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516Y1 - 전자부품 작업장치 및 이를 테스트 분류 설비에 응용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작업장치 및 이를 테스트 분류 설비에 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516Y1
KR200483516Y1 KR2020150008616U KR20150008616U KR200483516Y1 KR 200483516 Y1 KR200483516 Y1 KR 200483516Y1 KR 2020150008616 U KR2020150008616 U KR 2020150008616U KR 20150008616 U KR20150008616 U KR 20150008616U KR 200483516 Y1 KR200483516 Y1 KR 2004835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x
temperature control
pressure
temperature
electronic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쯔-웨이 리
Original Assignee
혼.테크놀로지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테크놀로지스,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혼.테크놀로지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2020150008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5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5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5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72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72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 G01R31/2874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related to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부품 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해당 전자부품 작업장치는 작업실, 탑재기, 압력추출기구, 온도유지기구, 개폐기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 해당 작업실은 꼭대기판 상에 최소한 하나의 통구를 갖추고 있으며, 해당 탑재기는 통구의 하측에 설치되어 전자부품을 지지하게 되며, 해당 압력추출기구는 최소한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하는 압력추출기를 포함하여, 이를 통해 전자부품을 압력 추출하게 되고, 해당 온도유지기구는 압력추출기의 외부에 설치되며 최소한 하나의 도어판을 가진 온도제어박스를 갖추고 있고, 이를 통해 압력추출기가 항상 미리 설정한 작업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며, 해당 개폐기구는 작업실의 통구 부위에 설치되고 최소한 하나의 구동기를 갖추고 있으며, 해당 구동기는 온도제어박스의 도어판을 구동 시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온도제어박스 내의 압력추출기가 탑재기 상의 전자부품에 대해 아래로 힘을 가하게 해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해당 개폐기구의 구동기를 이용해 온도제어박스의 도어판을 평행 이동시켜 개폐될 수 있게 함으로써, 기타 장치의 재료이동기가 작업실 상측에서 순조롭게 위치 이동할 수 있게 해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실의 공간 배치에서도 작업 효능을 향상시켜 실용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부품 작업장치 및 이를 테스트 분류 설비에 응용 {ELECTRONIC UNIT TEST APPARATUS WITH NOISE PREVENTION MECHANISM AND TEST SORTING EQUIPMENT APPLYING THE SAME}
본 고안은 전자부품 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폐기구의 구동기를 이용해 온도제어박스의 도어판을 평행 이동시켜 개폐될 수 있게 함으로써, 기타 장치의 재료이동기가 작업실 상측에서 순조롭게 위치 이동할 수 있게 해 주는 효과와 작업실의 공간 배치에도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전자부품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부품을 실제 사용 상황을 살펴보면, 보통 저온 환경이나 고온 환경에서 사용을 하고 있다. 관련 업자들은 전자부품의 사용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전자부품을 제조 완성한 후, 반드시 테스트 설비를 이용해 냉각 소자 테스트 혹은 열 테스트 작업을 진행하여 불량품을 제외시키고 있다. 도1과 도2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해당 전자부품 테스트 설비의 작업대(11) 상에는 전자회로판(121) 및 테스트받침(122)의 테스트장치(12)가 포함되어 있고, 이를 이용해 전자부품에 대해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수송장치의 재료이동기구(13)는 제1, 2, 3 방향(예: X, Y, Z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하는 재료이동기(131)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테스트가 진행될 전자부품을 테스트받침(122)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테스트받침(122)의 상측에는 하압장치(14)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하압장치(14)는 작동막대(141)를 통해 전자부품의 하압지그(142)에 압력을 가해 Z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시키게 되고, 해당 하압지그(142) 상에는 냉각 소자로 구성된 온도제어부품(1421)이 설치되며 이를 통해 전자부품이 사용될 온도로 가상 설정된 테스트 환경에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압지그(142)의 외부에는 온도유지기구가 설치되고, 해당 온도유지기구는 제1박스(1431), 제2박스(1432)를 갖춘 온도제어박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 제1박스(1431)는 하압지그(142)의 외부를 덮어 쓰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2박스1(432)는 제1박스(1431)의 외부를 덮어 쓰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1박스(1431)와의 사이에 연결막대(144)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제1박스(1431) 및 제2박스(1432)가 Z방향으로 서로 대응되어 위치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제2박스(1432)의 바닥부의 개구부에는 축회전으로 움직이며 개폐될 수 있는 2개의 도어판(145)을 설치한다. 또한 테스트받침(122)의 꼭대기면에는 2개의 높이가 조금 높고 도어판(145)을 열 수 있는 제어부품(146)을 직립으로 설치한다. 이를 사용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해당 재료이동기구(13)의 재료이동기(131)가 Y-Z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테스트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테스트받침(122)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해당 하압장치(14)의 작동막대(141)가 하압지그(142) 및 온도제어박스를 움직여 Z방향인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온도제어박스의 제2박스(1432)의 도어판(145)은 테스트받침(122) 양측의 제어부품(146)에 닿게 되며, 이어서 제어부품(146)이 도어판(145)을 끝까지 밀어 도어판이 축회전을 하면서 열리게 되고, 제2박스(1432)의 둘레 측까지 열린 후 위치가 고정되어 진다. 이어서 작동막대(141)는 계속해서 하압지그(142) 및 제1박스(1431)를 움직여 Z방향인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해당 제1박스(1431)는 연결막대(144)를 따라 위치 이동을 하게 되어 하압지그(142)가 테스트받침(122) 상의 전자부품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전자부품의 접점이 확실하게 테스트받침(122)의 탐침에 접촉하여 테스트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해당 온도유지기구는 반드시 테스트받침(122)의 양측에 높이 솟은 제어부품(146)을 설치해야만 해당 2개의 제어부품(146)을 이용해 제2박스(1432)의 2개의 도어판(145)을 끝까지 밀어 올려 축회전을 하여 열리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제2박스(1432)까지 밀어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2개의 높이 솟은 제어부품(146)이 테스트받침(122)의 둘레 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기타 장치에 쉽게 영향을 미치게 되며(도면에는 미표시),테스트받침(122) 상측에서 X-Y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함으로써 기타 장치의 작동 경로가 반드시 이 2개의 높이 솟은 제어부품(146)을 피해 가야만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결과 기타 장치를 작동시킬 때의 순서나 테스트 장비를 설치하는 전체 공간 상에서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전자부품 작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해당 전자부품 작업장치는 작업실, 탑재기, 압력추출기구, 온도유지기구, 개폐기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 해당 작업실은 꼭대기판 상에 최소한 하나의 통구를 갖추고 있으며, 해당 탑재기는 통구의 하측에 설치되어 전자부품을 지지하게 되며, 해당 압력추출기구는 최소한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하는 압력추출기를 포함하여, 이를 통해 전자부품을 압력 추출하게 되고, 해당 온도유지기구는 압력추출기의 외부에 설치되며 최소한 하나의 도어판을 가진 온도제어박스를 갖추고 있고, 이를 통해 압력추출기가 항상 미리 설정한 작업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며, 해당 개폐기구는 작업실의 통구 부위에 설치되고 최소한 하나의 구동기를 갖추고 있으며, 해당 구동기는 온도제어박스의 도어판을 구동 시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온도제어박스 내의 압력추출기가 탑재기 상의 전자부품에 대해 아래로 힘을 가하게 해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해당 개폐기구의 구동기를 이용해 온도제어박스의 도어판을 평행 이동시켜 개폐될 수 있게 함으로써, 기타 장치의 재료이동기가 작업실 상측에서 순조롭게 위치 이동할 수 있게 해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실의 공간 배치에서도 작업 효능을 향상시켜 실용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주요 목적은 전자부품 작업장치를 응용한 테스트 분류 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해당 테스트 분류 설비는 작업대, 재료공급장치, 재료접수장치, 작업장치, 수송장치, 중앙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재료공급장치는 작업대 상에 배치되며, 최소한 하나의 테스트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재료공급 탑재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재료접수장치는 작업대 상에 배치되며, 최소한 하나의 이미 테스트를 마친 전자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재료접수 탑재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작업장치는 작업대 상에 설치되어 테스트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탑재하게 되고, 해당 테스트 대기 중인 전자부품에 대해 선행 작업을 진행하며, 해당 수송장치는 작업대 상에 설치되고, 최소한 하나의 전자부품을 탑재 이동시키는 재료이동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중앙제어장치는 각 장치의 작동을 제어 및 통합하여 자동화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능을 향상시켜 실용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관한 상세한 이해를 돕고자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와 각종 도면을 함께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과 도4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본 고안인 전자부품 작업장치(20)는 작업실(21), 최소한 하나의 탑재기(22), 압력추출기구(23), 온도유지기구(24), 개폐기구(25)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 해당 작업실(21)에는 최소한 하나의 작업 공간이 설치되며, 더 나아가 해당 작업실(21)은 독립적 공간 형태이거나 혹은 작업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작업대를 꼭대기판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 중에서는 해당 작업실(21)이 작업대를 꼭대기판(211)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해당 꼭대기판(211) 상에는 통구(212)가 개설된다. 해당 최소한 하나의 탑재기(22)는 최소한 하나의 전자부품을 탑재할 수 있는 지지부품(221)이 설치되며, 더 나아가 해당 탑재기(22)는 탑재대, 재료판 혹은 테스트받침 등이 될 수 있으며, 해당 지지부품은 탑재홈 혹은 탑재지그 등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 중에서는 해당 탑재기(22)는 작업실(21) 내의 통구(212) 하측에 설치되며, 해당 탑재기(22)는 테스트받침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위에 복수 개의 탐침을 갖춘 지지부품(221)을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테스트 작업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탑재하여 테스트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당 압력추출기구(23)는 최소한 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하는 압력추출기(231)가 설치되며, 이를 통해 전자부품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혹은 압력을 가해 전자부품을 추출하거나 전자부품을 추출하여 탑재 이동시키게 되고, 더 나아가,해당 압력추출기(231)는 탑재기(22)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3방향(예: Z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하거나 혹은 해당 압력추출기(231)는 또한 제1, 2, 3 방향(예: X, Y, Z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하게 되고, 탑재기(22)와 관련 있는 장치 사이에서 전자부품을 탑재 이동시키게 된다. 해당 압력추출기(231)은 하압기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자부품에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되며, 해당 압력추출기(231)는 또한 흡입판을 갖춘 하압기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자부품에 압력을 가하고 이를 흡입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 중에서는 해당 압력추출기구 (23)는 작업실(21) 상측에 설치되며, 탑재기(22)와 서로 대응된다. 해당 압력추출기구 (23)는 구동구조(232)를 갖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최소한 하나의 작동부품(233)을 구동 시켜 Z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하게 한다. 해당 작동부품(233)은 전자부품에 대해 압력을 가하는 압력추출기(231)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압력추출기(231)의 상측에는 최소한 하나의 온도제어기(234)가 설치되며, 이를 통해 압력추출기(231)가 미리 설정한 테스트 환경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해 준다. 해당 온도제어기(234)는 냉각 소자, 가열 부품, 유체를 갖춘 본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 중에서는 해당 온도제어기(234)는 냉각 소자를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압력추출기(231)가 미리 설정된 저온 테스트 환경의 작업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해당 온도유지기구(24)는 해당압력추출기구 (23)의 압력추출기(231) 외부에 온도제어박스(241)가 설치되며, 해당 온도제어박스(241)는 최소한 하나의 작동 가능한 도어판을 포함하고, 더 나아가 해당 온도제어박스(241) 내면과 작동부품(233) 사이에는, 상호결합되어 슬라이드 작동을 제공하는, Z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슬라이드궤도(242)와 제1슬라이드받침(243)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 중에서는 온도제어박스(241) 내부의 양측면에는 Z방향으로 배치된 제1슬라이드궤도(242)가 설치되고, 작동부품(233)의 양측면에는 Z방향으로 배치된 제1슬라이드받침(243)이 설치되어 제1슬라이드궤도(242) 내로 슬라이드 결합되어 온도제어박스(241)와 작동부품(233)이 Z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어 위치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당 온도제어박스(241)에는 수평으로 2개의 도어판(244)이 설치되며, 온도제어박스(241)의 2개의 측판(2411)과 2개의 도어판(244) 사이에는, 상호결합되어 슬라이드 작동을 제공하는, X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슬라이드궤도(245)와 제2슬라이드받침(246)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 중에서는 온도제어박스(241)의 측판(2411)에는 X방향으로 배치된 제2슬라이드받침(246)이 설치되고, 도어판(244) 상에는 X방향으로 배치된 제2슬라이드궤도(245)가 설치되어, 해당 도어판(244)이 제2슬라이드궤도(245)를 이용하여 온도제어박스(241)의 제2슬라이드받침(246)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해당 온도제어박스(241)와 압력추출기구 (23)의 작동부품(233) 사이에는 최소한 하나의 연결부품(247)과 최소한 하나의 제1탄력부품(248)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 중에서는 압력추출기구(23)의 작동부품(233) 측면에 천공(2332)을 갖춘 고정판(2331)이 설치되고, 온도제어박스(241)의 받침판 상에 연결부품(247)이 고정 설치되며, 해당 연결부품(247) 상에 스프링을 갖춘 제1탄력부품(248)이 씌워져 설치된다. 또한 해당 탄력부품의 한 끝은 작동부품(233)의 천공(2332)에 관통 설치되고, 해당 끝부에는 고정판(2331)을 끝까지 밀어 올릴 수 있는 위치제한부품(2471)이 설치되며, 이를 통해 온도제어박스(241)가 압력추출기(231)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탄력부품(248)의 탄성을 이용해 밀어서 빠른 속도로 Z방향인 아래 방향으로 위치 이동해 원래 위치로 돌아갈 수 있게 된다. 또한 해당 온도유지기구(24)의 온도제어박스(241) 받침판과 도어판(244) 사이에 최소한 하나의 스프링으로 구성된 제2탄력부품(249)이 설치되며, 이를 통해 도어판(244)이 내부로 위치 이동하여 닫히게 되는 것을 보조해 준다. 한편 해당 개폐기구(25)는 작업실(21) 상에 최소한 하나의 구동기가 배치되며, 해당 구동기는 해당 온도유지기구(24)의 도어판(244)을 구동 시켜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 중에서는 해당 구동기는 실린더(251), 전동부품(252), 이동부품(253)을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개폐기구(25)는 작업실(21)의 꼭대기판(211) 상에 2개의 구동기가 설치되고, 해당 2개의 구동기에는 각각 제1방향으로 배치된 실린더(251)가 설치된다. 해당 2개의 실린더(251)는 각각 2개의 전동부품(252)을 구동 시켜 제1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하게 하고, 해당 2개의 전동부품(252)는 또한 각각 2개의 수평으로 배치된 이동부품(253)과 서로 연결되며, 2개의 이동부품(253)과 2개의 도어판(244) 사이에는 상호결합되어 함께 작동하는 걸림연결부부품과 접합부부품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 중에서는 도어판(244)에 홈구멍이 개설된 접합부부품(2441)이 설치되고, 이동부품(253) 상의 해당 접합부부품(2441)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핀고리로 형성된 걸림연결부부품(2531)이 설치되고, 이를 통해 실린더(251)가 전동부품(252)을 통과해 이동부품(253)을 움직여 제1방향의 평행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동부품(253)은 걸림연결부부품(2531) 및 접합부부품(2441)과 상호결합하여 함께 작동하는 도어판(244)을 움직여 제1방향으로 위치 이동시켜 열리게 한다. 또한 개폐기구(25)의 전동부품(252)과 꼭대기판(211) 사이에는, 상호결합되어 슬라이드 작동을 제공하는 제3슬라이드받침과 제3슬라이드궤도가 설치되며, 이를 통해 이동부품(253) 평행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를 해 준다. 본 실시예 중에서는 꼭대기판(211)에 제1방향으로 배치된 제3슬라이드궤도(254)가 설치되고, 전동부품(252) 상에는 제1방향으로 배치된 제3슬라이드받침(255)이 설치되어, 제3슬라이드궤도(254) 내로 슬라이드 결합된다. 또한 해당 개폐기구(25)는 최소한 하나의 감지기가 설치되며, 이를 통해 온도제어박스(241)가 미리 설정된 작업 위치에 있을 때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 중에서는 작업실(21)의 꼭대기판(211) 상에 광선을 발사하는 발사부품(2561) 및 광선을 수신하는 수신부품(2562)이 설치되며, 이를 통해 온도제어박스(241)의 도어판(244)이 이동부품(253) 상의 미리 설정된 작업 위치에 있을 때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고, 이렇게 감지한 온도 데이터를 중앙제어장치(도면에는 미표시)로 전송하여, 중앙제어장치에서 개폐기구(25)의 구동기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어판(244)을 더욱 편리하게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해당 작업장치(20)는 더 나아가 온도제어박스(241) 상에 최소한 하나의 건조 공기를 수송할 수 있는 제1수송관(261)이 설치되고, 이를 통해 미리 설정된 온도의 건조 공기를 수송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중에서는 제1수송관(261)은 저온의 건조공기를 온도제어박스(241)의 내부로 수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온도제어박스(241) 내부의 공기 중 수분 함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압력추출기(231)와 전자부품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작업장치(20)는 최소한 하나의 건조공기를 작업실(21) 내부로 수송할 수 있는 제2수송관(262)이 설치되고 이를 통해 작업실(21) 내부의 탑재기(22)와 전자부품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5와 도6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전자부품(41)에 대해 냉각 테스트 작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압력추출기구(23)는 냉각 소자로 구성된 온도제어기(234)가 압력추출기(231)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테스트 환경 온도로 낮추게 되며, 이를 통해 간편하게 압력추출기(231)가 전자부품에 대해 압력을 가할 때 전자부품(41)이 가상 온도 테스트 환경에 처할 수 있도록 하여, 저온의 압력추출기(231)가 압력을 가하는 동작을 실행하기 전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해당 작업장치(20)는 제1수송관(261)을 이용해 온도제어박스(241) 내로 저온의 건조공기를 수송하게 되며, 이를 통해 온도제어박스(241) 내의 공기의 수분 함유량을 낮출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압력추출기(231)가 전자부품에 대해 압력을 가하기 전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온도제어박스(241)는 압력추출기(231)의 외부를 덮어 쓰는 형태로 구성되고, 2개의 도어판(244)을 이용해 온도제어박스(241)를 닫을 수 있기 때문에 저온의 압력추출기(231)와 온도제어박스(241) 외부가 수분 함유량이 높은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어, 결과적으로 압력추출기(231)가 압력을 가하는 동작을 진행하기 전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테스트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수송장치(도면에는 미표시)의 재료이동기구(31)는 재료이동기(311)를 Y방향으로 위치 이동시켜 테스트 진행 대기 중인 전자부품(41)을 작업장치(20)의 개폐기구(25)의 이동부품(253) 상측에 위치할 수 있게 하고, 이때 이동부품(253)이 수평으로 작업실(21)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작업실(21)의 상측에 높이 솟아 뻗은 형태로 구성할 필요가 없어 재료이동기(311)의 위치 이동 동작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재료이동기(311)가 순조롭게 탑재기(22)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작업실(21)의 공간 배치도 편리해 지게 된다. 또한 개폐기구(25)의 2개의 이동부품(253)이 작업실(21)의 통구(212)를 닫을 수 있기 때문에 중앙제어장치는 재료이동기(311)의 동작 시간과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해당 개폐기구(25)의 실린더(251)의 동작을 제어하여 2개의 이동부품(253)을 움직여 작업실(21)의 통구(212) 열게 되고, 또한/혹은 개폐기구(25)의 감지기가 재료이동기(311) 혹은 전자부품(41)을 감지하였을 때, 해당 감지 데이터를 중앙제어장치로 전송하게 되며, 중앙제어장치에서 해당 개폐기구(25)의 실린더(251)의 동작을 제어하여 2개의 이동부품(253) 움직여 작업실(21)의 통구(212)를 열게 된다. 본 실시예 중에서는 중앙제어장치가 재료이동기(311)의 동작 시간과 순서에 따라 개폐기구(25)의 실린더(251)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해당 실린더(251)의 피스톤이 전동부품(252)을 구동 시켜 X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시키게 되고, 전동부품(252)이 이동부품(253)을 움직여 X방향인 밖을 향해 이동시키게 되면, 2개의 이동부품(253)은 바로 작업실(21)의 통구(212)를 열게 된다. 또한 더 나아가 해당 재료이동기구(31)의 재료이동기(311)가 Z방향인 아래를 향해 위치 이동을 하여 해당 통구(212)를 통과하게 되어, 테스트 대기 중인 전자부품(41)을 탑재기(22)의 지지부품(221) 상에 탑재 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테스트 대기 중인 전자부품(41)의 접점이 탑재기(22)의 탐침과 전기적 연결을 하게 된다. 해당 탑재기(22)가 테스트 대기 중인 전자부품(41)을 탑재한 후, 중앙제어장치가 개폐기구(25)의 실린더(251)를 작동 시키게 되고, 해당 실린더(251)의 피스톤이 전동부품(252)을 구동 시켜 X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시키게 되고, 전동부품(252)이 이동부품(253)을 움직여 X방향인 내부를 향해 위치 이동을 하여 2개의 이동부품(253)이 잠시 작업실(21)의 통구(212)를 닫게 된다.
도7과 도8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압력추출기구 (23)가 탑재기(22)와 작업실(21)의 통구(212) 상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압력추출기구(23)가 구동구조(232)를 이용해 작동부품(233)을 구동 시켜 Z방향인 아래 방향을 향하여 위치 이동 시켜고, 작동부품(233)이 압력추출기(231)와 온도유지기구(24)를 움직여 이 둘을 동시에 Z방향인 아래를 향해 위치 이동 이동시키게 되고, 이를 통해 온도유지기구(24)의 2개의 도어판(244)이 개폐기구(25)의 2개의 이동부품(253) 상에 위치할 수 있게 되고, 또한 2개의 도어판(244)의 접합부부품(2441)이 각각 2개의 이동부품(253)의 걸림연결부부품(2531)에 덮어 씌워진 형태로 결합을 하게 된다. 개폐기구(25)의 발사부품(2561)과 수신부품(2562) 사이의 광선이 차단되는 경우, 해당 수신부품(2562)는 감지 데이터를 중앙제어장치로 전송하게 되며, 해당 중앙제어장치는 개폐기구(25)의 실린더(251)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며, 해당 실린더(251)의 피스톤이 전동부품(252)을 움직여 X방향인 외부를 향해 위치 이동 시키게 되고, 전동부품(252)이 이동부품(253)을 움직여 X방향인 외부를 향해 위치 이동 시키게 되는 것을 이용해 작업실(21)의 통구(212)를 열게 된다. 2개의 이동부품(253)의 걸림연결부부품(2531)은 2개의 도어판(244)의 접합부부품(2441) 상에 걸림 연결되기 때문에 2개의 이동부품(253)이 X방향인 외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과 동시에 즉시 2개의 도어판(244)이 동시에 X방향인 외부를 향해 수평 이동 동작을 하게 되며, 2개의 도어판(244)은 제2슬라이드궤도(245)가 온도제어박스(241)의 제2슬라이드받침(246)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이용해 제2탄력부품(249)을 길게 당기게 되며, 더 나아가 온도제어박스(241)를 열게 된다.
도3과 도9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온도제어박스(241)의 2개의 도어판(244)을 열은 후, 해당 압력추출기구 (23)의 구동구조(232)는 작동부품(233)을 통해 계속해서 압력추출기(231)을 구동 시켜 Z방향인 아래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하게 하며, 온도유지기구(24)의 온도제어박스(241)의 2개의 도어판(244)은 2개의 이동부품(253) 상에 설치 되기 때문에 온도제어박스(241)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게 되어 Z방향인 아래 방향을 향해 위치 이동을 하지 못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해당 압력추출기구 (23)의 작동부품(233)는 또한 제1슬라이드받침(243)이 온도제어박스(241)의 제1슬라이드궤도(242)를 따라 Z방향인 아래를 향해 위치 이동하는 것을 이용하여, 고정판(2331)의 천공(2332)이 온도제어박스(241)의 연결부품(247)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제1탄력부품(248)을 압축할 수 있게 된다. 온도제어박스(241)의 2개의 도어판(244)과 개폐기구(25)의 2개의 이동부품(253)이 모두 이미 열린 상태에서 작동부품(233)은 압력추출기(231)를 움직여 이를 작업실(21)의 통구(212) 통과해 탑재기(22) 상의 테스트 대기 중인 전자부품(41)에 대해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테스트 대기 중인 전자부품(41)의 접점이 탑재기(22)의 탐침과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냉각 테스트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온도제어박스(241)가 작업실(21) 상측을 덮어 씌는 형태로 구성되었을 때, 작업실(21) 내의 건조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수송관(261)과 제2수송관(262)이 각각 온도제어박스(241)와 작업실(21)의 내부로 건조공기를 수송할 수 있기 때문에 테스트 대기 중인 전자부품(41)이 탑재기(22) 상에서 냉각 테스트 작업을 진행할 때 효과적으로 압력추출기(231), 전자부품(41), 탑재기(22)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3, 도10, 도11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냉각 테스트 작업이 끝난 후, 해당 압력추출기구 (23)의 구동구조(232)는 작동부품(233)을 경과하여 압력추출기(231)을 움직여 Z방향인 위를 향해 위치 이동을 하게 하며, 해당 작동부품(233)은 제1슬라이드받침(243)이 온도제어박스(241)의 제1슬라이드궤도(242)를 따라 Z방향인 위를 향해 위치 이동을 하게 하며, 고정판(2331)의 천공(2332)이 온도제어박스(241)의 연결부품(247)을 따라 위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이용하여 압력추출기(231)가 탑재기(22) 상의 이미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41)에서 떨어져 나와 온도제어박스(241) 내로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해당 개폐기구(25)의 실린더(251)의 피스톤이 전동부품(252)을 구동 시켜 X방향인 내부를 향해 위치 이동을 하게 하고, 전동부품(252)이 이동부품(253)을 움직여 X방향인 내부를 향해 위치 이동을 하게 하는 것을 이용해 작업실(21)의 통구(212) 닫게 된다. 2개의 이동부품(253)의 걸림연결부부품(2531)이 2개의 도어판(244)의 접합부부품(2441)에 걸림 연결되기 때문에 2개의 이동부품(253)을 이용해 X방향인 내부를 향해 위치 이동을 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바로 2개의 도어판(244)을 동시에 X방향인 내부를 향해 수평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할 수 있게 하며, 2개의 도어판(244)는 제2슬라이드궤도(245)가 온도제어박스(241)의 제2슬라이드받침(246)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이용하여 제2탄력부품(249)이 다시 압축되어 돌아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도제어박스(241)를 닫게 된다.
도12와 도13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온도제어박스(241)의 2개의 도어판(244)이 닫힌 후, 해당 압력추출기구 (23)의 구동구조(232)가 작동부품(233)을 경과하여 압력추출기(231)를 움직여 Z방향인 위를 향해 위치 이동하게 하고, 작동부품(233)의 고정판(2331)이 온도제어박스(241)의 위치제한부품(2471)을 밀어 지탱하고 있기 때문에 온도제어박스(241)를 움직여 동시에 Z방향인 위 방향을 향해 위치 이동을 할 수 있게 하고, 온도제어박스(241)는 제1탄력부품(248)의 위치 복원 탄력을 이용해 아래로 위치 이동을 하게 되어 압력추출기(231)의 외부를 덮어 쓴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더 나아가 압력추출기구 (23)의 구동구조(232)는 압력추출기(231)와 온도유지기구(24)를 움직여 동시에 Z방향인 위를 향해 위치 이동하여 제자리로 돌아가게 한다. 해당 중앙제어장치는 재료이동기(311)의 동작 시간과 순서에 의거하여 개폐기구(25)의 실린더(251)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며, 해당 실린더(251)의 피스톤은 전동부품(252)을 구동 시켜 X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하게 하고, 전동부품(252)이 이동부품(253)을 움직여 X방향인 밖을 향해 위치 이동하는 것을 이용해 2개의 이동부품(253)이 작업실(21)의 통구(212)을 열게 된다. 더 나아가 해당 재료이동기구(31)의 재료이동기(311)는 Z방향인 아래를 향해 위치 이동하여 해당 통구(212)를 통과하여 탑재기(22) 상의 이미 테스트를 완료한 전자부품(41)을 추출하게 된다.
도3, 도4, 도14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본 고안인 작업장치(20)를 테스트 분류 설비에 응용한 경우, 해당 테스트 분류 설비는 작업장치(20), 작업대(50), 재료공급장치(60), 재료접수장치(70), 수송장치(80), 중앙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재료공급장치(60)는 작업대(50) 상에 배치되며, 최소한 하나의 테스트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재료공급 탑재기(61)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재료접수장치(70)는 작업대(50) 상에 배치되며, 최소한 하나의 이미 테스트를 마친 전자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재료접수 탑재기(71)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작업장치(20)는 작업대(50) 상에 설치되며, 작업실(21), 최소한 하나의 탑재기(22), 압력추출기구(23), 온도유지기구(24), 개폐기구(25)를 포함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 중에서는 해당 탑재기(22)는 탐침을 갖춘 테스트받침을 사용하여 전자부품에 대해 테스트를 진행하고, 해당 압력추출기구 (23)는 압력추출기(231)를 이용해 전자부품에 대해 압력을 가하게 되며, 해당 온도유지기구(24)는 온도제어박스(241)를 이용해 압력추출기(231)가 미리 설정된 테스트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며, 해당 개폐기구(25)는 수평으로 위치 이동하는 이동부품(253)을 이용해 온도제어박스(241)의 도어판(244)을 열고 닫을 있게 된다. 해당 수송장치(80)의 제1재료이동기(81)는 재료공급장치(60)에서 테스트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추출하여 이를 각각 제1재료공급 탑재대(82)와 제2재료공급 탑재대(83)로 수송하게 되고, 제1재료공급 탑재대(82)와 제2재료공급 탑재대(83)는 테스트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작업장치(20) 부위까지 수송하게 되며, 해당 수송장치(80)의 제2재료이동기(84)와 제3재료이동기(85)는 각각 제1재료공급 탑재대(82)와 제2재료공급 탑재대(83) 상에 테스트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작업장치(20)로 수송하여 테스트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어서 작업장치(20) 부위에 이미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제1재료접수 탑재대(86)와 제2재료접수 탑재대(87)로 수송하게 되고,제1재료접수 탑재대(86)와 제2재료접수 탑재대(87)는 이미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탑재하여 나오게 되며, 해당 수송장치(80)의 제4재료이동기(88)는 제1재료접수 탑재대(86)와 제2재료접수 탑재대(87) 상에서 이미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추출하여 테스트 결과에 따라 이미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재료접수장치(70)로 수송해 분류 수납하게 된다. 해당 중앙제어장치는 각 장치의 작동을 제어 및 통합하여 자동화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능을 향상시켜 실용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인 전자부품 작업장치는 기타 장치의 재료이동기가 작업실 상측에서 순조롭게 위치 이동할 수 있게 해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실의 공간 배치에서도 작업 효능을 향상시켜 실용적인 효과를 얻을 있다. 또한 중앙제어장치를 통해 각 장치의 작동을 제어 및 통합하여 자동화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능을 향상시켜 실용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종래 전자부품 테스트설비의 테스트장치와 하압장치의 배치도이다.
도2는 종래 전자부품 테스트설비의 테스트장치와 하압장치의 사용 관련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인 전자부품 작업장치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인 전자부품 작업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인 전자부품 작업장치의 사용 관련 사시도1이다.
도6은 본 고안인 전자부품 작업장치의 사용 관련 사시도2이다.
도7은 본 고안인 전자부품 작업장치의 사용 관련 사시도3이다.
도8은 본 고안인 전자부품 작업장치의 사용 관련 사시도4이다.
도9는 본 고안인 전자부품 작업장치의 사용 관련 사시도5이다.
도10은 본 고안인 전자부품 작업장치의 사용 관련 사시도6이다.
도11은 본 고안인 전자부품 작업장치의 사용 관련 사시도7이다.
도12는 본 고안인 전자부품 작업장치의 사용 관련 사시도8이다.
도13은 본 고안인 전자부품 작업장치의 사용 관련 사시도9이다.
도14는 본 고안인 작업장치를 테스트 분류 설비에 응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
작업대:11 테스트장치:12
전자회로판:121 테스트받침:122
재료이동기구:13 재료이동기:131
하압장치:14 작동막대:141
하압지그:142 온도제어부품:1421
제1박스:1431 제2박스:1432
연결막대:144 도어판:145
제어부품:146
[본 고안]
작업장치:20 작업실:21
꼭대기판:211 통구:212   
탑재기:22 지지부품:221 
압력추출기구:23 압력추출기:231  
구동구조:232 작동부품:233
고정판:2331 천공:2332 
온도제어기:234 온도유지기구:24 
온도제어박스:241 측판:2411  
제1슬라이드궤도:242 제1슬라이드받침:243   
도어판:244 접합부부품:2441
제2슬라이드궤도:245 제2슬라이드받침:246  
연결부품:247 위치제한부품:2471 
제1탄력부품:248 제2탄력부품249
개폐기구:25 실린더:251 
전동부품:252 이동부품:253  
걸림연결부부품:2531 슬라이드궤도:254 
제3슬라이드받침:255 발사부품:2561
수신부품:2562 제1수송관:261
제2수송관:262 재료이동기구:31  
재료이동기:311 전자부품:41  
작업대:50 재료공급장치:60  
재료공급 탑재기:61 재료접수장치:70  
재료접수 탑재기:71 수송장치:80  
제1재료이동기:81 제1재료공급 탑재대:82
제2재료공급 탑재대:83 제2재료이동기:84 
제3재료이동기:85 제1재료접수 탑재대:86
제2재료접수 탑재대:87 제4재료이동기:88

Claims (10)

  1. 전자부품 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해당 전자부품 작업장치는 작업실, 탑재기, 압력추출기구, 온도유지기구, 개폐기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탑재기는 통구의 하측에 설치되어 전자부품을 지지하게 되며,
    해당 압력추출기구는 최소한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하는 압력추출기를 포함하여, 이를 통해 전자부품을 압력 추출하게 되고,
    해당 온도유지기구는 압력추출기의 외부에 설치되며 최소한 하나의 도어판을 가진 온도제어박스를 갖추고 있고, 이를 통해 압력추출기가 항상 미리 설정한 작업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며,
    해당 개폐기구는 작업실 상에 최소한 하나의 구동기를 갖추고 있으며, 해당 구동기는 온도유지기구의 도어판을 구동시켜 열고 닫게 되고,
    해당 개폐기구의 구동기는 실린더 및 최소한 하나의 이동부품이 설치되며,해당 실린더는 이동부품을 구동 시켜 최소한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하게 하며, 해당 이동부품과 해당 온도유지기구의 도어판 사이에는 상호결합되어 함께 작동하는 걸림연결부부품과 접합부부품이 설치되며, 해당 이동부품은 해당 온도유지기구의 도어판을 움직여 열고 닫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작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작업실은 꼭대기판 상에 최소한 하나의 통구를 갖추고 있으며, 해당 탑재기는 통구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작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해당 압력추출기구는 구동구조가 설치되며, 해당 구동구조는 최소한 하나의 작동부품을 구동 시켜 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하게 하며, 해당 온도제어박스와 해당 작동부품의 사이에 제3방향으로 최소한 하나의 연결부품이 배치되고, 해당 온도유지기구의 온도제어박스와 해당 압력추출기구의 작동부품 사이에는, 상호결합되어 슬라이드 작동을 제공하는, 제3방향으로 배치된 제1슬라이드궤도와 제1슬라이드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작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해당 온도유지기구의 온도제어박스는 2개의 도어판이 설치되며, 해당 온도제어박스의 2개의 측판과 2개의 도어판 사이에는, 상호결합되어 슬라이드 작동을 제공하는, 제1방향으로 배치된 제2슬라이드궤도와 제2슬라이드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작업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해당 구동기의 실린더는 최소한 하나의 전동부품을 구동 시켜 위치 이동하게 하고, 해당 전동부품은 해당 이동부품을 연결 구동시켜 위치 이동을 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작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해당 개폐기구의 전동부품과 해당 작업실 사이에는, 상호결합되어 슬라이드 작동을 제공하는 제3슬라이드받침과 제3슬라이드궤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작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해당 개폐기구는 최소한 하나의 감지기가 설치되고, 이를 통해 온도제어박스가 미리 설정된 작업 위치에 놓여 있을 때를 감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작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해당 온도제어박스 상에 더 나아가 최소한 하나의 건조공기를 수송하는 제1수송관이 설치되며, 이를 통해 건조공기를 온도제어박스 내부로 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작업장치.
  10. 전자부품 작업장치를 응용한 테스트 분류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해당 테스트 분류 설비는 작업대, 재료공급장치, 재료접수장치, 청구항 1 내지 4 및 6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부품 작업장치, 수송장치, 중앙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재료공급장치는 작업대 상에 배치되며, 최소한 하나의 테스트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재료공급 탑재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재료접수장치는 작업대 상에 배치되며, 최소한 하나의 이미 테스트를 마친 전자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재료접수 탑재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청구항 1 내지 4 및 6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부품 작업장치는 작업대 상에 설치되며,
    해당 수송장치는 작업대 상에 설치되고, 최소한 하나의 전자부품을 탑재 이동시키는 재료이동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중앙제어장치는 각 장치의 작동을 제어 및 통합하여 자동화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응용한 테스트 분류 설비.
KR2020150008616U 2015-12-30 2015-12-30 전자부품 작업장치 및 이를 테스트 분류 설비에 응용 KR2004835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616U KR200483516Y1 (ko) 2015-12-30 2015-12-30 전자부품 작업장치 및 이를 테스트 분류 설비에 응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616U KR200483516Y1 (ko) 2015-12-30 2015-12-30 전자부품 작업장치 및 이를 테스트 분류 설비에 응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516Y1 true KR200483516Y1 (ko) 2017-05-24

Family

ID=59021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616U KR200483516Y1 (ko) 2015-12-30 2015-12-30 전자부품 작업장치 및 이를 테스트 분류 설비에 응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51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8249A (zh) * 2018-10-23 2019-02-19 新疆皇瑞磁元有限公司 一种磁性元器件热测机
CN109505433A (zh) * 2018-12-29 2019-03-22 江苏伊施德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元器件的低温检测房及其使用方法
CN113552391A (zh) * 2020-04-24 2021-10-26 鸿劲精密股份有限公司 温度传导装置及其压接机构、预冷器以及测试分类设备
CN113866456A (zh) * 2020-06-11 2021-12-31 鸿劲精密股份有限公司 压接机构、作业装置及其应用的作业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700A (ja) * 1997-06-19 1999-01-22 Toshiba Microelectron Corp Icソケットの特性試験機
KR20070075756A (ko) * 2006-01-16 2007-07-24 미래산업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의 소자 접속장치
KR20100067346A (ko) * 2008-12-11 2010-06-21 주식회사 쎄믹스 프로브카드교환장치
JP2013167486A (ja) * 2012-02-14 2013-08-29 Seiko Epson Corp 部品検査装置、及び、ハンドラ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700A (ja) * 1997-06-19 1999-01-22 Toshiba Microelectron Corp Icソケットの特性試験機
KR20070075756A (ko) * 2006-01-16 2007-07-24 미래산업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의 소자 접속장치
KR20100067346A (ko) * 2008-12-11 2010-06-21 주식회사 쎄믹스 프로브카드교환장치
JP2013167486A (ja) * 2012-02-14 2013-08-29 Seiko Epson Corp 部品検査装置、及び、ハンドラ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8249A (zh) * 2018-10-23 2019-02-19 新疆皇瑞磁元有限公司 一种磁性元器件热测机
CN109505433A (zh) * 2018-12-29 2019-03-22 江苏伊施德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元器件的低温检测房及其使用方法
CN113552391A (zh) * 2020-04-24 2021-10-26 鸿劲精密股份有限公司 温度传导装置及其压接机构、预冷器以及测试分类设备
CN113866456A (zh) * 2020-06-11 2021-12-31 鸿劲精密股份有限公司 压接机构、作业装置及其应用的作业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516Y1 (ko) 전자부품 작업장치 및 이를 테스트 분류 설비에 응용
CN106824829A (zh) Ict转盘测试机
KR20110061326A (ko) 패널용 구멍 가공장치
TWI559004B (zh) Electronic components operating equipment and its application of the test classification equipment
CN105277315A (zh) 用于旋转工件的激光去重动平衡装置及方法
CN108051732A (zh) 一种集成电路板的测试装置
CN205374685U (zh) 一种继电器性能测试装置
CN218691731U (zh) 一种显示屏电性能自动检测设备
KR101466739B1 (ko) 인쇄회로기판 검사장치
TWI585418B (zh) Electronic components operating units and their application of test classification equipment
TWI548026B (zh) Electronic components handling unit and its application equipment
TWI585419B (zh) Test equipment for electronic components operating equipment with anti - condensation unit and its application
CN107413938A (zh) 折弯装置
CN207882286U (zh) 实验室恒温箱试剂自动滴注检测设备
KR101549679B1 (ko)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CN207204659U (zh) 一种飞针测试装置
TWI526690B (zh) Electronic component compression device and its application equipment
TWI741813B (zh) 模組化測試裝置及其應用之測試設備
TWI524078B (zh) Electronic components operating unit and its application equipment
TWI769455B (zh) 微型移料機構及其應用之微型作業裝置
CN207351667U (zh) 一种汽车空调控制器自动检测台
CN208477071U (zh) 一种pcb板检测装置
TW201730572A (zh) 電子元件測試裝置及其應用之測試分類設備
TW201232002A (en) Key testing device
CN108925063A (zh) 一种异型电子器件自动组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