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206A - 산업용 장갑 - Google Patents

산업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206A
KR20110115206A KR1020100034562A KR20100034562A KR20110115206A KR 20110115206 A KR20110115206 A KR 20110115206A KR 1020100034562 A KR1020100034562 A KR 1020100034562A KR 20100034562 A KR20100034562 A KR 20100034562A KR 20110115206 A KR20110115206 A KR 20110115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industrial
buffer block
absorbing memb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9445B1 (ko
Inventor
최일석
Original Assignee
최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일석 filed Critical 최일석
Priority to KR1020100034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445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05Protective gloves resistant to mechanical aggressions, e.g. cutting. pierc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4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the outer part of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23Protective gloves absorbing shocks or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7Protective gloves with luminous or reflect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lov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착용되는 장갑; 및 상기 장갑의 상면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마련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배열되는 완충블록과 상기 완충블록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갑의 형상 변형에 따라 상기 완충블록과 상기 스페이서블록 사이가 벤딩에 의해 벌어지는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추작업 등을 비롯한 산업 현장에서 오일 등의 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되, 충격을 흡수하는 부재의 벤딩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활동성이 뛰어나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증진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산업용 장갑{INDUSTRIAL GLOVE}
본 발명은 시추작업 등을 비롯한 산업 현장에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한 산업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은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어 피부 손상, 추위, 충격 등으로부터 손을 보호하도록 하며, 형태상으로 5개의 손가락을 분리해 놓은 글러브(glove)와 엄지만을 분리한 미튼(mitten)으로 대별되며, 손가락 전체를 감싸는 구조를 가지거나, 손가락을 노출시키는 반장갑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장갑 중에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장갑의 경우 작업장의 특성상 미비한 차이가 있겠으나, 액상의 오염물질이나 유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손을 보호하도록 하는데,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부위와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산업용 장갑의 경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충격흡수부재의 부착이 불가피하나, 이러한 충격흡수부재의 부착이 오히려 작업성을 해치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일 등의 시추작업에 사용되는 장갑의 경우 드릴관이나 라이저 등의 시추장비로부터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장갑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부재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충격흡수부재는 장갑을 하드(hard)하게 하여 장갑의 활동을 제한하며,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산업용 장갑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추작업장 등을 비롯한 산업 현장에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되, 활동성이 뛰어나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증진시키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에 착용되는 장갑; 및 상기 장갑의 상면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마련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배열되는 완충블록과 상기 완충블록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갑의 형상 변형에 따라 상기 완충블록과 상기 스페이서블록 사이가 벤딩에 의해 벌어지는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갑은 상면에 방수제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갑은 바닥면에 캐브라 재질의 보강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갑은 상기 보강부재에서 접히는 부위에 폭을 축소시킴으로써 접힘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완충블럭과 상기 스페이서블록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장갑에 부착되고, 상면에 상기 스페이서블록들이 간격을 두고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블록 사이에 상기 완충블록이 부착되는 연결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패드는 상기 장갑에서 손가락의 끝단을 덮도록 연장되는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장갑에 의하면, 시추작업 등을 비롯한 산업 현장에서 오일 등의 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되, 충격을 흡수하는 부재의 벤딩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활동성이 뛰어나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증진시키며, 내구성이 뛰어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장갑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장갑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장갑의 충격흡수부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충격흡수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장갑의 충격흡수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충격흡수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장갑의 재봉전 원단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장갑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장갑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장갑(100)는 오일 등의 시추작업이나 그 밖에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기 위한 장갑으로서, 사용자에 착용되는 장갑(110)과, 장갑(110)의 상면(116)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마련되는 충격흡수부재(120,130)를 포함한다.
장갑(110)은 오일 등의 오염물질이나 유해물질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한 천연피혁이나 인조피혁과 테프론(teflon) 코팅 원단, 그 밖의 다양한 원단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손목부위가 신축이 뛰어난 네오프렌(neoprene) 원단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면(116)에 오일 등의 오염물질이 침투함을 방지함과 아울러 오염물질의 부착을 억제하도록 방수제가 코팅되며, 바닥면에 보강을 위한 보강부재(111)가 재봉에 의해 부착되는데, 이러한 보강부재(111)는 날카로운 도구 등에 절단되지 아니하도록 캐브라(kevlar)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표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도트(dot)(112)가 분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장갑(110)은 보강부재(111)에서 접히는 부위에 폭을 축소시킴으로써 접힘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손에 제대로 착용되도록 당기기 위하여 손목부위에 당김부(114)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113)은 보강부재(111)에서 접히는 부위의 일단 또는 양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접힘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곡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부재(120,130)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실리콘, 우레탄, 고무, 그 밖의 합성수지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서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배열되는 완충블록(121,131)과 완충블록(121,131)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블록(122,132)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110)의 형상 변형에 따라 완충블록(121,131)과 스페이서블록(122,132) 사이가 벤딩에 의해 벌어지도록 한다.
또한, 충격흡수부재(120,130)는 야간에서 작업 시 식별력을 높이기 위하여 어두운 곳에서 발광할 수 있도록 완충블록(121,131)의 일부나 전부 또는 스페이서블럭(122,132)의 일부나 전부에 형광물질이 함유될 수 있으며, 일례로 장갑(110)의 손가락 부위에 마련되는 완충블록(121)에 형광물질이 함유될 수 있다.
충격흡수부재(120,130)는 완충블럭(121,131)과 스페이서블록(122.132) 사이에 갭(gap; 123,133)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갭(123,133)에 의해 완충블럭(121,131)과 스페이서블록(122,132) 간의 잦은 접촉으로 인한 마찰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장갑(110)의 형상 변화에 따른 완충블럭(121,131)과 스페이서블록(122,132)간의 유격을 확보하도록 한다.
한편, 충격흡수부재(120,130)는 장갑(110)에 부착되고, 상면에 스페이서블록(122,132)들이 간격을 두고서 일체로 형성되며, 스페이서블록(122,132) 사이에 완충블록(121,131)이 부착되는 연결패드(124,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패드(124,134)는 장갑(110)의 상면(116)에 접착제에 의한 접착, 봉재 등의 방식에 의해 부착되고, 상면에 평면구조가 "∨"자 형상인 스페이서블록(122,132)들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페이서블록(122,132) 사이에 완충블록(121,131)의 저면이 접착제 또는 접착필름을 개재하여 열접착 등의 방법에 의해 부착된다. 따라서, 스페이서블록(122,132)과 완충블록(121,131)은 분할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장갑(110)의 형상 변형에 따라 스페이서블록(122,132)과 완충블록(121,131)의 경계부위가 벌어짐으로써 벤딩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패드(124)는 장갑(110)에서 손가락의 끝단을 덮도록 연장되는 커버부(125)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125)는 연결패드(124)와 함께 원단(115)에 접착제로 접착되거나 봉재에 의해 부착되며, 자신이 부착된 원단(115)이 재단된 다른 원단들과의 봉재에 의해 장갑(110)으로 제작될 경우 장갑(110)의 손가락 끝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장갑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시추작업, 자재의 운반, 장치의 동작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장갑(100)을 착용하는 경우, 오일이나 그 밖의 오염물질 등이 내측으로 침입되지 않도록 하고, 완충블럭(121,131) 사이에 분할된 스페이서블록(122,132)이 위치함으로써 충격흡수부재(120,130)의 부착으로 인한 하드(hard)한 느낌을 완화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작업 시, 장갑(11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경우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블록(122,132)과 그 양측의 완충블록(121,131)들과의 경계부위가 벤당에 의해 벌어짐으로써 장갑(110)의 형상 변형도를 높여서 작업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완충블록(121,131)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작업자의 손을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스페이서블록(122,132)에 의해 완충블록(121,131)간의 급격한 벤딩을 감소시킴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장갑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장갑 111 : 보강부재
112 : 도트부 113 : 가이드홈
114 : 당김부 116 : 상면
120,130 : 충격흡수부재 121,131 : 완충블록
122,132 : 스페이서블록 123,133 : 갭
124,134 : 연결패드 125 : 커버부

Claims (7)

  1. 사용자에 착용되는 장갑; 및
    상기 장갑의 상면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마련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배열되는 완충블록과 상기 완충블록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갑의 형상 변형에 따라 상기 완충블록과 상기 스페이서블록 사이가 벤딩에 의해 벌어지는 충격흡수부재
    를 포함하는 산업용 장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갑은 상면에 방수제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장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갑은 바닥면에 캐브라 재질의 보강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장갑.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갑은 상기 보강부재에서 접히는 부위에 폭을 축소시킴으로써 접힘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장갑.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완충블럭과 상기 스페이서블록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장갑.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장갑에 부착되고, 상면에 상기 스페이서블록들이 간격을 두고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블록 사이에 상기 완충블록이 부착되는 연결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장갑.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패드는 상기 장갑에서 손가락의 끝단을 덮도록 연장되는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장갑.
KR1020100034562A 2010-04-15 2010-04-15 산업용 장갑 KR101169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562A KR101169445B1 (ko) 2010-04-15 2010-04-15 산업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562A KR101169445B1 (ko) 2010-04-15 2010-04-15 산업용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206A true KR20110115206A (ko) 2011-10-21
KR101169445B1 KR101169445B1 (ko) 2012-07-31

Family

ID=4502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562A KR101169445B1 (ko) 2010-04-15 2010-04-15 산업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44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436B1 (ko) * 2014-07-30 2015-03-06 김우태 장갑
CN104720161A (zh) * 2013-12-20 2015-06-24 沙嫣 抗震防寒手套
CN105848506A (zh) * 2013-11-06 2016-08-10 麦德格力普控股有限公司 实用手套
CN108778015A (zh) * 2015-12-31 2018-11-09 林格斯科技有限责任公司 包括耐化学性和冲击防护的安全手套及其制造方法
US10271597B2 (en) 2007-07-16 2019-04-30 Madgrip Holdings, Llc Utility glove
WO2019067746A3 (en) * 2017-09-29 2019-05-16 Ringers Technologies Llc Industrial impact safety glove
US10420382B2 (en) 2007-07-16 2019-09-24 Madgrip Holdings, Llc Utility glove
US10548360B2 (en) 2015-04-20 2020-02-04 Woo Tae Kim Protective glo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45855B1 (ko) * 2023-01-13 2023-06-21 주식회사 가드원 안전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654A (ko)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아일라글로벌 작업용 장갑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811Y1 (ko) 1998-05-19 2000-10-02 허문영 산업용 장갑
US7275268B2 (en) 2004-07-13 2007-10-02 J. Debeer & Son, Inc. Sports glove with a segmented joint protector
KR200435596Y1 (ko) 2006-09-29 2007-02-01 (주)다산종합엔지니어링 방검 및 내화용 안전장갑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1597B2 (en) 2007-07-16 2019-04-30 Madgrip Holdings, Llc Utility glove
US10362818B2 (en) 2007-07-16 2019-07-30 Madgrip Holdings, Llc Utility glove
US10420382B2 (en) 2007-07-16 2019-09-24 Madgrip Holdings, Llc Utility glove
CN105848506A (zh) * 2013-11-06 2016-08-10 麦德格力普控股有限公司 实用手套
CN104720161A (zh) * 2013-12-20 2015-06-24 沙嫣 抗震防寒手套
KR101499436B1 (ko) * 2014-07-30 2015-03-06 김우태 장갑
WO2016018019A1 (ko) * 2014-07-30 2016-02-04 김우태 장갑
US10405592B2 (en) 2014-07-30 2019-09-10 Woo Tae Kim Glove
US10548360B2 (en) 2015-04-20 2020-02-04 Woo Tae Kim Protective glo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8778015A (zh) * 2015-12-31 2018-11-09 林格斯科技有限责任公司 包括耐化学性和冲击防护的安全手套及其制造方法
WO2019067746A3 (en) * 2017-09-29 2019-05-16 Ringers Technologies Llc Industrial impact safety glove
KR102545855B1 (ko) * 2023-01-13 2023-06-21 주식회사 가드원 안전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9445B1 (ko)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445B1 (ko) 산업용 장갑
US9241519B2 (en) Glove for use in the oil and natural gas extraction industries
KR101165213B1 (ko) 충격 흡수용 장갑
US20080216209A1 (en) Safety glove
KR100966278B1 (ko) 파지용 골무 및 장갑
CA2851319C (en) Protection element or attachment for safety glove fingers
JP2005325456A (ja) 防護用作業手袋
KR20180128762A (ko) 작업용 장갑
KR20080102819A (ko) 보호 막대가 수용된 손목 보호대
KR102293508B1 (ko) 손가락 단부 보호장갑
KR101774849B1 (ko) 산업용 장갑
KR20220001654A (ko) 작업용 장갑
KR101702478B1 (ko) 압착방지용 장갑
RU2450784C1 (ru) Рабочие рукавицы
KR200189041Y1 (ko) 작업용 안전장갑
KR100725778B1 (ko) 작업용 장갑
JP3143883U (ja) 手甲及び手指の保護具
RU2513971C1 (ru) Рабочие рукавицы
KR200459777Y1 (ko) 보호용 사지 장갑
KR200471041Y1 (ko) 장갑
CN106343637A (zh) 一种油井作业手套
KR20090001949U (ko) 진동흡수용 장갑
JP3202983U (ja) 作業用手袋
KR200348492Y1 (ko) 탄성막이 형성된 장갑
KR200431423Y1 (ko) 작업용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