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980A -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980A
KR20220057980A KR1020200143174A KR20200143174A KR20220057980A KR 20220057980 A KR20220057980 A KR 20220057980A KR 1020200143174 A KR1020200143174 A KR 1020200143174A KR 20200143174 A KR20200143174 A KR 20200143174A KR 20220057980 A KR20220057980 A KR 20220057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pad
fall protection
holder
support
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0226B1 (ko
Inventor
송해정
강하은
강상욱
한정수
최재봉
윤주일
Original Assignee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43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226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01N3/303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generated only by free-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9Hammer or pendul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대를 통해 낙상 보호 패드 시편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격된 상부에서 상기 낙상 보호 패드 시편을 향해 홀더에 매달린 낙하체를 낙하시키는 작동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작동부 사이에 이어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봉을 통해 상기 홀더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로드셀을 통해 상기 낙하체 낙하에 의해 지지대에 가해지는 충격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drop impact test device for evaluation of fall protection pad}
본 발명은 낙하 충격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낙상 보호 패드의 충격 완화 정도가 정확히 파악됨으로써 낙상 보호 패드의 평가가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 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하여 고령 인구의 비율이 크게 늘고 있다.
한편, 노인의 경우 노화에 의해 다리의 힘이 약해지고, 반응 속도가 느려지며, 근육과 관절 기능 기능이 저하될 수밖에 없는바, 보행중 작은 굴곡에도 쉽게 중심을 잃고 넘어질 수 있으므로 연소자들에 비해 낙상 사고 발생 확률이 월등히 높다.
이때, 선행 연구자료에 따르면 콘크리트와 같은 딱딱한 바닥에서 70세 노인이 낙상했을 시에 일반적으로 골반에 작용하는 충격력은 8000N~9000N이라고 알려져 있는바, 노인 낙상 사고시 충격력에 의해 고관절 등 주요 부위의 골절로 이어지므로 골절과 관련한 합병증으로 인하여 상당수가 사망에 이르게 되고, 회복이 이루어지더라도 보행 등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9356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낙상 보호 패드'가 제안된바 있다.
낙상 보호 패드는 완충 소재로 형성되는바, 이를 고관절 등의 주요 부위에 착용함으로써 낙상시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낙상 사고로 인한 부상, 특히 주요 부위의 골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완충 효과가 미흡한 낙상 보호 패드를 착용하는 경우, 낙상시의 충격 완화가 기대에 미칠 수 없어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낙하 충격 시험장치를 통해 낙상 보호 패드의 성능 시험, 즉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평가를 통해 완충 효과가 입증된 낙상 보호 패드를 착용함으로써 낙상시의 부상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낙하 충격 시험장치는 낙상 보호 패드 외의 다른 물품들도 시험 대상으로 고려하여 제작되었던바, 그 구조가 복잡함에 따라 제작 비용이 상승할 수밖에 없어 고가이었으므로 구매에 부담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낙상 보호 패드의 평가가 정확히 이루어질 수 없어 시험 결과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간단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낙상 보호 패드의 충격 완화 정도가 정확히 파악됨으로써 낙상 보호 패드의 평가가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935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간단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낙상 보호 패드의 충격 완화 정도가 정확히 파악됨으로써 낙상 보호 패드의 평가가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대를 통해 낙상 보호 패드 시편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격된 상부에서 상기 낙상 보호 패드 시편을 향해 홀더에 매달린 낙하체를 낙하시키는 작동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작동부 사이에 이어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봉을 통해 상기 홀더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로드셀을 통해 상기 낙하체 낙하에 의해 지지대에 가해지는 충격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낙상 보호 패드 시편과 상기 홀더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홀더로의 전류 공급을 단속하는 릴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릴레이 모듈은, 상기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홀더로의 전류 공급을 단속하되, 상기 센서가 측정하는 상기 낙상 보호 패드 시편과 상기 홀더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목표 거리 미만이면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센서가 측정하는 상기 낙상 보호 패드 시편과 상기 홀더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목표 거리를 초과하면 전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대 둘레를 일정한 높이로 감싸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전류 공급에 따라 자기력을 발휘하는 전자석이고, 상기 낙하체는 상기 전자석이 발휘하는 자기력에 반응하는 강구(鋼球)이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부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 상에 배치되되, 모터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홀더로부터 이어지는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풀리;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는 일 지점에 연결된 와이어가 상기 풀리 회전에 의해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상기 홀더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낙상 보호 패드 시편의 60~80cm 상부에서 2,0~3.0kg의 낙하체를 낙하시켜 상기 낙상 보호 패드 시편에 7000~10000N의 충격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는, 지지부로부터 이격된 상부에서 낙상 보호 패드 시편을 향해 홀더에 매달린 낙하체를 낙하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바, 작동부에 의한 낙하체 낙하에 의해 낙상 보호 패드 시편에 충격이 미치게 되므로 낙상 보호 패드를 통한 충격 완화 정도가 파악될 수 있어 낙상 보호 패드의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는, 작동부는 낙상 보호 패드 시편의 60~80cm 상부에서 2.0~3.0kg의 낙하체를 낙하시켜 낙상 보호 패드 시편에 7000~10000N의 충격을 가할수 있는바, 작동부에 의한 낙하체 낙하에 의해 낙상 보호 패드 시편에 실제 노인이 낙상할 때와 동일한 충격이 미치게 되므로 낙상 보호 패드를 통한 충격 완화 정도가 정확히 파악될 수 있어 낙상 보호 패드의 평가가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는, 지지부, 작동부, 가이드부 및 측정부로 이루어지는바, 그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의 지지부를 통한 낙상 보호 패드 시편 안착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에서 작동부의 홀더 승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에서 작동부를 통한 낙하체 낙하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에서 낙하체를 통한 낙상 보호 패드 시편으로의 충격 전달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A)는, 지지부(10); 작동부(20); 가이드부(30); 및 측정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지지부(10)는 지지대(11)를 통해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을 지지한다.
이때, 지지부(10)는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과 아래에서 설명하는 홀더(21)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12)를 포함함으로써 센서(12)가 측정한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과 홀더(21)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목표 거리를 초과할 때 홀더(21)를 통한 낙하체(200)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낙하체(200)가 일정한 높이에서 자동 낙하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12)는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과 홀더(21) 사이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그 일례로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센서(12)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릴레이 모듈(26)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도면상 미도시)에 연결됨으로써 컨트롤러에 의해 센서(12)의 신호에 따른 릴레이 모듈(26)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는 지지대(11) 둘레를 일정한 높이로 감싸는 커버부재(13)를 더 포함함으로써 커버부재(13)에 의해 낙하체(200) 낙하에 따라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에 미치는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의 외부 전달이 완화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재(13)는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에 미치는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의 외부 전달을 완화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종류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그 일례로는 아크릴판일 수 있다.
한편, 지지대(11)는 특히 상판이 금속판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낙하체(200) 낙하시에도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0)에 안착되는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은 낙상 보호 패드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것, 예컨대 가로 10cm 및 세로 10cm로 절단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작동부(20)는 지지부(10)로부터 이격된 상부에서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을 향해 홀더(21)에 매달린 낙하체(200)를 낙하시킨다.
따라서 작동부(20)로부터의 낙하체(200) 낙하에 의해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에 충격 전달이 이루어진다.
이때, 작동부(20)는 위에서 설명한 센서(12)의 신호에 따라 홀더(21)로의 전류 공급을 단속하는 릴레이 모듈(26)을 더 포함함으로써 릴레이 모듈(26)에 의한 전류 공급 단속에 의해 홀더(21)의 자기력 발휘가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모듈(26)은, 센서(12)의 신호에 따라 홀더(21)로의 전류 공급을 단속하되, 센서(12)가 측정하는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과 홀더(21)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목표 거리 미만이면 전류를 공급하고, 센서(12)가 측정하는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과 홀더(21)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목표 거리를 초과하면 전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전자석의 자기력 발휘가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부(20)는, 지지부(10)로부터 상부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거치대(22); 및 거치대(22) 상에 배치되되, 모터(24)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홀더(21)로부터 이어지는 와이어(21a)를 감거나 푸는 풀리(23);를 포함함으로써 풀리(23) 회전에 의해 거치대(22) 상에서 홀더(21)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홀더(21)는 전류 공급에 따라 자기력을 발휘하는 전자석이고, 낙하체(200)는 상기 전자석이 발휘하는 자기력에 반응하는 강구임으로써 전자석의 자기력 발휘 여부에 따라 낙하체(200)의 부착 및 부착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홀더(21)는, 하강 상태에서 자기력 발휘에 의해 낙하체(200)를 부착한 후 상승하여 거치대(22) 상단부에 이르게 되고, 거치대(22) 상단부에서 자기력 발휘 해제에 의해 낙하체(200) 부착을 해제함으로써 낙하체(200)를 낙하시키게 된다.
또한, 작동부(20)는 일 지점에 연결된 와이어(25a)가 풀리(23) 회전에 의해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홀더(21)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무게추(25)를 더 포함함으로써 무체추에 의해 균형 유지에 의해 홀더(21) 승강이 안정될 수 있다.
한편, 작동부(20)는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의 60~80cm 상부에서 2,0~3.0kg의 낙하체(200)를 낙하시켜 상기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에 7000~10000N의 충격을 가한다.
만일, 작동부(20)가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의 60cm 미만 상부에서 2.0kg 미만의 낙하체(200)를 낙하시켜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에 7000N의 미만의 충격을 가하게 되면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에 미치는 충격이 실제 낙상 사고시 신체에 미치는 충격에 비해 월등히 미미하게 되어 낙상 보호 패드의 평가가 부정확할 수 있고, 작동부(20)가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의 80cm를 초과하는 상부에서 3.0kg을 초과하는 낙하체(200)를 낙하시켜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에 10000N을 초과하는 충격을 가하게 되면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에 미치는 충격이 실제 낙상 사고시 신체에 미치는 충격에 비해 월등히 증가하게 되어 낙상 보호 패드의 평가가 부정확할 수 있는바, 작동부(20)는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의 60~80cm 상부에서 2,0~3.0kg의 낙하체(200)를 낙하시켜 상기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에 7000~10000N의 충격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이드부(30)는 지지부(10)와 작동부(20) 사이에 이어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봉(31)을 통해 홀더(21)의 승강을 안내한다.
따라서 가이드부(30)에 의해 홀더(21)의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수직봉(31)은 홀더(21)의 각 모서리부에 접촉함으로써 수직봉(31)의 접촉에 의해 홀더(21)의 승강 안내, 즉 수직 방향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측정부(40)는 지지대(11)에 장착되는 로드셀(41)을 통해 낙하체(200) 낙하에 의해 지지대(11)에 가해지는 충격을 측정한다.
따라서 측정부(40)의 측정치에 의해 낙상 보호 패드의 완충 성능이 파악된다.
여기서, 로드셀(41)은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도면상 미도시)에 연결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로드셀(41)의 측정치 확인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로드셀(41)은 낙하체(200) 낙하에 의해 지지대(11)에 가해지는 충격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한바, 로드셀(41)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A)를 통한 낙상 보호 패드 평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지지부(10)는 지지대(11)를 포함하는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1)에 의해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의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은 낙상 보호 패드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것, 예컨대 가로 10cm 및 세로 10cm로 절단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작동부(20)는 홀더(21)를 포함하는바, 홀더(21)에 의해 낙하체(200)가 공중에 매달릴 수 있다.
이때, 홀더(21)는 전류 공급에 의해 자기력을 발휘하는 전자석이고, 낙하체(200)는 전자석이 발휘하는 자기력에 반응하는 강구인바, 홀더(21), 즉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하여 자기력이 발휘되도록 함으로써 낙하체(200), 즉 강구의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홀더(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지점에 연결되는 와이어(21a)가 모터(24)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23)에 의해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승강하는바, 지지대(11)의 상면에 놓인 낙하체(200)를 향해 자기력을 발휘하는 상태로 하강함으로써 낙하체(200)의 부착이 이루어지게 되고, 낙하체(200)가 부착된 상태에서 풀리(23) 회전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상승함으로써 낙하체(200)가 공중에 매달릴 수 있다.
여기서, 홀더(21)에 의해 공중에 매달린 낙하체(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과 홀더(21)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목표 거리를 넘어설 때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을 향하여 낙하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체(200)의 낙하에 의해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에 충격이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측정부(40)는 지지대(11)에 장착되는 로드셀(41)을 포함하는바, 낙하체(200) 낙하에 의해 지지대(11)에 전달되는 충격이 로드셀(41)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로드셀(41)의 측정치를 확인함으로써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에 해당하는 낙상 보호 패드의 완충 성능이 파악될 수 있다.
즉, 낙하체(200) 낙하시 지지대(11)로 전달되는 충격은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을 거쳐 전달되는바,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의 완충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로드셀(41)의 측정치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고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의 완충 성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로드셀(41)의 측정치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므로 로드셀(41)의 측정치가 낮을수록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에 해당하는 낙상 보호 패드의 완충 성능이 우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지지대(11)에 안착된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은 낙하체(200) 낙하 이후 다른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으로 교체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낙상 보호 패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낙하체(200)의 낙하 높이가 균일하지 못한 경우, 낙하체(200) 낙하에 의해 지지대(11)로 전달되는 충격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므로 낙상 보호 패드의 평가가 부정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지지부(10)는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과 홀더(21)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12)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작동부(20)는 센서(12)의 신호에 따라 홀더(21)로의 전류 공급을 단속하는 릴레이 모듈(26)을 포함하는바, 센서(12)가 측정한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과 홀더(21)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목표 거리를 초과할 때 릴레이 모듈(26)이 홀더(21)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낙하체(200)가 홀더(21)로부터 부착 해제되며 늘상 균일한 높이에서 낙하하게 되므로 낙하체(200) 낙하에 의해 지지대(11)로 전달되는 충격이 일정하게 되어 낙상 보호 패드의 평가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낙하체(200) 낙하에 의해 지지대(11)로 전달되는 충격이 균일하다 할지라도 실제 낙상 사고시 발생하는 충격에 비해 미흡하거나 과도하면 낙상 보호 패드의 평가가 부정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작동부(20)는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의 60~80cm 상부에서 2,0~3.0kg의 낙하체(200)를 낙하시켜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에 7000~10000N의 충격을 가할 수 있는바,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에 실제 낙상 사고시와 동일한 충격이 미치게 되므로 낙상 보호 패드의 평가가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지지부(10)와 작동부(20) 사이에 이어지는 가이드부(30)는 복수 개의 수직봉(31)을 포함하는바, 홀더(21) 승강시 수직봉(31)에 의해 안내가 이루어짐에 따라 홀더(21)가 수직 방향으로 바르게 승강할 수 있으므로 홀더(21)의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지지부(10)는 지지대(11) 둘레를 일정한 높이로 감싸는 커버부재(13)를 포함하는바, 커버부재(13)에 의해 낙하체(200) 낙하에 따라 낙상 보호 패드 시편(100)에 미치는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의 외부 전달이 완화되므로 낙상 보호 패드 평가 과정에서 소음으로 인한 불쾌감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지지부 11 : 지지대
12 : 센서 13 : 커버부재
20 : 작동부 21 : 홀더
21a : 와이어 22 : 거치대
23 : 풀리 24 : 모터
25 : 무게추 25a : 와이어
26 : 릴레이 모듈 30 : 가이드부
31 : 수직봉 40 : 측정부
41: 로드셀 100 : 낙상 보호 패드 시편
200 : 낙하체 A : 낙하 충격 시험장치

Claims (8)

  1. 지지대를 통해 낙상 보호 패드 시편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격된 상부에서 상기 낙상 보호 패드 시편을 향해 홀더에 매달린 낙하체를 낙하시키는 작동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작동부 사이에 이어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봉을 통해 상기 홀더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로드셀을 통해 상기 낙하체 낙하에 의해 지지대에 가해지는 충격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낙상 보호 패드 시편과 상기 홀더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홀더로의 전류 공급을 단속하는 릴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대 둘레를 일정한 높이로 감싸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전류 공급에 따라 자기력을 발휘하는 전자석이고, 상기 낙하체는 상기 전자석이 발휘하는 자기력에 반응하는 강구(鋼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부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 상에 배치되되, 모터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홀더로부터 이어지는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일 지점에 연결된 와이어가 상기 풀리 회전에 의해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상기 홀더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모듈은, 상기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홀더로의 전류 공급을 단속하되, 상기 센서가 측정하는 상기 낙상 보호 패드 시편과 상기 홀더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목표 거리 미만이면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센서가 측정하는 상기 낙상 보호 패드 시편과 상기 홀더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목표 거리를 초과하면 전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낙상 보호 패드 시편의 60~80cm 상부에서 2,0~3.0kg의 낙하체를 낙하시켜 상기 낙상 보호 패드 시편에 7000~10000N의 충격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
KR1020200143174A 2020-10-30 2020-10-30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 KR102410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174A KR102410226B1 (ko) 2020-10-30 2020-10-30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174A KR102410226B1 (ko) 2020-10-30 2020-10-30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980A true KR20220057980A (ko) 2022-05-09
KR102410226B1 KR102410226B1 (ko) 2022-06-20

Family

ID=81582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174A KR102410226B1 (ko) 2020-10-30 2020-10-30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2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1003A (ja) * 1996-11-22 1998-06-09 Midori Anzen Co Ltd 靴の衝撃試験装置及び試験方法
KR20040047087A (ko) * 2002-11-29 2004-06-05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자동 낙하시험장치
KR20050082056A (ko) * 2004-02-17 2005-08-22 이종년 충격시험기
KR101918960B1 (ko) * 2017-12-26 2018-11-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잠수헬멧 충격시험기
KR101979356B1 (ko) 2017-12-06 2019-05-1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호 패드 및 낙상 보호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1003A (ja) * 1996-11-22 1998-06-09 Midori Anzen Co Ltd 靴の衝撃試験装置及び試験方法
KR20040047087A (ko) * 2002-11-29 2004-06-05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자동 낙하시험장치
KR20050082056A (ko) * 2004-02-17 2005-08-22 이종년 충격시험기
KR101979356B1 (ko) 2017-12-06 2019-05-1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호 패드 및 낙상 보호구
KR101918960B1 (ko) * 2017-12-26 2018-11-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잠수헬멧 충격시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226B1 (ko) 202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960B1 (ko) 잠수헬멧 충격시험기
KR101689108B1 (ko) 침구용 매트리스의 탄성 반발률 측정장치
KR101833940B1 (ko) 운동기구
KR102410226B1 (ko) 낙상 보호 패드 평가용 낙하 충격 시험장치
MXPA06013238A (es) Metodo de medicion con reduccion de fuerza para mecanismos de traccion, en particular mecanismos de impulsion por polea motriz para ascensores.
KR20220072812A (ko) 온열치료기
KR20110118005A (ko) 안전망 충격 시험기
CN112095683A (zh) 一种用于基桩高应变法检测的测试装置及测试方法
KR100654562B1 (ko) 쇽업소버의 충격시험기
KR102021196B1 (ko) 리클레이머용 감지장치
CN108792892B (zh) 双层电梯及双层电梯的维护方法
WO2001058614A1 (fr) Appareil de reparation de vehicule
KR20100129833A (ko) 벤치 프레스 기구
KR20160050909A (ko) 2차 낙하 충격이 방지되는 낙하 충격 시험기
CN115541261B (zh) 碰撞假人胸部压缩量与安全带载荷关系的测量方法和系统
KR102372479B1 (ko) 금속 검출장치
CN209306890U (zh) 一种高稳定防翻转的电动龙门举升机
TWI287445B (en) Unit for measuring one repetition maximum, device for measuring one repetition maximum, and method of measuring one repetition maximum
KR100919359B1 (ko) 자동차용 강판의 충돌시험장치
KR102089146B1 (ko) 코일교정장치
KR102555567B1 (ko) 바벨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벤치프레스
CN213274769U (zh) 一种电梯检测装置
JP6740324B2 (ja) 乗りかごの重量計測方法および装置
CN212506455U (zh) 一种用于基桩高应变法检测的测试装置
CN207570765U (zh) 一种安全头盔负荷全自动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