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508Y1 - 다중 조리용 냄비 - Google Patents

다중 조리용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508Y1
KR200483508Y1 KR2020160000122U KR20160000122U KR200483508Y1 KR 200483508 Y1 KR200483508 Y1 KR 200483508Y1 KR 2020160000122 U KR2020160000122 U KR 2020160000122U KR 20160000122 U KR20160000122 U KR 20160000122U KR 200483508 Y1 KR200483508 Y1 KR 2004835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seats
seat
area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1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경자
Original Assignee
현경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경자 filed Critical 현경자
Priority to KR20201600001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5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5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2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with adaptation of shape to that of adjacent vessels for forming a unit, e.g. sector-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중 조리용 냄비에 관한 것으로, 음식을 조리가능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바디; 상기 바디의 외측에 돌출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바디의 내측에 길이를 갖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내부공간을 복수의 조리영역으로 분할하는 판형태의 영역분할부; 상기 영역분할부의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냄비의 내부공간 중 어느 하나의 조리영역을 차단하고, 상기 바디의 내부공간에서 수행하는 조리형태와 다른 형태의 조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바디에 별도의 조리영역을 제공하는 판형태의 조리수단; 및 상기 바디의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바디의 조리영역을 밀폐시키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냄비의 조리영역을 분할하여 각기 다른 조리형태의 음식을 하나의 냄비에서 조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조리용 냄비{POT FOR MULTIPLE COOKING}
본 고안은 다중 조리용 냄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냄비의 조리영역을 분할하여 각기 다른 조리형태의 음식을 하나의 냄비에서 조리할 수 있는 다중 조리용 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비는 그 용도에 따라 종류가 구분된다. 이러한 냄비는 예컨대, 음식을 끓이기 위한 것, 밥을 짓기 위한 것, 찜을 위한 것, 볶음을 위한 것, 그 밖에 식탁 위에서 음식을 직접 끓이거나 지지면서 먹을 수 있는 것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이와 같이 냄비는 음식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구조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음식을 조리하는 내부공간이 하나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한 번에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종류가 한 가지에 한정될 수 밖에 없었다.
종래에는 공개특허공보 제2008-0011524호(2008.02.05)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동시에 두가지 이상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일정한 높이와 두께로 이루어지고,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요리가 이루어지는 바닥판을 분할하는 분할판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요리를 동시에 조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단지 냄비의 내부를 분할하여 서로 다른 요리가 가능하지만, 냄비의 구조적, 소재적 특성 등에 따라 끓이는 음식, 볶는 음식 또는 찐 음식을 만드는 등 별개의 조리 형태의 음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각기 다른 종류의 냄비를 사용하여야 했으므로 음식의 종류에 따라 냄비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11524호(공개일 : 208.02.05), 발명의 명칭 :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냄비의 조리영역을 분할하여 일부분에는 음식을 끓이거나 볶는 조리형태의 음식을 수행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음식을 찌는 조리형태의 음식을 수행하는 등 각기 다른 조리형태의 음식을 하나의 냄비에서 조리할 수 있는 다중 조리용 냄비를 제공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또, 음식을 찌는 조리형태의 음식을 수행하는 조리영역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다중 요리용 냄비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음식을 찌는 조리형태의 음식을 수행하는 조리영역 내부로 수증기만이 출입할 수 있는 다중 조리용 냄비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조리용 냄비는 음식을 조리가능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바디; 상기 바디의 외측에 돌출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바디의 내측에 길이를 갖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내부공간을 복수의 조리영역으로 분할하는 판형태의 영역분할부; 상기 영역분할부의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냄비의 내부공간 중 어느 하나의 조리영역을 차단하고, 상기 바디의 내부공간에서 수행하는 조리형태와 다른 형태의 조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바디에 별도의 조리영역을 제공하는 판형태의 조리수단; 및 상기 바디의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바디의 조리영역을 밀폐시키는 뚜껑;을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조리수단은 시트; 상기 시트의 일측에 상기 영역분할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영역분할부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홈형태의 찬넬; 및 상기 바디의 차단된 조리영역과 연통되도록 복수로 관통형성되는 구멍형태의 연통구;를 포함한다.
상기 조리수단은 제1조리시트; 상기 제1조리시트와 연결되는 제2조리시트;
상기 제2조리시트와 연결되는 제3조리시트; 상기 제3조리시트와 연결되는 제4조리시트; 제1, 2조리시트, 제2, 3조리시트 및 제3, 4조리시트를 제각기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힌지; 상기 제1조리시트 일측에 상기 영역분할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영역분할부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홈형태의 찬넬; 상기 바디의 차단된 조리영역과 연통되도록 복수로 관통형성되는 구멍형태의 연통구;를 포함한다.
상기 조리수단은 상기 제1조리시트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3, 4조리시트 각각을 상기 제1조리시트와 수직상태로 세워 고정가능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조리시트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힌지; 상기 고정힌지로부터 길이를 갖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조리시트와 수직상태로 세워지는 제2, 3, 4시트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세워진 제2, 3, 4시트 중 어느 하나에 걸려 고정시키는 고리형태의 후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디의 일부분에 조리수단을 장착함으로써, 내부공간을 분할한 조리영역 외에 판형태의 별도 조리영역을 제공하므로 바디 내부공간의 조리영역에서 수행하는 조리형태의 음식과는 다른 별개의 조리형태의 음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바디 내부공간의 조리영역에서 조리되는 음식이나 물을 끊일 때 발생되는 수증기가 연통구를 통해 출입되므로 별도의 수단없이 별도 조리영역내에서 수증기를 이용한 찜 형태의 요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조리수단을 제1, 2, 3, 4조리시트로 나누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제2, 3, 4조리시트 중 어느 하나를 회동시킴으로써, 고정수단이 갖는 별도 조리영역의 면적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음식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조리수단 중 제1조리시트에 고정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제2, 3, 4조리시트 중 어느 하나를 제1조리스트와 수직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바디 내부공간의 분할된 조리영역과 완벽히 분리된 별도의 조리영역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정힌지, 지지대 및 후크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은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이러한 고정수단을 통해 제2, 3, 4조리시트를 제1조리스트와 수직상태로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중 조리용 냄비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조리수단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조리수단의 변형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고정수단의 일실시예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중 조리용 냄비의 일실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시스템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조리용 냄비(100)는 바디(110), 손잡이(130), 영역분할부(150), 조리수단(170) 및 뚜껑(190)을 포함한다.
바디(110)는 음식을 조리가능한 통상의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을 담아 조리가능한 내부공간이 마련된다.
손잡이(13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냄비(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통상의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의 외부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형성된다.
영역분할부(150)는 바디(110)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의 내부에 길이를 갖는 판형태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영역분할부(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의 내부공간 일측을 가로질러 적어도 두개의 내부공간으로 분할시킨다. 이에 따라, 영역분할부(150)는 바디(110)의 내부공간을 분할하여 적어도 두개의 조리영역을 제공하므로 바디(110)의 분할된 내부공간에 각기 다른 조리형태의 음식조리를 제각기 수행할 수 있다.
조리수단(170)은 전술한 바디(110) 내부공간의 조리영역 중 하나를 차단하고, 바디(110)에 별도의 조리영역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이 안착되는 판형태로 구성된다. 조리수단(17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전술한 영역분할부(150)의 상단에 안착되며, 타측이 바디(110)의 일부분에 안착되어 평형상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조리수단(170)은 전술한 바디(110)의 조리영역에서 수행되는 끓이는 조리형태, 볶는 조리형태와는 다른 찌는 조리형태의 음식조리에 필요한 재료를 안착시킬 수 있다.
조리수단(17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찬넬(173) 및 연통구(175)를 포함한다.
시트(171)는 찌는 형태의 음식조리에 필요한 재료를 안착시키는 구성요소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태를 이루고, 전술한 바디(110)의 조리영역 중 하나를 차단한다. 이에 따라 시트(171)는 바디(110)의 조리영역과는 다른 별개의 조리영역을 제공한다.
찬넬(173)은 전술한 시트(171)를 영역분할부(15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구성요소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71)의 하부에 돌출형성된다. 찬넬(17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분할부(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고, 영역분할부(150)의 끝단 일부분을 감싸는 홈 또는 레일형태를 이룬다.
연통구(175)는 전술한 시트(171)의 조리영역과 바디(110) 내부공간의 조리영역을 연통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71)에 홀형태로 관통형성된다. 연통구(17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통구(175)는 시트(171)에 의해 차단된 바디(110)의 조리영역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국물이 있는 음식 또는 물을 끓이거나 음식을 볶을 때 발생되는 수중기 등)를 시트(171)의 별도 조리영역에 출입시킬 수 있다.
뚜껑(190)은 전술한 바디(110)에 제공되는 조리영역을 밀폐시키는 통상의 구성요소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와는 별도로 마련되어 바디(11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조리용 냄비(100)의 각 구성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디(110)는 음식을 조리가능한 내부공간이 마련되므로 예컨대, 음식을 끓이기 위한 것, 밥을 짓기 위한 것, 찜을 위한 것, 볶음을 위한 것, 그 밖에 식탁 위에서 음식을 직접 끓이거나 지지면서 먹을 수 있는 것 등 다양한 종류의 음식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손잡이(130)는 전술한 바디(110)와 일체를 이루므로 바디(110), 즉 바디(110)의 내부공간에 조리된 음식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영역분할부(150)는 바디(110)의 내부공간을 나누어 적어도 두개의 조리영역을 제공하므로 바디(110)의 내부공간에서 한번에 둘 이상의 조리형태의 음식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조리수단(170)은 바디(110) 내부공간의 조리영역외에 별도의 조리영역을 제공하므로 바디(110)의 조리영역에서 수행되는 조리형태와는 다른 조리형태의 음식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리수단(170)은 바디(110) 내부공간의 조리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차단하고, 차단된 내부에서 조리되는 음식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를 연통구(175)를 통해 출입시키므로 찌는 조리형태의 음식조리를 별도로 수행할 수 있다.
조리수단(170)은 일부분이 영역분할부(150)의 상부에 안착될 경우 찬넬(173)이 영역분할부(150)의 일부분 양측을 감싸는 상태로 안착되어 고정되므로 이동을 제한하여 바디(110)의 일부분에 고정시킬 수 있다.
뚜껑(190)은 바디(110)의 조리영역 전부를 밀폐시킴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110) 내부공간의 조리영역에서 발생될 수 있는 수증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결과적으로 발생된 수증기는 조리수단(170)의 별도 조리영역에 도달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중 조리용 냄비(1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조리수단(170)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리시트(171a), 제2조리시트(171b), 제3조리시트(171c), 제4조리시트(171d), 연결힌지(172), 찬넬(173) 및 연통구(175)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차이점이다.
제1, 2, 3, 4조리시트(171a,171b,171c,171d)는 전술한 실시예의 조리수단(170)과 마찬가지로 바디(110) 내부공간의 조리영역과는 별개의 조리영역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태를 이루어 각각 별개로 마련되고, 후술하는 연결힌지(172)에 의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1, 2조리시트(171a,171b), 제2, 3조리시트(171b,171c) 및 제3, 4조리시트(171c,171d)가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힌지(172)에 의해 각각 회동가능하게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2, 3, 4조리시트(171a,171b,171c,171d)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디(110) 내부공간의 조리영역을 전체적으로 차단가능한 면적을 이루고, 연결힌지(172)를 축으로 회동되는 제2, 3, 4조리시트(171b,171c,171d) 각각을 회동시켜 전술한 바디(110) 내부공간의 조리영역 중 일부분을 차단가능한 면적을 이루도록 도 4의 (a)형태를 도4의 (b) 또는 (c)의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즉, 제1, 2, 3, 4조리시트(171a,171b,171c,171d)를 통해 조리수단(170)이 이루는 면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연결힌지(17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2조리시트(171a,171b), 제2, 3조리시트(171b,171c) 및 제3, 4조리시트(171c,171d) 각각의 사이에 마련되어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요소로, 예컨대, 핀 등을 사용하여 중심축의 주위에서 서로 움직일 수 있는 통상의 경첩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찬넬(173)은 전술한 제1조리시트(171a)를 영역분할부(15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리시트(171a)의 하부에 돌출형성된다. 찬넬(173)은 전술한 실시예에 대응되는 것으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통구(175)는 전술한 제1, 2, 3, 4조리시트(171a,171b,171c,171d)와 바디(110) 내부공간의 조리영역을 연통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3, 4조리시트(171a,171b,171c,171d)에 홀형태로 관통형성된다. 연통구(175)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응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더하여,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리수단(17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17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수단(177)은 전술한 제2, 3, 4조리시트(171b,171c,171d)를 제1조리시트(171a)와 수직상태로 세워 고정시키는 구성요소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힌지(177a), 지지대(177b) 및 후크(177c)를 포함한다.
고정힌지(177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축의 형태로 제1, 2, 3, 4조리시트(171a,171b,171c,171d)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힌지(177a)는 제1조리시트(171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대(177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고정힌지(177a)로부터 길이를 갖게 연장형성되고, 제2, 3, 4조리시트(171b,171c,171d)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한다.
후크(177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77b)의 끝단에 연장형성되고, 고리형태를 이룬다. 후크(177c)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된 제2, 3, 4조리시트(171b,171c,171d) 중 어느 하나에 걸려 제2, 3, 4조리시트(171b,171c,171d)가 더이상 회동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리수단(170)의 각 구성을 설명하는 다음과 같다.
제1, 2, 3, 4조리시트(171a,171b,171c,171d)는 도 3 및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 내부공간의 조리영역을 전체적으로 차단하는 형태를 이루어 전술한 실시예의 조리수단(170)보다 넓은 면적을 제공하거나, 도 4의 (b) 또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 내부공간의 조리영역 중 일부분을 차단하는 형태를 이루어 전술한 실시예의 조리수단(170)에 대응되거나 좁은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2, 3, 4조리시트(171a,171b,171c,171d)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수단(170)에 의한 별도의 조리시트를 두개의 조리영역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2, 3, 4조리시트(171a,171b,171c,171d)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되어 면적을 조절가능하므로 상황에 맞는 찜 음식조리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고정수단(177)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3, 4조리시트(171b,171c,171d)를 제1조리시트(171a)에 수직상태로 고정하므로 제2, 3, 4조리시트(171b,171c,171d)가 회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2, 3, 4조리시트(171a,171b,171c,171d)는 도 4의 (a), (b) 및 (c)의 형태로 고정가능하므로 상황에 맞는 형태로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뚜껑(190)을 안착시켜 바디(110) 내부공간의 분할된 조리영역과 완벽히 분리된 별도의 조리영역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100 : 다중 조리용 냄비 130 : 손잡이
150 : 영역분할부 170 : 조리수단
171 : 시트 173 : 찬넬
175 : 연통구 190 : 뚜껑

Claims (5)

  1. 음식을 조리가능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바디;
    상기 바디의 외측에 돌출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바디의 내측에 길이를 갖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내부공간을 복수의 조리영역으로 분할하는 판형태의 영역분할부;
    상기 영역분할부의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바디의 내부공간 중 어느 하나의 조리영역을 차단하고, 상기 바디의 내부공간에서 수행하는 조리형태와 다른 형태의 조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바디에 별도의 조리영역을 제공하는 판형태의 조리수단; 및
    상기 바디의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바디의 조리영역을 밀폐시키는 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조리수단은,
    제1조리시트;
    상기 제1조리시트와 연결되는 제2조리시트;
    상기 제2조리시트와 연결되는 제3조리시트;
    상기 제3조리시트와 연결되는 제4조리시트;
    제1, 2조리시트, 제2, 3조리시트 및 제3, 4조리시트를 제각기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힌지;
    상기 제1조리시트 일측에 상기 영역분할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영역분할부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홈형태의 찬넬;
    상기 바디의 차단된 조리영역과 연통되도록 복수로 관통형성되는 구멍형태의 연통구;
    상기 제1조리시트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3, 4조리시트 각각을 상기 제1조리시트와 수직상태로 세워 고정가능한 고정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조리시트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힌지;
    상기 고정힌지로부터 길이를 갖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조리시트와 수직상태로 세워지는 제2, 3, 4조리시트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세워진 제2, 3, 4조리시트 중 어느 하나에 걸려 고정시키는 고리형태의 후크;를 포함하는 다중 조리용 냄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60000122U 2016-01-07 2016-01-07 다중 조리용 냄비 KR2004835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22U KR200483508Y1 (ko) 2016-01-07 2016-01-07 다중 조리용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22U KR200483508Y1 (ko) 2016-01-07 2016-01-07 다중 조리용 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508Y1 true KR200483508Y1 (ko) 2017-06-09

Family

ID=59093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122U KR200483508Y1 (ko) 2016-01-07 2016-01-07 다중 조리용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508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7325U (ja) * 1995-04-21 1995-10-24 株式会社ブリム 調理用鍋
KR200190000Y1 (ko) * 1999-12-30 2000-07-15 김인철 음식물 조리용 찜판
KR200279289Y1 (ko) * 2002-03-20 2002-06-24 강석운 삽발찜판
KR20080011524A (ko) 2006-07-31 2008-02-05 김준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
KR20150069457A (ko) * 2013-12-13 2015-06-23 임세황 반찜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7325U (ja) * 1995-04-21 1995-10-24 株式会社ブリム 調理用鍋
KR200190000Y1 (ko) * 1999-12-30 2000-07-15 김인철 음식물 조리용 찜판
KR200279289Y1 (ko) * 2002-03-20 2002-06-24 강석운 삽발찜판
KR20080011524A (ko) 2006-07-31 2008-02-05 김준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
KR20150069457A (ko) * 2013-12-13 2015-06-23 임세황 반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44472B1 (en) Table-top cooking device
US20110000380A1 (en) Food steamer
US20140246437A1 (en) Foldable splatter screen
KR200483508Y1 (ko) 다중 조리용 냄비
KR20060087626A (ko) 선택형 압력밥솥
KR200394849Y1 (ko) 구획벽을 구비한 냄비
KR20200123629A (ko) 당질 저감 밥솥
KR101530070B1 (ko) 구이 및 탕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JP6552580B2 (ja) 加熱調理具
KR20210044395A (ko) 찜기
KR102227717B1 (ko) 나열식 테이블 스팀찜기
KR20090120902A (ko) 전기밥솥용 내솥용기 및 이를 갖는 전기밥솥
DE102009055198A1 (de) Systemdampfgarer
US10441106B2 (en) Cooking system and method of use
JP3220129U (ja) 調理器用オプション部品
US847225A (en) Cooking utensil.
CA2726201A1 (en) Steamer for foodstuffs
KR200266152Y1 (ko) 취사용기
CN205795479U (zh) 一种分区多用蒸煮锅
KR102485949B1 (ko) 다용도 조리용기
KR200259026Y1 (ko) 칸막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KR200255433Y1 (ko) 다중 조리가능한 밥솥
KR200299306Y1 (ko) 음식물 조리용기
JP3216487U (ja) 蒸し兼用炊飯土釜
KR20040107639A (ko) 전기쿠커의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