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960Y1 - 밸러스트 탱크의 잔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심 파이프 - Google Patents

밸러스트 탱크의 잔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심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960Y1
KR200483960Y1 KR2020130003379U KR20130003379U KR200483960Y1 KR 200483960 Y1 KR200483960 Y1 KR 200483960Y1 KR 2020130003379 U KR2020130003379 U KR 2020130003379U KR 20130003379 U KR20130003379 U KR 20130003379U KR 200483960 Y1 KR200483960 Y1 KR 200483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ing pipe
ballast tank
water
ballast
strik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723U (ko
Inventor
최인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3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96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7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7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9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dip members, e.g. d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측심 파이프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스트라이크 플레이트의 구조를 잔수량의 정도에 따라 연동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변경함으로써 밸러스트 탱크의 내부에 잔존하는 밸러스트 수의 양이 데드 존 구간에 있더라도 정확하게 잔수량을 검출할 수 있게 해 주는 밸러스트 탱크의 측심 파이프를 개시한다.
전술한 측심 파이프는 하단부에 상기 밸러스트 탱크(12) 내부에 있는 잔수량의 정도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측심 파이프(10)의 내부 공간을 개방시키는 스트라이크 플레이트(16)를 설치하고, 상기 측심 파이프(10)는 하단부로부터 일정 구간에 걸쳐 주름진 형태의 굴곡부(10b)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밸러스트 탱크의 잔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심 파이프{Sounding pipe for measuring water level in ballast tank}
본 고안은 밸러스트 탱크의 내부에 잔존하는 밸러스트 수의 잔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심 파이프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밸러스트 탱크에 내부에 설치되는 측심 파이프의 하단부 구조를 변경하여 잔수량이 데드 존 구간에 있을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잔수의 양을 검출할 수 있게 하는 밸러스트 탱크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측심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흘수 조정을 목적으로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는 밸러스트 수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밸러스트 탱크는 저장된 밸러스트 수의 잔수량을 측정하기 위해 측심(測深)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특히, 벌크 선의 경우 입항시 화물의 양을 결정하는 데 있어 밸러스트 탱크 내에 잔존하는 밸러스트 수의 잔수량이 하나의 계산 요소가 되는 데, 기존 측심 장치를 이용할 경우 잔수의 양을 정확하게 계측하는 데 한계가 있어 화물을 선적하기 위한 적재량을 산출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즉, 종래 측심 장치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측심 파이프(Manual sounding pipe; 5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러스트 탱크(53)의 내부 공간에서 바닥을 향해 길게 배치되는 배관부재로서, 저면부가 스트라이크 플레이트(Strike plate; 55)에 의해 폐쇄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측심 파이프(51)는 하부에 내부 공간으로 밸러스트 수의 유입을 위한 관통구멍(51a)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측심 파이프(51)의 저면부에 해당하는 상기 스트라이크 플레이트(55)는 선체(Hull)에 해당하는 탱크 바닥(57)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로 배치되어 이른 바, 데드 존(Dead Zone; DZ)이라 지칭되는 대략 3~6cm 정도의 거리를 설정하게 된다.
이는 상기 밸러스트 탱크(53)의 내부 잔수량을 측정하기 위해 수위 측정용 줄자(미도시)를 이용할 때, 수위 측정용 줄자의 종단부에 연결된 중량추(미도시)와 상기 스트라이크 플레이트(55) 사이의 충돌을 선행시킴으로써 중량추와 상기 탱크 바닥(57) 사이에서 수반되는 충돌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돌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보다 적극적으로 배제하기 위함이다.
이 결과, 종래에는 상기 밸러스트 탱크(53) 내부의 잔수량을 측정할 때 밸러스트 수가 데드 존(DZ)의 구간 내에 있을 경우, 정확한 잔수량을 계측할 수 없으므로 화물의 정확한 선적량을 산출하지 못하는 문제를 수반하게 된다.
관련 선행기술 없음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측심 파이프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스트라이크 플레이트의 구조를 잔수량의 정도에 따라 연동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변경함으로써 밸러스트 탱크의 내부에 잔존하는 밸러스트 수의 양이 데드 존 구간에 있더라도 정확하게 잔수량을 검출할 수 있게 해 주는 밸러스트 탱크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측심 파이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밸러스트 수의 잔수량을 측정하기 위해 밸러스트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측심 파이프로서, 상기 측심 파이프는 하단부에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부에 있는 잔수량의 정도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측심 파이프의 내부 공간을 개방시킴으로써 잔수의 유입을 유도하는 스트라이크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측심 파이프는 하단부로부터 일정 구간에 걸쳐 주름진 형태의 굴곡부를 형성하여 수위 측정용 줄자를 이용한 잔수량의 검출시 접촉에 의한 위치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스트라이크 플레이트는 상기 측심 파이프의 하단부에 대해 힌지부위를 매개로 선회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스트라이크 플레이트는 저면부에 부력체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스트라이크 플레이트는 상기 측심 파이프와의 접촉부위 전 둘레에 걸쳐 라운드진 형태의 경사면을 일체로 형성하여 수위 측정용 줄자의 회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 수위 측정장치에 의하면, 밸러스트 탱크의 내부에 잔존하는 밸러스트 수의 양이 데드 존 구간에 있을 경우에도 측심 파이프의 하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잔수량의 정도에 따라 연동하여 개폐되는 스트라이크 플레이트를 매개로 무난하게 잔수량을 계측할 수 있으므로 종래 측심 파이프를 이용하여 데드 존 구간에서 잔수의 양을 계측할 수 없었던 기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해 준다.
이때, 상기 스트라이크 플레이트는 그 저면부에 부력체를 장착하고 있으므로 밸러스트 탱크 내의 잔수량이 데드 존 구간 보다 높을 경우 스트라이크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을 폐쇄시켜 기존과 동일하게 잔수량을 계측할 수 있게 하고, 데드 존 구간에 위치하면 스트라이크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을 개방시켜 탱크 바닥에 이르기까지 수위 측정용 줄자를 내릴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측심 파이프는 하단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일정 구간에 걸쳐 주름진 형태의 굴곡부를 형성하여 수위 측정용 줄자를 이용한 잔수량의 검출시 중량추의 위치가 탱크 바닥에 접근하고 있음을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므로 중량추와 탱크 바닥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불필요한 접촉과 그에 따른 소음 발생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스트라이크 플레이트는 측심 파이프와의 접촉부위 전 둘레에 걸쳐 라운드진 형태의 경사면을 형성함에 따라 수위 측정용 줄자를 회수할 때 간섭에 의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수위 측정용 줄자를 회수할 수 있게 해 준다.
도 1은 종래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 내부에 측심 파이프의 설치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밸러스트 탱크 내부에 측심 파이프를 설치한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트라이크 플레이트의 저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 내부에 잔수의 양을 정확하게 계측하기 위해 설치된 측심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도 2를 참조로 하면, 상기 측심 파이프(10)는 밸러스트 탱크(12)의 내부 공간에서 탱크 바닥(14)을 향해 길게 배치되는 배관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측심 파이프(10)는 하부에 상기 밸러스트 탱크(12)의 내부 공간과 교통 가능하여 밸러스트 수의 유입을 허용하기 위한 관통구멍(10a)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측심 파이프(10)는 하단부로부터 일정 구간에 걸쳐 주름진 형태의 굴곡부(10b)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측심 파이프(10)에 형성된 상기 굴곡부(10b)는 수위 측정용 줄자를 이용하여 상기 밸러스트 탱크(12) 내부의 잔수량을 검출할 때 수위 측정용 줄자의 종단부에 연결된 중량추와 상기 굴곡부(10b) 사이의 접촉을 유도하게 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중량추의 위치가 상기 탱크 바닥(14)에 인접함을 인지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결과, 상기 밸러스트 탱크(12)에 대한 잔수량을 측정할 때, 작업자는 상기 굴곡부(10b)를 매개로 수위 측정용 줄자(미도시)에 대한 위치를 개략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므로, 줄자의 종단부에 연결된 중량추(미도시)와 상기 탱크 바닥(14)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불필요한 접촉과 그에 따른 소음 발생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측심 파이프(10)는 하단부에 상기 밸러스트 탱크(12)의 내부에 잔류한 밸러스트 수의 양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측심 파이프(10)의 내부 공간을 개방시킴으로써 잔수의 유입을 유도하기 위해 개폐 가능한 스트라이크 플레이트(16)를 설치한다.
이 경우, 상기 스트라이크 플레이트(16)는 상기 측심 파이프(10)의 하단부에서 외곽으로 설치되는 힌지부위(18)를 매개로 선회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밸러스트 탱크(12) 내부의 잔수량을 측정할 때 밸러스트 수가 데드 존(DZ)의 구간 내에 있을 경우에도 상기 스트라이크 플레이트(16)는 상기 힌지부위(18)를 매개로 개방되므로 수위 측정용 줄자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잔수량을 계측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화물의 정확한 선적량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트라이크 플레이트(16)는 저면부에 상기 밸러스트 탱크(12) 내부에 있는 밸러스트 수의 잔수에 의해 부력을 받아 상기 힌지부위(18)를 중심으로 상기 스트라이크 플레이트(16)를 선회 가능하게 하는 부력체(20)를 장착한다.
특히, 상기 스트라이크 플레이트(16)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심 파이프(10)와의 접촉부위에 해당하는 상단측 전 둘레부위에 걸쳐 완만하게 라운드진 형태의 경사면(16a)을 일체로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스트라이크 플레이트(16)의 경사면(16a)은 수위 측정용 줄자를 이용한 잔수량의 검출후 줄자의 회수시 간섭을 배제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보다 용이한 수위 측정용 줄자의 회수를 가능하게 해 준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측심파이프 10a-관통구멍
10b-굴곡부 12-밸러스트탱크
14-탱크바닥 16-스트라이크 플레이트
16a-경사면 18-힌지부위
20-부력체

Claims (4)

  1. 밸러스트 수의 잔수량을 측정하기 위해 밸러스트 탱크(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측심 파이프(10)로서,
    상기 측심 파이프(10)는 하단부에 상기 밸러스트 탱크(12) 내부에 있는 잔수량의 정도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측심 파이프(10)의 내부 공간을 개방시키는 스트라이크 플레이트(16)를 설치하고, 상기 측심 파이프(10)는 하단부로부터 일정 구간에 걸쳐 주름진 형태의 굴곡부(10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탱크의 잔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심 파이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크 플레이트(16)는 상기 측심 파이프(10)의 하단부에 대해 힌지부위(18)를 매개로 선회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탱크의 잔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심 파이프.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크 플레이트(16)는 저면부에 부력체(20)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탱크의 잔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심 파이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크 플레이트(16)는 상기 측심 파이프(10)와의 접촉부위 전 둘레에 걸쳐 라운드진 형태의 경사면(16a)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탱크의 잔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심 파이프.
KR2020130003379U 2013-04-30 2013-04-30 밸러스트 탱크의 잔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심 파이프 KR200483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379U KR200483960Y1 (ko) 2013-04-30 2013-04-30 밸러스트 탱크의 잔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심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379U KR200483960Y1 (ko) 2013-04-30 2013-04-30 밸러스트 탱크의 잔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심 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723U KR20140005723U (ko) 2014-11-07
KR200483960Y1 true KR200483960Y1 (ko) 2017-07-26

Family

ID=52455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379U KR200483960Y1 (ko) 2013-04-30 2013-04-30 밸러스트 탱크의 잔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심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9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728B1 (ko) * 2018-12-06 2019-09-06 유플리드주식회사 도금액 레벨 측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532Y1 (ko) 1998-06-23 2001-03-02 김원수 마그네트를 이용한 후롯트 레벨 검출기
JP4836530B2 (ja) 2005-09-15 2011-12-14 中国電力株式会社 フロート式水位計用防波管
JP4948982B2 (ja) 2006-11-17 2012-06-06 宇部テクノエンジ株式会社 レベル計およびレベル計測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8982B1 (ko) * 1970-09-12 1974-12-24
JPS4836530B1 (ko) * 1970-12-21 1973-11-05
KR20100035506A (ko) * 2008-09-26 2010-04-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측심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선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532Y1 (ko) 1998-06-23 2001-03-02 김원수 마그네트를 이용한 후롯트 레벨 검출기
JP4836530B2 (ja) 2005-09-15 2011-12-14 中国電力株式会社 フロート式水位計用防波管
JP4948982B2 (ja) 2006-11-17 2012-06-06 宇部テクノエンジ株式会社 レベル計およびレベル計測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728B1 (ko) * 2018-12-06 2019-09-06 유플리드주식회사 도금액 레벨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723U (ko)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5047B1 (en) Identifying undesired conditions in the function of a floating roof of a tank
KR200483960Y1 (ko) 밸러스트 탱크의 잔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심 파이프
US10234323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liquid level and quality in a tank
KR20120062093A (ko) 선체의 흘수 계측용 장치
CN112298486B (zh) 一种舷侧双节跳板与码头实时距离的测距方法
CN105043504B (zh) 一种液舱的侧装式雷达液位遥测装置
CN207163544U (zh) 一种水位检测传感器
CN204021222U (zh) 一种船用吃水测深装置
Abdelwahab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wave severity and mooring pretension on the operability of a moored tanker in a port terminal
EP1131626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inspection of buoyant objects
KR101185401B1 (ko) 개폐 감지 장치
CN103231787B (zh) 一种船舶吃水深度的超声波检测方法
JP2019203729A (ja) 水中探査計測装置、および、そのメンテナンス方法
CN205333892U (zh) 雨量计
CN210953823U (zh) 一种检测试剂卡
JP2019007734A (ja) バラストタンク測深管内の水深測量方法の発明
CN107298157A (zh) 海洋平台顶装式吃水测量装置及fpso海洋平台
CN105865577A (zh) 用于tdr物位开关的评估方法
JP2010111310A (ja) 燃料タンク
KR102276268B1 (ko)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
KR20140000606U (ko) 선박의 힌지형 측심관
KR101503230B1 (ko) 차량용 연료탱크
RU2404912C2 (ru) Резервуар для хранения нефти
CN219694610U (zh) 一种pH值测量取样装置
KR101129631B1 (ko) 오일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