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081Y1 -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 - Google Patents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081Y1
KR200484081Y1 KR2020160003155U KR20160003155U KR200484081Y1 KR 200484081 Y1 KR200484081 Y1 KR 200484081Y1 KR 2020160003155 U KR2020160003155 U KR 2020160003155U KR 20160003155 U KR20160003155 U KR 20160003155U KR 200484081 Y1 KR200484081 Y1 KR 2004840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user
protective pad
coupl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일라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일라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일라글로벌
Priority to KR2020160003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0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0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41D13/065Knee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41D13/0556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 A41D13/0562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with hook and loop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쪽은 사용자의 무릎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고, 외면은 바닥면과 유동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편평하게 이루어진 보호패드; 상기 보호패드의 외부에 피복되어 상기 보호패드를 보호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상하부 양측에 각각 연결된 결합밴드; 및 상기 각 결합밴드의 단부에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합밴드를 사용자의 다리에 두른 상태로 서로 체결되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보호패드의 외측부위가 편평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무릎보호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무릎을 바닥면에 밀착시키면 보호패드의 외측 편평하게 이루어진 부위가 바닥면에 닿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유동되지 않도록 유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용접 작업 등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KNEE PROTECTOR FOR INDUSTRIAL SITE}
본 고안은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릎을 구부려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도 작업자의 신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유지함으로써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릎보호대는 작업자, 운동하는 사람 등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무릎을 보호하거나, 바닥면에 무릎을 꿇을 때 받는 하중을 완화시켜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해주기 위한 장비로서, 무릎을 감싼 상태에서 무릎 위쪽과 아래쪽에 밴드로 착용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무릎보호대는, 무릎에 덧댈 수 있는 대략 사각형상의 보호패드와, 보호패드의 상하 양측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무릎의 뒤쪽으로 두를 수 있는 결합밴드와, 결합밴드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무릎의 뒤쪽에서 서로 체결되는 결합구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보호패드는 무릎에 밀착될 수 있도록 중앙부가 안쪽에서 함몰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일반적인 무릎보호대는 보호패드의 중앙부가 안쪽에서 함몰되어 사용자의 무릎과 밀착될 수는 있으나, 보호패드의 중앙부가 안쪽에서 함몰됨에 따라 보호패드의 외측부위가 자연스럽게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이러한 형상의 무릎보호대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바닥면에 무릎을 밀착시키게 되면 라운드진 무릎보호대의 외면이 편평한 바닥면에 닿게 된다.
산업현장에서는 용접 등의 작업을 수행할 때 무릎을 꿇은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무릎보호대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무릎을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유지하려고 하여도 바닥면과 무릎보호대가 닿는 면적이 적어 롤링 현상이 발생될 수밖에 없으므로 일반적인 무릎보호대는 산업현장 용도로는 적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무릎보호대는 보호패드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탄력밴드로 이루어진 결합밴드가 연결되어있어 이러한 결합밴드가 무릎의 위쪽과 아래쪽 부위에서 사용자의 다리를 감싸 그 단부의 결합부끼리 서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이나, 일반적인 무릎보호대에 적용되는 결합밴드는 마찰력이 떨어져 사용자가 무릎을 구부렸다 폈다 하는 과정에서 원래의 위치에서 미끄러져 다른 장소로 이동하게 되며, 결합밴드의 위치가 서로 너무 가깝게 구성되어 있어 무릎보호대가 일측으로 돌아가거나 상하방향으로 이탈되는 단점도 있었다.
아울러, 무릎보호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무릎을 구부리면 보호패드의 탄성력이 작용되면서 각 결합밴드가 사용자의 오금 부위쪽으로 모여들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무릎을 펴게 되면 보호패드가 사용자의 무릎으로부터 들떠 무릎과 밀착되지 못하는 단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 2009-0011404 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릎을 구부려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도 작업자의 신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유지함으로써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는,
안쪽은 사용자의 무릎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고, 외면은 바닥면과 유동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편평하게 이루어진 보호패드;
상기 보호패드의 외부에 피복되어 상기 보호패드를 보호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상하부 양측에 각각 연결된 결합밴드; 및
상기 각 결합밴드의 단부에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합밴드를 사용자의 다리에 두른 상태로 서로 체결되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패드의 중간 양측에는 사용자가 무릎을 구부릴 때에는 상기 보호패드를 수축시켜 무릎과 밀착시키고,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 펼 때에는 상기 보호패드를 벌려 상기 보호패드가 무릎으로부터 들뜨지 않도록 하는 신축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에는 상기 보호패드의 상부로 연장된 연장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결합밴드 중 상부측 결합밴드는 상기 연장부 양측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밴드의 안쪽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점착성 물질이 피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는, 보호패드의 외측부위가 편평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무릎보호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무릎을 바닥면에 밀착시키면 보호패드의 외측 편평하게 이루어진 부위가 바닥면에 닿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유동되지 않도록 유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용접 작업 등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보호패드의 안쪽은 함몰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무릎과 보호패드가 밀착될 수 있어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할 수 있으며, 보호패드의 중간부 양측에는 신축절개부가 구비되어 있어 무릎보호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무릎을 구부리면 신축절개부가 수축되어 무릎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 펴게 되면 신축절개부가 벌어지면서 보호패드가 사용자의 무릎으로부터 들뜨지 않아 무릎보호대를 다시 재조정하여 옮기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아울러, 커버는 보호패드 상부로 연장부가 더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무릎을 구부리고 펼 때 발생되는 보호패드의 탄성력을 연장부가 완충시켜주게 되므로 상하측 결합밴드가 사용자의 오금부위로 모이지 않게 되며, 더욱이 결합밴드의 안쪽에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점성물질이 피복되어 있으므로 결합밴드가 사용자의 무릎을 구부리는 동작에도 미끄러지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가 무릎을 구부리고 펴더라도 무릎보호대가 원래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무릎보호대의 재조정이 필요치 않으며, 따라서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림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의 결합밴드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림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무장갑용 속장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의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림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의 결합밴드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림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는, 사용자의 무릎과 밀착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보호하는 보호패드(10), 보호패드(10)의 외부에 피복되어 보호패드(10)를 보호하는 커버(20), 커버(20)의 상하부 양측에 각각 연결된 결합밴드(30), 각 결합밴드(30)의 단부에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결합밴드(30)를 사용자의 다리에 두른 상태로 서로 체결되는 결합구(40)를 포함한다.
보호패드(10)는 쿠션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보호패드(10)의 안쪽은 사용자의 무릎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고, 외면은 바닥면과 유동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편평하게 이루어진다. 도면상의 11은 보호패드(10) 안쪽의 함몰부를 나타내고, 12는 보호패드(10) 외부의 편평부를 나타낸다.
또한, 보호패드(10)의 중간 양측에는 사용자가 무릎을 구부릴 때에는 보호패드(10)를 수축시켜 무릎과 밀착시키고,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 펼 때에는 보호패드(10)를 벌려 보호패드(10)가 무릎으로부터 들뜨지 않도록 하는 신축절개부(14)가 더 형성된다. 이러한 신축절개부(14)는 일정한 깊이로 상하 여러개의 절개부를 나란하게 형성하여 구성하면 된다.
또한, 신축절개부(14)는 타부위보다 함몰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무릎을 구부리는 것에 따라 보호패드(10)에 접히거나 벌어지는 힘이 작용할 때 신축절개부(14)가 수축되거나 벌어지도록 구성하게 된다.
커버(20)는 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커버(20)에는 사용자가 무릎을 구부리고 펼 때 보호패드(10)의 탄성력을 완충시켜 결합밴드(30)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해 보호패드(10)의 상부로 연장된 연장부(21)가 더 형성되어 결합밴드(30) 중 상부측 결합밴드(30)가 연장부(21) 양측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결합밴드(30)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합밴드(30)의 안쪽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고무, 실리콘 등의 점착성 물질이 피복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점착성 물질의 피복은 일정한 간격으로 띠를 형성토록 하여 마찰력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31은 결합밴드(30)에 피복된 점성물질층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사용자가 용접 작업 등 오랜 시간 무릎을 바닥면에 대고 작업해야 하는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무릎을 바닥면에 대고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는, 보호패드(10)가 쿠션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면서 보호패드(10)의 안쪽 함몰부(11)이 사용자의 무릎과 밀착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원활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보호패드(10)의 외측에는 편평부(12)가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무릎을 바닥면에 밀착시키면 보호패드(10)의 외측 편평부(12)가 바닥면에 닿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유동되지 않도록 유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용접 작업 등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호패드(10)의 중간부 양측에는 신축절개부(14)가 구비되어 있어 무릎보호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무릎을 구부리면 신축절개부(14)가 수축되어 무릎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 펴게 되면 신축절개부(14)가 벌어지면서 보호패드(100가 사용자의 무릎으로부터 들뜨지 않아 무릎보호대를 다시 재조정하여 옮기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커버(20)는 보호패드(100 상부 위치로 연장부(21)가 더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결합밴드(30) 중 상부측 결합밴드(30)가 연결되는 것이므로 일반적인 무릎보호대에 비해 결합밴드(30) 사이의 상하 간격이 더 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무릎보호대 고정을 위해 결합밴드(30)를 사용자의 다리에 결합시킬 때 상부측 결합밴드(30)는 무릎 위치보다 위쪽에 결합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릎을 구부리고 펴게 되면 보호패드(10)의 탄성력을 천 재질로 된 연장부(21)가 완충시키게 되어 결합밴드(30)가 사용자의 오금부위로 모이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가 무릎을 구부리고 펴는 동작을 수행하더라도 무릎보호대의 위치가 최초의 위치에서 크게 변하지 않게 된다.
또한, 결합밴드(30)의 안쪽에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점성물질이 피복되어 있으므로 결합밴드(30)가 사용자의 무릎을 구부리는 동작에도 사용자의 의복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가 무릎을 구부리고 펼 때 무릎보호대의 재조정이 필요치 않아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보호패드 11 : 함몰부
12 : 편평부 14 : 신축절개부
20 : 커버 21 : 연장부
30 : 결합밴드 31 : 점성물질층
40 : 결합구

Claims (4)

  1. 안쪽은 사용자의 무릎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고, 외면은 바닥면과 유동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편평하게 이루어진 보호패드;
    상기 보호패드의 외부에 피복되어 상기 보호패드를 보호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상하부 양측에 각각 연결된 결합밴드; 및
    상기 각 결합밴드의 단부에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합밴드를 사용자의 다리에 두른 상태로 서로 체결되는 결합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보호패드의 상부로 연장된 연장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결합밴드 중 상부측 결합밴드는 상기 연장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보호패드의 중간 양측에는 사용자가 무릎을 구부릴 때에는 상기 보호패드를 수축시켜 무릎과 밀착시키고,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 펼 때에는 상기 보호패드를 벌려 상기 보호패드가 무릎으로부터 들뜨지 않도록 하는 신축절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신축절개부는 상기 보호패드의 타부위보다 함몰되고, 일정 깊이로 상하 복수의 절개부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밴드의 안쪽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점착성 물질이 일정 간격으로 띠를 형성하도록 피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60003155U 2016-06-09 2016-06-09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 KR2004840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155U KR200484081Y1 (ko) 2016-06-09 2016-06-09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155U KR200484081Y1 (ko) 2016-06-09 2016-06-09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081Y1 true KR200484081Y1 (ko) 2017-07-28

Family

ID=59399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155U KR200484081Y1 (ko) 2016-06-09 2016-06-09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0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356B1 (ko) * 2017-12-06 2019-05-1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호 패드 및 낙상 보호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1404A (ja) * 1995-04-19 1996-11-05 Maruman Kagaku:Kk 作業用膝頭カバー
KR19980068633U (ko) * 1998-09-03 1998-12-05 김영섭 무릎 보호대
JP3080308U (ja) * 2000-12-20 2001-09-21 貞治 清原 草取り作業用の足腰保護具
JP2007113127A (ja) * 2005-10-19 2007-05-10 Etsuzo Fukuda 膝用プロテクター装置
KR20090011404A (ko) 2007-07-26 2009-02-02 주식회사신도리코 폴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지 폴딩 장치 및 이의제어방법
KR20090011404U (ko) * 2008-05-06 2009-11-11 국제안전물산주식회사 착용감이 향상된 무릎보호대
KR20150029376A (ko) * 2013-09-10 2015-03-18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신체부분을 보호하는 기능성 패션 밴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1404A (ja) * 1995-04-19 1996-11-05 Maruman Kagaku:Kk 作業用膝頭カバー
KR19980068633U (ko) * 1998-09-03 1998-12-05 김영섭 무릎 보호대
JP3080308U (ja) * 2000-12-20 2001-09-21 貞治 清原 草取り作業用の足腰保護具
JP2007113127A (ja) * 2005-10-19 2007-05-10 Etsuzo Fukuda 膝用プロテクター装置
KR20090011404A (ko) 2007-07-26 2009-02-02 주식회사신도리코 폴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지 폴딩 장치 및 이의제어방법
KR20090011404U (ko) * 2008-05-06 2009-11-11 국제안전물산주식회사 착용감이 향상된 무릎보호대
KR20150029376A (ko) * 2013-09-10 2015-03-18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신체부분을 보호하는 기능성 패션 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356B1 (ko) * 2017-12-06 2019-05-1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호 패드 및 낙상 보호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64186A1 (en) Glove with impact guard
CN107106316B (zh) 用于特别地在运动活动期间保护足底垫的装置
US7950067B2 (en) Clip-on protective kneepad
WO2007045737A3 (fr) Manchon elastique a garniture viscoelastique pour la protection ou le soin de doigts ou d'orteils
KR200484081Y1 (ko)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
TN2009000534A1 (en) Ankle protector
KR101386447B1 (ko) 손가락 보호 장갑
KR20110115206A (ko) 산업용 장갑
JP2021165459A (ja) 手袋
KR20140100878A (ko) 골프장갑
USD873584S1 (en) Fabric foot protector for a mattress
WO2017205861A1 (en) Knee pad apparatus with enhanced cushion and interchangeable outer shell
KR20110008902U (ko) 작업용 정강이 보호대
KR102363629B1 (ko) 관절 보호대
JP5006132B2 (ja) 膝用プロテクタ
WO2009039410A2 (en) Clip-on protective kneepad
US20140290708A1 (en) Removable slip-resistant cover for a walking device
US20190231003A1 (en) Foot and knee protector and method of use
KR200482544Y1 (ko) 책모서리 보호구
JP2007113127A (ja) 膝用プロテクター装置
JP6487136B2 (ja) 膝免荷補装具
KR200365352Y1 (ko) 주방용 손 보호구
NL2023455B1 (en) Sock for shielding the interior portion of footwear from external particles
KR200304807Y1 (ko) 무릎 보호대
KR20160001178U (ko) 전면부 내측에 실리콘 패드를 갖는 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