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1524A -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1524A
KR20080011524A KR1020060071948A KR20060071948A KR20080011524A KR 20080011524 A KR20080011524 A KR 20080011524A KR 1020060071948 A KR1020060071948 A KR 1020060071948A KR 20060071948 A KR20060071948 A KR 20060071948A KR 20080011524 A KR20080011524 A KR 20080011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partition plate
bottom plate
plate
hand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
Original Assignee
김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 filed Critical 김준
Priority to KR1020060071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1524A/ko
Publication of KR2008001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5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2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with adaptation of shape to that of adjacent vessels for forming a unit, e.g. sector-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1Saucepan, frying-pan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조리기구 바닥판을 이등분 또는 다중분할시켜 하나의 열원(熱源)으로 동시에 동종 및 이종요리를 각각 수행할수 있도록 하여 요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하여 경제성과 편의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몸체(10)의 내측에서 분할판(30)(30a)(30b)(30c)에 의해 분할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할판(30)(30a)(30b)(30c)은 요리가 이루어지는 바닥판(19)의 분할을 위해 일정한 높이와 두께로 이루어져 몸체(10)의 일측에서 인출되거나 또는 몸체(10)의 외측에서 끼움식으로 탈장착되거나, 또는 몸체(10)의 바닥판(19)에 회전가능하게 일단이 고정설치되어 접철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중요리, 조리기구, 분할판, 바닥판

Description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The cooking utensil which is possible for multiplex cooking}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대한 조리기구의 외관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제 1실시예에서 손잡이부에 구비된 분할판의 분해사시도 및 일부 조립상태도,
도 4는 도 1의 조리기구에서 분할판이 몸체의 내측으로 인출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외관사시도,
도 7은 제 2실시예에서 손잡이부에 구비된 분할판이 몸체 내측으로 인출된 단면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결합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응용상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한 외관사시도와 분할판의 동작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5, 5a, 5b, 5c : 조리기구
10 : 몸체 12 : 고정수단
14 : 인출공 15 : 이동홈
17 : 측벽 19 : 바닥판
20 : 손잡이부 22 : 푸시버튼
23 : 요철부 24 : 슬라이딩홈
25 : 가압부 26 : 걸림턱
27 : 탄성편 28 : 오목부
29 : 캡 30, 30a, 30b,30c : 분할판
35 : 분할판수용부 40 : 회전단
42 : 고정단 44 : 수평삽입홈
45 : 회전유도홈
본 발명은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조리기구 바닥판을 이등분 또는 다중분할시켜 하나의 열원(熱源)으로 동시에 동종 및 이종요리를 각각 수행할수 있도록 하여 요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하여 경제성과 편의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조리기구, 특히 직접 열원(熱源)에 노출시켜 요리를 하는 종래의 조리기구(예; 후라이팬)는 하나의 몸체에 한가지의 요리만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여러가지의 요리를 하기 위해서는 한가지씩 차례대로 요리를 하거나 여러개의 열원(熱源)이 있는 경우, 서로 다른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각각 요리를 하여야 하지만, 실제로 여러 요리를 한번에 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한 가정에 동일한 조리기구가 여러개 있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는 하나의 조리기구를 사용하여 차례대로 하나씩 요리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한번에 하나의 요리를 한 후에 다른 요리를 실시하는 동안, 먼저 실시한 요리는 식어서 맛이 떨어지는 단점과 전체 요리를 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특별히 큰 조리용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할 수 있는 경우에도 면적이 넓은 조리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요리시에 불필요한 열(가스)이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12042호로 ‘다중조리용 냄비’가 안출된 바 있다.
종래 안출된 ‘다중조리용 냄비’는 단지 용기의 내부를 다중으로 분할되도록 칸막이판을 용접 또는 압착하여 설치함으로써 서로 다른 요리가 분할된 영역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지만, 분리판이 고정 설치됨으로써 용기의 사용이 불 편하여 그 실용성과 상품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다중조리용 냄비가 갖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하나의 열원으로 동시에 서로 다른 요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원의 효율적인 사용과 요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요리시 불편함을 해소하고 음식의 맛이 떨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조리기구의 형상이나 구조에 알맞게 인출 및 탈부착식으로 분할판이 구비되도록 하여 이의 취급과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는 하나의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동시에 두가지 이상의 요리를 할 수 있도록 몸체 내측에서 분할판에 의해 분할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할판은 요리가 이루어지는 바닥판의 분할을 위해 일정한 높이와 두께로 이루어져 몸체의 일측에서 인출되거나 또는 몸체의 바닥판에 회전가능하게 일단이 고정설치되어 접철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몸체에 탈부착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조리기구의 몸체 일측에 요리를 할 수 있는 몸체의 직경이나 지 름보다 큰 일정길이의 손잡이부가 구비된 경우,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 또는 손잡이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분할판수용부에는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으로 몸체의 내경(지름) 크기에 해당되는 분할판이 인출가능하도록 삽입설치되고, 상기 분할판의 인출을 위해 손잡이부의 상단부에는 손잡이 내측에 구비된 분할판과 결합되어 상기 분할판을 몸체 내측으로 인출 및 인출된 후 손잡이 내측으로 회수시키기 위한 푸시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에는 상기 푸시버튼이 이동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몸체와 손잡이부가 접촉되는 경계부에는 상기 분할판의 출입을 위한 인출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분할판이 몸체의 내측에 탈부착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분할판이 몸체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몸체의 측벽 내면과 바닥판에는 소정의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분할판이 바닥판에 고정설치되어 접이식으로 이루어진 경우 몸체의 외측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설치되어 손잡이부의 회전조작에 따라 몸체의 내측에 설치된 상기 분할판이 바닥판에 대해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동작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는 실제로 음식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몸체의 내측으로 인출되거나,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접철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분할판이 설치되어 하나의 조리기구로 다중 요리가 동시에 가능하도록 몸체의 바닥판을 분할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실시예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팬 형상의 몸체(10)와, 이 몸체(10)의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일정길이의 손잡이부(20)가 구비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요리될 내용물이 담겨지는 몸체(10)의 직경 또는 지름에 대하여 손잡이부(20)의 길이가 그와 동일하거나 다소 긴 조리기구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구(5)의 몸체(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질 수 있지만 원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 몸체(10)의 일측에는 내부가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말단부에 소정의 캡(29)이 끼움 결합된 일정길이의 손잡이부(20)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부(20)의 내측에는 손잡이부(20)의 길이방향으로 몸체(10)의 내경(지름) 크기에 해당되는 일정 높이의 분할판(30)이 인출가능하게 삽입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손잡이부(20) 내측에 구비된 분할판(30)을 손잡이부(20)에서 몸체(10)의 내측으로 인출시키고, 인출된 후 분할판(30)을 다시 손잡이부(20) 내측으로 삽입시키기 위해 손잡이부(20)의 상단부에 돌출되도록 푸시버튼(22)이 좌우 이동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손잡이부(20)의 상면에는 상기 푸시버튼(22)이 손잡이부(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소정의 슬라이딩홈(2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측벽(17)과 손잡이부(20)가 접촉되는 경계부에는 상기 분할판(30)이 인출되기 위한 인출공(14)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분할판(30)이 인출공(14)을 통해 완전히 인출되어진 경우 인출된 선단부가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인출공(14)이 형성된 대향측 측벽(17)의 내측면과 바닥판(19)의 상면에는 소정의 고정수단(12)이 형성되어 있다.
즉, 몸체(10)의 측벽(17)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수단(12)은 인출공을 통해 인출된 분할판이 선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수직으로 끼움홈이 형성되고, 요리가 이루어지는 몸체(10)의 바닥판(19) 중앙부에는 손잡이부(20)에서 인출된 상기 분할판(20)의 이동통로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분할판(30)이 수직으로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로 오목홈이 형성되어 측벽에 형성된 끼움홈과 연결된다.
한편, 도 3a에는 상기 손잡이부(20)에 구비된 푸시버튼(22)과 분할판(30)이 손잡이부(20)에서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손잡이부(20)의 개방된 말단부로 분할판(30)이 끼움 결합되는 푸시버튼(22)의 결합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0)의 내측에 삽입 설치된 상기 분할판(30)을 손잡이부(20)에서 몸체(10) 내측으로 인출하거나 인출된 후에 다시 손잡이부(20) 내측으로 회수하도록 구성된 상기 푸시버튼(22)은 손잡이부(20)의 상면에 형성된 슬라이딩홈(24)의 좌우 양단에 구비된 요철부(23)에 의해 그 움직임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푸시버튼(22)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손가락으로 가압하여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미끌림방지부가 상면에 형성된 가압부(25) 와, 상기 가압부(25)의 하단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몸통부의 좌우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손잡이부(20)의 슬라이딩홈(24) 하단에 위치됨으로써 푸시버튼(22)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26)과, 상기 걸림턱(26)과 가압부(25)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28)에 끼움 결합되어져 슬라이딩홈(24)의 좌우 양단에 구비된 요홈부(23)에 의해 푸시버튼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탄성편(27)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5)는 손잡이부(20)에 구비된 푸시버튼(22)의 가압 동작에 따라 손잡이부(20)의 내측에 끼워진 분할판(30)이 몸체(10)의 내측으로 이동되어져 요리가 이루어지는 바닥판(19)을 분할하여 바닥판(19)의 양측에서 각각 요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바닥판(19)에 인출된 분할판(30)을 손잡이부(20) 내측으로 회수한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하나의 큰 바닥판을 이용하여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분할판(30)이 손잡이부(20)에서 인출되어 몸체의 바닥판(19)을 좌우로 분할하고 있는 상태가 도 4에 단면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2실시예
한편,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의 제 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손잡이부(20)에 설치되어 몸체(10) 내측으로 인출가능한 분할판(30)의 설치 및 동작원리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분할판(30)이 보관되는 분할판수용부(35)가 손잡이부(20)의 하단에 일정높이로 별도로 구비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5a)는 손잡이부(20)에서 인출되어 몸체(10)의 바닥판(19)을 양분하도록 구성된 구조 및 동작원리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상기 손잡이부(20)의 하단으로 몸체(10)의 직경(지름) 크기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분할판(30)이 삽입 보관되고 필요에 따라 몸체(10)의 내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구성된 분할판수용부(35)가 별도로 형성된 것으로, 본 실시예는 몸체(10)의 측벽이 다소 높아 일정 높이 이상의 분할판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도록 하며, 측벽(17)의 내면과 바닥판(19)에 형성된 고정수단(12)(15)과, 손잡이부(20)에 구비되는 푸시버튼(22)과 슬라이딩홈(24) 및 요철부(23)의 구성과,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푸시버튼(22)의 가압부 하단에 구비된 걸림턱과 오목부, 탄성편 등은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 동작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의 동작상태가 도 7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3실시예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5b)는 상술한 제 1 및 제 2실시예와 분할판(30)의 설치 구조가 다르게 구성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5b)는 요리가 이루어지는 몸체(10)의 내측에 얇은 판재형상으로 이루어진 분할판(30a)이 상하로 수직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분할판(30a)은 분할하고자 하는 크기나 수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바닥판을 양 분하거나 4등분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당하며, 도 10 및 도 11에 십자형 분할판(30b)이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분할판(30a)(30b)이 끼움 고정되기 위해서는 몸체(10)의 측벽(17) 내면과 바닥판(19) 상면에 상기 분할판(30a)(30b)의 구조에 따라 일정한 고정수단(12)(15)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12)(15)은 상기 분할판(30a)(30b)을 견고하게 수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잡아주는 역할과, 바닥판(19)을 일정크기로 분할하여 분할된 바닥판(19)을 서로 차단하는 격벽 역할을 분할판(30a)(30b)이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면 되는 것으로, 그 제작과 사용의 편리성을 감안하여 몸체(10)의 측벽(17)과 바닥판(19)에 상기 분할판(30a)(30b)이 끼움 고정될 수 있는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는 요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분할판(30b)의 경우, 그 형상이 십자형으로 이루어져 바닥판(19)을 4등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십자형의 분할판(30b)은 일체로 구성되거나 각각 분리 구성되어 상호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4실시예
한편,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5c)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는 몸체(10)의 바닥판(19)에 분할판(30c)이 노출된 상태로 수평 설치되어지되, 필요에 따라 수평상태로 위치한 분할판(30c) 이 바닥판(19)에 수직으로 세워져 몸체(10)의 바닥판(19)을 좌우로 분할할 수 있도록 접철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할판(30c)의 회전은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세워 사용하거나 측벽(17)의 외측에 설치된 손잡이부(20)에 의해 회전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부(20)의 회전에 따라 바닥판(19)에 설치된 분할판이 동작될 수 있는 실시예만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 13은 바닥판(19)에 설치된 분할판(30c)이 바닥판(19)의 상면과 수평되게 접혀진 상태이며, 도 14는 상기 바닥판(19)에 대해 수평설치된 분할판(30c)이 손잡이부(20)의 회전부(40) 조작에 따라 수직으로 세워져 바닥판(19)을 좌우로 분할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분할판(30c)은 좌우 양단이 몸체(10)의 측벽(17) 내측에 각각 힌지고정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지되, 일측 고정부가 상기 측벽(17)을 관통하여 손잡이부(20)와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부(20)는 측벽(17)의 외측에 직접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는 고정단(42)과, 이 고정단(42)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일정각도 회전 가능한 회전단(4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20)의 회전단(40)을 일측으로 회전(90도)시키면, 상기 회전단(40)과 연결된 몸체(10) 내측의 분할판(30c)이 상기 회전단(40)과 동일방향으로 회전되어 바닥판(19)을 양측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회전단(40)의 일측단은 상기 분할판(30c)과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19)에는 분할판(30c)이 바닥판(19)에 수평으로 위치할 때, 분할판(30c) 상면이 바닥판(19)의 다른 상면과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분할판(30)이 젖혀지는 바닥판(19)에는 분할판(30)의 두께에 해당되는 깊이의 수평삽입홈(44)이 분할판(30c)의 전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형성되어 있고, 분할판(30c)의 양단부가 힌지고정되는 측벽(17)의 내측면에는 분할판(30c)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소정의 회전유도홈(45)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0)에 구비된 회전단(40)이 분할판(30c)의 회전 전후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단(40)과 고정단(42) 사이에 소정의 유동방지수단을 별도로 구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는 팬 구조로 이루어지는 조리기구에 적용하는 것는 물론 밥솥과 같이 일정 깊이를 갖는 용기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조리기구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제약받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일반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식당 등에서 음식물의 조리시에 몸체(10)의 내측에 분할판(30)(30a)(30b)(30c)을 인출하거나, 끼움 고정, 접철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바닥판(19)을 분할시킬 수 있으므로, 하나의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분할된 각각의 바닥판에 서로 다른 음식물을 넣고 요리를 할 수 있어 짧은 시간에 여러 요리를 동시에 하여 즐길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의 미각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요리하는데 소요되었던 시간을 많이 단축할 수 있으며, 하나의 열원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요리를 동시에 조리 가능하므로 요리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리된 요리를 보관하는 경우에도 각각 별도의 용기에 따로 따로 보관할 필요없이 하나의 조리기구에 보관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고, 남은 요리를 다시 먹기 위해서 데울 때도 하나의 조리기구만을 이용하면 되므로 음식을 준비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식사 및 식사후 용기세척의 편의성 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는 하나의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요리를 동시에 조리할 수 있어 요리를준비하는데 소요되었던 많은 시간을 절감하여 요리를 준비하는 사람의 편리를 향상시킴은 물론 요리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요리된 음식의 미각을 떨어뜨리는 단점을 줄일 수 있으며, 요리후 남은 음식을 보관하거나 다시 먹기 위해 음식을 데울 때도 한꺼번에 서로 다른 요리를 동시에 조리 가능하여 조리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장점이 있다.

Claims (7)

  1. 하나의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동시에 두가지 이상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분할판에 의해 몸체 내측이 분할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은 요리가 이루어지는 바닥판의 분할을 위해 일정한 높이와 두께로 이루어져 몸체의 일측에서 인출되어 바닥판을 분할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일측에 일정길이의 손잡이부가 구비된 경우,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에 몸체의 내경(지름) 크기에 해당되는 분할판이 인출가능하도록 삽입설치되고, 상기 분할판의 인출을 위해 손잡이부의 상단부에는 손잡이 내측에 구비된 분할판과 결합되어 상기 분할판을 몸체 내측으로 인출 및 인출된 후 손잡이 내측으로 회수시키기 위한 푸시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에는 상기 푸시버튼이 이동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몸체와 손잡이부가 접촉되는 경계부에는 상기 분할판의 출입을 위한 인출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일정길이의 손잡이부가 구비된 경우,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으로 몸체의 직경(지름) 크기에 해당하는 분할판이 삽입 보관되고 필요에 따라 몸체의 내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하는 분할판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부에는 분할판수용부에 구비된 분할판과 결합되어 분할판을 몸체 내측으로 인출 및 인출 후 분할판수용부 내측으로 회수시키기 위한 푸시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상면에는 상기 푸시버튼이 이동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관통 형성되며, 몸체와 손잡이부가 접촉되는 경계부에는 상기 분할판의 출입을 위한 인출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공이 형성된 대향측의 측벽 내면에는 몸체 내측으로 인출된 분할판의 선단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분할판이 지나가는 몸체의 바닥판 상면에는 분할판에 의해 분할된 바닥판 사이를 긴밀하게 차단하면서 분할판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
  5. 하나의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동시에 두가지 이상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분할판에 의해 몸체 내측이 분할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은 요리가 이루어지는 바닥판의 분할을 위해 일정한 높이와 두께를 갖는 판재형상으로 이루어져 몸체의 내측에 탈부착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할판이 몸체의 내측에 수직 고정되도록 몸체의 측벽 내면과 바닥판에는 소정의 고정수단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
  6. 하나의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동시에 두가지 이상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분할판에 의해 몸체 내측이 분할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은 요리가 이루어지는 바닥판의 분할을 위해 일정한 높이와 두께를 갖는 판재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닥판의 상면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어 고정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그 타단부가 바닥판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져 바닥판을 분할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일측에 손잡이부가 구비된 경우, 상기 손잡이부는 몸체의 외측에 직접 고정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의 후단에 연결설치되어 고정단과 별도로 일정각도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회전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단은 소정의 연결부재에 의해 몸체의 내측에 설치된 상기 분할판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그 조작에 따라 상기 분할판이 바닥판에 대해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동작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
KR1020060071948A 2006-07-31 2006-07-31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 KR20080011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948A KR20080011524A (ko) 2006-07-31 2006-07-31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948A KR20080011524A (ko) 2006-07-31 2006-07-31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524A true KR20080011524A (ko) 2008-02-05

Family

ID=39340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948A KR20080011524A (ko) 2006-07-31 2006-07-31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15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50Y1 (ko) * 2009-02-23 2011-09-22 주식회사 피엔풍년 프라이팬의 손잡이
KR200468079Y1 (ko) * 2013-05-06 2013-07-26 이은송 탈부착 가능한 칸막이가 구비된 후라이팬
KR200483508Y1 (ko) 2016-01-07 2017-06-09 현경자 다중 조리용 냄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50Y1 (ko) * 2009-02-23 2011-09-22 주식회사 피엔풍년 프라이팬의 손잡이
KR200468079Y1 (ko) * 2013-05-06 2013-07-26 이은송 탈부착 가능한 칸막이가 구비된 후라이팬
KR200483508Y1 (ko) 2016-01-07 2017-06-09 현경자 다중 조리용 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100774A4 (en) Multifunctional Cookware
US8167163B2 (en) Cooking pot having a lid supported on the pot in an upright position
KR20080011524A (ko)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
US20090095729A1 (en) Domestic equipment grouping
TW201700046A (zh) 伸縮式多功能組合架
US20090095728A1 (en) Domestic equipment group
KR101417322B1 (ko)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
CN212157780U (zh) 一种冰箱用美妆盒及具有该美妆盒的冰箱
US20120145865A1 (en) Pot and utensil rest
CN208339240U (zh) 一种洗菜池橱柜
CN109452849B (zh) 多功能蒸笼及具有蒸笼的蒸汽烹饪装置
JP2512245B2 (ja) アイランドキッチン
KR200148789Y1 (ko) 보조조리대장치
KR100282654B1 (ko) 다용도 이동식 조리대
CN217408536U (zh) 一种便于拆卸清洗和收纳的空气炸锅
KR200274218Y1 (ko) 주방가구용 보조 테이블
CN208510805U (zh) 烤箱
CN212394853U (zh) 清洗柜
CN211883382U (zh) 一种带食品蒸、烤功能的嵌入式消毒柜
KR200450437Y1 (ko) 구획틀을 구비한 조리기구
LU100619B1 (en) Cabinet facilitating cooking
CN208957717U (zh) 压力烹饪器具
KR200285235Y1 (ko) 싱크대의 보조테이블
KR200324914Y1 (ko) 싱크대 상부 수납장
KR20160004423U (ko) 회전 인출식 개별수납 식기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