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362B1 -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362B1
KR100960362B1 KR1020090104919A KR20090104919A KR100960362B1 KR 100960362 B1 KR100960362 B1 KR 100960362B1 KR 1020090104919 A KR1020090104919 A KR 1020090104919A KR 20090104919 A KR20090104919 A KR 20090104919A KR 100960362 B1 KR100960362 B1 KR 100960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ithelium
hand
finger
protective member
safety gl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정덕
Original Assignee
국일통상 주식회사
전정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일통상 주식회사, 전정덕 filed Critical 국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4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05Protective gloves resistant to mechanical aggressions, e.g. cutting. pierc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06Gloves made of several layers of ma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10B233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aromatic polyamides, e.g. aram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피와 하피로 구성되는 안전장갑에 있어서, 아라미드 원단과 내피가 합포된 각각의 보호부재를 장갑의 상피 내측면에 결합시키므로써,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작업 시 착용자의 손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으며, 작업 공구 등의 물체를 쥐는 접지력이 우수하여 손놀림이 자유롭고 편안하여 우수한 착용감과 작업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장갑의 상피 내측면으로 아라미드 섬유 재질의 원단과 내피가 합포된 보호부재를 결합시켜 컷터기, 그라인더, 회전톱 등을 사용하는 작업 현장에서 착용자의 손의 상부면(손등 및 손가락 상부)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도록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장갑의 상피 내측면에 결합되는 보호부재는 상피와 하피의 봉제단계에서 함께 봉제되지 않고 상피와 하피만이 봉제되는 크기로 재단되어져 결합됨으로써, 봉제된 장갑의 전체 두께와 손바닥 및 장갑의 가장자리의 두께가 두껍지 않아 유연하여 착용자의 손놀림이 편안할 뿐만 아니라, 기계, 공구 등의 물체를 손바닥에 밀착시켜 쥐거나, 작업 공구 등의 작업물체를 손으로 장시간 반복적으로 쥐는 등의 작업 시 과도한 악력이 요구되지 않아 손관절 부분이 편안한 착용감과 우수한 작업성을 제공하는 것이 장점이다.
안전장갑, 아라미드 원단, 내피, 손가락 보호부재, 손등 보호부재, 착용감, 안전성

Description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Safety gloves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피와 하피로 구성되는 안전장갑에 있어서, 아라미드 원단과 내피가 합포된 각각의 보호부재를 장갑의 상피 내측면에 결합시키므로써,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작업 시 착용자의 손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으며, 작업 공구 등의 물체를 쥐는 접지력이 우수하여 손놀림이 자유롭고 편안하여 우수한 착용감과 작업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에서 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작업자는 손을 보호하거나 작업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갑을 착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장갑은 그 목적에 따라 면이나 나일론 등의 다양한 종류의 섬유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즉, 프레스 작업이나 컷터기, 그라인더, 회전톱 등과 같은 회전체를 이용한 작업시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안전장갑이 사용되고, 이러한 안전장갑은 주로 면 등의 직물재 소재로서, 착용감이 간편하고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여 작업 현장에서 일반 작업자들이 널리 착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 장갑은 주로 직물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착용감이 우수한 반면 작업 현장에서 날카로운 물건 등으로부터 작업자의 손 또는 손가락을 보호하기 어렵고, 인장력이 우수한 피혁재의 장갑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 또한 칼이나 컷터기 등과 같은 날카로운 회전체, 고정체로부터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으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해 다수의 장갑을 겹쳐서 끼거나 재질이 두꺼운 장갑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손놀림이 둔화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같은 무게의 강철보다 5배가 강도가 높은 현존하는 섬유 중에서 가장 강한 소재로 500℃에서도 연소되지 않는 뛰어난 내열성과 화학 약품에 대한 강한 내약품성을 지닌 고기능성 물질인 아라미드 섬유를 장갑의 제조에 이용하여 작업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러한 아라미드 섬유는 금속이나 무기 재료에 비해 가볍고 잘 마모되지 않으며, 가공이 편리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고성능 타이어, 호스, 벨트, 광케이블 보강재 및 방탄복, 방탄헬멧, 브리에크 마찰재, 가스킷 재료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손에 상처를 줄 수 있는 위험한 작업을 하는 경우 주로 아라미드 계통의 섬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장갑을 착용하게 되는데, 상기 아라미드 계통의 섬유로 직조된 장갑의 경우 물건의 취급시 매우 미끄럽고, 재질이 뻣뻣하여 사용자의 손놀림이 둔화되어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특허기술들을 살펴보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75965호(2002. 5. 18. 공고)로 내열성이 우수한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손가락 부위에는 미끄럼 방지부재(12)가 봉착되며 손목부위에는 조임밴드(16)와 걸고리(18)가 결합된 외피(10)와, 투습방수원단으로 이루어진 내피(20)가 구비된 안전장갑에 있어서, 상기 외피(10)와 내피(20) 사이에 파라계 아라미드 원사로 제작된 니트장갑형태의 중간피(30)가 삽입되고, 상기 외피(10)의 손등부위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완충부재가 내설·봉착되어 손등보호부(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및 방수 작업용 안전장갑"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들의 장갑은 방수성과 내열성을 가지는 장점을 가지지만 3중의 외피, 중간피 및 내피가 상호간에 접촉되어지는 선단부와 가장자리를 재봉한 것으로 제조된 3중의 층을 갖는 장갑이 두껍고 뻣뻣하여 착용자의 손놀림이 둔화되어 작업 효율이 저하되고, 특히 기계, 공구 등의 물체를 손바닥에 밀착시켜 쥐지 못하거나, 컷터기, 그라인더, 회전톱 등 작업 현장에서 공구, 작업물체를 손으로 장시간 반복적으로 쥐는 등의 작업 시 악력을 과도하게 가해야 하므로 손이 저리거나, 손부위 등에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실제 안정성을 요구하는 산업 현장에서의 실용성이 저조하였다.
또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96231호(2005. 9. 21. 공고)로 장갑의 손바닥부를 진피, 외피 및 안전구로 형성하고 방탄필름의 재료로 구성된 진피와, 특수 코팅된 재질 및 미끄럼을 방지하고 파지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외피와, 쇠, 철심 등의 금속류, 강화 플라스틱, 방탄필름으로 구성된 안전구로 구성하여 사용자 부주의 및 외부 요인에 의해 사용자의 손을 이중으로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갑"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또한, 손바닥부가 2중 또는 3중의 층의 구조로 된 장갑이 제조되어 착용자가 장시간 반복적으로 작업 물체를 쥐고 등의 작업시 악력을 가도하게 사용하여 손이 저리거나 아픈 현상이 발생하고, 특히 그라인더, 컷터기, 회전톱 등과 같은 공구의 작업 시에는 손바닥부가 노출되지 않고 손등부가 위험에 노출되므로서, 이러한 공구의 작업에서는 실용성이 없어 사용이 적절치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안전장갑의 상피 내측면으로 강도, 내열성, 내절단성 및 내마모성의 성능이 매우 우수한 아라미드 섬유 재질의 원단과 내피가 합포된 보호부재를 결합시켜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므로써, 컷터기, 그라인더, 회전톱 등을 사용하는 작업 현장에서 착용자의 손의 상부면(손등 및 손가락 상부)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장갑의 상피 내측면에 결합되는 손가락 보호부재는 엄지의 전체 길이 및 검지 내지 소지의 첫째 관절에서부터 셋째 관절까지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며, 각 보호부재는 상피와 하피를 결합하기 위한 봉제선보다 내측으로 위치되는 크기를 가지므로써, 상피와 하피의 봉제단계에서 보호부재는 함께 봉제되지 않고 상피와 하피만이 봉제되므로써, 봉제된 장갑의 전체 두께 및 장갑의 가장자리의 두께가 두껍지 않아 유연하여 접지력이 우수하고, 착용자의 손놀림이 편안할 뿐만 아니라, 기계, 공구 등의 물체를 손바닥에 밀착시켜 쥐거나, 작업 공구 등의 작업물체를 손으로 장시간 반복적으로 쥐는 등의 작업 시 적당한 악력으로도 충분한 작업성을 부여하여 편안한 착용감과 작업성을 제공하는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피와 하피로 구성되는 안전장갑에 있어서,
상기 상피(300)의 내측 면에는 보호부재(600)가 결합되되;
상기 보호부재(600)는 아라미드 원단(500)과 이 아라미드 원단(500)을 보호하기 위한 내피(4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부재(600)는 엄지의 전체 길이 및 검지 내지 소지의 첫째 관절에서부터 셋째 관절까지에 해당하는 길이와 각 손가락 삽입부 폭의 내측에 위치하는 크기를 갖는 손가락 보호부재(640)와, 손등을 커버하고 손등부 폭의 내측에 위치하는 크기를 갖는 손등 보호부재(630)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갑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단, 상기 보호부재는 각각 상피(300) 및 하피(200)를 결합하기 위한 봉제선(700)보다 내측으로 위치되어져 봉제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상피(300)와 하피(200)의 소재는 가죽이고,
상기 내피(400)의 소재는 면, 모와 같은 천연섬유와, 나이론, 폴리계열의 섬유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한 혼방섬유인 것이며,
상기 아라미드 원단(500)의 두께는 0.3~0.7㎜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피(200)의 내측면에는 보호부재(600)로 엄지와 검지 사이에서부터 검지의 둘째 관절까지에 해당하는 길이와 검지 삽입부 폭의 내측에 위치하는 크기를 갖는 검지 내측 보호부재(620)가 더 결합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장갑의 상피(300)와 하피(200)를 재단하는 단계(S1);
아라미드 원단(500) 및 내피(400)를 동일한 크기로 엄지의 전체 길이 및 검지 내지 소지의 첫째 관절에서부터 셋째 관절까지에 해당하는 길이와 각 손가락 삽입부 폭의 내측에 위치하는 크기로 손가락 원단부(540) 및 손가락 내피부(440)와, 손등을 커버하고 손등부 폭의 내측에 위치하는 크기로 손등 원단부(530) 및 손등 내피부(430)로 각각 재단하는 단계(S2);
상기 (S2)단계에서 재단한 각각의 아라미드 원단(500) 및 내피(400)를 합포시켜 손가락 보호부재(640)와, 손등 보호부재(630)의 보호부재(600)를 제조하는 단계(S3);
상기 (S3)단계에서 제조한 상기 보호부재(600)는 아라미드 원단면이 상기 상피(300)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대응되도록 결합시키는 단계(S4) 및;
상기 (S4)단계에서 각각의 보호부재(600)가 결합된 상피(300) 및 하피(200)를 봉제선(700)을 따라 봉제하는 단계(S5);
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갑의 제조방법을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상기의 과제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안전장갑의 상피 내측면으로 아라미드 섬유 재질의 원단과 내피가 합포된 보호부재를 결합시켜 컷터기, 그라인더, 회전톱 등을 사용하는 작업 현장에서 착용자의 손의 상부면(손등 및 손가락 상부)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도록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장갑의 상피 내측면에 결합되는 보호부재는 상피와 하피의 봉제단계에서 함께 봉제되지 않고 상피와 하피만이 봉제되도록 재단되어져 결합됨으로써, 봉제된 장갑의 전체 두께와 손바닥부분 및 장갑의 가장자리의 두께가 두껍지 않아 유연하여 착용자의 손놀림이 편안할 뿐만 아니라, 기계, 공구 등의 물체를 손바닥에 밀착시켜 쥐거나, 작업 공구 등의 작업물체를 손으로 장시간 반복적으로 쥐는 등의 작업 시 과도한 악력이 요구되지 않아 손관절 부분이 편안한 착용감과 우수한 작업성을 제공하는 것이 장점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인 도 2 내지 9에 의거하여 상세 히 설명하며, 본 발명에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장갑 제조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본 발명에서 첨부된 도면인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장갑을 설명하기 위한 손가락 관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안전장갑의 상피 및 내피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갑의 아라미드 원단과 내피가 결합되는 보호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갑의 보호부재가 상피의 내측면에 결합된 상태 및 상피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갑의 보호부재가 결합된 상피와 하피를 결합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의 완성된 안전장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안전장갑의 검지 내측 보호부재를 포함한 보호부재가 결합된 상피와 하피를 결합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b는 도 7a의 완성된 다른 안전장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안전장갑을 도 2 내지 7b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안전장갑은 상피와 하피로 구성되는 안전장갑에 있어서,
상기 상피(300)의 내측 면에는 보호부재(600)가 결합되되;
상기 보호부재(600)는 아라미드 원단(500)과 이 아라미드 원단(500)을 보호하기 위한 내피(4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부재(600)는 엄지의 전체 길이 및 검지 내지 소지의 첫째 관절에서부터 셋째 관절까지에 해당하는 길이와 각 손가락 삽입부 폭의 내측에 위치하는 크기를 갖는 손가락 보호부재(640)와, 손등을 커버하고 손등부 폭의 내측에 위치하는 크기를 갖는 손등 보호부재(630)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갑은 손등을 보호하기 위한 손등부와, 각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한 손가락 삽입부로 구분되고, 본 발명에서 장갑의 기술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로서, 손가락의 관절에 대한 용어를 도 2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손바닥(또는 손등)의 위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손가락의 각 마디 뼈들이 연결되는 부분을 각각 첫째 관절(A, A'), 둘째 관절(B, B') 및 셋째 관절(C, C')이라 칭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호부재(600)는 각각 상피(300) 및 하피(200)를 결합하기 위한 봉제선(700)(도 6a 참조)보다 내측으로 위치되어져 봉제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호부재(600)가 상피(300)의 내측면에만 결합되어 안전장갑 전체의 두께가 너무 두껍지 않으며, 또한, 상기 봉제선(700)보다 내측으로 위치되어 져 상기 상피(300) 및 하피(200)의 결합 시 함께 봉제되지 않는 크기를 가지므로써, 상기 상피(300) 및 하피(200)만이 봉제된 안전장갑 가장자리의 시접 두께가 두껍지 않아 접지가 유연하여 착용자의 손놀림이 편안할 뿐만 아니라, 기계, 공구 등의 물체를 손바닥에 밀착시켜 쥐거나, 작업 공구 등의 작업물체를 손으로 장시간 반복적으로 쥐는 등의 작업 시 손관절 부분이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장갑의 상피(300) 및 하피(200)는 작업 공정에서 물체 또는 공구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손을 1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가죽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피(300) 및 하피(200)의 두께는 1.0~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피(300) 및 하피(200)의 두께가 1.0㎜ 미만일 경우에는 사용하는 작업 공구의 고온, 파편 등의 위험성으로부터 충분한 안정성 및 작업용 장갑의 역할을 하지 못할 우려가 있고, 두께가 1.2㎜ 초과할 경우에는 장갑으로 봉제 후 그 두께가 두꺼워 착용자의 손놀림이 불편하고, 물체의 쥐거나 사용 시의 손 감각이 둔화되어 착용감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내피(400)는 착용자의 손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면으로서, 손의 피부에 자극을 최소화하며, 합피되는 아라미드 원단(500)을 보호하기 위해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피(400)의 소재는 면, 모와 같은 천연섬유와, 나이론, 폴리계열의 섬유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한 혼방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라미드 원단(500)은 아라미드 섬유로 제조된 것으로, 파라-아라미드(para-aramid)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라-아라미드 섬유는 파라-아라미드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섬유를 의미하고,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PPD-T)가 바람직한 파라-아라미드 중합체이다. 그리고 PPD-T는 p-페닐렌 디아민 및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의 몰-대-몰 중합으로부터 생성된 단일중합체, 및 또한 p-페닐렌 디아민과 함께 소량의 다른 디아민이 혼입되고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와 함께 소량의 다른 2산 클로라이드가 혼입되어 생성된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아라미드 섬유는 인장강력, 내열성, 강인성 및 내마모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라인더, 컷터기 등의 작업 공구 등을 사용하는 작업자의 손을 부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아라미드 원단(500)의 두께는 0.3~0.7㎜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라미드 원단의 두께가 0.3㎜ 미만일 경우에는 그라인더, 컷터기 등을 사용하는 작업 현장에서 사용 시 충분한 내절단성, 내마모성 등의 아라미드 원단의 고유 특성을 나타내기 어렵고, 0.7㎜ 초과할 경우에는 제조된 안전장갑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착용자의 손놀림이 둔화되어 부자연스러워 착용감 및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도 5a 내지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조된 보호부재(600)인 손가락 보호부재(640) 및 손등 보호부재(630)는 아라미드 원단면이 상피(300)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결합되고, 상기 손가락 보호부재(640)는 엄지의 전체 길이 및 검지 내지 소지의 첫째 관절에서부터 셋째 관절까지에 해당하는 길이와 각 손가락 삽입부 폭의 내측에 위치하는 크기이고, 상기 손등 보호부재(630)는 손등을 커버하고 손등부 폭의 내측에 위치하는 크기로서, 상기 상피(300)의 내측면에 각각 손가락 삽입부와 손등부에 대응되도록 위치되어져 결합되어진다. 여기서 엄지의 손가락 보호부재(640)는 통상적으로 손을 접지하여 쥐는 동작을 취할 시 엄지가 나머지 손가락들을 감싸면서 엄지의 상부면이 외부에 노출되므로, 검지 내지 소지에 해당하는 손가락 보호부재의 길이와 달리 엄지 전체 길이로 형성되어 외부의 부상 발생 요인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보호부재가 안전장갑과 동일한 크기로 장갑의 내부로 결합되거나, 손바닥에 해당하는 하피와 동일한 크기로 하피에만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검지 내지 소지의 끝 마디를 제외한 첫째 관절에서부터 셋째 관절까지에 해당하는 길이로 손가락 보호부재(640)가 결합되고, 별도로 분리된 손등 보호부재(630)가 결합되므로써, 안전장갑의 착용 후 손을 접지 시 안전장갑의 손가락 삽입부가 당겨겨 짐에 의해 접지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손가락 각 관절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하여 손의 피로감을 덜어줌과 동시에 그라인더, 캇터기 등의 작업공구 사용에 따른 외부의 부상 위험요소로부터 손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피(200)의 내측면에는 보호부재(600)(도 4b, 도 7a 및 7b 참조)로 엄지와 검지 사이에서부터 검지의 둘째 관절까지에 해당하는 길이와 검지 삽입부 폭의 내측에 위치하는 크기를 갖는 검지 내측 보호부재(620)가 검지 삽입부에 대응되도록 위치되어져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 시 작업 물체, 작업 공구 등에 접촉 및 노출되어 부상의 우려가 있는 검지 내측을 더욱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6b 및 도 7b와 같은 본 발명의 안전장갑(100)은 상기 상피(300) 및 하피(200)의 가장자리를 봉제할 때 종래의 상피, 하피 및 중간피(보호부재) 모두를 봉제하여 장갑의 두께 및 시접의 두께 또한 두꺼워 착용자의 손놀림이 매우 부자연스러워 착용감이 저조한데 반해, 상피(300) 및 하피(200)의 가장자리만이 봉제되어지므로써, 시접의 두께도 종래에 비해 얇아 손놀림이 자연스럽고, 특히 도 2와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보는 바와 같이, 손가락의 첫째 관절을 중심으로 보호부재(600)는 각각 손가락 보호부재(640)와 손등 보호부재(630)로 분리된 것을 각각 상피(300)에 대응되도록 결합시킨 것으로 손 관절의 움직임이 매우 편안하여 우수한 작업성 및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안전장갑(100)은 손목부분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일정 길이를 갖는 손목보호부(미도시)를 더 결합시킬 수 있으며, 안전장갑(100)의 손목부분에 결합되는 손목보호부의 재질은 안전장갑(100)의 상피(300) 및 하피(200)의 재질과 동일한 소재로 가죽 소재이거나, 또는 면, 모와 같은 천연섬유와, 나이론, 폴리계열의 섬유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한 혼방섬유 등의 다양한 소재로부터 사용 목적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한 소재 및 길이로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장갑의 제조방법은 장갑의 상피(300)와 하피(200)를 재단하는 단계(S1);
아라미드 원단(500) 및 내피(400)를 동일한 크기로 엄지의 전체 길이 및 검지 내지 소지의 첫째 관절에서부터 셋째 관절까지에 해당하는 길이와 각 손가락 삽입부 폭의 내측에 위치하는 크기로 손가락 원단부(540) 및 손가락 내피부(440)와, 손등을 커버하고 손등부 폭의 내측에 위치하는 크기로 손등 원단부(530) 및 손등 내피부(430)로 각각 재단하는 단계(S2);
상기 (S2)단계에서 재단한 각각의 아라미드 원단(500) 및 내피(400)를 합포시켜 손가락 보호부재(640)와, 손등 보호부재(630)의 보호부재(600)를 제조하는 단계(S3);
상기 (S3)단계에서 제조한 상기 보호부재(600)는 아라미드 원단면이 상기 상 피(300)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대응되도록 결합시키는 단계(S4) 및;
상기 (S4)단계에서 각각의 보호부재(600)가 결합된 상피(300) 및 하피(200)를 봉제선(700)을 따라 봉제하는 단계(S5);
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2)단계에서 보호부재(600)를 이루는 아라미드 원단(500)과 내피(400)는 도 2와, 도 4a 및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엄지의 전체 길이(A'~손가락끝) 및 검지 내지 소지의 각 손가락 첫째 관절(A)에서부터 셋째 관절(C)까지에 해당되는 길이와 손가락 삽입부 폭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크기로 각각의 손가락 원단부(540) 및 손가락 내피부(440)를 동일한 크기로 재단하고, 별도로 손등을 커버하는 손등부에 해당되는 길이와 손등부 폭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크기로 손등 원단부(530) 및 손등 내피부(430)를 동일한 크기로 재단한 뒤 상기 (S3)단계에서 손가락 원단부(540) 및 손가락 내피부(440)를 대응되게 합포시켜 손가락 보호부재(640)를 제조하고, 손등 원단부(530) 및 손등 내피부(430)를 대응되게 합포시켜 손등 보호부재(630)를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 (S4)단계에서 상기 보호부재(600)는 각각 상피(300) 및 하피(200)를 결합하기 위한 봉제선(700)보다 내측으로 위치되어져 봉제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여기서 상기 아라미드 원단(500) 및 내피(400)를 재단하는 단계(S2)에서 각각의 폭은 상기 상피(300)의 각각의 손가락 삽입부 및 손등부 폭의 양끝단에 상기 상피(300) 및 하피(200)의 결합시 형성되어지는 봉제선(700)보다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는 크기로 재단하여야 하고, 상기의 봉제선(700)과의 간격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상피(300) 및 하피(200)의 소재 두께에 따라 봉제 후 뒤집었을 때 각각의 보호부재(600) 끝단과 봉제선(700) 및 시접과 중첩되어 착용자의 손놀림이 불편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피(300) 및 하피(200)의 가죽 두께를 고려하여 상기 아라미드 원단(500) 및 내피(400)의 폭은 봉제선(700)으로부터 0.1~0.5㎜의 간격으로 내측에 위치되는 크기로 재단하여 보호부재(600)를 제조하고, 상피(300)에 결합시켰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아라미드 원단(500)과 내피(400)로 이루어지는 보호부재(600)는 오버로크(overlock) 처리에 의한 봉제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결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도면과 달리 일반 박음질이나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검지 내측 원단부(520) 및 검지 내측 내피부(420)는 상기의 상피(300)에 결합되는 손가락 보호부재(640) 및 손등 보호부재(630)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피(200)의 검지 손가락부의 폭 양끝단에 상기 상피(300) 및 하피(200)의 결합시 형성되어지는 봉제선(700)보다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그 크기를 조절하여 재단하여야 하고, 제조된 검지 내측 보호부재(620)는 각각 상피(300) 및 하피(200)를 결합하기 위한 봉제선(700)보다 내측으로 위치되어져 봉제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상피(300) 및 하피(200), 아라미드 원단(500), 내피(400)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안전장갑(100)은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컷터기, 그라인 더, 회전톱 등을 사용하는 작업 현장에서 착용자의 손의 상부면(손등 및 손가락 상부)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고, 특히 봉제된 장갑의 전체 두께와 손바닥 및 장갑의 가장자리의 두께가 두껍지 않아 유연하여 접지력이 우수하므로써, 착용자의 손놀림이 편안할 뿐만 아니라, 기계, 공구 등의 물체를 손바닥에 밀착시켜 쥐거나, 작업 공구 등의 작업물체를 손으로 장시간 반복적으로 쥐는 등의 작업 시 과도한 악력이 요구되지 않아 손관절 부분이 편안한 착용감과 우수한 작업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을 아래의 실시예에 의거해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아래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두께가 1.0㎜인 스프린터 가죽 소재를 상피와 하피의 크기로 재단하고, 상기 상피와 하피의 내측면에 봉제선을 은펜으로 표시하였다.
그리고 0.5㎜의 두께를 갖는 아라미드 원단 및 면 소재의 내피를 동일한 크기로 엄지의 전체 길이 및 검지 내지 소지의 첫째 관절에서부터 셋째 관절까지에 해당하는 길이와 손가락 삽입부에 은펜으로 표시된 봉제선보다 2㎜ 내측으로 위치되는 폭의 크기로 손가락 원단부 및 손가락 내피부와, 손등을 커버하고 손등부에 은펜으로 표시된 봉제선보다 2㎜ 내측으로 위치되는 폭의 크기로 손등 원단부 및 손등 내피부를 각각 재단하였다.
상기 재단한 각각의 아라미드 원단 및 내피를 오버로크 처리하여 합포시켜 손가락 보호부재 및 손등 보호부재의 보호부재를 제조한 다음 상기 각각의 손가락 보호부재 및 손등 보호부재는 아라미드 원단면이 상기 상피의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대응되고 상기 봉제선보다 내측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봉제에 의해 결합시켰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보호부재가 결합된 상피 및 하피를 봉제선을 따라 봉제하여 안전장갑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장갑을 제조하되, 상기 아라미드 원단과 내피는 상기 상피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각각 재단하여 오버로크 처리에 의해 상기 아라미드 원단과 내피가 합포된 단일 형상의 보호부재를 제조한 뒤 상피와 하피를 봉제선에 따라 봉제 시 함께 봉제하여 안전장갑을 제조하였다.
구 분 실시예 1 비교예 1 시험방법
마모저항성 4,000 회 4,000 회 EN388:1994 6.1
착용감 × -
1) 마모저항성 : KS K ISO 11393-4의 휴대용 체인톱 사용자용 보호복-제4부: 보호 장갑에 대한 시험방법 및 요구성능에 준하여 실험하였으며, 장갑의 소재 겉면의 상피 및 보호 소재인 아라미드 원단까지 시험하였다.
2) 착용감 : 남·여 각각 20명의 패널요원을 통해 접지력, 집는 능력, 그립력, 손의 피로감을 관능 평가한 후 그 평균을 측정하였다.
- ○ : 접지력이 매우 우수하고, 손놀림이 편안함
- △ : 접지력이 보통이며, 손놀림이 약간 불편함
- × : 접지력이 매우 나쁘고, 손놀림이 매우 불편함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은 장갑의 상피 및 하피의 내측면에 각각의 별도로 재단되어 결합된 보호부재를 결합시킨 것으로 상기 상피와 하피를 결합시키기 위한 봉제 시 상기의 보호부재는 함께 봉제되지 않은 것으로 마모저항성이 비교예 1과 거의 동일하면서도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지력이 매우 우수하며, 집는 능력, 그립력이 매우 편안하고 자연스럽고, 손의 피로감 적어 착용감에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비교예 1은 장갑의 상피 및 하피의 내측면에 상기 상피 및 하피와 동일한 크기로 재단한 아라미드 원단과 내피가 합포된 단일 형상의 보호부재를 상기 상피와 하피를 결합시키기 위한 봉제 단계에서 함께 봉제하여 제조한 것으로 봉제한 시접이 너무 두꺼워 착용감이 불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첫째관절 부위를 중심으로 분리된 별도의 보호부재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일체형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을 접지할 경우 매우 뻣뻣하고, 불편하여 접지력이 나쁘며, 집는 능력 및 그립력이 매우 좋지 않고 손의 피로감이 매우 큰 것으로 평가되어 전체적인 착용감의 평가 결과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안전장갑의 접지력을 보여주는 착용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안전장갑의 접지력을 보여주는 착용 상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3중 구조로 이루어진 안전 장갑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장갑을 설명하기 위한 손가락 관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안전장갑의 상피 및 내피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갑의 아라미드 원단과 내피가 결합되는 보호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갑의 보호부재가 상피의 내측면에 결합된 상태 및 상피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갑의 보호부재가 결합된 상피와 하피를 결합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의 완성된 안전장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안전장갑의 검지 내측 보호부재를 포함한 보호부재가 결합된 상피와 하피를 결합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완성된 다른 안전장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안전장갑의 접지력을 보여주는 착용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안전장갑의 접지력을 보여주는 착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안전장갑
200 : 하피 300 : 상피
400 : 내피 420 : 검지 내측 내피부
430 : 손등 내피부 440 : 손가락 내피부
500 : 아라미드 원단 520 : 검지 내측 원단부
530 : 손등 원단부 540 : 손가락 원단부
600 : 보호부재 620 : 검지 내측 보호부재
630 : 손등 보호부재 640 : 손가락 보호부재
700 : 봉제선

Claims (10)

  1. 상피와 하피로 구성되는 안전장갑에 있어서,
    상기 상피의 내측 면에는 보호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보호부재는 아라미드 원단과 이 아라미드 원단을 보호하기 위한 내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부재는 엄지의 전체 길이 및 검지 내지 소지의 첫째 관절에서부터 셋째 관절까지에 해당하는 길이와 각 손가락 삽입부 폭의 내측에 위치하는 크기를 갖는 손가락 보호부재와, 손등을 커버하고 손등부 폭의 내측에 위치하는 크기를 갖는 손등 보호부재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각각 상피 및 하피를 결합하기 위한 봉제선보다 내측으로 위치되어져 봉제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피와 하피의 소재는 가죽이고,
    상기 내피의 소재는 면, 모와 같은 천연섬유와, 나이론, 폴리계열의 섬유로 부터 선택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한 혼방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라미드 원단의 두께는 0.3~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갑.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피의 내측면에는 보호부재로 엄지와 검지 사이에서부터 검지의 둘째 관절까지에 해당하는 길이와 검지 삽입부 폭의 내측에 위치하는 크기를 갖는 검지 내측 보호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갑.
  6. 장갑의 상피와 하피를 재단하는 단계(S1);
    아라미드 원단 및 내피를 동일한 크기로 엄지의 전체 길이 및 검지 내지 소지의 첫째 관절에서부터 셋째 관절까지에 해당하는 길이와 각 손가락 삽입부 폭의 내측에 위치하는 크기로 손가락 원단부 및 손가락 내피부와, 손등을 커버하고 손등부 폭의 내측에 위치하는 크기로 손등 원단부 및 손등 내피부로 각각 재단하는 단계(S2);
    상기 (S2)단계에서 재단한 각각의 아라미드 원단 및 내피를 합포시켜 손가락 보호부재와, 손등 보호부재의 보호부재를 제조하는 단계(S3);
    상기 (S3)단계에서 제조한 상기 보호부재는 아라미드 원단면이 상기 상피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대응되도록 결합시키는 단계(S4) 및;
    상기 (S4)단계에서 각각의 보호부재가 결합된 상피 및 하피를 봉제선을 따라 봉제하는 단계(S5);
    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갑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S4)단계에서 상기 보호부재는 각각 상피 및 하피를 결합하기 위한 봉제선보다 내측으로 위치되어져 봉제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갑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피와 하피의 소재는 가죽이고,
    상기 내피의 소재는 면, 모와 같은 천연섬유와, 나이론, 폴리계열의 섬유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한 혼방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갑의 제조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라미드 원단의 두께는 0.3~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갑의 제조방법.
  10. 삭제
KR1020090104919A 2009-11-02 2009-11-02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100960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919A KR100960362B1 (ko) 2009-11-02 2009-11-02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919A KR100960362B1 (ko) 2009-11-02 2009-11-02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362B1 true KR100960362B1 (ko) 2010-05-28

Family

ID=42282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919A KR100960362B1 (ko) 2009-11-02 2009-11-02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36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777Y1 (ko) * 2011-07-15 2012-06-13 반용화 보호용 사지 장갑
KR101178741B1 (ko) 2011-03-22 2012-08-31 주식회사 이든 가죽장갑
KR101310205B1 (ko) 2012-09-11 2013-09-24 전정덕 용접용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101368415B1 (ko) * 2012-08-13 2014-02-28 전정덕 용접용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06397A (ko) * 2015-03-02 2016-09-12 주식회사 해솔 압착방지용 장갑
KR20160004351U (ko) * 2016-10-19 2016-12-20 이우성 레펠용 장갑
KR101790610B1 (ko) * 2016-05-13 2017-10-26 국일통상 주식회사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작업용 장갑
KR101891123B1 (ko) * 2017-06-01 2018-08-23 국일통상 주식회사 손가락 및 손등 보호 기능과 충격흡수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작업용 안전장갑
KR102559793B1 (ko) * 2023-02-03 2023-07-26 (주)제이에프앤씨 소방 방화 장갑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47352B1 (ko) * 2022-11-03 2024-03-12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헤어미용 장갑
RU224989U1 (ru) * 2023-12-29 2024-04-1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БРИЗ" Защитная перчатка от порезов ручной цепной пило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683U (ko) 1978-07-04 1980-01-21
JPH08118548A (ja) * 1994-10-21 1996-05-14 Atom Kk 耐刺通性シートおよび耐刺通性シート被覆のゴム張り手袋
JP2004308018A (ja) 2003-04-01 2004-11-04 Nippon Felt Co Ltd 耐熱手袋
KR100664645B1 (ko) 2006-02-14 2007-01-04 김성은 산업용 안전 장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683U (ko) 1978-07-04 1980-01-21
JPH08118548A (ja) * 1994-10-21 1996-05-14 Atom Kk 耐刺通性シートおよび耐刺通性シート被覆のゴム張り手袋
JP2004308018A (ja) 2003-04-01 2004-11-04 Nippon Felt Co Ltd 耐熱手袋
KR100664645B1 (ko) 2006-02-14 2007-01-04 김성은 산업용 안전 장갑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741B1 (ko) 2011-03-22 2012-08-31 주식회사 이든 가죽장갑
KR200459777Y1 (ko) * 2011-07-15 2012-06-13 반용화 보호용 사지 장갑
KR101368415B1 (ko) * 2012-08-13 2014-02-28 전정덕 용접용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101310205B1 (ko) 2012-09-11 2013-09-24 전정덕 용접용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101702478B1 (ko) 2015-03-02 2017-02-03 주식회사 해솔 압착방지용 장갑
KR20160106397A (ko) * 2015-03-02 2016-09-12 주식회사 해솔 압착방지용 장갑
KR101790610B1 (ko) * 2016-05-13 2017-10-26 국일통상 주식회사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작업용 장갑
KR20160004351U (ko) * 2016-10-19 2016-12-20 이우성 레펠용 장갑
KR200487035Y1 (ko) 2016-10-19 2018-08-30 주식회사 이레산업 레펠용 장갑
KR101891123B1 (ko) * 2017-06-01 2018-08-23 국일통상 주식회사 손가락 및 손등 보호 기능과 충격흡수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작업용 안전장갑
KR102647352B1 (ko) * 2022-11-03 2024-03-12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헤어미용 장갑
KR102559793B1 (ko) * 2023-02-03 2023-07-26 (주)제이에프앤씨 소방 방화 장갑 및 이의 제조 방법
RU224989U1 (ru) * 2023-12-29 2024-04-1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БРИЗ" Защитная перчатка от порезов ручной цепной пило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362B1 (ko)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US9655393B2 (en) Layered structural fire glove
CA2618320C (en) Protective glove
KR101891123B1 (ko) 손가락 및 손등 보호 기능과 충격흡수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작업용 안전장갑
US4752973A (en) Glove
KR100908071B1 (ko) 내열 방수 장갑
CN111642843A (zh) 一种医疗防护服及其生产工艺
KR101790610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작업용 장갑
CN210869968U (zh) 一种便于分离组合使用的护腕手套
KR101310205B1 (ko) 용접용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101368415B1 (ko) 용접용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EP2409585A2 (en) Chainsaw Protective Trousers Or Chaps
KR100426604B1 (ko) 내열 방수 장갑
CN212139385U (zh) 一种可拆卸领袖口的防割防化服
AU2018100359A4 (en) Garment Manufacturing Method
KR200386505Y1 (ko) 면장갑
KR200472300Y1 (ko) 작업용 장갑
CN213992575U (zh) 防护手套
KR200266996Y1 (ko) 내열 방수 장갑
CN215958474U (zh) 一种阻燃隔离衣
KR101576496B1 (ko) 용접 작업용 장갑과 그 제작 방법
KR102559793B1 (ko) 소방 방화 장갑 및 이의 제조 방법
CN217117610U (zh) 一种21针尼龙玻纤纺织内胆手套
KR102177612B1 (ko) 내절단성 앞치마
RU208514U1 (ru) Виброзащитная перчат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