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356B1 - 보호 패드 및 낙상 보호구 - Google Patents

보호 패드 및 낙상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356B1
KR101979356B1 KR1020170166813A KR20170166813A KR101979356B1 KR 101979356 B1 KR101979356 B1 KR 101979356B1 KR 1020170166813 A KR1020170166813 A KR 1020170166813A KR 20170166813 A KR20170166813 A KR 20170166813A KR 101979356 B1 KR101979356 B1 KR 101979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p
housing
user
cushion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은
김동미
유희천
전은진
이승훈
고명환
김기욱
윤선중
유민정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북대학교병원
(주)휴머노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북대학교병원, (주)휴머노피아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66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356B1/ko
Priority to PCT/KR2018/015421 priority patent/WO201911233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37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 A61F2005/0183Hip protectors, e.g. for elderly people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 패드 및 낙상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패드는 내측면이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설정 경로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보다 낮은 경로를 가지도록 제공되는 쿠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호 패드 및 낙상 보호구{Protecting pad}
본 발명은 보호 패드 및 낙상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한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은 평균 수명의 증가로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있으며, 65세 이상의 노인인구 비율이 2030년에는 2.4배, 2050년에는 3.8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06). 노인들은 운동 능력 저하에 따라 낙상이 발생되는 상황에 대한 대응 능력이 낮다. 또한, 노인들은 연령 증가에 따른 골밀도 감소, 근육 감소를 경험한다. 노인들은 골격, 근육 감소 및 체형의 변화로 인해 내전, 외전, 신장 등의 관절 가동역이 감소하게 되어 낙상으로 인한 고관절 골절이 쉽게 발생한다.
이에 따라 노인들에게 낙상 사고가 일어날 때, 발생하는 부상의 정도는 크다. 고관절 골절 노인의 20%는 1년 이내 사망하게 되고 생존하더라도 장기간의 치료로 인해 피부조직 손상, 뇌졸증, 심장마비, 폐렴과 욕창 등의 치명적인 합병증을 동반한다. 그리고 낙상 사고 발생 시 하체의 골격 부분에 충격이 발생하여 골절이 발생되는 경우, 그 부상의 정도가 크고 재활의 어려움이 따른다. 고관절 골절환자의 상당수는 1년 이내 사망하고 운동성 회복을 위한 장기간 치료로 개인적, 국가적 의료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본 발명은 고관절 및 엉덩이 부분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보호 패드 및 낙상 보호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측면이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설정 경로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보다 낮은 경로를 가지도록 제공되는 쿠션을 포함하는 보호 패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중앙 상부에는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만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은, 착용시 사용자의 엉덩이의 하부에 위치되는 엉덩이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은, 착용시 사용자의 고관절에 위치되는 고관절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관절 보호부는 상기 엉덩이 보호부의 외측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엉덩이 둘레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양단이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에 위치되어, 상기 착용부를 사용자의 엉덩이 둘레 위치시키면,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보호 패드를 포함하는 낙상 보호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패드는 내측면이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설정 경로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보다 낮은 경로를 가지도록 제공되는 쿠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중앙 상부에는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만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은, 착용시 사용자의 엉덩이의 하부에 위치되는 엉덩이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은, 착용시 사용자의 고관절에 위치되는 고관절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패드는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부의 중앙에 위치되는 허리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리 지지부는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하체 부분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보호 패드 및 낙상 보호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패드 설계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치수 데이터가 그룹화 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설계 기준점을 기초로 생성된 체형 모델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보호 패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보호 패드를 포함하는 낙상 보호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보호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허리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5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보호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6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보호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패드(100) 설계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수체계 규격화가 수행된다(S100). 치수 데이터는 보호 패드(도 4의 100)를 착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만들어 진다. 일 예로, 보호 패드(100)는 다양한 연령의 고령자들이 사용자들로 설정될 수 있다. 사람은 연령에 따라 체형이 변한다. 또한, 사용자가 거주하는 국가, 인종 등의 구분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이 달라진다. 따라서, 치수 데이터는 설정 지역에 거주하는 설정 연령의 사람들의 데이터 수집을 통해 만들어 진다. 일 예로, 본 실시 예에서는 한국에 거주하는 여성 노인을 사용자로 설정하여, 치수 데이터는 한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여성 노인의 신체 치수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만들어 질 수 있다(3차원 인체치수 계측;S110). 계측된 인체 치수 데이터는 사용자의 신장 및 엉덩이 둘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2는 3차원 인체치수를 활용하여 치수체계를 그룹화하고 대표인체 형상이 선정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치수 데이터들은, 신장 및 엉덩이 둘레를 각각 축으로 하는 그래프 상에 도시되며, 일정 영역에 분산되어 분포된다. 이때, 기준 신장 및 기준 엉덩이 둘레를 갖는 설계 기준점을 기초로 설계된 보호 패드(100)는 설계 기준점에 대해 일정한 오차를 갖는 신장 또는 엉덩이 둘레를 갖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신장과 엉덩이 둘레를 기준으로 각각의 치수체계가 수립되고 치수체계별 사각형 영역 내에 해당되는 치수 데이터 들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각 군집의 중심을 치수체계로 결정하는 방법인 Clustering method를 사용하여, 치수 데이터들은 치수별로 분포되며, 각각의 치수를 대표하는 대표인체 형상의 실제 케이스가 기준점으로 선정된다. 이에 따라, 대다수의 치수 데이터들은 4개의 설계 기준점을 중심으로 한 설정 영역에 포함되는 형태가 되며 치수 데이터들은 설정 개수의 설계 기준점을 기초로 그룹화 된다(치수체계 개발;S120).
도 3은 설계 기준점을 기초로 생성된 체형 대표 모델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치수 분포 규격화가 이루어 지면, 설계 기준점을 기초로 체형 모델링이 수행된다(대표 인체형상 선정;S200). 체형 모델링은 설계 기준점에 해당되는 기준 신장 및 기준 엉덩이 둘레를 갖는 사용자의 체형을 설정하는 과정에 의해 수행된다. 이때, 기준 신장 및 기준 엉덩이 둘레를 갖는 사용자의 엉덩이 이외 부분의 치수를 포함한 체형 설정에는 통계적 자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델링은 3D 모델링 프로그램(RapidForm 2006 software)을 통한 작업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치수별 대표인체 형상을 활용하여 수행된다.
도 4는 보호 패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체형 모델링이 이루어지면, 모델링 된 각각의 체형에 대응되는 보호 패드(100)가 설계된다(S300). 보호 패드(100)는 사용자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시 보호가 필요한 영역 커버가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설계된다. 보호 패드(100)는 엉덩이 보호부(1100) 및 고관절 보호부(1200)를 포함한다. 보호 패드(100)가 사용자에게 착용되면, 엉덩이 보호부(1100)는 사용자의 엉덩이 하부에 위치되고, 고관절 보호부(1200)는 사용자의 허리 아래쪽에 위치된 고관절에 위치되어, 보호 패드(100)는 사용자의 허리 아래쪽을 측방과 후방에 걸쳐 감싸는 L자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보호 패드(100)를 평면상에 전개하면, 고관절 보호부(1200)는 엉덩이 보호부(1100)의 외측 상방에 위치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체형은 엉덩이와 고관절의 이격 거리가 상이하게 제공됨에 따라, 각각의 체형에 대응되는 보호 패드(100)는 상이한 치수를 갖는다.
보호 패드(100)는 상이한 물성을 갖는 하우징(2000) 및 쿠션(1000)을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하우징(2000)은 설정 경도를 갖도록 제공되어, 사용자가 낙상 할 때와 같이 보호 패드(100)에 외력이 작용할 때, 보호 패드(100)가 변형된 후 외력이 작용하기 전으로 복원되고, 외력에 의해 보호 패드(10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일 예로, 하우징(2000)은 비닐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등과 같은 합성 수지가 설정 경도를 갖도록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000)은 사용자의 고관절과 엉덩이 영역에 걸친 곡률에 대응하여 사용자와 접촉하는 면(이하 내측면)이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라운드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보호 패드(100)가 착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우징(2000)의 상부 중앙에는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만입부(2100)가 형성된다. 만입부(2100)는 하우징(2000)에서 라운드진 곡률의 반지름이 작고 라운드 진 정도가 큰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패드(100)는 엉덩이와 고관절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만입부(2100)를 통해 착용성이 향상된다.
쿠션(1000)은 하우징(2000) 보다 경도가 낮고, 외력이 작용할 때 하우징(2000)보다 변형이 쉽게 일어나도록 제공된다. 일 예로, 쿠션(1000)은 실리콘, 합성 수지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쿠션(1000)은 엉덩이 보호부(1100) 및 고관절 보호부(1200)에 각각 위치되도록 하우징(2000)의 내측면에 위치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보호 패드(100)는 실물 제작에 앞서 3D 프로그램을 통해 설계가 이루어 질 수 있다(S300). 그리고 설계된 보호 패드(100)는 3D 프로그램을 통해, 실물 제작에 앞서 체형 모델링에 착용되어 설계 상태가 점검 될 수 있다(S400).
도 5는 보호 패드를 포함하는 낙상 보호구(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낙상 보호구(10)는 착용부(200) 및 보호 패드(100)를 포함한다.
착용부(200)는 사용자가 보호 패드(100)를 설정 위치에 착용하고, 보호 패드(100)가 설정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보조 한다. 착용부(200)는 설정 폭을 가지고 양단이 탈착 가능한 형태로 제공된다. 일 예로, 착용부(200)의 양단에는 벨크로, 후크와 링 등과 같은 탈착부가 제공될 수 있다. 착용부(200)의 폭 및 형상은 보호 패드(100)의 설계 기준이 된 체형 모델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즉, 낙상 보호구(10)에 제공되는 보호 패드(100)가 복수의 설계 기준점 중 특정 설계 기준점 및 이에 대응되는 체형 모델링에 맞게 설계된 것이면, 착용부(200)도 해당 체형 모델링을 기초로 설계되어, 착용부(200)의 폭은 체형 모델링의 엉덩이 둘레에 대응되는 폭을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설정 설계 기준점을 기초로 설계된 체형 모델링에 대응되는 낙상 보호구(10)를 착용하면, 착용부(200)는 사용자에게 높은 밀착성을 가지고 착용될 수 있다.
보호 패드(100)는 착용부(200)에서 설정 위치에 제공된다. 일 예로, 보호 패드(100)는 착용부(200)에 고정 설치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부(200)는 직물 소재로 제공되고, 보호 패드(100)는 착용부(200)의 내측면, 외측면에 고정되거나, 착용부(200)의 내측에 고정 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착용부(200)는 보호 패드(100)의 위치되는 체형 모델링을 기초로 설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낙상 보호구(10)를 착용하면, 엉덩이 보호부(1100) 및 고관절 보호부(1200)가 각각 엉덩이 및 고관절에 위치되는 형태로 보호 패드(100)는 설정 위치에 위치된다.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보호구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보호 패드(100)는 전체 또는 일부가 착용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된다.
예를 들어, 착용부(200)에는 보호 패드(100)가 제공될 설정 위치에 내측 수용부(210) 및 외측 수용부(220)가 제공될 수 있다.
내측 수용부(210)는 일 부가 개방된 주머니 형태로 제공된다. 일 예로, 내측 수용부(21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내측 수용부(210)의 개방된 부분은 지퍼, 벨크로 등의 내측 개폐부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보호 패드(100)의 쿠션(1000)은 내측 수용부(210)에 삽입되는 형태로 착용부(200)의 설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쿠션(1000)은 교체될 수 있다.
외측 수용부(220)는 일 부가 개방된 주머니 형태로 제공된다. 일 예로, 외측 수용부(22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외측 수용부(220)의 개방된 부분은 지퍼, 벨크로 등의 외측 개폐부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하우징(2000)은 외측 수용부(220)에 삽입되는 형태로 착용부(200)의 설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2000)이 외측 수용부(220)에 위치되면, 하우징(2000)과 쿠션(1000)이 서로 설정 위치에서 정렬되도록, 외측 수용부(220)와 내측 수용부(210)는 형성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하우징(2000)은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쿠션(1000)은 착용부(200)에 고정된 상태로 제공되고, 하우징(2000)은 외측 수용부(220)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00)은 착용부(200)에 고정된 상태로 제공되고, 쿠션(1000)은 내측 수용부(210)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착용부(200)에는 보호 패드(100)가 제공될 설정 위치에 내측 수용부(210a) 가 제공될 수 있다.
내측 수용부(210a)는 일 부가 개방된 주머니 형태로 제공된다. 일 예로, 내측 수용부(210a)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내측 수용부(210a)의 개방된 부분은 지퍼, 벨크로 등의 내측 개폐부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보호 패드(100)는 쿠션(1000)과 하우징(2000)이 함께 내측 수용부(210a)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착용부(200)에는 보호 패드(100)가 제공될 설정 위치에 외측 수용부(220b) 가 제공될 수 있다.
외측 수용부(220b)는 일 부가 개방된 주머니 형태로 제공된다. 일 예로, 외측 수용부(220b)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외측 수용부(220b)의 개방된 부분은 지퍼, 벨크로 등의 내측 개폐부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보호 패드(100)는 쿠션(1000)과 하우징(2000)이 함께 외측 수용부(220b)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허리 지지부(30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제5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보호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낙상 보호구(10)는 착용부(200), 보호 패드(100) 및 허리 지지부(300)를 포함한다.
허리 지지부(300)는 사용자가 낙상 보호구(10)를 착용하면, 사용자의 배면 중앙에 위치될 수 있도록 착용부(200)의 중앙에 위치된다. 허리 지지부(300)의 내측면은 접하는 사용자의 허리의 굴곡에 대응되는 형상의 내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제6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보호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착용부(200)에는 중앙 수용부(230)가 제공된다. 중앙 수용부(230)는 허리 지지부(300)가 삽입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중앙 수용부(230)는 일부가 개방된 주머니 형태로 제공된다. 일 예로, 중앙 수용부(23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중앙 수용부(230)의 개방된 부분은 지퍼, 벨크로 등의 내측 개폐부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중앙 수용부(230)는 착용부(20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보호 패드 200: 착용부
300: 허리 지지부 1100: 엉덩이 보호부
1200: 고관절 보호부 2000: 하우징

Claims (13)

  1. 내측면이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위치되는 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쿠션은,
    착용시 사용자 엉덩이의 좌우 두짝 중 하나의 하부에 위치되는 엉덩이 보호부; 및
    상기 엉덩이 보호부의 일측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일측은 상기 하나의 엉덩이와 가까운 허리의 측부이고, 착용시 상기 허리의 측부 하방에 위치된 고관절에 위치되어 고관절을 보호하는 고관절 보호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부면이 아래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만입부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 아래쪽을 측방과 후방에 걸쳐 L자 형태로 감싸도록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쿠션의 상기 엉덩이 보호부가 위치되는 보호 패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사용자의 엉덩이 둘레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양단이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에 결합되며, 상기 착용부를 사용자의 엉덩이 둘레에 위치시키면,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와 고관절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한 쌍의 보호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패드는,
    내측면이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위치되는 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쿠션은,
    착용시 사용자 엉덩이의 좌우 두짝 중 하나의 하부에 위치되는 엉덩이 보호부; 및
    상기 엉덩이 보호부의 일측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일측은 상기 하나의 엉덩이와 가까운 허리의 측부이고, 착용시 상기 허리의 측부 하방에 위치된 고관절에 위치되어 고관절을 보호하는 고관절 보호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부면이 아래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만입부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 아래쪽을 측방과 후방에 걸쳐 L자 형태로 감싸도록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쿠션의 상기 엉덩이 보호부가 위치되는 낙상 보호구.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패드는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낙상 보호구.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의 중앙에 위치되는 허리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낙상 보호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지지부는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낙상 보호구.
KR1020170166813A 2017-12-06 2017-12-06 보호 패드 및 낙상 보호구 KR101979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813A KR101979356B1 (ko) 2017-12-06 2017-12-06 보호 패드 및 낙상 보호구
PCT/KR2018/015421 WO2019112338A1 (ko) 2017-12-06 2018-12-06 보호 패드 및 낙상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813A KR101979356B1 (ko) 2017-12-06 2017-12-06 보호 패드 및 낙상 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356B1 true KR101979356B1 (ko) 2019-05-16

Family

ID=66672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813A KR101979356B1 (ko) 2017-12-06 2017-12-06 보호 패드 및 낙상 보호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9356B1 (ko)
WO (1) WO20191123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980A (ko) 2020-10-30 2022-05-09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038A (ja) * 1996-04-26 1997-11-11 Morito Kk スポーツ用臀部プロテクター
JPH09299540A (ja) * 1996-05-13 1997-11-25 Mutoo Enterp:Kk ヒップガード
JPH11146890A (ja) * 1997-11-18 1999-06-02 Nakamura Brace Kk 股関節症用装具
JP2003116896A (ja) * 2001-10-17 2003-04-22 Alcare Co Ltd 骨折予防用保護帯
JP2004321505A (ja) * 2003-04-25 2004-11-18 Fusae Chokai 大腿骨保護用ベルト
KR20080025312A (ko) * 2006-09-15 2008-03-20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충격 흡수 부재 및 충격 흡수 부재가 부착된 의류
KR100909591B1 (ko) * 2007-10-19 2009-07-28 양재영 운동용 팬츠형 보호대
KR20100007494U (ko) * 2009-06-29 2010-07-22 박상용 프로텍터
US7891026B1 (en) * 2007-01-08 2011-02-22 Nike, Inc. Athletic garment with articulated body protective underlayer
US20110041839A1 (en) * 2007-05-24 2011-02-24 Embrace, Llc Compression undergarment for relief of menstrual pain and related method of use
KR20110005733U (ko) * 2009-12-03 2011-06-10 상 호 김 둔부 보호를 위한 레저 스포츠용 쿠션 바지
JP2011184824A (ja) * 2010-03-08 2011-09-22 Unicharm Corp プロテクタ
JP2013231248A (ja) * 2012-04-27 2013-11-14 Tokyo Metropolitan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尾てい骨保護下着
KR20140060713A (ko) * 2012-11-12 2014-05-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관절 보호대
KR200484081Y1 (ko) * 2016-06-09 2017-07-28 주식회사 아일라글로벌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038A (ja) * 1996-04-26 1997-11-11 Morito Kk スポーツ用臀部プロテクター
JPH09299540A (ja) * 1996-05-13 1997-11-25 Mutoo Enterp:Kk ヒップガード
JPH11146890A (ja) * 1997-11-18 1999-06-02 Nakamura Brace Kk 股関節症用装具
JP2003116896A (ja) * 2001-10-17 2003-04-22 Alcare Co Ltd 骨折予防用保護帯
JP2004321505A (ja) * 2003-04-25 2004-11-18 Fusae Chokai 大腿骨保護用ベルト
KR20080025312A (ko) * 2006-09-15 2008-03-20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충격 흡수 부재 및 충격 흡수 부재가 부착된 의류
US7891026B1 (en) * 2007-01-08 2011-02-22 Nike, Inc. Athletic garment with articulated body protective underlayer
US20110041839A1 (en) * 2007-05-24 2011-02-24 Embrace, Llc Compression undergarment for relief of menstrual pain and related method of use
KR100909591B1 (ko) * 2007-10-19 2009-07-28 양재영 운동용 팬츠형 보호대
KR20100007494U (ko) * 2009-06-29 2010-07-22 박상용 프로텍터
KR20110005733U (ko) * 2009-12-03 2011-06-10 상 호 김 둔부 보호를 위한 레저 스포츠용 쿠션 바지
JP2011184824A (ja) * 2010-03-08 2011-09-22 Unicharm Corp プロテクタ
US20130000008A1 (en) * 2010-03-08 2013-01-03 Uni-Charm Corporation Protector
JP2013231248A (ja) * 2012-04-27 2013-11-14 Tokyo Metropolitan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尾てい骨保護下着
KR20140060713A (ko) * 2012-11-12 2014-05-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관절 보호대
KR200484081Y1 (ko) * 2016-06-09 2017-07-28 주식회사 아일라글로벌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980A (ko) 2020-10-30 2022-05-09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2338A1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wcroft et al. Prospective fall-risk prediction models for older adults based on wearable sensors
US5497511A (en) Protective pants for the hip
Pirouzi et al. Review of the socket design and interface pressure measurement for transtibial prosthesis
Wu et al. Portable preimpact fall detector with inertial sensors
US20220395229A1 (en) Physiological sensor footwear insert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9069066A (zh) 可穿戴和连接的步态分析系统
Giuberti et al. Automatic UPDRS evaluation in the sit-to-stand task of Parkinsonians: Kinematic analysis and comparative outlook on the leg agility task
Bonato et al. Data mining of motor patterns recorded with wearable technology
Anwary et al. Smart-Cover: A real time sitting posture monitoring system
US10488916B2 (en) Fiber optic shape sensing applications
KR101979356B1 (ko) 보호 패드 및 낙상 보호구
Janssen et al. Clinical observational gait analysis to evaluate improvement of balance during gait with vibrotactile biofeedback
Lee et al. Wearable fabric sensor for controlling myoelectric hand prosthesis via classification of foot postures
Domagalska–Szopa et al. Gait pattern differences among children with bilateral cerebral palsy
Ji et al. The effect of pulling effort on lumbar spine via applying digital human modeling technology
Linnenberg et al. Designing Physical Human-Machine-Interfaces for Exoskeletons Using 3D-Shape Analysis
Tlili et al. A Review on posture monitoring systems
US20210187753A1 (en) Excrement care robot with integrated analysis function for motion and condition of bedridden patient
KR20220170499A (ko)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의 모니터링 시스템
CN202422550U (zh) 高龄体征体验装置
Ogata et al. Upper body of dummy humanoid robot with exterior deformation mechanism for evaluation of assistive products and technologies
Raychoudhury et al. Activisee: Activity transition detection for human users through wearable sensor-augmented glasses
Lee Ergonomic design of supportive moulded bras
Quigley et al. Tango Belt: A New Smart Hip Protector Solution.
GB2377157A (en) Garment with pockets for holding monitoring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