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277A - 수돗물 단수용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수돗물 단수용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277A
KR20130000277A KR1020110060875A KR20110060875A KR20130000277A KR 20130000277 A KR20130000277 A KR 20130000277A KR 1020110060875 A KR1020110060875 A KR 1020110060875A KR 20110060875 A KR20110060875 A KR 20110060875A KR 20130000277 A KR20130000277 A KR 20130000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shell
water
locking
water supply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0999B1 (ko
Inventor
한민흠
Original Assignee
한민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민흠 filed Critical 한민흠
Priority to KR1020110060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999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1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with locking caps or locking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본원은 단수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도 이용에 따른 사용자들의 요금 체납의 경우 단수조치로써 수도 공급장치의 분리와 같은 조치없이 간단한 잠금장치로 단수조치를 할 수 있는 단수용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수도물의 공급/단수를 조절하는 급수밸브의 손잡이부를 감싸 밀봉시켜 급수가 되지 못하도록 기능하게 되는 잠금장치는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2개의 반원형 외갑이 일측으로는 힌지결합부를 갖고 타측으로는 잠금체결부를 갖는 구조로 제공되고, 반원형 외갑을 펴는 경우 중앙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반원형 외갑 외연끼리 닿을 때 까지 벌어지는 구조로 제공되고, 반원형 외갑을 닫으면 외갑의 상부는 급수밸브의 손잡이부를 감싸 밀폐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외갑의 하부는 반원형 홈을 갖고 급수밸브의 상단을 감싸 원형을 이루는 구조를 이루며 반원형 외갑의 양 측부에 대응되는 구조로 제공되는 잠금체결부에 의해 잠금 작업이 수행되도록 제공되는 수도용 잠금 장치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돗물 단수용 잠금 장치{water fasterner for water shut off}
본원은 수돗물 공급을 중단시키는 단수용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간편하고 쉽게 단수작업에 적용시킬 수 있는 단수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 공급장치는 계량기 보호통 내부에 존재하여 사용자에 사용할 수 있는 물을 공급 및 사용량을 측정하는 기기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수돗물 공급구조는 계량기 보호통 본체 저부에 마련되는 새들 분수전으로부터 수돗물을 공급받아 계량기 보호통을 경유하여 가정이나 사용처로 공급되는바, 계량기 보호통내부에는 급수밸브 및 첵크밸브에 연결되는 배관 파이프와 상기 급수밸브와 첵크밸브 사이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수도계량기와 상기 급수밸브와 첵크밸브사이에 설치되어 수도 계량기를 지지하는 연결구 등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수돗물 공급장치에서 급수밸브는 물의 공급/차단을 조절하는 개폐장치로, 통상적으로는 밸브를 잠그지 않은 상태로 두어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수돗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수도계량기는 사용자에게 공급된 상수의 용량을 측정하여 일정한 요금을 부과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상수 이용에 따른 사용자들의 요금 체납시 담당 관청으로부터 일정한 제한 조치로 단수조치를 행하는데, 이러한 단수조치는 물의 공급경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를 분리하는 행동 즉, 수도 공급장치를 분해하여 상수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는바, 상기와 같은 단수조치를 행하는 수행방법은 급수밸브를 분리하고 난 후, 상수도 요금을 납부하면 다시 급수밸브를 조립하여 상수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시간적으로나 인력적으로 많은 비용이 발생함으로 단수용 잠금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수돗물 사용자들의 요금을 체납할 경우 단수조치를 취하기 위한 종래의 잠금 장치는 수도공급장치의 급수밸브를 감싸 보호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어 덮개가 이탈되지 않고 급수밸브를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첩과 상기 덮개와 경첩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체결수단을 포함한 구성의 잠금장치가 제시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도 1을 통하여 종래에 개시된 잠금장치를 살펴보면, 계량기 보호통 내부에서 계량기(5)를 통하여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단수시키는 기능을 하는 급수밸브(1)를 감싸 보호하는 잠금장치 몸체(10)가 원형 몸체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어 잠금장치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급수밸브(1)를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첩판(11a)과 잠금장치 몸체(10)와 경첩판(11a)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자물통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제공되었다.
상기 잠금장치 몸체(10)는 급수밸브(1)에서 계량기(5)로 연결되는 배관 파이프(4)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 몸체(10)의 외주면 일부가 부분적으로 개구되어 배관을 수용하는 공간부(10a)를 확보하는 구조이고 또한 몸체(10)의 하부 일측엔 걸림고리(13)가 형성되어 제공되고, 경첩판(11a)은 상기 몸체(10)의 개구부(10a)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고정되고 개구부(10a) 타측에 마련되는 걸림고리(13)에 경첩판(11a)의 결합홀(11b)이 끼워진 후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자물통(12)으로 체결되는 구조로 제공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잠금장치 구조는 수돗물 공급장치의 배관 파이프(4) 및 급수밸브(1)의 상,하부 전체를 감싸 보호하기 위해 잠금장치의 특성상 철재로 제공되고 필요 이상의 큰 몸체를 요구하면서 별도의 자물통과 이를 개폐하기 위한 열쇄가 별도로 준비되어야 적용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는 쉽게 파손되지 않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 일반 철재로 제공되는 경우 잠금장치가 무거워서 제작 및 취급이 용이하지 않고, 또한 수돗물 관련 부품이 습기에 취약하여 부식방지를 도모하지 않으면, 녹이 슬기 쉽고, 부식방지 구조를 이루기 위해 스텐레스나 청동이나 황동제로 제공되는 경우 그 무게도 상당한 하중을 가질 뿐 아니라 제작비용도 커서 현실적으로 구입하여 적용하기에 너무 부담스러운 가격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원은 상수도 요금 체납시 단수조치로써 수돗물 공급장치인 급수밸브를 이용하여 단수조치를 수행하기 원할 때 서로 대칭되는 구조의 반원형 외갑구조에 일측부는 힌지결합부를 갖고 타측으로는 잠금체결부를 갖는 단순 구조를 이루고, 반원형 외갑의 상부는 급수밸브의 손잡이부를 감싸 주고 외갑의 하부는 급수밸브의 상단을 감싸주는 단순구조의 잠금장치를 제공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유지관리가 편리한 단수용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상기 목적을 당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돗물의 사용/공급을 중단하여 단수시키고자 할 때 사용되는 수도용 잠금 장치에서, 수도물의 공급/단수를 조절하는 급수밸브의 손잡이부를 감싸 열지 못하도록 기능하는 잠금장치가 서로 대칭되는 구조의 반원형 외갑이 일측으로는 힌지결합부를 갖고 타측으로는 잠금체결부를 갖는 단순구조로 제공되고, 반원형 외갑을 펴는 경우 중앙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반원형 외갑 외연끼리 닿을 때 까지 벌어지는 구조로 제공되고, 반원형 외갑을 닫으면 외갑의 상부는 급수밸브의 손잡이부를 감싸 밀폐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외갑의 하부는 반원형 홈을 갖고 급수밸브의 상단을 감싸 원형을 이루는 구조를 이루며 잠금체결부에 의해 잠금 작업이 수행되는 구성의 수도용 잠금 장치를 통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체결부는 반원형 외갑의 일측 단부에 돌출턱을 마련하고 돌출턱에 잠금체결부가 마련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반원형 외갑의 일측 돌출턱에는 나사봉 관통공을 중심으로 중간 칸막이벽 외측은 나사봉과 열결된 단수각 헤드부를 이루고 중간 칸막이벽 내측은 나사봉이 완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구가 체결된 구조를 이루어서 나사봉이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이루고, 반원형 외갑의 타측 돌출턱에는 나사봉을 수용하는 암나사부만을 갖는 단순 구조로 제공되는 수도용 잠금 장치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 제공되는 잠금장치의 반원형 외갑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공되어 가벼운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잠금체결부는 스텐레스제나 황통이나 청동제로 제공되어 부식방지 구조를 이루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원에서는 수돗물의 공급을 중단하여 단수시키고자 할 때 수돗물 잠금 장치를 이용하는 단수시키는 수단으로서, 수도물의 공급/단수를 조절하는 급수밸브의 손잡이부를 감싸 열지 못하도록 기능하는 잠금장치가 서로 대칭되는 구조의 2개의 반원형 외갑이 일측으로는 힌지결합부를 갖고 타측으로는 잠금체결부를 가지며 반원형 외갑이 체결되면 외갑의 상부는 급수밸브의 손잡이부를 감싸 밀폐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외갑의 하부는 급수밸브의 상단을 감싸 원형을 이루는 형태로제공되며,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체결부는 반원형 외갑의 일측 단부에 돌출턱을 갖고 돌출턱에 잠금체결부가 마련되되, 반원형 외갑의 일측 돌출턱에는 나사봉 관통공을 중심으로 중간 칸막이벽 외측은 나사봉과 열결된 다각헤드부를 이루고 중간 칸막이벽 내측은 나사봉에 이탈방지구가 체결된 구조를 이루어서 나사봉이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이루고, 반원형 외갑의 타측 돌출턱에는 나사봉을 수용하는 암나사부만을 갖는 구조의 잠금장치로 제공되고, 상기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단수작업을 수행할 때는 2개의 반원형 외갑을 힌지결합부를 통하여 벌려서 급수밸브의 손잡이부 및 급수밸브의 상단을 감싸고 반원형 외갑을 다시 오므려서 잠금체결부에 마련된 나사봉을 돌려 잠금작업이 수행되는 단순 작업에 의해 수돗물 단수작업을 종료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수돗물 잠금장치는 수돗물 공급장치의 배관 파이프나 급수밸브의 하단부까지 감싸 보호하는 구성이 아니라 급수밸브의 손잡이부 및 급수밸브의 상단부만을 감싸 보호해주는 구성으로 제공됨으로 작음 몸체구조로 심플하게 제공되며, 또한 잠금장치의 몸체 측부에 잠금체결부가 일체로 제공됨으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자물통이 필요없는 단순구성으로 제공되어 제작단가가 저렴하고 유지관리에 수월함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잠금장치는 알루미늄 주물이 가능하여 가벼운 구조를 이루면서 잠금수단의 단순화를 통하여 상수도 요금체납에 따른 단수조치를 쉽고 편리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어 시간적으로나 인력적으로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보호통 내부에 형성된 수돗물 잠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원에서 제시되는 수돗물 잠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원에서 제공되는 단수용 잠금 장치의 사용예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원 발명의 기술사상을 바람직하게 구현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겸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그 전에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다.
도 2는 본원에서 개시되는 수돗물 잠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수돗물 잠금장치(100)를 이루는 두 개의 반원형 외갑(50a, 50b)이 중앙의 힌지결합부(20)를 중심으로 180°로 벌린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도 2a로 제공되는 수돗물 잠금장치의 반원형 외갑 50a 및 50b가 체결되어 하나의 원형 외갑(50)을 이루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수돗물 잠금장치(100)는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2개의 반원형 외갑(50a, 50b)이 일측으로는 힌지결합부(20)를 갖고 타측으로는 돌출부(52a, 52b)를 갖는 구조로 제공되는바, 일측의 반원형 외갑(50a) 상부는 급수밸브(1)의 손잡이부(2)를 감싸주기 위한 구조로 반원형을 이루면서 타측의 반원형 외갑(50b)과 결합되는 절개면(51a)을 갖고 측부로 마련되는 돌출부(52a)에는 잠금수단인 나사봉 이탈방지구(33)와 숫나사부(34)만이 외부로 나타나는 구성을 이루며, 하부로는 원추형으로 좁아지면서 급수밸브의 상단(1a)을 감싸주는 반원형 구조의 하단부(53a)을 갖는 구조로 제공된다.
한편, 타측의 반원형 외갑(50b)은 상부에는 급수밸브(1)의 손잡이부(2)를 감싸주기 위한 구조로 반원형을 이루면서 반원형 외갑(50a)과 결합되는 절개면(51b)은 50a와 동일구조를 갖되 절개면 상부로 일직선의 돌출턱(54)이 형성되어 반원형 외갑 50a와 50b가 결합되며 원형 외갑(50)을 이룰 때 50a와 50b 사이에서 절개면(51a,51b) 간극이 보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빗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제공되고, 측부로는 돌출부(52b)를 갖고 돌출부에는 잠금수단의 암나사부(35)를 가지며, 하부로는 원추형으로 좁아지면서 급수밸브의 상단(1a)을 감싸주는 반원형 구조의 하단부(53b)을 갖는 구조는 50a와 동일하게 제공된다.
도 2b는 본원의 수돗물 잠금장치(100)가 도 2a에 제시되는 두 개의 반원형 외갑(50a,50b)이 체결되어 하나의 원형외갑(50)을 이룰 때 잠금체결부(30)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여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 2a에서 반원형 외갑 50a의 돌출부(52a)에 나사봉 이탈방지구(33)와 숫나사부(34)만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원에서 별도로 도시되어 제시된 잠금체결부(30)의 다각헤드부(31)나 축부(32)는 외부로 드러나는 것이 아니고 큰 구멍(52c) 안쪽에 내장되는 구조이나 설명을 위해 외부로 빼내서 도시한 것이다.
즉, 반원형 외갑 50a의 돌출부(52a)에는 잠금체결부(30)가 내삽되기 위한 크기로 큰 구멍(52c)이 형성되어 있고 큰 구멍의 안쪽에는 숫나사부(34)가 왕래하는 작은 구멍(52d)이 뚫린 단턱부(52e)를 갖는 구조로 제공되고, 잠금체결부(30)는 다각헤드부(31)와 축부(32)와 나사봉 이탈방지구(33)와 숫나사부(34)를 갖는 구성으로 제공되어, 단턱부(52e)를 중심으로 큰 구멍(52c) 쪽으로는 다각헤드부(31)가 위치하고, 작은 구멍(52d)에는 축부(32)가 끼워지며 반대쪽으로는 나사봉 이탈방지구(33)가 끼워지는 구조를 이루어서 큰 구멍(52c)의 안쪽에서 단턱부(52e)를 중심으로 잠금체결부(30)가 전체적으로 내장되는 구성을 이루면서 외부로는 나사봉 이탈방지구(33)와 숫나사부(34)만 돌출되도록 제공된다.
한편 상기의 잠금체결부(30)의 다각헤드부(31)를 돌려 잠그고 푸는 열쇠기능을 하는 잠금기구(40)는 다각헤드부(31)와 동일한 구성의 다각면(예를 들면 다각헤드부(31)가 7각으로 제공될 때 잠금기구(40)도 7각을 내장한 구조로 제공되어 다각헤드부(31)를 조여주는 수단에 의해 반원형 외갑 50b에 마련된 잠금수단인 암나사부(35)에 반원형 외갑 50a의 숫나사부(34)가 체결되거나 풀림에 의해 반원형 외갑 50a와 50b를 체결하거나 풀 수 있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원에서 개시되는 수돗물 잠금장치가 현장에 적용되는 실시양태를 사시도 형태로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수돗물 잠금장치(100)를 착용하기 전 상태로 손잡이부(2)를 갖는 급수밸브(1)에서 계량기(5)로 연결되는 배관 파이프(4)를 갖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상기 도 3a의 상태에서 급수밸브(1)의 손잡이부(2)를 돌려 급수를 차단시키고 본원에서 제공되는 수돗물 잠금장치(100)를 착용하기 위해 반원형 외갑 50b로 먼저 급수밸브(1)의 손잡이부(2)를 일측으로 감싸 반원형의 하단부(53b)는 급수밸브의 상단(1a)위치에 오도록 하고 반원형 외갑 50a를 닫아주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c는 도 3b의 상태에서 더 전진하여 반원형 외갑 50b에 반원형 외갑 50a를 밀착시켜 잠금기구(40)를 큰 구멍(52c)으로 내삽시켜 큰 구멍(52c) 안쪽에 내장되어 있는 다각헤드부(31)를 돌려 나사조임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d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수돗물 잠금장치(100)가 착용된 후 잠금기구(40)는 수돗물 공급 주관부서에서 보관하고, 현장에서는 수돗물을 공급하는 급수밸브가 잠겨져 단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제공되는 단수용 잠금장치는 수도 공급장치의 급수밸브의 손잡이부 및 급수밸브의 상단부만을 밀폐시켜 열지 못하도록 하는 본래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면서 상수 요금체납에 따른 단수조치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 시간적으로나 인력적으로 비용절감 효과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제작단가를 획기적으로 줄여서 저렴한 구입비용으로 제공 가능한 우수한 기술이다.
10 : 종래 구성의 수돗물 잠금장치 20 : 힌지결합부
30 : 잠금체결부 31 : 다각헤드부
32 : 축부 33 : 나사봉 이탈방지구
34 : 숫나사부 35 : 암나사부
40 : 잠금기구 50 : 원형 외갑
50a, 50b : 반원형 외갑 51a, 51b : 절개면
52a, 52b : 돌출부 52c : 큰 구멍
52d : 작은 구멍 52e : 단턱부
53a, 53b : 하단부 54 : 돌출턱
100 : 본원에서 제공되는 수돗물 잠금장치

Claims (4)

  1. 수돗물의 사용/공급을 중단하여 단수시키고자 할 때 사용되는 수도용 잠금 장치에 있어서,
    수도물의 공급/단수를 조절하는 급수밸브의 손잡이부를 감싸 열지 못하도록 기능하는 잠금장치가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2개의 반원형 외갑이 일측으로는 힌지결합부를 갖고 타측으로는 잠금체결부가 수용되는 돌출부를 갖는 구조로 제공되고, 반원형 외갑을 펴는 경우 중앙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반원형 외갑 외연끼리 닿을 때 까지 벌어지는 구조로 제공되고, 반원형 외갑을 닫아 원형 외갑이 되면 상부는 급수밸브의 손잡이부를 감싸 밀폐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외갑의 하부는 반원형 홈을 갖고 급수밸브의 상단을 감싸 원형을 이루는 구조를 이루며 반원형 외갑의 양 측부에 마련되는 돌출부의 잠금체결수단에 의해 잠금 작업이 수행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체결수단은 2개의 반원형 외갑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는 돌출부에 대응되는 구조의 잠금체결부가 마련되되, 일측의 반원형 외갑 돌출부에는 다각헤드부와 축부와 나사봉 이탈방지구와 숫나사부로 이루어진 잠금체결부를 갖고 타측의 반원형 외갑 돌출부에는 암나사부만을 갖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잠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의 반원형 외갑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공되고, 잠금체결부는 스텐레스제나 황동제나 청동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잠금 장치.
  4. 수돗물의 공급을 중단하여 단수시키고자 할 때 수돗물 잠금 장치를 이용하는 단수방법에 있어서,
    수도물의 공급/단수를 조절하는 급수밸브의 손잡이부를 감싸 열지 못하도록 기능하는 잠금장치가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2개의 반원형 외갑이 일측으로는 힌지결합부를 갖고 타측으로는 잠금체결부가 수용되는 돌출부를 갖는 구조로 제공되며,
    상기 잠금장치의 돌출부에 마련되는 잠금체결부는 일측의 반원형 외갑 돌출부에는 다각헤드부와 축부와 나사봉 이탈방지구와 숫나사부로 이루어진 잠금체결부를 갖고 타측의 반원형 외갑 돌출부에는 암나사부만을 갖는 구조로 제공되는 단계;
    상기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단수작업을 수행할 때 반원형 외갑을 벌려서 급수밸브의 손잡이부 및 급수밸브의 상단을 감싸 반원형 외갑을 닫아 원형외갑을 이루면 외갑의 상부는 급수밸브의 손잡이부를 감싸 밀폐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외갑의 하부는 급수밸브의 상단을 감싸며 잠금체결부에 마련된 다각헤드부를 돌려 잠금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 단수방법.
KR1020110060875A 2011-06-22 2011-06-22 수돗물 단수용 잠금 장치 KR101280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875A KR101280999B1 (ko) 2011-06-22 2011-06-22 수돗물 단수용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875A KR101280999B1 (ko) 2011-06-22 2011-06-22 수돗물 단수용 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277A true KR20130000277A (ko) 2013-01-02
KR101280999B1 KR101280999B1 (ko) 2013-07-08

Family

ID=47833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875A KR101280999B1 (ko) 2011-06-22 2011-06-22 수돗물 단수용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9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589Y1 (ko) * 2016-07-14 2017-05-31 장현동 게이트 밸브 잠금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410B1 (ko) * 2016-03-14 2018-08-10 주식회사 쏠락 밸브 핸들용 보호커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032B1 (ko) 2006-03-27 2007-01-16 강석동 수도밸브 봉인장치
KR200444096Y1 (ko) * 2007-08-16 2009-04-10 김준호 수도밸브 봉인장치
KR20100010757A (ko) * 2008-07-23 2010-02-02 김성수 개폐밸브의 봉인장치
KR20110080942A (ko) * 2010-01-07 2011-07-13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가스밸브 봉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589Y1 (ko) * 2016-07-14 2017-05-31 장현동 게이트 밸브 잠금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0999B1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061B1 (ko) 수입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꼬임 방지용 소방호스
KR101280999B1 (ko) 수돗물 단수용 잠금 장치
KR101159030B1 (ko) 밸브 잠금장치
US9440061B2 (en) Intravenous connection site protective device
KR101387204B1 (ko) 수도계량기용 단수제어밸브
KR101335961B1 (ko) 수돗물 단수용 잠금장치
KR200477330Y1 (ko) 배관 클램프
KR200450519Y1 (ko) 밸브의 봉인장치
KR101756585B1 (ko) 수도계량기용 단수제어밸브
KR20090001629U (ko) 수도밸브 봉인장치
KR101115924B1 (ko) 밸브 잠금장치
CN206465841U (zh) 一种房车外置集成水盒
KR102053423B1 (ko) 임의적 단수해제가 불가능한 수도앵글밸브
KR20130001649U (ko) 씨 체스트 그리드의 보안 잠금장치
JP3150500U (ja) 蛇口用制御弁
KR20100010757A (ko) 개폐밸브의 봉인장치
JP2010077787A (ja) 盗水防止用給水栓上部
KR20160033539A (ko) 가스통 보호 및 도난방지 장치
JP2003090752A (ja) ガスメーター接続部配管の保護カバー
KR100607601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밸브
KR200400780Y1 (ko) 수도계량기 보호통 덮개의 뚜껑 개폐구조
AU741090B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ater supply
JP2011021454A (ja) 給水バルブを内蔵する地上型散水栓。
CN207905027U (zh) 一种具有防盗功能的室外消火栓
KR101238868B1 (ko) 개폐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