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589Y1 - 게이트 밸브 잠금구 - Google Patents

게이트 밸브 잠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589Y1
KR200483589Y1 KR2020160004068U KR20160004068U KR200483589Y1 KR 200483589 Y1 KR200483589 Y1 KR 200483589Y1 KR 2020160004068 U KR2020160004068 U KR 2020160004068U KR 20160004068 U KR20160004068 U KR 20160004068U KR 200483589 Y1 KR200483589 Y1 KR 2004835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ortion
base
space
opening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동
Original Assignee
장현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동 filed Critical 장현동
Priority to KR2020160004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5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5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5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using a removable actuating or locking member, e.g. a k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1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with locking caps or locking bars

Abstract

본 고안은 게이트 밸브 잠금구에 관한 것으로써, 제1본체부; 및 일단부가 상기 제1본체부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1본체부의 타단부에 설치됨으로써 밸브에 설치되는 핸들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1본체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의 일측면에서 연장형성되되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됨으로써 이격공간을 형성하며 제1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이격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의 타측면에서 연장형성되되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2본체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제2베이스부와, 상기 제2베이스부의 일측면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이격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이격공간의 폭 보다 더 좁은 폭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관통홀에 대응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제2베이스부의 타측면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연결축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베이스부는, 저면에 반원형의 제1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부에 마주하는 상면에 돌출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부가 형성되는 저면의 가장자리에 제1돌출부가 반원형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1베이스부에서 연장형성되되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베이스부의 저면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제1베이스부에서 연장되는 부분에 노치(Notch)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베이스부는, 저면에 반원형의 제2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개구부에 마주하는 상면에 돌출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개구부가 형성되는 저면의 가장자리에 제2돌출부가 반원형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2베이스부에서 연장형성되되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베이스부의 저면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제2베이스부에서 연장되는 부분에 노치(Notch)가 형성되며, 상기 제1베이스부는, 상기 제2베이스부와 마주하는 면에 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베이스부는, 상기 제1베이스부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철부가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철부는, 외부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외부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베이스부의 일면 측으로 밀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요홈은, 외부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외부공간와 마주하는 상기 제2베이스부의 일면 측으로 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게이트 밸브 잠금구를 게이트 밸브에 설치한 상태에서도 밸브의 상태가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밸브의 상태를 확인하는데 소모되는 인력, 시간이 대폭적으로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게이트 밸브 잠금구{GATE VALVE LOCKING DEVICE}
본 고안은 게이트 밸브 잠금구에 관한 것으로써, 밸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본체부와 제2본체부를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마련하여, 외부에서 밸브가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는 게이트 밸브 잠금구에 관한 것이다.
게이트 밸브(GATE VALVE)란, 유체가 흐르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이동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것으로써, 각종 공장, 발전소의 각종 장치, 시설물에 연결되는 밸브에 설치된다.
이러한 게이트 밸브의 조작은 공장, 발전소 등의 제어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허가된 작업자 이외에는 그 조작이 금지되어야 하며,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게이트 밸브에는 게이트 밸브 잠금구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게이트 밸브 잠금구는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마련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게이트 밸브 잠금구를 게이트 밸브에 설치하는 경우, 밸브의 상태는 외부에서 확인될 수 없다. 따라서, 밸브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게이트 밸브를 해체하는 작업이 개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게이트 밸브 잠금구를 이용하는 경우, 밸브의 상태를 확인하는데 많은 시간, 인력이 투입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밸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본체부와 제2본체부를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마련하여, 외부에서 밸브의 상태가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는 게이트 밸브 잠금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제1본체부; 및 일단부가 상기 제1본체부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1본체부의 타단부에 설치됨으로써 밸브에 설치된 핸들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1본체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의 일측면에서 연장형성되되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됨으로써 이격공간을 형성하며 제1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이격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의 타측면에서 연장형성되되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2본체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제2베이스부와, 상기 제2베이스부의 일측면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이격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이격공간의 폭 보다 더 좁은 폭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관통홀에 대응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제2베이스부의 타측면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연결축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베이스부는, 저면에 반원형의 제1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부에 마주하는 상면에 돌출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부가 형성되는 저면의 가장자리에 제1돌출부가 반원형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1베이스부에서 연장형성되되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베이스부의 저면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제1베이스부에서 연장되는 부분에 노치(Notch)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베이스부는, 저면에 반원형의 제2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개구부에 마주하는 상면에 돌출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개구부가 형성되는 저면의 가장자리에 제2돌출부가 반원형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2베이스부에서 연장형성되되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베이스부의 저면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제2베이스부에서 연장되는 부분에 노치(Notch)가 형성되며, 상기 제1베이스부는, 상기 제2베이스부와 마주하는 면에 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베이스부는, 상기 제1베이스부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철부가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철부는, 외부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외부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베이스부의 일면 측으로 밀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요홈은, 외부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외부공간와 마주하는 상기 제2베이스부의 일면 측으로 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밸브 잠금구에 의해서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게이트 밸브 잠금구를 게이트 밸브에 설치한 상태에서도 밸브의 상태가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밸브의 상태를 확인하는데 소모되는 인력, 시간이 대폭적으로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의 정면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의 배면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의 우측면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의 좌측면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의 평면도 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의 저면도 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를 개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의 정면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의 배면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의 우측면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의 좌측면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의 평면도 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의 저면도 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를 개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100)는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를 포함한다.
제1본체부(110)는 후술하는 제2본체부(12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써, 제1베이스부(111)와 이격부(112)와 연결부(113)와 연결축(114)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본체부(11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1본체부(110)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에서 제1본체부(11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재질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제1베이스부(111)는 밸브에 설치되는 손잡이 부분, 즉, 핸들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반원통형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1베이스부(111)의 일측면에는 후술하는 이격부(112)가 연장형성되며, 타측면에는 후술하는 연결부(113)가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제1베이스부(111)의 저면에는 상술한 핸들이 삽입되는 제1개구부(111a)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1개구부(111a)를 형성하는 제1베이스부(111)의 저면의 가장자리에는 제1돌출부(111b)가 돌출형성된다.
제1돌출부(111b)는 작업자가 공구 등을 이용하여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 제1베이스부(111)의 저면에서 분리되도록 마련된다. 즉, 제1돌출부(111b)와 제1개구부(111a)를 형성하는 제1베이스부(111)의 저면의 가장자리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노치(Notch) 또는 단차가 형성된다.
따라서, 밸브의 손잡이 부분의 하측, 즉, 핸들의 하측 부분이 비교적 커서 제1개구부(111a)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가 공구 등을 이용하여 제1돌출부(111b)에 외력을 인가함으로써 제1베이스부(111)의 저면에서 제1돌출부(111b)를 분리시켜 제1개구부(111a)의 면적을 확장시킨 다음, 핸들의 하측 부분을 확장된 제1개구부(111a)로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베이스부(111)는 제1베이스부(111)와 마주하는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개의 철부(111c)가 형성된다. 이러한 철부(111c)는 후술하는 제2베이스부(121)에 형성된 요홈(121c)에 삽입된다. 이러한 철부(111c)에 의해서, 제1베이스부(111)와 제2베이스부(121)의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베이스부(111)의 상면에는 밸브 손잡이의 중심부분(나사 머리부분)이 수용될 수 있도록 돌출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분에 의해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100)의 설치시, 밸브 손잡이의 중심부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격부(112)는 상술한 제1베이스부(111)의 일측면에서 연장형성되되 한쌍으로 마련되어 마주보게 배치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제1관통홀(v1)이 각각 형성된다.
이격공간에는 후술하는 삽입부(122)가 삽입된다. 이러한 이격부(112)에는 제1관통홀(v1)이 형성되는데, 삽입부(122)가 이격공간으로 삽입되는 경우, 제1관통홀(v1)과 제2관통홀(v2)은 마주보게 된다. 이러한 마주보는 제1관통홀(v1)과 제2관통홀(v2)에는 자물쇠의 고리, 케이블 등의 잠금수단(미도시)이 장착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서, 제1베이스부(111)와 제2베이스부(121)가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이에 따라 외부에서 밸브를 조작하는 것이 방지된다.
연결부(113)는 상술한 제1베이스부(111)의 타측면에서 연장형성되되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연결축(114)의 양단부가 각각 설치된다.
연결축(114)은 상술한 한쌍의 연결부(113)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장착부(123)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연결축(114) 및 장착부(123)에 의해서, 제2본체부(120)가 회동될 수 있다.
제2본체부(120)는 일단부가 제1본체부(110)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써, 타단부가 제1본체부(110)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밸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s)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2본체부(12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2본체부(120)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에서 제2본체부(12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재질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제2본체부(120)는 제2베이스부(121)와 삽입부(122)와 장착부(123)를 포함한다.
제2베이스부(121)는 밸브에 설치되는 손잡이 부분, 즉, 핸들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반원통형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2베이스부(121)의 일측면에는 후술하는 삽입부(122)가 연장형성되며, 타측면에는 후술하는 장착부(123)가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제2베이스부(121)의 저면에는 상술한 핸들이 삽입되는 제2개구부(121a)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2개구부(121a)를 형성하는 제2베이스부(121)의 저면의 가장자리에는 제2돌출부(121b)가 돌출형성된다.
제2돌출부(121b)는 작업자가 공구 등을 이용하여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 제2베이스부(121)의 저면에서 분리되도록 마련된다. 즉, 제2돌출부(121b)와 제2개구부(121a)를 형성하는 제2베이스부(121)의 저면의 가장자리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노치(Notch) 또는 단차가 형성된다.
따라서, 밸브의 손잡이 부분의 하측, 즉, 핸들의 하측 부분이 비교적 커서 제2개구부(121a)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가 공구 등을 이용하여 제2돌출부(121b)에 외력을 인가함으로써 제2베이스부(121)의 저면에서 제2돌출부(121b)를 분리시켜 제2개구부(121a)의 면적을 확장시킨 다음, 핸들의 하측 부분을 확장된 제2개구부(121a)로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제2베이스부(121)는 제1베이스부(111)와 마주하는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개의 요홈(121c)이 형성된다. 이러한 요홈(121c)에는 제1베이스부(111)에 형성된 철부(111c)가 삽입된다. 이러한 요홈(121c)에 의해서, 제1베이스부(111)와 제2베이스부(121)의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베이스부(121)의 상면에는 밸브 손잡이의 중심부분(나사 머리부분)이 수용될 수 있도록 돌출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분에 의해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100)의 설치시, 밸브 손잡이의 중심부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삽입부(122)는 상술한 제2베이스부(121)의 일측면에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써, 이격공간에 삽입되도록 이격공간의 폭 보다 더 좁은 폭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삽입부(122)에는 제2관통홀(v2)이 형성된다.
삽입부(122)가 이격공간으로 삽입되는 경우, 제1관통홀(v1)과 제2관통홀(v2)은 마주보게 된다. 이러한 마주보는 제1관통홀(v1)과 제2관통홀(v2)에는 자물쇠의 고리, 케이블 등의 잠금수단(미도시)이 장착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서, 제1베이스부(111)와 제2베이스부(121)가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이에 따라 외부에서 밸브를 조작하는 것이 방지된다.
장착부(123)는 상술한 제2베이스부(121)의 타측면에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써, 연결축(114)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장착부(123)와 연결축(114)에 의해서, 제2본체부(120)가 회동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장착부(123)의 일측면에는 밸브의 정보가 기재되는 태그가 설치되는 태그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를 포함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100)에 따르면, 게이트 밸브 잠금구를 게이트 밸브에 설치한 상태에서도 밸브의 상태가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밸브의 상태를 확인하는데 소모되는 인력, 시간이 대폭적으로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밸브 잠금구
110 : 제1본체부
111 : 제1베이스부
111a : 제1개구부
111b : 제1돌출부
111c : 철부
112 : 이격부
113 : 연결부
114 : 연결축
120 : 제2본체부
121 : 제2베이스부
121a : 제2개구부
121b : 제2돌출부
121c : 요홈
122 : 삽입부
123 : 장착부
s : 수용공간
v1 : 제1관통홀
v2 : 제2관통홀

Claims (4)

  1. 제1본체부; 및
    일단부가 상기 제1본체부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1본체부의 타단부에 설치됨으로써 밸브에 설치되는 핸들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1본체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의 일측면에서 연장형성되되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됨으로써 이격공간을 형성하며 제1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이격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의 타측면에서 연장형성되되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2본체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제2베이스부와, 상기 제2베이스부의 일측면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이격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이격공간의 폭 보다 더 좁은 폭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관통홀에 대응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제2베이스부의 타측면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연결축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베이스부는,
    저면에 반원형의 제1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부에 마주하는 상면에 돌출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부가 형성되는 저면의 가장자리에 제1돌출부가 반원형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1베이스부에서 연장형성되되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베이스부의 저면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제1베이스부에서 연장되는 부분에 노치(Notch)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베이스부는,
    저면에 반원형의 제2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개구부에 마주하는 상면에 돌출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개구부가 형성되는 저면의 가장자리에 제2돌출부가 반원형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2베이스부에서 연장형성되되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베이스부의 저면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제2베이스부에서 연장되는 부분에 노치(Notch)가 형성되며,
    상기 제1베이스부는,
    상기 제2베이스부와 마주하는 면에 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베이스부는,
    상기 제1베이스부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철부가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철부는,
    외부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외부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베이스부의 일면 측으로 밀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요홈은,
    외부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외부공간와 마주하는 상기 제2베이스부의 일면 측으로 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밸브 잠금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60004068U 2016-07-14 2016-07-14 게이트 밸브 잠금구 KR2004835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068U KR200483589Y1 (ko) 2016-07-14 2016-07-14 게이트 밸브 잠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068U KR200483589Y1 (ko) 2016-07-14 2016-07-14 게이트 밸브 잠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589Y1 true KR200483589Y1 (ko) 2017-05-31

Family

ID=59021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068U KR200483589Y1 (ko) 2016-07-14 2016-07-14 게이트 밸브 잠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5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691B1 (ko) * 2017-11-21 2018-10-18 장현동 나비밸브 잠금커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629U (ko) * 2007-08-16 2009-02-19 김준호 수도밸브 봉인장치
KR20130000277A (ko) * 2011-06-22 2013-01-02 한민흠 수돗물 단수용 잠금 장치
KR20140083449A (ko) * 2012-12-26 2014-07-04 주식회사 이지하임 덕트용 접속구
KR101520452B1 (ko) * 2014-01-23 2015-05-14 김정남 밸브형 배관 피팅의 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629U (ko) * 2007-08-16 2009-02-19 김준호 수도밸브 봉인장치
KR20130000277A (ko) * 2011-06-22 2013-01-02 한민흠 수돗물 단수용 잠금 장치
KR20140083449A (ko) * 2012-12-26 2014-07-04 주식회사 이지하임 덕트용 접속구
KR101520452B1 (ko) * 2014-01-23 2015-05-14 김정남 밸브형 배관 피팅의 보호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691B1 (ko) * 2017-11-21 2018-10-18 장현동 나비밸브 잠금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5130B2 (en) Cable sealing device
JP3217666U (ja) アタッチメント部材及びアタッチメント部材を有する錠前
AU2018214058B2 (en) Bucket tooth of excavator
KR102339170B1 (ko) 차량용 조작 장치
KR200483589Y1 (ko) 게이트 밸브 잠금구
KR20160055179A (ko) 손잡이
EP3716355B1 (en) Battery holder
KR20100137703A (ko) 실습 기자재용 클램핑장치
AU2017408309B2 (en) Cylinder lock
US10273716B2 (en) Rekeyable lock
US7714226B2 (en) Hous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80028123A (ko) 조인트 커넥터 장치
KR20090000084U (ko) 중장비용 후드래치
JP3135486U (ja) ヒンジの組み付け構造
CN109845030A (zh) 通过十字旋转件卡固车辆的顶罩天线
JP6953995B2 (ja) スイッチ取付構造
US715209A (en) Face-plate for electric couplings.
JP2015216237A (ja) 樹脂形成部品
KR200324820Y1 (ko) 나사 조립식 금속 판넬 케이스의 잠금장치
KR200385465Y1 (ko) 차량용 손잡이 어셈블리
KR200486279Y1 (ko) 문짝용 손잡이장치
JP6370868B2 (ja) 開錠防止具
JP2007174875A (ja) 電気機器収納箱
TWI557303B (zh) 絕緣掛鎖結構
JP4553925B2 (ja) 成形品、及び成形品と他の部品との結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