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710Y1 - 케이크용 칼 - Google Patents

케이크용 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710Y1
KR200484710Y1 KR2020170002771U KR20170002771U KR200484710Y1 KR 200484710 Y1 KR200484710 Y1 KR 200484710Y1 KR 2020170002771 U KR2020170002771 U KR 2020170002771U KR 20170002771 U KR20170002771 U KR 20170002771U KR 200484710 Y1 KR200484710 Y1 KR 200484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extension
rectangular plate
plate shap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윤
Original Assignee
이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윤 filed Critical 이지윤
Priority to KR2020170002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7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7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8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slid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10Ha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크용 칼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제 1날부와, 상기 제 1날부와 동일한 길이의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날부에 대해 일단부가 힌지로 연결되는 제 2날부와, 상기 제 1날부의 타단에 힌지로 연결되고, 측단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제 1연장부와, 상기 제 2날부의 타단에 힌지로 연결되고, 측단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제 2연장부와, 상기 제 2연장부에 대해 상기 제 1연장부가 슬라이딩되면서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폭조절부와, 상기 제 1연장부에 대해 수직으로 연결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 하방에 판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크용 칼{A Cake Knife}
본 고안은 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크의 크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만큼 쉽게 절단할 수 있는 케이크용 칼에 관한 것이다.
기념일이나 파티, 또는 축하모임 등에서 널리 애용되는 케익은 통상 여러 명이 함께 먹을 수 있는 크기로 제작
되므로 시식할 때는 케익용 나이프로 여러 개의 조각으로 자른 뒤 한 조각씩 접시에 떠내어 시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케이크 절단용 칼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사용자가 케이크를 절단시 바 형상의 칼을 사용하여 절단되는 케이크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접시에 옮길 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 10-2010-0073680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크의 크기를 원하는 크기로 쉽게 절단할 수 있는 케이크용 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인 케이크용 칼은,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제 1날부와, 상기 제 1날부와 동일한 길이의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날부에 대해 일단부가 힌지로 연결되는 제 2날부와, 상기 제 1날부의 타단에 힌지로 연결되고, 측단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제 1연장부와, 상기 제 2날부의 타단에 힌지로 연결되고, 측단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제 2연장부와, 상기 제 2연장부에 대해 상기 제 1연장부가 슬라이딩되면서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폭조절부와, 상기 제 1연장부에 대해 수직으로 연결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 하방에 판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폭조절부는, 상기 제 1연장부의 수평으로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공과, 상기 제 2연장부를 관통하는 지지공과, 상기 지지공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록킹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 1연장부 하방에 마련되는 슬릿과,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지지판부와, 상기 지지판부의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부에 걸어져 상기 손잡이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고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케이크용 칼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케이크의 칼을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폭을 조절할 수 있고, 하방에 받침부를 두어, 케이크의 크기를 원하는 크기로 항상 일정하게 절단할 수 있고, 절단된 케이크의 운반을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크용 칼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케이크용 칼을 구성하는 폭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인 케이크용 칼의 구성의 측면을 보인 도면.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케이크용 칼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인 케이크용 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제 1날부(10)와, 상기 제 1날부(10)와 동일한 길이의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날부(10)에 대해 일단부가 힌지로 연결되는 제 2날부(20)와, 상기 제 1날부(10)의 타단에 힌지로 연결되고, 측단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제 1연장부(12)와, 상기 제 2날부(20)의 타단에 힌지로 연결되고, 측단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제 2연장부(22)와, 상기 제 2연장부(22)에 대해 상기 제 1연장부(12)가 슬라이딩되면서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폭조절부(30)와, 상기 제 1연장부(12)에 대해 수직으로 연결되는 손잡이부(40)와, 상기 손잡이부(40) 하방에 판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되는 받침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케이크용 칼에는 제 1날부(1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날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케이크를 절단하는 칼날역할을 한다. 상기 제 1날부(10)는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날부(10)의 일단에는 제 2날부(2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날부(20)는 상기 제 1날부(10)와 동일한 길이의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날부(10)에 대해 일단부가 힌지로 연결된다. 상기 제 2날부(20)는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날부(10)에는 제 1연장부(1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연장부(12)는 상기 제 1날부(10)의 타단에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제 1연장부(12)는 그 측단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연장부(12)도 상기 제 1날부(10)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날부(20)에는 제 2연장부(22)가 마련되다. 상기 제 2연장부(22)는 상기 제 2날부(20)이 타단에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제 2연장부(22)는 그 측단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연장부(22)도 상기 제 2날부(20)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날부(10), 제 2날부(20), 제 1연장부(12) 및 제 2연장부(22)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부채꼴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연장부(12)와 상기 제 2연장부(22)에는 폭조절부(30)가 마련된다. 상기 폭조절부(30)는 상기 제 1연장부(12)에 대해 상기 제 2연장부(22)가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폭조절부(3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연장부(12)의 수평으로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공(32)과, 상기 제 2연장부(20)를 관통하는 지지공(미도시)과, 상기 지지공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공(32)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록킹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록킹부(34)는 상기 지지공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공(32)을 관통하여 조절나사 등을 이용하여 조임과 풀림에 의해 상기 제 1연장부(12)에 대한 제 2연장부(22)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연장부(12)에는 손잡이부(40)가 마련된다. 상기 손잡이부(40)는 상기 제 1연장부(12)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40)의 하방에는 받침부(50)가 마련된다. 상기 받침부(50)는 칼날부의 하방과 상기 손잡이부(40)의 하방에 판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딩 된다. 상기 받침부(50)는 상기 칼날부에 의해 케이크가 절단되면, 상기 케이크를 하방에서 지지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부(50)는 상술한 기능을 기능을 위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50)는, 상기 제 1연장부(12) 하방에 마련되는 슬릿(52)과, 상기 슬릿(52)을 따라 이동하는 지지판부(54)와, 상기 지지판부(54)의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부(40)에 걸어져 상기 손잡이부(4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고리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장부(12)의 하단에 마련되는 슬릿(52)에 의해 상기 지지판부(54)가 슬라이딩되면서 가이드되고, 상기 지지판부(54)의 고리부(56)는 상기 손잡이부(40)를 따라 이동하면서 전체적으로 상기 칼날부와 상기 손잡이부(5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 1날부 12: 제 1연장부
20: 제 2날부 22: 제 2연장부
30: 폭조절부 32: 가이드공
34: 록킹부 40: 손잡이부
50: 받침부 52: 슬릿
54: 지지판부 56: 고리부

Claims (3)

  1.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제 1날부;
    상기 제 1날부와 동일한 길이의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날부에 대해 일단부가 힌지로 연결되는 제 2날부;
    상기 제 1날부의 타단에 힌지로 연결되고, 측단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제 1연장부;
    상기 제 2날부의 타단에 힌지로 연결되고, 측단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제 2연장부;
    상기 제 2연장부에 대해 상기 제 1연장부가 슬라이딩되면서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폭조절부;
    상기 제 1연장부에 대해 수직으로 연결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 하방에 판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 1연장부 하방에 마련되는 슬릿;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지지판부;
    상기 지지판부의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부에 걸어져 상기 손잡이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고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부는,
    상기 제 1연장부의 수평으로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공;
    상기 제 2연장부를 관통하는 지지공;
    상기 지지공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록킹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용 칼.
  3. 삭제
KR2020170002771U 2017-06-05 2017-06-05 케이크용 칼 KR200484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771U KR200484710Y1 (ko) 2017-06-05 2017-06-05 케이크용 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771U KR200484710Y1 (ko) 2017-06-05 2017-06-05 케이크용 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710Y1 true KR200484710Y1 (ko) 2017-10-17

Family

ID=6040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771U KR200484710Y1 (ko) 2017-06-05 2017-06-05 케이크용 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7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707Y1 (ko) * 2018-05-28 2019-03-08 이경호 케이크 절단용 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314U (ja) * 2008-06-24 2008-11-13 魏少聡 ケーキナイフ
KR20100073680A (ko) 2008-12-23 2010-07-01 김재현 케익 서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314U (ja) * 2008-06-24 2008-11-13 魏少聡 ケーキナイフ
KR20100073680A (ko) 2008-12-23 2010-07-01 김재현 케익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707Y1 (ko) * 2018-05-28 2019-03-08 이경호 케이크 절단용 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703154A (en) Vegetable slicer
US4624166A (en) Kitchen slicer having an adjustable knife
JP2010524574A (ja) カッティングの深さが調節可能なマンドリン
DK1330341T3 (da) Kökkenredskab til skæring af födevarer
US10220536B2 (en) Device for cutting foodstuffs
KR200484710Y1 (ko) 케이크용 칼
US2245978A (en) Vegetable cutter
US4054994A (en) Knife and bread board attachment
KR100717255B1 (ko) 도마의 절단보조장치
US9333661B1 (en) Food slicing apparatus
CN209319883U (zh) 一种果蔬切片机刀片调节结构
CN105798951A (zh) 一种菜刀
CN210054454U (zh) 一种锯骨机
US1998383A (en) Vegetable slicer
CN207789134U (zh) 一种切片刀
US4103579A (en) Device for slicing a block of cheese and the like
KR101163480B1 (ko) 가로썰기가 용이한 주방용 칼
US709553A (en) Bread-cutter.
CN209335716U (zh) 长度可调且省力的切菜装置
CN2225338Y (zh) 手动式多功能切菜机
KR200428729Y1 (ko) 도마의 절단보조장치
US2776479A (en) Cheese shredder
KR200434883Y1 (ko) 채칼
KR200438617Y1 (ko) 채칼받침대
ES2339091B1 (es) Corta-hortaliz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