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268B1 -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268B1
KR102276268B1 KR1020190153165A KR20190153165A KR102276268B1 KR 102276268 B1 KR102276268 B1 KR 102276268B1 KR 1020190153165 A KR1020190153165 A KR 1020190153165A KR 20190153165 A KR20190153165 A KR 20190153165A KR 102276268 B1 KR102276268 B1 KR 102276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a
urea water
level
measurement
inj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682A (ko
Inventor
정현각
Original Assignee
정현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각 filed Critical 정현각
Priority to KR1020190153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26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16Arrangements of liquid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3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using buoyant pro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46Component storage means
    • B67D2210/00149Fixed containers to be filled in situ
    • B67D2210/00152Automatically
    • B67D2210/00154Level detected by a flo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요소수 저장탱크(111)를 구비하는 몸체(110); 상기 요소수 저장탱크(111)의 상부에 요소수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요소수 측정센서(120); 상기 요소수 저장탱크(111)의 내측에 상부와 하부가 개방한 형태로 내측으로 유입하는 요소수의 레벨을 상기 요소수 측정센서(120)가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측정유도몸체(130); 상기 측정유도몸체(130)의 양측에 요소수의 레벨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부력부재(140); 상기 측정유도몸체(13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감지몸체(150); 상기 측정유도몸체(130)의 일측에 상기 감지몸체(15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감지센서(160);를 포함하는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요소수의 출렁거림을 저감시켜 요소수의 레벨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요소수의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오작동 및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요소수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측정작업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Urea water injection device for easy level measurement}
본 발명은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요소수의 레벨을 원활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소수 주입장치는 디젤엔진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요소수(요수+초순수 혼합물)를 주입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이러한 요소수 주입장치의 내부에는 일정량의 요소수를 저장하기 위한 요소수 저장탱크를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의 요소수 주입장치는 요소수 저장탱크의 내부로 요소수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출렁거림이 발생하여 요소수의 레벨(수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요소수의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오작동 및 고장이 발생할 경우 요소수의 레벨을 측정할 수 없으므로 측정작업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115352호(2007.12.06.) 한국등록특허 제10-1323534호(2013.10.29.) 한국등록특허 제10-1323399호(2013.10.29.)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1113호(2014.02.07.)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86923호(2015.07.29.)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0350호(2018.02.05.)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09268호(2019.01.28.)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23709호(2019.03.0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요소수의 출렁거림을 저감시켜 레벨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요소수의 레벨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레벨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100)는,
내측에 요소수 저장탱크(111)를 구비하는 몸체(110); 상기 요소수 저장탱크(111)의 상부에 요소수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요소수 측정센서(120); 상기 요소수 저장탱크(111)의 내측에 상부와 하부가 개방한 형태로 내측으로 유입하는 요소수의 레벨을 상기 요소수 측정센서(120)가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측정유도몸체(130); 상기 측정유도몸체(130)의 양측에 요소수의 레벨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부력부재(140); 상기 측정유도몸체(13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감지몸체(150); 상기 측정유도몸체(130)의 일측에 상기 감지몸체(15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감지센서(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유도몸체(130)의 하부에 상기 감지몸체(150)의 상부가 삽입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공(131); 상기 이동공(131)의 하부에 형성하는 걸림부(132); 상기 감지몸체(150)의 상부에 상기 걸림부(132)와 맞닿아 정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구(1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부재(140)의 외측에 상기 요소수 저장탱크(111)의 내측면과 맞닿아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롤러(1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부력부재(140)와 지지롤러(141)의 사이에 형성하는 간격조절구(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측정유도몸체(130)와 부력부재(140)의 사이에 형성하는 탄성부재(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요소수의 출렁거림을 저감시켜 요소수의 레벨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요소수의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오작동 및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요소수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측정작업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측에 요소수 저장탱크(111)를 구비하는 몸체(110); 상기 요소수 저장탱크(111)의 상부에 요소수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요소수 측정센서(120); 상기 요소수 저장탱크(111)의 내측에 상부와 하부가 개방한 형태로 내측으로 유입하는 요소수의 레벨을 상기 요소수 측정센서(120)가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측정유도몸체(130); 상기 측정유도몸체(130)의 양측에 요소수의 레벨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부력부재(140); 상기 측정유도몸체(13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감지몸체(150); 상기 측정유도몸체(130)의 일측에 상기 감지몸체(15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감지센서(16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는 요소수를 토출하기 위한 펌프 및 유량계를 포함하고, 외측 전면에는 조작판넬 및 주입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110)와 요소수 저장탱크(111)의 사이에는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요소수 측정센서(120)는 상기 요소수 저장탱크(111)의 상부에서 내측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요소수(A)의 레벨을 측정한다.
이때 상기 요소수 측정센서(120)는 초음파 등을 이용하는 비접촉식 센서 또는 접촉식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유도몸체(13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한 형태로 상부는 요소수(A)의 레벨 보다 높게 위치하고 하부는 요소수(A)에 잠기도록 구비하여 상기 요소수 저장탱크(111)의 내부로 요소수(A)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출렁거림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측정유도몸체(130)의 내측에 유입된 요소수(A)에는 전달되지 않으므로 상기 요소수 측정센서(120)가 요소수(A)의 레벨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부재(140)는 요소수(A)의 레벨에 따라서 상기 측정유도몸체(1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부력부재(140)는 부력을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 및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부력부재(140)의 외측에 상기 요소수 저장탱크(111)의 내측면과 맞닿아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롤러(141);를 포함하여 요소수(A)의 레벨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부력부재(140)가 상기 요소수 저장탱크(111)의 내측면에 간섭없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측정유도몸체(130)와 부력부재(140)의 사이에 형성하는 탄성부재(142);를 포함하여 상기 측정유도몸체(130)와 부력부재(140)가 요소수(A)의 레벨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발생하여 상기 지지롤러(141)가 상기 요소수 저장탱크(111)의 내측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42)는 스프링을 사용하였다.
한편, 상기 부력부재(140)와 지지롤러(141)의 사이에 형성하는 간격조절구(143);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롤러(141)가 상기 요소수 저장탱크(111)의 내측면에 맞닿을 수 있는 간격(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구(143)는 나사 결합형태로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지지롤러(141)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감지몸체(1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정유도몸체(1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요소수(A)의 레벨이 낮아져 상기 측정유도몸체(13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요소수 저장탱크(111)의 바닥에 먼저 맞닿아 상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감지센서(160)가 이를 감지하여 요소수(A)의 레벨을 보충해야 하는 시기를 알릴 수 있다.
특히 상기 감지센서(160)는 상기 요소수 측정센서(120)와 함께 연동하여 요소수(A)의 보충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정유도몸체(130)의 하부에 상기 감지몸체(150)의 상부가 삽입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공(131); 상기 이동공(131)의 하부에 형성하는 걸림부(132); 상기 감지몸체(150)의 상부에 상기 걸림부(132)와 맞닿아 정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구(1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공(131)은 상기 감지몸체(150)가 내측에 삽입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상기 걸림부(132)는 상기 감지몸체(150)가 자중에 의해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걸림구(151)와 맞닿아 하부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160)는 상기 감지몸체(150) 또는 걸림구(15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요소수 측정센서(120) 및 감지몸체(15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측정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
110: 몸체 111: 요소수 저장탱크
120: 요소수 측정센서
130: 측정유도몸체 131: 이동공
132: 걸림부
140: 부력부재 141: 지지롤러
142: 탄성부재 143: 간격조절구
150: 감지몸체 151: 걸림구
160: 감지센서

Claims (5)

  1. 내측에 요소수 저장탱크(111)를 구비하는 몸체(110); 상기 요소수 저장탱크(111)의 상부에 요소수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요소수 측정센서(120); 상기 요소수 저장탱크(111)의 내측에 상부와 하부가 개방한 형태로 내측으로 유입하는 요소수의 레벨을 상기 요소수 측정센서(120)가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측정유도몸체(130); 상기 측정유도몸체(130)의 양측에 요소수의 레벨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부력부재(140); 상기 측정유도몸체(13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감지몸체(150); 상기 측정유도몸체(130)의 일측에 상기 감지몸체(15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감지센서(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도몸체(130)의 하부에 상기 감지몸체(150)의 상부가 삽입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공(131); 상기 이동공(131)의 하부에 형성하는 걸림부(132); 상기 감지몸체(150)의 상부에 상기 걸림부(132)와 맞닿아 정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구(1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재(140)의 외측에 상기 요소수 저장탱크(111)의 내측면과 맞닿아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롤러(1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재(140)와 지지롤러(141)의 사이에 형성하는 간격조절구(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도몸체(130)와 부력부재(140)의 사이에 형성하는 탄성부재(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
KR1020190153165A 2019-11-26 2019-11-26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 KR102276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165A KR102276268B1 (ko) 2019-11-26 2019-11-26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165A KR102276268B1 (ko) 2019-11-26 2019-11-26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682A KR20210064682A (ko) 2021-06-03
KR102276268B1 true KR102276268B1 (ko) 2021-07-12

Family

ID=7639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165A KR102276268B1 (ko) 2019-11-26 2019-11-26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2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2292A (ja) 2008-06-20 2010-01-0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水位検出装置
CN204902958U (zh) 2015-05-05 2015-12-23 遵义天义利威机电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油箱的液位传感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036U (ko) * 1988-07-13 1990-01-29
JPH04259825A (ja) * 1991-02-15 1992-09-16 Nippon Electric Ind Co Ltd 水位計
JPH05912U (ja) * 1991-06-25 1993-01-08 スズキ株式会社 オイルレベルセンサ装置
KR19980038111U (ko) * 1996-12-18 1998-09-15 박병재 엔진 오일량 확인장치
KR101157274B1 (ko) 2006-06-02 2012-06-15 닛산 디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액체 저장탱크 및 액체 공급장치
KR101323534B1 (ko) 2012-05-10 2013-10-29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요소수 공급 장치
KR101323399B1 (ko) 2012-05-10 2013-10-29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초음파 레벨 센서를 이용한 요소수 수위 측정 장치
KR200471113Y1 (ko) 2012-09-21 2014-02-07 (주)코엔지 회전식 요소수 주입장치
KR101560128B1 (ko) 2014-01-21 2015-10-14 에이치플러스에코 주식회사 요소수 주입기
KR200487742Y1 (ko) 2016-07-26 2018-11-13 주식회사 리메카 요소수 주입기
KR102012754B1 (ko) 2017-08-30 2019-08-21 주식회사 이노켐텍 연속측정 비중계 및 비중 연속측정 방법
KR101995295B1 (ko) 2018-08-30 2019-07-03 주식회사 블루텍 요소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2292A (ja) 2008-06-20 2010-01-0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水位検出装置
CN204902958U (zh) 2015-05-05 2015-12-23 遵义天义利威机电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油箱的液位传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682A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95085A1 (en) Liquid Level and Density Measurement Device
US20100269587A1 (en) Low liquid level detecting device and method
KR102276268B1 (ko) 레벨 측정이 용이한 요소수 주입장치
EP2962076B1 (en) Reservoir assembly for storing hydrogen peroxide for use with a hydrogen peroxide vaporizer in association with a filler
CN110779596A (zh) 通过压力感测装置的水位检测
CN108731770A (zh) 液位传感器及卫生间设备
CN220649636U (zh) 一种液体流量在线检定装置
KR20160024190A (ko) 연료 유량검출장치
KR101379488B1 (ko) 연료량측정장치
CN201047771Y (zh) 一种测量带有厚泡沫覆盖层液位的装置
CN106813754A (zh) 一种油箱油位传感器
CN205300482U (zh) 柴油机曲轴同轴度检测工具
JP2008014267A (ja) 燃料残量検出装置
CN202885781U (zh) 一种非接触式床垫围边高度测量装置
JP5669621B2 (ja) フロート及び液位検出装置
CN210774578U (zh) 一种灭火剂瓶气密性检测用水槽
CN211013164U (zh) 一种用于油池液位的液位检测装置
CA2267949C (en) Method of estimating total volume of an irregular wetwell
CN204944623U (zh) 浮球液位指示器
JP5561181B2 (ja) 燃料残量測定装置
KR101027869B1 (ko) 수량 감지센서를 구비한 수통 지지판 및 그를 포함한 냉온수기
CN207966048U (zh) 自动售货机的出货数量检测装置
KR102473564B1 (ko) 싱크홀 측정장치
RU13738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плотности жидких сред
KR200242661Y1 (ko) 가스용기의 가스잔량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