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395A - 찜기 - Google Patents

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395A
KR20210044395A KR1020190127447A KR20190127447A KR20210044395A KR 20210044395 A KR20210044395 A KR 20210044395A KR 1020190127447 A KR1020190127447 A KR 1020190127447A KR 20190127447 A KR20190127447 A KR 20190127447A KR 20210044395 A KR20210044395 A KR 20210044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teamer
heating pot
wat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정하
Original Assignee
(주)자작나무형제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작나무형제들 filed Critical (주)자작나무형제들
Priority to KR1020190127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4395A/ko
Publication of KR20210044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찜기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을 찌기 위한 물이 수용되는 물 수용 공간부를 구비하되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가열솥 몸체와, 상기 가열솥 몸체의 일측 절개된 절개부에 형성되는 선반 플레이트와, 상기 선반 플레이트와 상기 가열솥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선반 플레이트를 보강하는 복수의 보강 리브와, 상기 가열솥 몸체의 외벽에 결합하는 제1 손잡이를 구비하며,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제작되는 물 가열솥; 상기 물 가열솥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물 가열솥에서 발생하는 스팀(steam)을 상부로 전달하되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제작되는 스팀 전달유닛; 음식이 쪄지는 공간을 형성하되 중앙 영역에 스팀이 통과하는 스팀 통과구가 형성되는 찜통 몸체와, 찜통 몸체의 내벽에 형성되는 걸림턱부와, 상기 찜통 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스팀 전달유닛에 삽입되면서 자리 배치되는 찜통 자리 배치용 돌출부를 구비하며, 나무 재질로 제작되는 찜통; 상기 음식이 안착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상기 찜통의 걸림턱부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는 찜망; 및 상기 찜통의 상부 개구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며, 나무 재질로 제작되는 덮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찜기{Steam cooker}
본 발명은, 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단순 구조에서 벗어나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다양한 찜 요리에 최적화될 수 있으며, 특히 대량 조리가 가능하여 음식점 등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찜기에 관한 것이다.
찜기(steam cooker, food steamer)는 음식을 찌는 데 쓰는 조리기구이다. 빵이나 만두, 고기, 떡 등의 음식이 스팀(steam) 열로 익혀져 조리될 수 있게끔 하는 것을 찜기라 부른다.
상기 음식을 찜기를 사용해서 조리할 경우, 굽거나 튀기는 것과 비교해서 음식 내의 영양소 파괴를 막을 수 있으며, 음식 본연의 맛을 내는 데 좋다. 따라서, 음식을 조리할 때, 찜기를 자주 사용하게 된다.
한편, 조리되는 음식에 따라 찜기의 형태와 종류는 다양한데, 찜기(10)로서 도 1과 같은 형태가 주류를 이룬다.
도 1의 찜기(10)는 접히거나 펼쳐지는 복수의 접철 날개(20)를 포함한다. 접철 날개(20)에는 스팀이 통과하는 복수의 통공(21)이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찜기(10)는 접철 날개(20)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어서 물 가열솥의 사이즈에 따라 조절할 수 있지만, 별도의 물 가열솥, 예컨대 냄비나 솥 등의 물 가열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도 1과 같은 고전적인 형태의 찜기(10)는 복수의 통공(21)을 통과하는 스팀을 통해 음식을 찌는 단순한 방식이라서 음식에 대한 찜 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특히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찜 음식의 대량 조리가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찜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08845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14462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단순 구조에서 벗어나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다양한 찜 요리에 최적화될 수 있으며, 특히 대량 조리가 가능하여 음식점 등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음식을 찌기 위한 물이 수용되는 물 수용 공간부를 구비하되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가열솥 몸체와, 상기 가열솥 몸체의 일측 절개된 절개부에 형성되는 선반 플레이트와, 상기 선반 플레이트와 상기 가열솥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선반 플레이트를 보강하는 복수의 보강 리브와, 상기 가열솥 몸체의 외벽에 결합하는 제1 손잡이를 구비하며,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제작되는 물 가열솥; 상기 물 가열솥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물 가열솥에서 발생하는 스팀(steam)을 상부로 전달하되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제작되는 스팀 전달유닛; 음식이 쪄지는 공간을 형성하되 중앙 영역에 스팀이 통과하는 스팀 통과구가 형성되는 찜통 몸체와, 찜통 몸체의 내벽에 형성되는 걸림턱부와, 상기 찜통 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스팀 전달유닛에 삽입되면서 자리 배치되는 찜통 자리 배치용 돌출부를 구비하며, 나무 재질로 제작되는 찜통; 상기 음식이 안착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상기 찜통의 걸림턱부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는 찜망; 및 상기 찜통의 상부 개구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며, 나무 재질로 제작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에 의해 달성된다.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제작되되 상기 물 가열솥과 상기 스팀 전달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스팀 전달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물 가열솥 측의 스팀이 상기 스팀 전달유닛으로 가이드되는 비원형 스팀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스팀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 전달유닛은, 유닛 바디; 상기 유닛 바디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비원형 스팀 가이드홀에 삽입되면서 자리 배치되는 유닛 자리 배치용 돌출부; 상기 유닛 바디 내에 층상 배열되되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스팀 가이드 부재 측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확산시켜 상기 찜솥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스팀 확산 플레이트; 및 일측은 상기 유닛 바디 내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유닛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유닛 바디 내에서 발생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로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의 하부에는 상기 물 가열솥의 선반 플레이트 상에 놓이되 상기 배수구에서 낙하하는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물 저장용 컵이 마련되며, 상기 물 저장용 컵에는 핸들링을 위한 제2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에는 막대가 선택적으로 꼽혀 배치되되 상기 막대의 단부가 상기 물 저장용 컵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콤종래의 단순 구조에서 벗어나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다양한 찜 요리에 최적화될 수 있으며, 특히 대량 조리가 가능하여 음식점 등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찜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찜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물 가열솥, 물 저장용 컵 및 스팀 가이드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스팀 전달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찜통, 찜망 및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찜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찜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물 가열솥, 물 저장용 컵 및 스팀 가이드 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스팀 전달유닛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찜통, 찜망 및 덮개의 사시도, 도 7은 도 2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찜기(100)는 종래의 단순 구조에서 벗어나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다양한 찜 요리에 최적화될 수 있으며, 특히 대량 조리가 가능하여 음식점 등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찜기(100)는 물 가열솥(110), 물 저장용 컵(120), 스팀 가이드 부재(130), 스팀 전달유닛(140), 찜통(150), 찜망(160), 그리고, 덮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도 2처럼 조립되어 사용되지만, 도 3처럼 개개별로 분해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을 때는 분해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찜기(100)가 분해될 수 있어서 청소에 매우 유리하다.
물 가열솥(110)은 물을 넣고 가열하는 부분이다. 물 가열솥(110)이 가스레인지 등에 올려진다. 따라서, 물 가열솥(110)은 강도와 열에 강하면서도 상대적으로 가벼운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물 가열솥(110)은 음식을 찌기 위한 물이 수용되는 물 수용 공간부(112)를 구비하되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가열솥 몸체(111)와, 가열솥 몸체(111)의 일측 절개된 절개부(113)에 형성되는 선반 플레이트(114)와, 선반 플레이트(114)와 가열솥 몸체(111)에 연결되고 선반 플레이트(114)를 보강하는 복수의 보강 리브(115)를 구비한다.
선반 플레이트(114)에 물 저장용 컵(120)이 선택적으로 놓일 수 있는데, 이처럼 가열솥 몸체(111)의 일측을 절개해서 선반 플레이트(114)를 제작함으로써 외관의 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열솥 몸체(111)의 외벽에는 제1 손잡이(116)가 결합한다. 제1 손잡이(116)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물 가열솥(110)을 들고 핸들링할 때 활용된다.
물 저장용 컵(120)은 물 가열솥(110)의 선반 플레이트(114) 상에 놓인다. 이러한 물 저장용 컵(120)의 내부에는 그 상부 구조물인 스팀 전달유닛(140)의 배수구(145)에서 낙하하는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121)가 형성된다.
참고로, 배수구(145)에는 막대(147)가 선택적으로 꼽혀 배치될 수 있다. 막대(147)는 배수구(145)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데, 그 단부가 물 저장용 컵(1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물 저장부(121)에 물이 저장되는 형태라서 물이 흘러내려 찜기(100) 주변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 저장용 컵(120)의 외벽에도 물 저장용 컵(120)의 핸들링을 위한 제2 손잡이(122)가 마련된다.
스팀 가이드 부재(130)는 물 가열솥(110)과 스팀 전달유닛(140)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물로서, 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제작된다.
스팀 가이드 부재(130)에는 물 가열솥(110) 측의 스팀이 스팀 전달유닛(140)으로 가이드되는 비원형 스팀 가이드홀(131)이 형성된다. 비원형 스팀 가이드홀(131)에 스팀 전달유닛(140)의 유닛 자리 배치용 돌출부(142)가 끼워지는 형태로 자리 배치된다. 따라서, 부재들 간의 들뜸이 없어져 안정적인 스팀 전달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찜 요리 중에 부재들이 흔들려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스팀 전달유닛(140)은 그 상부의 찜통(150), 즉 실질적으로 음식이 쪄지는 찜통(150)으로 스팀 가이드 부재(130) 측의 스팀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스팀 전달유닛(140)은 스팀 가이드 부재(130) 상에 올려져 형합되며, 물 가열솥(110)에서 발생하는 스팀을 상부의 찜통(150)으로 전달한다. 스팀 전달유닛(140) 역시,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스팀 전달유닛(140)은 유닛 바디(141)와, 유닛 바디(141)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일부가 비원형 스팀 가이드홀(131)에 삽입되면서 자리 배치되는 유닛 자리 배치용 돌출부(142)와, 유닛 바디(141) 내에 층상 배열되되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스팀 가이드 부재(130) 측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확산시켜 찜솥(150)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스팀 확산 플레이트(143)와, 일측은 유닛 바디(141) 내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유닛 바디(141)의 외부로 돌출되며, 유닛 바디(141) 내에서 발생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로(144)를 포함한다.
복수의 스팀 확산 플레이트(143)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기울어지게 층상 배열된다. 따라서, 하부에서 올라오는 스팀이 찜통(150) 내의 전체 영역으로 고르게 확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음식이 골고루 쪄지는 효과가 있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배수로(144)에는 배수구(145)가 형성되는데, 이 배수구(145)의 하부에 물 저장용 컵(120)이 배치된다. 따라서, 스팀의 전달 과정 중에 상변화한 물은 물 저장용 컵(120)에 저장될 수 있다.
찜통(150)은 음식이 쪄지는 공간을 형성하되 중앙 영역에 스팀이 통과하는 스팀 통과구(152)가 형성되는 찜통 몸체(151)와, 찜통 몸체(151)의 내벽에 형성되는 걸림턱부(153)와, 찜통 몸체(151)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일부가 스팀 전달유닛(140)에 삽입되면서 자리 배치되는 찜통 자리 배치용 돌출부(154)를 포함한다. 찜통(150)은 나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찜통(150)에 찜통 자리 배치용 돌출부(154)가 형성되고, 이 찜통 자리 배치용 돌출부(154)가 스팀 전달유닛(140)에 삽입되면서 자리 배치되기 때문에 스팀 손실 없이 스팀이 찜통(150)으로 전달되는 데 유리하다.
찜망(160)은 실질적으로 음식이 안착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찜통(150)의 걸림턱부(153)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된다.
찜망(160)은 완전한 헝겊은 아니며, 음식을 지지하면서 찜통(150)의 걸림턱부(153)에 배치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찜망(160)은 복수의 통기구가 형성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망체일 수 있다.
덮개(170)는 찜통(150)의 상부 개구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한다. 덮개(170)는 나무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손쉽게 잡아 열 수 있게끔 한다.
이에, 도 2처럼 조립한 후, 덮개(170)를 열고 찜망(160) 위로 음식을 올린 후, 물이 들어 있는 물 가열솥(110)을 가열하면 스팀의 열에 의해 음식이 쪄지면서 조리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단순 구조에서 벗어나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다양한 찜 요리에 최적화될 수 있으며, 특히 대량 조리가 가능하여 음식점 등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찜기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찜통(150)이 1단인 1단 형태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음식이 많거나 종류가 다양할 경우라면 찜통(150)을 다단으로, 예컨대 3단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찜기(200)는 찜통(150)을 3단으로 적용한 것인데, 이렇게 사용하더라도 찜 요리를 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찜 요리에 적합하며, 특히 여러 종류의 찜 음식을 함께 찔 수 있음은 물론 대량 조리에 적합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찜기 110 : 물 가열솥
111 : 가열솥 몸체 112 : 물 수용 공간부
113 : 절개부 114 : 선반 플레이트
115 : 보강 리브 116 : 제1 손잡이
120 : 물 저장용 컵 121 : 물 저장부
122 : 제2 손잡이 130 : 스팀 가이드 부재
131 : 비원형 스팀 가이드홀 140 : 스팀 전달유닛
141 : 유닛 바디 142 : 유닛 자리 배치용 돌출부
143 : 스팀 확산 플레이트 144 : 배수로
145 : 배수구 147 : 막대
150 : 찜통 151 : 찜통 몸체
152 : 스팀 통과구 153 : 걸림턱부
154 : 찜통 자리 배치용 돌출부 160 : 찜망
170 : 덮개

Claims (5)

  1. 음식을 찌기 위한 물이 수용되는 물 수용 공간부를 구비하되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가열솥 몸체와, 상기 가열솥 몸체의 일측 절개된 절개부에 형성되는 선반 플레이트와, 상기 선반 플레이트와 상기 가열솥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선반 플레이트를 보강하는 복수의 보강 리브와, 상기 가열솥 몸체의 외벽에 결합하는 제1 손잡이를 구비하며,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제작되는 물 가열솥;
    상기 물 가열솥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물 가열솥에서 발생하는 스팀(steam)을 상부로 전달하되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제작되는 스팀 전달유닛;
    음식이 쪄지는 공간을 형성하되 중앙 영역에 스팀이 통과하는 스팀 통과구가 형성되는 찜통 몸체와, 찜통 몸체의 내벽에 형성되는 걸림턱부와, 상기 찜통 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스팀 전달유닛에 삽입되면서 자리 배치되는 찜통 자리 배치용 돌출부를 구비하며, 나무 재질로 제작되는 찜통;
    상기 음식이 안착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상기 찜통의 걸림턱부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는 찜망; 및
    상기 찜통의 상부 개구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며, 나무 재질로 제작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
  2. 제1항에 있어서,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제작되되 상기 물 가열솥과 상기 스팀 전달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스팀 전달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물 가열솥 측의 스팀이 상기 스팀 전달유닛으로 가이드되는 비원형 스팀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스팀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전달유닛은,
    유닛 바디;
    상기 유닛 바디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비원형 스팀 가이드홀에 삽입되면서 자리 배치되는 유닛 자리 배치용 돌출부;
    상기 유닛 바디 내에 층상 배열되되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스팀 가이드 부재 측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확산시켜 상기 찜솥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스팀 확산 플레이트; 및
    일측은 상기 유닛 바디 내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유닛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유닛 바디 내에서 발생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의 하부에는 상기 물 가열솥의 선반 플레이트 상에 놓이되 상기 배수구에서 낙하하는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물 저장용 컵이 마련되며,
    상기 물 저장용 컵에는 핸들링을 위한 제2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에는 막대가 선택적으로 꼽혀 배치되되 상기 막대의 단부가 상기 물 저장용 컵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기.
KR1020190127447A 2019-10-15 2019-10-15 찜기 KR20210044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447A KR20210044395A (ko) 2019-10-15 2019-10-15 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447A KR20210044395A (ko) 2019-10-15 2019-10-15 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395A true KR20210044395A (ko) 2021-04-23

Family

ID=7573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447A KR20210044395A (ko) 2019-10-15 2019-10-15 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43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135B1 (ko) * 2021-04-23 2022-03-28 강태수 음식조리 찜기용 덮개
KR102436822B1 (ko) * 2021-09-27 2022-08-25 박용휘 목재 찜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8453A (ko) 2006-12-11 2009-08-19 에누티에누 가부시키가이샤 윤활 시스템,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베어링,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유니버설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8453A (ko) 2006-12-11 2009-08-19 에누티에누 가부시키가이샤 윤활 시스템,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베어링,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유니버설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135B1 (ko) * 2021-04-23 2022-03-28 강태수 음식조리 찜기용 덮개
KR102436822B1 (ko) * 2021-09-27 2022-08-25 박용휘 목재 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6486A (en) Cooking utensil
US20100263552A1 (en) Specialized pan for boiling lasagna noodles
JP2018529502A (ja) モジュール式バーベキューシステムおよびそのためのキット
US20140261012A1 (en) Cooking grill having rack supporting individual grilling modules
KR20210044395A (ko) 찜기
US20060011192A1 (en) Multi-chambered convertible grilling device
KR101530070B1 (ko) 구이 및 탕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CA2580870C (en) Arrangement for a grill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100530324B1 (ko) 다용도 조리기
KR102227717B1 (ko) 나열식 테이블 스팀찜기
JP6548767B2 (ja) 油排出が簡単なバーナ
CN209219930U (zh) 一种家用肠粉机
CN107713735B (zh) 一种自主烹制食物的食用器具
KR101001613B1 (ko) 다공성 보조용기를 구비한 조리 용기
KR200455177Y1 (ko) 개량 신선로
JPH072137B2 (ja) 加熱調理装置
CN107041676B (zh) 加热皿及烹饪器具
KR200497869Y1 (ko) 요리용 찜기
CN216364770U (zh) 一种空气炸锅用的炸篮组件
KR102115097B1 (ko) 고기구이판
KR20190012770A (ko)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
CN211704312U (zh) 一种烹饪器具用蒸笼
KR200376385Y1 (ko) 찜기
KR101001614B1 (ko)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