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322B1 -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 - Google Patents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322B1
KR101417322B1 KR1020120092723A KR20120092723A KR101417322B1 KR 101417322 B1 KR101417322 B1 KR 101417322B1 KR 1020120092723 A KR1020120092723 A KR 1020120092723A KR 20120092723 A KR20120092723 A KR 20120092723A KR 101417322 B1 KR101417322 B1 KR 101417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rail
support
storage box
kitch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5955A (ko
Inventor
김장석
김영택
김다솜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2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322B1/ko
Publication of KR20140025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47B83/045Tables combined with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1/00Tables with tops revolvable on vertical spi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01Tops
    • A47B2200/0009Plate and dish warming plates embedded in tabl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접이식 제1상판과 수납함으로 이루어진 제1테이블부와, 접이식 제2상판과 싱크대부로 이루어진 제2테이블부를 조립하여 복잡한 주방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함과, 상기 수납함의 상부에 축 결합하여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되 힌지구조를 통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제1상판으로 이루어지는 제1테이블부와; 상기 제1상판의 일측면에 탈부착되되 힌지구조를 통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제2상판과, 상기 제2상판의 하부에 축 결합하여 수평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싱크대부로 이루어지는 제2테이블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A FOLDABLE MULTI-PURPOSE KITCHEN}
본 발명은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접이식 제1상판과 수납함으로 이루어진 제1테이블부와, 접이식 제2상판과 싱크대부로 이루어진 제2테이블부를 조립하여 복잡한 주방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는 식기 및 수저등을 세척하는 싱크대, 세척된 식기 및 수저등을 보관하는 보관함,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부, 음식 및 음용수등을 보관할 수 있는 냉장고와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식탁과 의자등의 다양한 가구들이 배치된다.
이러한 주방가구는 각각의 가구들을 따로 구비해야 하며 각각의 가구들은 크기와 무게등으로 인해 일반인들이 설치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최근 싱글족이 늘어남에 따라 주방가구들이 간소화되고 있으나, 주방에 필요한 가구들은 여전히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주방가구의 배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도 많은 어려움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공지된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 -0028558호 "테이블용 싱크대"가 제시된바 있다.
이러한 테이블용 싱크대는 책상, 식탁, 실험대등의 테이블에 싱크대를 이동식, 서랍식, 접철식으로 설치되어 공간활용을 극대화하도록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테이블은 기존에 사용되는 테이블에 싱크대가 설치되도록 이루어져 있어, 싱크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테이블이 구비되어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싱크대는 조리를 할 수 있는 구성이 없으며, 테이브의 크기에 맞게 싱크대가 변경되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납함과 제1상판으로 이루어진 제1테이블부와, 싱크대부와 제2상판으로 이루어진 제2테이블부로 이루어져 있어 주방에 필요한 가구들을 모두 포함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편리하게 사용 및 설치할 수 있게 이루어진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함과, 상기 수납함의 상부에 축 결합하여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되 힌지구조를 통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제1상판으로 이루어지는 제1테이블부와; 상기 제1상판의 일측면에 탈부착되되 힌지구조를 통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제2상판과, 상기 제2상판의 하부에 축 결합하여 수평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싱크대부로 이루어지는 제2테이블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상판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수납함의 측면에서 상기 제1상판을 지지하고, 상기 제2상판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싱크대부의 측면에서 상기 제2상판을 지지하는 각각의 고정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상판은 하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제1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상판은 하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제2레일부를 더 포함하며, 상측이 상기 제1레일부와 상기 제2레일부를 따라 수평이동하되 상기 제1상판 및 제2상판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각각의 이동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지지대의 측면에 탈부착 되며 상기 제1레일부 또는 제2레일부(26)의 단부에 고정되는 보조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상판과 상기 제2상판이 서로 맞닿는 부분에서 한쪽에는 고리와 다른 쪽에는 상기 고리가 체결되는 고리홈이 형성됨으로 상기 제1상판과 상기 제2상판이 부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함에 형성된 수납공간은 식기, 수저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과, 음식 및 음료를 보관할 수 있는 냉장고가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하다.
상기 싱크대부는 상부에 상기 제2상판의 회전에 따라 노출되어 상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플렉시블 관으로 형성된 호스를 구비한 수도꼭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상판의 일측을 개방하면 타측의 상부에 구성되는 조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리부는 전기구조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에 따르면, 주방에서 필요한 가구들을 하나의 가구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위치 및 구조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판을 펼쳐서 넓은 작업 공간의 활용이 가능하고 사용 후에는 상판을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여 주방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을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하고 고정수단 및 지지대가 구성되어 사용중 가구의 이탈이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며, 무거운 물품, 식품등을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제1상판과 제2상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이동지지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5는 제1상판과 제2상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제2테이블부의 수도꼭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도 2는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도 3은 제1상판과 제2상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이동지지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5는 제1상판과 제2상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제2테이블부의 수도꼭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먼저,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납함과 제1상판으로 이루어진 제1테이블부와, 싱크대부와 제2상판으로 이루어진 제2테이블부로 이루어져 있어 주방에 필요한 가구들을 모두 포함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편리하게 설치 및 사용할 수 있게 이루어진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에 관한 것이다.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는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제1테이블부(10)와, 제2테이블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테이블부(10)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함(11)과, 상기 수납함(11)의 상부 일측에 축(30) 결합하여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되 힌지구조(80)를 통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제1상판(1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납함(11)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에는 식기, 쟁반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12)과 음식 및 음용수등을 보관할 수 있는 냉장고(1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함(11)의 하부에는 고정 및 이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바퀴 및 롤러와 같은 이동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 후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수단에는 고정수단이 포함되어 구비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관함(12)은 내부에 식기, 수저등을 보관할 수 있는 서랍 또는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찬장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 주방에서 사용되고 있는 서랍이나 찬장등과 같이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들의 손쉽고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상판(14)은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힌지구조를 통하여 타측의 상기 제1상판(14)을 일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상판(14)은 상기 수납함(11)의 상부에 축 결합하여 상기 축(30)을 중심으로 좌ㆍ우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판(14)은 상기 제1상판(14)의 하부와 상기 수납함(11)의 상부가 축 결합하게 되며 상기 제1상판은 상기 수납함(11)과 결합된 축(30)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판(14)이 회전을 하여 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제1상판(14)의 중간에 형성된 힌지(8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 하도록 되어있어 일측 상부에 있는 상기 제1상판(14)이 타측으로 회전하여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상판(14)은 사용시에는 펼쳐서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 후에는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여 협소한 공간이나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제2테이블부(20)는 상기 제1상판(14)의 일측면에 탈부착 되되 힌지구조를 통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제2상판(25)과, 상기 제2상판(25)의 하부 축 결합하여 수평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싱크대부(2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싱크대부(21)의 하부에는 고정 및 이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바퀴 및 롤러와 같은 이동수단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상판(25)은 중간에 힌지구조를 통하여 일측의 상기 제2상판(25)을 타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상판(25)은 상기 싱크대부(21)의 상부에 축 결합하여 상기 축(30)을 중심으로 좌ㆍ우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상판(25)의 회전구조는 상기 제1상판(14)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판(14)과 상기 제2상판(25)이 서로 맞닿는 부분에서 상기 제1상판(14)과 상기 제2상판(25)중 선택되는 한쪽에는 고리(70)가 다른 쪽에는 상기 고리(70)가 체결되는 고리홈(71)이 형성됨으로 상기 제1상판(14)과 상기 제2상판(25)이 부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상판(14)의 일측면에 상기 제2상판(25)의 타측면이 부착되면 상기 제1상판(14)의 하부면에 상기 제1상판(14)과 상기 제2상판(25)을 고정하기 위한 상기 고리(7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상판(25)에는 상기 고리(70)가 체결되는 상기 고리홈(71)이 형성된다.
또한 도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반대로 상기 제2상판(25)에 상기 고리(7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상판(14)에는 상기 고리가(70)가 체결되는 상기 고리홈(7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리(70)에 의해 상기 제1상판(14)과 상기 제2상판(25)의 부착되었을 때 어긋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펼쳐진 상기 제1상판(14)의 일측면에 펼쳐진 상기 제2상판(25)의 타측면이 탈부착되어 식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 후에는 상기 제1상판(14)과 상기 제2상판(25)을 다시 접어서 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 공간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상판(25)의 일측을 개방하면 사용가능하도록 타측의 상기 제2상판(25)에 형성된 상기 조리부(27)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리부(27)는 전기구조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인덱션렌즈, 핫 플레이트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싱크대부(21)는 상기 제2상판(25)의 회전에 따라 노출되어 상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구성된 수도꼭지(2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싱크대부(21)의 상부 일면이 함몰되어 상기 수도꼭지(23)가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호스(24)는 플렉시블 관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시 편리하게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도6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도꼭지(23)는 상기 제2상판의 회전에 의해 개방되면 플렉시블 관으로 형성된 호스(24)를 상부로 이동하여 자유롭게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6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도꼭지(23)는 상기 제2상판의 회전에 의해 폐쇄되면 플렉시블 관으로 형성된 호스(24)를 상기 싱크대부(21) 내부로 이동시켜 상기 제2상판(25)으로 상기 싱크대부(21)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도꼭지(23)의 손잡이는 상기 싱크대부(21)의 상부 일면에 함몰되어 있는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상판(25)의 개방 및 폐쇄시에 간섭을 받지 않게 되며, 플렉시블 관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호스(24)는 상기 제2상판(25)을 개방시 위치를 이동시켜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제2상판(25)을 폐쇄시에는 상기 싱크대부(21) 내부로 이동시켜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상판(14)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수납함(11)의 측면에서 상기 제1상판(14)을 지지하고, 상기 제2상판(25)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싱크대부(21)의 측면에서 상기 제2상판(25)을 지지하는 각각의 고정지지대(40)를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상판(14)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함(11)의 측면에 위치하는 고정지지대(40)와, 상기 제2상판(25)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싱크대부(21)의 측면에 위치하는 고정지지대(40)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지지대(40)는 상기 제1상판(14)과 상기 제2상판(25)이 펼쳤을 때 상판을 지탱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판(14)은 하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제1레일부(15)와, 상기 제2상판(25)은 하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제2레일부(26)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어 있으며, 상측이 상기 제1레일부(15)와 상기 제2레일부(26)를 따라 수평이동하되 상기 제1상판(14) 및 상기 제2상판(25)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각각의 이동지지대(5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동지지대(50)는 상기 제1상판(14)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함(11)의 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상판(14)의 하측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가이드 역할을 해주는 제1레일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지지대(50)의 상부에 구비된 결합돌기(51)는 상기 제1레일부(15)에 결합하여 상기 제1레일부(15)를 따라 이동된다.
또한, 상기 이동지지대(50)는 상기 제2상판(25)의 하부에 형성되고 싱크대부(21)의 측면에도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상판(25)은 상기 제1상판(14)과 동일하게 하측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가이드 역활을 해주는 제2레일부(26)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지지대(50)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결합돌기(51)는 상기 제2레일부(26)에 결합하여 상기 제2레일부(26)를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지지대(50)는 상기 제1상판(14)과 상기 제2상판(25)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제1레일부(15)와 상기 제2레일부(26)를 따라 이동하여 상판의 하중을 받는 부분을 지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지지대(50)의 측면에 탈부착 되며 상기 제1레일부(15) 또는 제2레일부(26)의 단부에 고정되는 보조지지대(60)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상판(14)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보조지지대(60)는 상기 제1레일부(15)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상판(14)을 지탱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지지대(50)와 탈부착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지지대(60)는 상기 이동지지대(50)가 상기 제1상판(14)에 형성된 제1레일부(15)를 따라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상판(14)의 일측 모서리부분을 지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상판(25)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보조지지대(60)는 상기 제2레일부(26)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상판(25)을 지탱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지지대(50)와 탈부착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지지대(60)는 상기 이동지지대(50)가 상기 제2상판(25)에 형성된 상기 제2레일부(26)를 따라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상판(25)의 타측 모서리부분을 지탱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상판(14)과 상기 제2상판(25)은 지지대를 통하여 지탱하게 되어 무거운 물건이나 식품을 올려놓고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제1테이블부 11: 수납함
12: 보관함 13: 냉장고
14: 제1상판 15: 제1레일부
20: 제2테이블부 21: 싱크대부
23: 수도꼭지 24: 호스
25: 제2상판 26: 제2레일부
27: 조리부 30: 축
40: 고정지지대 50: 이동지지대
51: 결합돌기 60: 보조지지대
70: 고리 71: 고리홈
80: 힌지

Claims (8)

  1. 주방에서 사용하는 주방가구에 있어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함(11)과, 상기 수납함(11)의 상부에 축 결합하여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되 힌지구조를 통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제1상판(14)으로 이루어지는 제1테이블부(10)와;
    상기 제1상판(14)의 일측면에 탈부착되되 힌지구조를 통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제2상판(25)과, 상기 제2상판(25)의 하부에 축 결합하여 수평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싱크대부(21)로 이루어지는 제2테이블부(20)로 구성되되
    상기 제1상판(14)은 하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제1레일부(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상판(25)은 하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제2레일부(26)를 더 포함하며,
    상측이 각각 상기 제1레일부(15)와 상기 제2레일부(26)를 따라 수평이동하되 상기 제1상판(14) 및 제2상판(25)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각각의 이동지지대(50)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지지대(50)의 측면에 탈부착 되며 상기 제1레일부(15) 또는 제2레일부(26)의 단부에 고정되는 보조지지대(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판(14)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수납함(11)의 측면에서 상기 제1상판(14)을 지지하고, 상기 제2상판(25)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싱크대부(21)의 측면에서 상기 제2상판(25)을 지지하는 각각의 고정지지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판(14)과 상기 제2상판(25)이 서로 맞닿는 부분에서 상기 제1상판(14)과 상기 제2상판(25)중 선택되는 한쪽에는 고리(70)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상기 고리(70)가 체결되는 고리홈(71)이 형성됨으로 상기 제1상판(14)과 상기 제2상판(25)이 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11)에 형성된 수납공간에는 식기, 수저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12)과, 음식 및 음료를 보관할 수 있는 냉장고(1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부(21)는 상부에 상기 제2상판(25)의 회전에 따라 노출되어 상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플렉시블 관으로 형성된 호스(24)를 구비한 수도꼭지(2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판(25)의 타측의 상부에 구성되는 조리부(27)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리부(27)는 전기가열 방식을 통해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
KR1020120092723A 2012-08-24 2012-08-24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 KR101417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723A KR101417322B1 (ko) 2012-08-24 2012-08-24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723A KR101417322B1 (ko) 2012-08-24 2012-08-24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955A KR20140025955A (ko) 2014-03-05
KR101417322B1 true KR101417322B1 (ko) 2014-07-08

Family

ID=50640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723A KR101417322B1 (ko) 2012-08-24 2012-08-24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0975A (ko) * 2020-03-02 2021-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간 배치형 냉장고 시스템
KR102515150B1 (ko) * 2020-08-28 2023-03-28 주식회사 토탈시스템 이동이 용이한 테이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7122A (ja) * 2002-11-22 2004-06-17 Moriichi Sangyo Kk テーブル
KR20110025407A (ko) * 2009-09-04 2011-03-10 김성군 이동 가능한 접철식 간이싱크대
KR20120023291A (ko) * 2010-09-01 2012-03-1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키친 유니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7122A (ja) * 2002-11-22 2004-06-17 Moriichi Sangyo Kk テーブル
KR20110025407A (ko) * 2009-09-04 2011-03-10 김성군 이동 가능한 접철식 간이싱크대
KR20120023291A (ko) * 2010-09-01 2012-03-1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키친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955A (ko)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24945B (zh) 多功能橱柜及组合柜
US9872573B1 (en) Convertible bar cabinet
KR101417322B1 (ko)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
KR101834160B1 (ko) 다기능 주방가구
US1369577A (en) Kitchen-cabinet
US2419766A (en) Combination table and separable service cabinet
CN105124947B (zh) 可移动的厨房及组合柜
US10172457B2 (en) Rollable drawer system and rollable appliance support system
CN204889205U (zh) 多功能橱柜及组合柜
KR20210091515A (ko)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한 복합 주방가구
CN211984561U (zh) 一种具有抽拉桌面结构的户外橱柜
CN208339240U (zh) 一种洗菜池橱柜
CN103211405A (zh) 便携式橱柜
CN204889206U (zh) 可移动的厨房及组合柜
KR200438650Y1 (ko) 식탁장
KR20170077497A (ko)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이동판매대
KR100282654B1 (ko) 다용도 이동식 조리대
KR20080011524A (ko)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
RU156508U1 (ru) Стол, трансформирующийся в барную стойку
KR200326180Y1 (ko) 이동식 의자가 설치된 싱크대
EA028036B1 (ru) Стол, трансформирующийся в барную стойку
CN215649991U (zh) 一种集成式的户外折叠厨房
JPH05130919A (ja) アイランドキツチン
JP2004298421A (ja) 引き出し用収納トレー,引き出しおよび厨房家具
KR20220000454A (ko) 접이식 도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