U (ja) ケーキ類包装箱
KR100989426B1 (ko) 제품 인출형 상자
KR200485723Y1 (ko) 안정적으로 포스트잇의 인출이 가능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장착되는 팝업수단을 구비한 디스펜서
JP3209700U (ja) 下から取れる新聞ストッカー
JP6424017B2 (ja) 連結箱、及びこれを備える包装用容器
CN105015189A (zh) 托盘组合
KR102025489B1 (ko) 컵 캐리어
JP6008824B2 (ja) 苺パック収納用トレー
JP3233352U (ja) ラック
KR20140127966A (ko) 상승부를 포함하는 티슈박스
JP2019031301A (ja) 取出し口付き紙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