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8633U - 무릎 보호대 - Google Patents

무릎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8633U
KR19980068633U KR2019980016678U KR19980016678U KR19980068633U KR 19980068633 U KR19980068633 U KR 19980068633U KR 2019980016678 U KR2019980016678 U KR 2019980016678U KR 19980016678 U KR19980016678 U KR 19980016678U KR 19980068633 U KR19980068633 U KR 199800686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sponge pad
protector
main body
prot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0099Y1 (ko
Inventor
김영섭
Original Assignee
김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섭 filed Critical 김영섭
Priority to KR2019980016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099Y1/ko
Publication of KR199800686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6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099Y1/ko

Link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릎을 바닥에 접하고 작업을 하는 인부들과 운동선수 그리고 놀이기구를 즐기는 어린이 등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무릎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무릎관절이 원활히 굴신될 수 있으며, 무릎 보호대 안쪽으로 땀이 차지 않도록 하고, 무릎 부위를 완전히 밀착 및 감싼 상태를 항상 유지하면서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결착밴드를 상,하부에 봉합한 본체의 외피는 망사를 소재로 하고 보호구가 통기공을 갖는 리벳에 의해 부착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함께 테두리가 봉합되어 주머니 형상을 만드는 후면부의 중앙부분에 상기 발포 스폰지 패드를 삽입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에 끼워 넣어지는 다수의 통기공을 천공한 발포 스폰지 패드가 무릎의 슬관절의 움직이는 형태에 따라 곡선형태가 변화하면서 보호하도록 중앙에 양측의 연결살이 남도록 원형으로 절단하며, 양측에 절개홈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무릎 보호대는 무릎 슬관절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아 착용감이 양호하며, 무릎관절부위의 피부와 밀착되어 있더라도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져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고, 무릎 부위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충격 등에 대한 보호 효과가 크다. 또한 팔꿈치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Description

무릎 보호대
본 고안은 무릎을 바닥에 접하고 작업을 하는 인부들과 운동선수 그리고 놀이기구를 즐기는 어린이 등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무릎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착밴드를 부착한 무릎 보호대를 무릎에 착용하여 무릎을 보호하고, 무릎관절이 원활히 굴신될 수 있으며, 착용한 무릎 보호대 안쪽과 무릎부위 사이에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져 땀이 차지 않도록 한 무릎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릎을 바닥에 접하고 작업을 하는 인부들과 운동선수 그리고 놀이기구를 즐기는 어린이 등의 무릎은 시멘트 바닥이나 아스팔트 등에 노출이 되어 있어, 작업, 격렬한 동작 또는 롤러 스케이트와 같은 놀이기구를 이용하는 중에 바닥과의 잦은 접촉이나 접촉에 의한 충격으로 상처를 입게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무릎 보호대를 착용해야 하는데, 종래에 무릎을 보호하는 방법들로는 원형 편직물 양단에 탄성밴드를 부착하고, 상기 편직물 일면에 무릎보호부가 부착되며, 그 이면에 통풍구를 형성한 무릎 보호대와 발포성 기공을 형성한 유연한 합성수지 부직포로 덮개본체를 형성하고 그 전면에 딱딱한 합성수지제 보호판을 용착한 무릎 보호대, 또는 2매의 가요성 합성수지를 접착시켜 그사이에 공기 팽창부를 형성하고 일단에 공기 압축구와 공기 배출구를 설치한 공기 팽창 밴드를 내마찰성 바깥쪽 천과 부드러운 안쪽 천 사이에 삽입하여 구성된 무릎 보호대 등이 있었으나 이들은 착용이 불편하고, 무릎부위의 굴신이 자연스럽지 못하며, 통풍이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접촉에 의한 충격 시에 완충작용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95-7432호(1995.9.11)에 게재된 무릎 보호대는 무릎 보호부와 정강이보호부 사이에 굴곡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정강이 부위까지의 보호와 경량화를 위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고발포폴리에치렌시트로 형성시키고 그 표면에 나일론 옥스포드지를 일체로 접착시키므로 써 경량화를 도모하고 표면강도를 향상시키며, 상부 무릎보호부와 하부의 정강이 보호부를 일체로 형성시키되 그 사이에 얇은 굴신부를 형성시켜 정강이를 보호하면서도 무릎의 굴신이 용이하도록 하며, 주연부에 박엽부를 형성시켜 이에 테두리부재를 봉착할 수 있게 하고, 박엽부에 봉착하는 테두리부재로서 고무사로 직조된 밴드를 사용하여 무릎 보호대의 주연이 안쪽으로 굴곡 되도록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무릎 보호대는 무릎 부위의 굴신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통풍이 용이하지 못하며, 접촉에 의한 충격 시에 완충작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모든 무릎 보호대는 합성수지제 및 금속으로 성형한 보호부를 본체의 전면에 부착하는 수단으로서 본체의 배면에서 전면으로 관통되는 리벳에 의하여 고정하는 구성이므로 사용중에 충격이 가해지면 배면에 노출되고 무릎에 접하는 리벳이 무릎에 직접적으로 충격을 가하게 되어 타박상 등의 상처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무릎 보호대를 착용하여 사용할 때에 본체내에 수용된 발포 스폰지 패드가 무릎의 슬관절이 굴신되는 형태와 동일하게 변형되면서 무릎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충격 흡수의 효과와 착용감을 좋게 하며, 착용된 무릎 보호대 안쪽과 무릎부위 사이에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져 땀이 차지 않도록 한 무릎 보호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본체에 스폰지 패드가 삽입되어 있는 모양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폰지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무릎이 펴진 상태에서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무릎이 펴진 상태에서 착용된 상태의 스폰지 패드의 모양을 도시한 측면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무릎이 굽혀진 상태에서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무릎이 굽혀진 상태에서 착용된 상태의 스폰지 패드의 모양을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릎 보호대 2 : 본체
3 : 결착밴드 4 : 스폰지 패드
5 : 전면부 6 : 후면부
10 : 외피 11 : 보호구
12 : 리벳 21 : 매직테이프
22 : 고무밴드 23 : 개구부
30 : 통기공 31 : 측면 절개홈
32 : 중앙 절개홈 33 : 연결살
34 : 원형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무릎 보호대는 무릎에 접할 수 있도록 곡면 형상으로 성형된 발포 스폰지 패드를 감싸도록 외피의 테두리를 봉합하여 본체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 전면 중앙부분에 위치되면서 배면으로부터 관통된 리벳으로 보호구를 부착하고, 상기 본체의 상,하부에 매직테이프 및 고무밴드로 이루어진 결착밴드를 봉합한 것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망사를 소재로 하고 보호구가 통기공을 갖는 리벳에 의해 부착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함께 테두리가 봉합되어 주머니 형상을 만드는 후면부의 중앙부분에 상기 발포 스폰지 패드를 삽입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외피에 끼워 넣어지는 다수의 통기공을 천공한 발포 스폰지 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포 스폰지 패드가 무릎의 슬관절의 움직일 때에 착용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무릎의 슬관절의 움직이는 자세 즉 그 변형되는 형태에 따라 곡선형태가 변화하면서 무릎을 보호하도록 중앙 부위를 원형으로 절단하여 원형부를 형성하되 원형의 원형부가 양측의 연결살에 의해 자체에 연결되어 있도록 하고, 상기 원형부의 양측 수직 외측면 부위에 V자형 절개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무릎 보호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무릎 보호대(1)는 지면 및 물체 등에 접촉으로 인한 충격에서 보호하기 위한 보호구(21)를 전면에 부착한 본체(2)와, 본체(2)의 내부에 수용되는 발포 스폰지 패드(4) 그리고 무릎에 착용할 수 있도록 본체(2)에 봉합된 결착밴드(3)로 구성된다.
상기 보호구(21)는 합성수지제 또는 금속으로 형성하되 지면 및 물체에 부딪칠 때 생기는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강도을 갖으며, 무릎의 슬관절을 감싸며 굴신 운동이 용이하도록 외형은 타원형상을 이루면서 오목한 버킷 형태로 성형하게 되고, 통기공을 갖는 리벳(22)으로 상기 본체(2)의 전면부(5)에 부착된다.
본체(2)의 외피(10)는 통풍성이 양호한 직물을 사용하게 되며, 특히 망사를 소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피(10)는 상기 보호구(21)를 부착하는 한 조각인 전면부(5)와, 발포 스폰지 패드(4)를 수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개구부(23)를 형성하기 위하여 두 조각으로 분리된 후면부(6)로 이루어지면서 테두리를 봉합하면 주머니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개구부(23)는 후면부(6)와 전면부(5)의 테두리를 봉합할 때 중앙부분에 위치하도록 함과 아울러 수용되는 발포 스폰지 패드(4)가 사용중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측의 망사가 상측의 망사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착밴드(3)는 무릎 보호대(1)의 착탈이 편리하도록 고무밴드(32)의 일단을 상기 본체(2)의 외피(10) 상,하부 위치에 봉합하며, 고무밴드(32)의 타단은 매직테이프(31)의 고리면의 일단과 함께 봉합되고, 상기 매직테이프(31)의 고리면붙는 기모면은 외피(10)의 전면부(5)에 봉합된다.
한편 발포 스폰지 패드(4)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2)의 외피(10) 후면부(6)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23)로 삽입되어지고, 상기 삽입되어진 스폰지 패드(4)의 원형부(44)이 상기 외피(10)의 전면부(5) 외측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구(21)의 뒤편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발포 스폰지 패드(4)는 탄성력이 우수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가 높은 소재로 성형하게 되고, 무릎의 슬관절의 움직이는 형태에 따라 곡선형태로 변화하면서 무릎을 완벽하게 보호하도록 중앙 부위를 원형으로 절단하여 절개홈(42)과 원형부(44)를 형성하되 원형부(44) 양측의 연결살(43)에 의해 자체에 연결되어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형부(44)의 양측 수직 외측면 부위에 V자형 절개홈(41)을 형성하여 무릎의 슬관절의 움직이는 형태에 따라 곡선형태로 변화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다수개의 통기공(4)을 천공하여 망사 소재로 되어 있는 본체(2)의 외피(10)를 통해 통풍을 원활히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착용시 땀의 생성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무릎 보호대(1)는 도 5a에서와 같이 무릎이 펴진 상태에서 착용하면 외피(10)내에 수용되어 있는 발포 스폰지 패드(4)의 형태가 도 5b와 같이 완만한 곡선형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도 6a에서와 같이 무릎이 굽혀진 상태에서는 발포 스폰지 패드(4)가 뒤로 접히면서 상기 스폰지 패드(4)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부(44)가 보호구(21)의 후면에 밀착되고, 상기 원형부(44)의 주위로 형성된 중앙 절개홈(42)이 뒤로 접쳐지는 거리에 대한 공간을 제공하게 되고, 측면에 형성된 V자형 절개홈(41)이 좁아지는 모양으로 되므로 상기 무릎 보호대(1)가 무릎부위에 밀착되어 무릎과 함께 자연스럽게 접혀지게 되어 착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의 무릎 보호대(1)는 무릎을 보호하기 위하여 무릎에 착용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팔꿈치에 착용하여 팔꿈치를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도 있다.
본 고안은 통기공이 형성된 스폰지 패드가 외피를 망사 소재로 구성된 본체에 삽입되므로 무릎 보호대가 무릎의 피부와 밀착되어 있더라도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져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며, 중앙 절개홈과 측면 절개홈이 형성된 스폰지 패드가 무릎의 슬관절의 움직이는 형태에 따라 자연스럽게 무릎의 슬관절 부위에 밀착되어 원활하게 변형이 되므로 무릎 슬관절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아 착용이 편리하며, 스폰지 패드가 무릎 부위와 완전히 밀착 및 감싸고 있으므로 충격 등에 대한 보호 효과가 더욱 큰 것이다.

Claims (2)

  1. 무릎에 접할 수 있도록 곡면 형상으로 성형된 발포 스폰지 패드(4)를 감싸도록 외피(10)의 테두리를 봉합하여 본체(2)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2) 전면 중앙부분에 위치되면서 배면으로부터 관통된 리벳(22)으로 보호구(21)를 부착하고, 상기 본체(2)의 상,하부에 매직테이프(31) 및 고무밴드(32)로 이루어진 결착밴드(3)를 봉합한 것에 있어서,
    상기 외피(10)는 망사를 소재로 하고 보호구(21)가 통기공을 갖는 리벳(22)에 의해 부착되는 전면부(5)와 상기 전면부(5)와 함께 테두리가 봉합되어 주머니 형상을 만드는 후면부(6)의 중앙부분에 상기 발포 스폰지 패드(4)를 삽입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개구부(23)를 형성하며, 상기 발포 스폰지 패드(4)에 다수의 통기공(40)을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스폰지 패드(4)는 중앙 부위를 원형으로 절단하여 절개홈(42)과 원형부(44)을 형성하되 원형의 원형부(44)이 양측의 연결살(43)에 의해 자체에 연결되어 있도록 하고, 상기 원형부(44)의 양측 수직 외측면 부위에 V자형 절개홈(41)을 형성하여 무릎의 슬관절의 움직이는 형태에 따라 곡선형태로 변화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KR2019980016678U 1998-09-03 1998-09-03 무릎 보호대 KR200210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678U KR200210099Y1 (ko) 1998-09-03 1998-09-03 무릎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678U KR200210099Y1 (ko) 1998-09-03 1998-09-03 무릎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633U true KR19980068633U (ko) 1998-12-05
KR200210099Y1 KR200210099Y1 (ko) 2001-03-02

Family

ID=69504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678U KR200210099Y1 (ko) 1998-09-03 1998-09-03 무릎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0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758B1 (ko) * 2007-03-20 2008-08-06 김승자 무릎보호대 및 그 제조방법
KR200484081Y1 (ko) * 2016-06-09 2017-07-28 주식회사 아일라글로벌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
KR20190101849A (ko) 2018-02-23 2019-09-02 김용욱 관절의 충격을 방지하는 보호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758B1 (ko) * 2007-03-20 2008-08-06 김승자 무릎보호대 및 그 제조방법
KR200484081Y1 (ko) * 2016-06-09 2017-07-28 주식회사 아일라글로벌 산업현장용 무릎보호대
KR20190101849A (ko) 2018-02-23 2019-09-02 김용욱 관절의 충격을 방지하는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099Y1 (ko) 200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9265A (en) Protective athletic equipment
US5946734A (en) Head protector apparatus
US4014044A (en) Protective device
US4692946A (en) Baseball catcher's leg guard
US4099269A (en) Protective device
CA1059252A (en) Protective helmet with liners
US5732412A (en) Knee pad attachment
CA1059253A (en) Protective helmet
US4370754A (en) Variable pressure pad
US4682374A (en) Protective ear covering
JP3682717B2 (ja) 足首パッド
US3327316A (en) Wrestler's headgear
US6151714A (en) Protective athletic pads for joint surfaces
US5685021A (en) Protective headgear for wrestler
JP3135924B2 (ja) ヒッププロテクタ付きズボン
US4400829A (en) Protective football glove
US6128779A (en) Limb protector
JP2002030502A (ja) スポーツウエアおよび衝撃吸収パーツ
US6289522B1 (en) Wrestling headgear
CA2281310A1 (en) Adjustable elbow pad
US8621666B2 (en) Garment protective assembly
KR100970759B1 (ko) 관절 보호대
US6557186B1 (en) Lightweight protective ear guard
US6564395B2 (en) Wrestler headgear
US6058516A (en) Protective headgear for wrest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