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961B1 - 수돗물 단수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수돗물 단수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961B1
KR101335961B1 KR1020110101033A KR20110101033A KR101335961B1 KR 101335961 B1 KR101335961 B1 KR 101335961B1 KR 1020110101033 A KR1020110101033 A KR 1020110101033A KR 20110101033 A KR20110101033 A KR 20110101033A KR 101335961 B1 KR101335961 B1 KR 101335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tap water
spindle head
head
suppl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6848A (ko
Inventor
한민흠
Original Assignee
한민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민흠 filed Critical 한민흠
Priority to KR1020110101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961B1/ko
Publication of KR2013003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647Spindles or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 F16K5/10Means for additional adjustment of the rate of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본원은 종래의 수돗물 공급/단수 장치에서와 같이 별도의 자물통이나 열쇄와 같은 잠금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수돗물 공급/관리자가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돗물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풀어줄 수 있는 수돗물 단수용 잠금밸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발명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수돗물 공급/단수 장치는 종래의 수돗물 잠금밸브의 구조를 부분적으로 변경하여 적용가능토록 한 것으로, 수돗물의 공급/단수를 조절하는 급수밸브가 급수밸브 몸체와 손잡이부가 분리되는 구조를 이루되, 상기 급수밸브 몸체는 볼 밸브 형태로 제공되고 내부의 볼 역할을 하는 스핀들의 상단으로 스핀들헤드가 다각 기둥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스핀들헤드의 외연으로는 조작방지부가 형성되어 스핀들헤드의 외부를 감싸 간극부를 형성한 구조로 제공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속이 빈 원통 형태의 내삽봉이 마련되고, 내삽봉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핀들헤드의 다각 기둥 형태에 대응되는 헤드조임부를 갖는 구조로 제공되어 상기 내삽봉이 상기 급수밸브 몸체의 조작방지부와 스핀들헤드의 간극부에 내삽되고 일측으로 돌려지는 수단에 의해 수돗물의 공급/단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수돗물의 공급/단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돗물 단수용 잠금장치{fastning valve for water shut off}
본원 발명은 수돗물의 공급을 강제로 중단하는 단수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관리자 이외에 다른 사람은 타 장비나 공구를 이용하여도 쉽게 풀지 못하도록 기능하는 단수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돗물 공급장치란 계량기 보호통 내부에 존재하여 사용자에게 사용할 물을 공급하면서 사용량을 측정하는 기기로서, 일반적인 수돗물 공급장치는 계량기 보호통 본체의 저부에 마련된 새들 분수전으로부터 수돗물을 공급받아 계량기 보호통을 경유하여 각 사용처로 공급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계량기 보호통 내부에는 급수밸브 및 체크밸브에 연결되는 배관 파이프와 상기 급수밸브와 체크밸브 사이에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수도계량기와 상기 급수밸브와 체크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수도 계량기를 지지하는 연결구 등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수돗물 공급장치에서 급수밸브는 물의 공급/차단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장치로, 통상적으로는 밸브를 잠그지 않은 상태로 두어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수돗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수도계량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 수돗물의 양을 측정하여 일정한 요금을 부과하여 사용요금을 납부하도록 제공된다.
그런데 사용자들의 상수도 요금을 체납할 때 담당 관청으로부터 일정한 제한 조치로 단수조치를 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단수조치는 보통 급수밸브를 분리하는 행동, 즉 수도 공급장치 자체를 아예 분해시켜는 방법으로 상수의 사용을 차단하기도 하는바, 상기와 같은 단수조치를 행하게 되면 사용자가 체납된 상수 요금을 납부하면 다시 급수밸브를 조립해 줘야하므로 시간적으로나 인력적으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또 다른 수단으로 상기 급수밸브를 분해하지 않고 잠근 후 상기 급수밸브를 사용자가 조작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급수밸브에 자물통 등의 잠금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수돗물 사용자들이 수도요금을 체납할 경우 단수조치를 취하기 위한 종래의 잠금 장치는 수도공급장치의 급수밸브를 감싸 보호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어 덮개가 이탈되지 않고 급수밸브를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첩과 상기 덮개와 경첩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체결수단을 포함한 구성의 잠금장치가 종래에 제시되어 사용되어 왔는바, 도 1을 통하여 종래에 개시된 잠금장치를 살펴보면, 계량기 보호통 내부에서 계량기(5)를 통하여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단수시키는 기능을 하는 급수밸브(1)를 감싸 보호하는 잠금장치 몸체(10)가 원형 몸체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어 잠금장치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급수밸브(1)를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첩판(11a)과 잠금장치 몸체(10)와 경첩판(11a)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자물통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구성이 대부분이었다.
상기 잠금장치 몸체(10)는 급수밸브(1)에서 계량기(5)로 연결되는 배관 파이프(4)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 몸체(10)의 외주면 일부가 부분적으로 개구되어 배관을 수용하는 공간부(10a)를 확보하는 구조이고 또한 몸체(10)의 하부 일측엔 걸림고리(13)가 형성되어 제공되고, 경첩판(11a)은 상기 몸체(10)의 개구부(10a)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고정되고 개구부(10a) 타측에 마련되는 걸림고리(13)에 경첩판(11a)의 결합홀(11b)이 끼워진 후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자물통(12)으로 체결되는 구조로 제공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잠금장치 구조는 수돗물 공급장치의 배관 파이프(4) 및 급수밸브(1)의 상,하부 전체를 감싸 보호하기 위해 잠금장치의 특성상 철재로 제공되고 필요 이상의 큰 몸체를 요구하면서 별도의 자물통과 이를 개폐하기 위한 열쇄가 별도로 준비되어야 적용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는 쉽게 파손되지 않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 일반 철재로 제공되는 경우 잠금장치가 무거워서 제작 및 취급이 용이하지 않고, 또한 수돗물 관련 부품이 습기에 취약하여 부식방지를 도모하지 않으면 녹슬기 쉬우므로, 부식방지 구조를 이루기 위해 스텐레스나 청동이나 황동제로 제공되는 경우 그 무게도 상당한 하중을 가질 뿐 아니라 제작비용도 커서 현실적으로 구입하여 적용하기에 너무 부담스러운 가격에 배보다 배꼽이 커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수돗물 공급장치에서 별도의 잠금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수돗물 공급자가 쉽고 용이하게 수돗물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풀어줄 수 있는 수돗물 단수용 잠금밸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수돗물 단수용 잠금밸브의 구조를 종래의 잠금밸브를 대체하여 사용가능토록 하되, 특히 밸브를 잠그거나 풀 수 있는 손잡이부가 분리형으로 제공되어 담당 관청에서 특정관리자가 관리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잠금밸브에 끼워넣어야 밸브를 잠그거나 풀 수 있도록 하는 수돗물 단수용 잠금밸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에서는, 급수밸브를 볼 밸브(ball valve) 형태로 제공하되 볼 밸브의 볼(ball) 역할을 하는 스핀들의 끝단이 분리되어 별도로 관리되는 손잡이부의 중심축과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손잡이부의 중심축과 함께 급수밸브로부터 분리되는 형태의 급수밸브에 대한 기술사상이 개시된다.
상기 손잡이부는 급수밸브의 내부에 위치한 스핀들의 헤드부까지 내삽되는 헤드조임부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조임부는 헤드부와 맞물려 손잡이부를 손으로 돌렸을 때 스핀들의 헤드부가 함께 돌아갈 수 있도록 제공되며, 특히 상기 헤드조임부와 헤드부의 형상이 다각형의 기둥 형태로 제공되면서 단단하고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져 쉽게 파손되지 않는 구성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발명은 수돗물을 공급/단수시키고자 할 때 사용되는 수돗물 잠금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수돗물의 공급/단수를 조절하는 급수밸브가 급수밸브 몸체와 손잡이부가 분리되는 구조를 기본으로 한다.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급수밸브 몸체는 볼 밸브 형태로 제공되고 내부의 볼 역할을 하는 스핀들의 상단으로 스핀들헤드가 다각 기둥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스핀들헤드의 외연으로는 조작방지부가 형성되어 스핀들헤드의 외부를 감싸는 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된다.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손잡이부는 속이 빈 원통 형태의 내삽봉이 마련되고, 상기 내삽봉의 외주면이 상기 조작방지부와 스핀들헤드의 간극부에 내삽되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내삽봉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핀들헤드의 다각 기둥 형태에 대응되는 헤드조임부를 갖는 구조로 제공된다.
상기 급수밸브 몸체의 스핀들헤드는 4각이나 6각, 8각 형태보다 5각 기둥이나 7각 기둥 형태를 이루고 상면이 기울어지도록 깍인 형태의 숫나사 형태로 제공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헤드조임부도 상기 스핀들헤드의 형태에 대응되는 암나사 형태로 제공되며, 본원에서 제공되는 급수밸브가 수돗물을 취급하는 장치임에 녹이 방지되는 구성을 이루기 위해 조작방지부와 스핀들헤드나 손잡이부의 내삽봉 등은 스텐레스제나 황동제나 청동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수돗물의 공급/단수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방법은 급수밸브가 급수밸브 몸체와 손잡이부가 분리되는 구조를 이루고 수돗물의 공급/단수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는바, 급수밸브 몸체는 볼 밸브 형태로 제공되고 내부의 볼 역할을 하는 스핀들의 상단으로 스핀들헤드가 다각 기둥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스핀들헤드의 외연으로는 조작방지부가 형성되어 스핀들헤드의 외부를 감싸는 구조로 제공되고, 손잡이부는 속이 빈 원통 형태의 내삽봉이 마련되고, 상기 내삽봉의 외주면이 상기 조작방지부와 스핀들헤드의 간극부에 내삽되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내삽봉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핀들헤드의 다각 기둥 형태에 대응되는 헤드조임부를 갖는 구조로 제공되어 수돗물의 공급/단수작업을 수행할 때 손잡이부의 내삽봉을 급수밸브 몸체의 조작방지부와 스핀들헤드의 간극부에 내삽시켜 수돗물을 공급하거나 단수작업을 수행하는 수돗물의 공급/단수작업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밸브 몸체의 스핀들헤드는 5각 기둥이나 7각 기둥 형태를 이루며 상면이 기울어지도록 깍인 형태의 숫나사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헤드조임부도 상기 스핀들헤드의 형태에 대응되는 암나사 형태로 제공되어 수돗물을 공급하거나 단수작업을 수행하는 기술사상을 포함한다.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실시양태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란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원에서 제공하는 수돗물 잠금장치의 잠금밸브는 종래의 손잡이가 붙어있는 잠금장치의 외부를 감싸는 잠금통 형태의 잠금장치가 아니라 담당관청에서 특정관리자만 보관하는 손잡이부를 통해 잠금밸브를 열거나 풀 수 있도록 하여 매우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별도의 잠금통이나 열쇄가 필요 없어 제작단가 및 유지비용이 저렴하고 손잡이부의 헤드조임부만 금속재질로 주물하여 쉽고 용이하게 단수조치를 저렴한 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시간적으로나 인력적으로 드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에 개시된 잠금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원에서 개시되는 수도용 잠금장치에 적용되는 급수밸브의 구조를 예시한 예시도.
도 3은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돗물 잠금밸브가 적용된 수돗물 공급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원에서 제공하는 수도용 잠금장치의 급수밸브에 대한 기술사상을 바람직하게 구현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겸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원에서 개시되는 수도용 잠금장치에 적용되는 급수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급수밸브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c는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예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본원에서 제공하는 급수밸브는 급수 밸브 몸체(20)와 손잡이부(30)로 분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급수밸브 몸체(20)의 상부로 손잡이부(30)의 일부가 내삽되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급수밸브 몸체(20)는 양 쪽으로 수도파이프가 연결되도록 연결구(21, 22)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 내부로는 수돗물이 통과할 수 있는 내관(23)이 뚫려 있으며 상기 내관(23)의 중앙에는 볼 밸브의 볼 역할을 하는 스핀들(24)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핀들의 상부로 스핀들오링(25)이 설치되어 수밀구조를 이루도록 하고 그 상부로 스핀들헤드(26)가 형성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핀들헤드(26)의 외연으로 스핀들헤드를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태의 조작방지부(27)가 스핀들헤드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하여 마치 스핀들헤드(26)가 조작방지부(27) 안쪽으로 함몰되어 있는 듯한 구조를 갖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조작방지부(27)로 인해 다른 공구를 이용하여 스핀들헤드가 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30)는 손으로 잡는 손잡이(31)의 하단으로 상기 급수밸브 몸체(20)의 조작방지부(27)로 내삽되는 내삽봉(32)이 형성되고, 상기 내삽봉(32)은 내부가 빈 형태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삽봉의 외면이 상기 조작방지부(27)의 내면과 같거나 약간 작도록 하여 내삽봉이 급수밸브 몸체에 내삽되었을 때 손잡이부(30)가 급수밸브 몸체에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내삽봉(32)의 내면으로는 스핀들헤드(26)의 형태에 대응되는 헤드조임부(33)가 형성되어 상기 스핀들헤드(26)는 숫 나사 역할을 하고 상기 헤드조임부는 암나사 역할을 하는 구조의 형태를 이뤄줌으로써 손잡이부가 급수밸브 몸체에 내삽되었을 때 스핀들헤드(26)가 헤드조임부(33)에 완벽히 끼워지고 이때 손잡이부(30)를 손으로 돌려 스핀들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핀들헤드(26)는 다각 기둥 형태로 제공되고 또한 상단 부분이 깍인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4각 기둥이나 6각 기둥보다는 5각 기둥이나 7각 기둥 같은 홀수 각을 갖도록 하거나 또는 오목홈(凹)부 등을 갖도록 제공되고, 내삽봉(32)의 내측부에서 스핀들헤드(26)를 감싸는 구조를 이루는 헤드조임부(33) 역시 스핀들헤드의 다각 기둥에 대응되는 구조로 5각, 7각 수용부를 갖도록제공되거나 또는 스핀들헤드(26)가 오목홈(凹)을 갖도록 제공된 경우 오목홈에 대응하는 볼록부(凸)를 갖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스핀들헤드 부분과 헤드조임부가 뭉개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접촉 마모도를 높이기 위해 하이크롬강이나 하이망간강 등의 특수강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돗물 공급밸브 몸체에 스핀들헤드(26)를 돌려서 수돗물을 공급하거나 잠금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스핀들헤드(26)의 외연으로는 스핀들헤드를 감싸는 조작방지부(27)가 마련되되 본원에서 제공되는 손잡이부(30)외의 다른 기구로는 스핀들헤드(26) 및 조작방지부(27) 사이의 간극부로 내삽될 수 없는 구조로 원통 형태의 조작방지부(27)가 스핀들헤드(26)보다 높게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예를 들어 수도요금 체납자에게는 본원의 손잡이부(30)를 이용하여 스핀들헤드(26)를 돌려 급수밸브를 잠그고 손잡이부(30)를 분리시키면 도 3a와 같은 외관 상태를 이루고 담당 관청에서 특정관리자가 손잡이부(30)만을 관리하도록 하고, 수도요금 체납자가 수도요금을 납부하면 도 3b와 같은 동작으로 손잡이부(30)를 급수밸브 몸체(20)의 스핀들헤드(26)와 외연의 조작방지부(27) 사이의 간극부로 손잡이부(30)의 내삽봉(32)을 스핀들헤드(26)와 조작방지부(27) 사이의 간극부에 끼워넣고 일측 방향으로 돌려주는 수단으로 쉽고 간단하게 급수라인이 연결되도록 적용될 수 있는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에서는 스핀들헤드(26) 및 조작방지부(27)가 외부로 노출된 형태의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을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실제 현장의 적용에서는 도 3c에서와 같이 조작방지부(27) 외연으로 숫 나사홈(27a)을 갖도록 제공되고 조작방지부(27) 외연의 감싸 보호하는 보호캡(28)이 마련되어 적용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호캡(28)의 측벽 내측으로 암 나사홈(28a)을 갖는 구조의 보호캡(28)을 이용하여 조작방지부(27) 외연의 숫 나사홈(27a)에 끼워져 체결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수도요금 체납으로 인하여 부득이 단수조치를 한 경우 본원의 손잡이부(30)를 이용하여 스핀들헤드(26)를 돌려 급수밸브를 잠그고 손잡이부(30)를 분리시킨 후 조작방지부(27) 외연으로 보호캡(28)을 돌려주는 수단을 통하여 스핀들헤드(26) 및 조작방지부(27)사이에 이물질이나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구성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종래 구성의 수돗물 잠금장치 20 : 공급밸브 몸체
21, 22 : 연결구 23 : 내관
24 : 스핀들 25 : 스핀들 오링
26 : 스핀들헤드 27 : 조작방지부
28 : 보호캡 30 : 손잡이부
31 : 손잡이 32 : 내삽봉
33 : 헤드조임부

Claims (5)

  1. 급수밸브가 포함되어 수돗물의 공급/단수를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수돗물의 공급/단수 조절장치에 있어서,
    수돗물의 공급/단수를 조절하는 급수밸브가 급수밸브 몸체(20)와 손잡이부(30)가 분리되는 구조를 이루되,
    상기 급수밸브 몸체(20)는 볼 밸브 형태로 제공되고 내부의 볼 역할을 하는 스핀들(24)의 상단으로 스핀들헤드(26)가 다각 기둥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스핀들헤드의 외연으로는 조작방지부(27)가 형성되어 스핀들헤드의 외부를 감싸 간극부를 형성한 구조로 제공되고,
    상기 손잡이부(30)는 속이 빈 원통 형태의 내삽봉(32)이 마련되고, 내삽봉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핀들헤드(26)의 다각 기둥 형태에 대응되는 헤드조임부(33)를 갖는 구조로 제공되어 상기 내삽봉(32)이 상기 급수밸브 몸체(20)의 조작방지부(27)와 스핀들헤드(26)의 간극부에 내삽되고 일측으로 돌려지는 수단에 의해 수돗물의 공급/단수를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의 공급/단수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 몸체(20)의 스핀들헤드(26)는 5각 기둥이나 7각 기둥 형태를 이루고 상면이 기울어지도록 깍인 형태의 숫 나사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손잡이부(30)의 헤드조임부(33)도 상기 스핀들헤드의 형태에 대응되는 암나사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의 공급/단수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내삽봉(32)은 스텐레스제나 황동제나 청동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의 공급/단수 조절장치.
  4. 수돗물의 공급/단수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급수밸브가 급수밸브 몸체와 손잡이부가 분리되는 구조를 이루고 수돗물의 공급/단수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방법에 있어서,
    급수밸브 몸체(20)는 볼 밸브 형태로 제공되고 내부의 볼 역할을 하는 스핀들(24)의 상단으로 스핀들헤드(26)가 다각 기둥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스핀들헤드의 외연으로는 조작방지부(27)가 형성되어 스핀들헤드의 외부를 감싸는 구조로 제공되고,
    손잡이부(30)는 속이 빈 원통 형태의 내삽봉(32)이 마련되고, 내삽봉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핀들헤드의 다각 기둥 형태에 대응되는 헤드조임부(33)를 갖는 구조로 제공되어 수돗물의 공급/단수작업을 수행할 때 손잡이부(30)의 내삽봉(32)을 급수밸브 몸체(20)의 조작방지부(27)와 스핀들헤드(26)의 간극부에 내삽시켜 돌려주는 수단에 의해 수돗물을 공급하거나 단수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의 공급/단수 작업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 몸체(20)의 스핀들헤드(26)는 5각 기둥이나 7각 기둥 형태를 이루며 상면이 기울어지도록 깍인 형태의 숫 나사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손잡이부(30)의 헤드조임부(33)도 상기 스핀들헤드의 형태에 대응되는 암나사 형태로 제공되어 수돗물을 공급하거나 단수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의 공급/단수 작업방법.
KR1020110101033A 2011-10-05 2011-10-05 수돗물 단수용 잠금장치 KR101335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033A KR101335961B1 (ko) 2011-10-05 2011-10-05 수돗물 단수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033A KR101335961B1 (ko) 2011-10-05 2011-10-05 수돗물 단수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848A KR20130036848A (ko) 2013-04-15
KR101335961B1 true KR101335961B1 (ko) 2013-12-03

Family

ID=48438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033A KR101335961B1 (ko) 2011-10-05 2011-10-05 수돗물 단수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9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286B1 (ko) 2015-05-18 2015-11-20 (주)씨디씨뉴매틱 회전식 개폐 부재를 구비하는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6812B6 (cs) * 2015-07-03 2017-07-19 Seraw Industrial S.R.O. Zařízení k zajištění ovládacího prostředku potrubní uzavírací armatur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063Y1 (ko) 2005-11-03 2006-01-24 주식회사 대경미터기 수도미터기용 유체의 잠금장치
KR100943881B1 (ko) 2009-09-03 2010-02-24 주식회사 나코엔지니어링 봉인 장치 및 봉인 장치의 덮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063Y1 (ko) 2005-11-03 2006-01-24 주식회사 대경미터기 수도미터기용 유체의 잠금장치
KR100943881B1 (ko) 2009-09-03 2010-02-24 주식회사 나코엔지니어링 봉인 장치 및 봉인 장치의 덮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286B1 (ko) 2015-05-18 2015-11-20 (주)씨디씨뉴매틱 회전식 개폐 부재를 구비하는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848A (ko) 201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294B2 (en) Hydrant shoe with backflow prevention assembly
US7040342B1 (en) Fire hydrant lock
US20130199252A1 (en) Anti-theft lock assembly
KR101335961B1 (ko) 수돗물 단수용 잠금장치
NO319036B1 (no) Sikkerhets- og stengeventil
US20090025798A1 (en) Adaptable water connection for fire fighting equipment and connection device
US6648009B1 (en) Tamper-proof ball valve
US20110036421A1 (en) Propane tank safety device
CA2639766A1 (en) Locking mechanism for home heating fuel oil fill port
KR101280999B1 (ko) 수돗물 단수용 잠금 장치
CN101555948B (zh) 带锁阀门
KR200450519Y1 (ko) 밸브의 봉인장치
JP5185654B2 (ja) 回転弁用レバーハンドルのロック装置
US20060169324A1 (en) Antitampering ball valve
KR102053423B1 (ko) 임의적 단수해제가 불가능한 수도앵글밸브
KR20130001649U (ko) 씨 체스트 그리드의 보안 잠금장치
JP2010077787A (ja) 盗水防止用給水栓上部
JP2003090752A (ja) ガスメーター接続部配管の保護カバー
CN207512787U (zh) 防盗窨井盖用防盗组件
US20080053531A1 (en) Faucet incorporating vandal resistant features
FR3060038A1 (fr) Dispositif de manoeuvre inviolable d'un equipement de distribution d'eau et equipement de distribution d'eau pourvu d'un tel dispositif
JP2011021454A (ja) 給水バルブを内蔵する地上型散水栓。
KR100607601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밸브
KR101707213B1 (ko) 가스통 보호 및 도난방지 장치
KR101276057B1 (ko) 입상밸브용 라쳇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