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478B1 - 압착방지용 장갑 - Google Patents

압착방지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478B1
KR101702478B1 KR1020150029255A KR20150029255A KR101702478B1 KR 101702478 B1 KR101702478 B1 KR 101702478B1 KR 1020150029255 A KR1020150029255 A KR 1020150029255A KR 20150029255 A KR20150029255 A KR 20150029255A KR 101702478 B1 KR101702478 B1 KR 101702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hand
glove
outer skin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6397A (ko
Inventor
유이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솔
Priority to KR1020150029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478B1/ko
Publication of KR20160106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05Protective gloves resistant to mechanical aggressions, e.g. cutting. pierc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착방지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손을 감싸도록 수용부위가 형성된 내피부와, 이 내피부의 외부 둘레에 결합되는 외피부와, 내피부와 외피부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의 압착력을 지지하는 압착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갑의 내피부와 외피부 사이에 압착방지부를 설치함으로써, 외부의 중량물로 인한 손가락의 압착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착방지용 장갑{GLOVE FOR PREVENTING COMPRESSION}
본 발명은 압착방지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장이나 건설현장 등과 같은 산업현장에서 중량물에 의한 작업자의 손에 대한 압착을 방지하는 압착방지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의 작업현장이나 건설현장과 같은 산업현장에 근무하는 작업자는 표면이 거칠거나 날카로운 물건이나 중량물을 취급할 때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면서 물건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업용 장갑을 착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장갑은 섬유재로 이루어진 목장갑과, 특수한 작업환경에 따라 그에 적합한 용도로 제작되어진 기능성 장갑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파쇄작업이나 굴착작업, 그라인딩작업 또는 햄머작업을 할 때 발생되는 심한 충격과 진동은 작업용 장갑을 끼고 있다고 하더라도 부상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대형 중량물 제작 및 조립하는 현장에서 여러가지 부재의 맞춤, 연결, 조립의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특히, 두부재 간 연결 작업시 크레인으로 인양된 중량부재를 작업자가 목표위치로 이동한 후, 정위치에 두기 위해서 부재를 손으로 밀거나 당기는 작업을 하게 되며, 별도의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는 가죽 장갑이나 실장갑을 착용하고 중량물을 취급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과정은 크레인으로 인양된 부재가 흔들릴때나 부재를 밀고 당기면서 위치 조정을 할때 손가락이 중량부재에 충돌하여 압착되거나 예리한 절단면이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손가락 부상을 당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장갑 중에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장갑의 경우 작업장의 특성상 미비한 차이가 있겠으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손을 보호하도록 하는데,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부위와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종래의 산업용 안전장갑의 경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충격흡수부재의 부착이 불가피하나, 이러한 충격흡수부재의 부착이 오히려 작업성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시추작업에 사용되는 장갑의 경우 드릴관이나 라이저 등의 시추장비로부터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장갑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부재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충격흡수부재는 장갑을 딱딱하게 하여 장갑의 동작을 제한하며,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50514호 (1999년 07월 01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외부의 중량물로 인한 손가락의 압착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압착방지용 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중량물로 인한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손등에 대한 충격을 완충하여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손등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압착방지용 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손등에 대한 완충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내연성 및 내절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착방지용 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작업자의 손바닥이나 손등 둘레부위에 대한 내절단성을 향상시켜 작업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는 압착방지용 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손가락 마디별 및 부위별로 압착을 방지하는 동시에 손가락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착방지용 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중량물에 대한 압착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반원형상에 의해 보호캡의 공간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착방지용 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손을 감싸도록 수용부위가 형성된 내피부(10); 상기 내피부(10)의 외부 둘레에 결합되는 외피부(20); 및 상기 내피부(10)와 상기 외피부(20)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의 압착력을 지지하는 압착방지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피부(10) 또는 상기 외피부(20)의 손등 부위에 설치되어 외부의 압착력을 완충하는 패드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패드부(40)는, 손가락 및 손등의 상부를 완충하도록 난연성의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외피부(20)는, 외부의 절단력을 지지하도록 내절단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압착방지부(30)는, 손가락의 마디 사이에 설치된 손가락 보호캡; 및 손끝에 설치된 손끝 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손가락 보호캡과 상기 손끝 보호캡은, 손가락과 손끝의 둘레를 감싸도록 반원형상의 강철 고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갑의 내피부와 외피부 사이에 압착방지부를 설치함으로써, 외부의 중량물로 인한 손가락의 압착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장갑의 내피부 또는 외피부의 손등부위에 패드부를 설치함으로써, 외부의 중량물로 인한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손등에 대한 충격을 완충하여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손등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패드부의 재질은 난연성 NBR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손등에 대한 완충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내연성 및 내절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외피부를 내절단성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작업자의 손바닥이나 손등 둘레부위에 대한 내절단성을 향상시켜 작업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압착방지부로서 손가락 보호캡과 손끝 보호캡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손가락 마디별 및 부위별로 압착을 방지하는 동시에 손가락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손가락 보호캡과 손끝 보호캡을 반원형상의 강철 고리로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중량물에 대한 압착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반원형상에 의해 보호캡의 공간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착방지용 장갑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착방지용 장갑의 손가락부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착방지용 장갑의 손가락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착방지용 장갑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착방지용 장갑의 손가락부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착방지용 장갑의 손가락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압착방지용 장갑은, 내피부(10), 외피부(20) 및 압착방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장이나 건설현장 등과 같은 산업현장에서 중량물에 의한 작업자의 손(100)의 압착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압착방지용 장갑이다.
내피부(10)는, 작업자의 손을 감싸도록 내부에 수용부위가 형성된 손형상의 피복재로서, 작업자의 손끝, 손가락, 손등 및 손바닥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내피부(10)의 재질로는, 작업자의 손을 보온하거나 보호하도록 마이크 플리스(Micro Fleece)와 같은 보온재를 사용할 수 있고, 손으로부터 발생하는 땀을 외부로 배출하는 투습성과 외부로부터 빗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성을 동시에 갖는 재질의 천으로서 투습성 방수피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외피부(20)는, 내피부(10)의 외부 둘레에 결합되는 피복재로서, 외부의 절단력을 지지하도록 내절단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외피부(20)의 내절단성 재질로는, 스테인레스 면사로 직조한 직물이나 천연 라텍스 등을 사용하거나 마이크로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폼을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압착방지부(30)는, 내피부(10)와 외피부(20)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의 중량물로부터의 압착력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서, 손가락 보호캡(31)과 손끝 보호캡(32)으로 이루어져 있다.
손가락 보호캡(31)은, 내피부(10)의 손가락의 마디 사이에 끼움편(31a)을 개재해서 끼워맞춤하여 설치된 지지수단으로서, 3톤 이상의 중량에 대해서도 지지하도록 손가락의 둘레부위를 감싸도록 반원형상의 강철 고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손가락 보호캡(31)은, 외부의 중량물로부터의 압착력을 지지하도록 손등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형성된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손등부위에서 중량물의 압착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더욱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손가락 보호캡(31)은, 손바닥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형성되어 손바닥부위에서 중량물의 압착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더욱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하나의 손가락에 손등방향으로 볼록한 손가락 보호캡(31)과 손바닥 방향으로 볼록한 손가락 보호캡(31)을 교대로 설치하여, 손등부위와 손바닥부위에서 중량물의 압착을 함께 지지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손끝 보호캡(32)은, 내피부(10)의 손끝에 설치된 지지수단으로서, 3톤 이상의 중량에 대해서도 지지하도록 손끝의 둘레부위를 감싸도록 반원형상의 강철 고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손끝 보호캡(32)은, 외부의 중량물로부터의 압착력을 지지하도록 손끝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형성된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손끝부위에서 중량물의 압착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더욱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압착방지용 장갑은, 내피부(10) 또는 외피부(20)의 손등 부위에 설치되어 외부의 압착력을 완충하는 패드부(4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패드부(40)는, 손가락 및 손등의 상부를 완충하도록 난연성의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부재로서, 제1 패드(41), 제2 패드(42) 및 제3 패드(43)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패드부(40)의 재질로는, 외부의 충격이나 압착으로부터 완충하는 동시에 내절단성, 난연성 및 보온성을 증가시키도록 스틸 와이어 패드로 이루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 패드(41)는, 내피부(10) 또는 외피부(20)의 손등 부위에 설치된 완충부재로서, 손등에서 손가락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길게 배치되어 손등 부위를 외부의 충격이나 압착으로부터 완충하게 된다.
제2 패드(42)는, 내피부(10) 또는 외피부(20)의 손등과 손가락 사이의 돌출부위에 설치된 완충부재로서, 손등과 손가락 사이의 돌출부위에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패드가 배치되어 손등과 손가락 사이의 돌출부위를 외부의 충격이나 압착으로부터 완충하게 된다.
제3 패드(43)는, 내피부(10) 또는 외피부(20)의 손가락의 마디 사이에 설치된 완충부재로서, 손가락의 마디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길게 배치되어 손가락 부위를 외부의 충격이나 압착으로부터 완충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장갑의 내피부와 외피부 사이에 압착방지부를 설치함으로써, 외부의 중량물로 인한 손가락의 압착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장갑의 내피부 또는 외피부의 손등부위에 패드부를 설치함으로써, 외부의 중량물로 인한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손등에 대한 충격을 완충하여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손등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패드부의 재질은 난연성 NBR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손등에 대한 완충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내연성 및 내절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외피부를 내절단성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작업자의 손바닥이나 손등 둘레부위에 대한 내절단성을 향상시켜 작업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압착방지부로서 손가락 보호캡과 손끝 보호캡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손가락 마디별 및 부위별로 압착을 방지하는 동시에 손가락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손가락 보호캡과 손끝 보호캡을 반원형상의 강철 고리로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중량물에 대한 압착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반원형상에 의해 보호캡의 공간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내피부 20: 외피부
30: 압착방지부 40: 패드부

Claims (6)

  1. 손을 감싸도록 수용부위가 형성된 내피부(10);
    상기 내피부(10)의 외부 둘레에 결합되는 외피부(20); 및
    상기 내피부(10)와 상기 외피부(20)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의 압착력을 지지하는 압착방지부(30); 및
    상기 내피부(10) 또는 상기 외피부(20)의 손등 부위에 설치되어 외부의 압착력을 완충하는 패드부(40);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40)는, 손등에서 손가락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길게 배치되어 있는 제1 패드; 손등과 손가락 사이의 돌출부위에 대략 사각형상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있는 제2 패드; 및 손가락의 마디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길게 배치되어 있는 제3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압착방지부(30)는,
    손가락의 마디 사이에 끼움편을 개재해서 끼워맞춤하여 설치되되, 외부의 중량물로부터의 압착력을 지지하도록 손등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형성된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손가락의 둘레부위를 감싸도록 반원형상의 강철 고리로 이루어져 있는 손가락 보호캡; 및
    손끝의 둘레에 설치되되, 외부의 중량물로부터의 압착력을 지지하도록 손끝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형성된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손끝의 둘레를 감싸도록 반원형상의 강철 고리로 이루어져 있는 손끝 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방지용 장갑.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40)는, 손가락 및 손등의 상부를 완충하도록 난연성의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방지용 장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20)는, 외부의 절단력을 지지하도록 내절단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방지용 장갑.
  5. 삭제
  6. 삭제
KR1020150029255A 2015-03-02 2015-03-02 압착방지용 장갑 KR101702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255A KR101702478B1 (ko) 2015-03-02 2015-03-02 압착방지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255A KR101702478B1 (ko) 2015-03-02 2015-03-02 압착방지용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397A KR20160106397A (ko) 2016-09-12
KR101702478B1 true KR101702478B1 (ko) 2017-02-03

Family

ID=5695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255A KR101702478B1 (ko) 2015-03-02 2015-03-02 압착방지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4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364B1 (ko) 1991-02-06 1999-08-02 데이비드 에프. 렘 내절단성 얀 및 보호 어패럴
JP2002129417A (ja) * 2000-10-17 2002-05-09 Tomutekkusu Kk 防護用手袋
KR100960362B1 (ko) 2009-11-02 2010-05-28 국일통상 주식회사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514Y1 (ko) 1997-06-21 1999-07-01 은경표 충격흡수용 장갑
US7788737B2 (en) * 2005-12-08 2010-09-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ut resistant glove and appar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364B1 (ko) 1991-02-06 1999-08-02 데이비드 에프. 렘 내절단성 얀 및 보호 어패럴
JP2002129417A (ja) * 2000-10-17 2002-05-09 Tomutekkusu Kk 防護用手袋
KR100960362B1 (ko) 2009-11-02 2010-05-28 국일통상 주식회사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397A (ko) 2016-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445B1 (ko) 산업용 장갑
WO2018085543A3 (en) Protective glove including impact protection
US6101628A (en) Thumb protection device
US20160029721A1 (en) Concealed impact glove
KR200396231Y1 (ko) 안전장갑
JP2005325456A (ja) 防護用作業手袋
KR101702478B1 (ko) 압착방지용 장갑
US20150164158A1 (en) Protective overglove for glove-box gloves
KR200275965Y1 (ko) 내열 및 방수작업용 안전장갑
KR20130049872A (ko) 손가락 보호용 안전장갑
KR20080102819A (ko) 보호 막대가 수용된 손목 보호대
KR102293508B1 (ko) 손가락 단부 보호장갑
KR101821614B1 (ko) 용접 작업용 기능성 장갑
KR101713763B1 (ko) 손가락 보호용 안전장갑
KR200435596Y1 (ko) 방검 및 내화용 안전장갑
KR101368415B1 (ko) 용접용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200189041Y1 (ko) 작업용 안전장갑
RU2438533C2 (ru) Рукавицы виброзащитные типа кс
KR200342583Y1 (ko) 작업복용 어깨보호대
KR200471041Y1 (ko) 장갑
KR200459777Y1 (ko) 보호용 사지 장갑
KR101576496B1 (ko) 용접 작업용 장갑과 그 제작 방법
RU2450784C1 (ru) Рабочие рукавицы
RU2450783C1 (ru) Рабочая рукавица с креплением упруго-демпфирующих элементов посредством накладок
CN211153962U (zh) 一种具有减震的安全手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