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071Y1 -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 Google Patents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071Y1
KR200483071Y1 KR2020160007567U KR20160007567U KR200483071Y1 KR 200483071 Y1 KR200483071 Y1 KR 200483071Y1 KR 2020160007567 U KR2020160007567 U KR 2020160007567U KR 20160007567 U KR20160007567 U KR 20160007567U KR 200483071 Y1 KR200483071 Y1 KR 200483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members
upper flange
reinforc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진
이선춘
Original Assignee
(주)나엘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엘에스피 filed Critical (주)나엘에스피
Priority to KR2020160007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0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0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10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metal beams or girders, e.g. with steel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공작물에 적용 가능하며, 빗물, 오수 등의 물을 방수(防水)처리 및 차량의 소음 등을 방음(防音)처리하는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가 개시된다. 본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는, 상부 플랜지, 웨브 및 하부 플랜지가 마련되는 H형 빔;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차량이 주차되거나 상기 차량이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바닥부; 상기 한 쌍의 바닥부와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바닥부가 각각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 및 상기 한 쌍의 바닥부가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도록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하는 보강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주차장 데크 시공에 비해 용이하게 빗물, 오수 등의 물의 방수처리와 차량 소음의 방음처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건축법과 주차장법의 규정을 지키면서 3층4단의 주차장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에 복수의 보강부가 마련됨으로써, 차량이 이동하거나 차량이 주차되는 바닥부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를 용이하게 경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Parking lot floor-saving floor structure}
본 고안은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물에 적용 가능하며, 빗물, 오수 등의 물을 방수(防水)처리 및 차량의 소음 등을 방음(防音)처리하는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철골자주식 주차장은 H형 빔으로 기둥을 형성하고, 상기 기둥 상에 H형 빔을 수평하게 설치하여 보를 형성한 후에 상기 보 위에 다수의 바닥재를 일렬로 배열하여 보상에 용접결합함으로써 완성된다.
이러한 철골자주식 주차장은 공사기간 단축, 내화규정제외, 인허가 절차간소, 법적제한 감소등을 위해, 공작물(工作物)로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철골자주식 주차장은 건축법 시행령 제118조에 의거하여 공작물의 높이를 8M(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의 높이는 제외)이하로 시공되고 있다.
또한, 철골자주식 주차장은 주차장법 제6조 5항에 의거하여 차량이 주차되는 층마다 주차 바닥면으로부터 2.3m 이상으로 시공되고 있다.
이에, 철골자주식 주차장은 건축법 및 주차장법의 규정을 지키면서 2층3단의 주차장으로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 들어 차량 수의 증가 등에 의한 요인으로 주차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3층4단의 주차장으로 시공되기도 한다.
이때, 철골자주식 주차장은 일반적인 바닥재를 통해 시공하는 경우, 빗물, 오수 등의 물의 방수처리 및 차량 소음을 방음처리하기는 용이하나, 주차장은 건축법 및 주차장법의 규정을 지키면서 3층4단의 주차장의 시공은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차장 바닥구조의 두께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주차장 바닥구조의 구현이 가능한 주차장 데크(floor deck) 시공을 통해 주차장의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이러한 주차장 데크 시공은 공사비가 저렴하며, 데크의 높이가 낮아 건축법 및 주차장법의 규정을 지키면서 3층4단의 주차장의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주차장 데크의 시공방법과 관련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573041호, 철골주차장바닥 누수방지 구조 및 바닥 시공방법'에서는 강판과 주차장 데크를 통해 누수방지가 가능한 주차장 바닥구조를 구현하는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주차장 데크만을 통해서는 방수처리와 방음처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방수처리와 방음처리가 용이한 일반적인 바닥재를 통해 시공하되, 건축법 및 주차장법의 규정을 지키면서 3층4단의 주차장의 시공이 가능한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의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선행문헌 0001 '제10-0573041호, 철골주차장바닥 누수방지 구조 및 바닥 시공방법'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빗물, 오수 등의 물의 방수처리와 차량 소음의 방음처리가 용이한 바닥재를 통해 주차장 바닥을 시공하면서 건축법 및 주차장법의 규정을 지키면서 3층4단의 철골자주식 주차장의 시공이 가능토록 하는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고절감형 바닥구조는, 상부 플랜지, 웨브 및 하부 플랜지가 마련되는 H형 빔;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차량이 주차되거나 상기 차량이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바닥부; 상기 한 쌍의 바닥부와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바닥부가 각각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 및 상기 한 쌍의 바닥부가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도록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하는 보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측과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측을 각각 감싸게 절곡형성되는 한 쌍의 앵글부재;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차량이 주차되거나 상기 차량이 이동되도록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바닥부재; 및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측을 각각 감싸는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일부 및 상기 바닥부재의 하측과 결합되어 상기 차량의 하중으로부터 상기 바닥부재를 지지하는 복수의 찬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측을 각각 감싸는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일부가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제1 보강부;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측을 각각 감싸는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일부가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제2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1 보강부는,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측을 각각 감싸는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일부의 끝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일부의 끝단과 결합되는 외주면이 각각 절단되고,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1 보강부의 절단된 외주면과 결합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보강부의 외주면과 결합되는 일부의 끝단이 상기 한 쌍의 제1 보강부의 외주면이 절단된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각각 절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보강부는,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일부의 끝단과 결합력이 강화되도록, 상기 절단된 외주면의 일부에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1 보강부와 외주면과 결합되는 일부의 끝단에 상기 돌출부가 인입되기 위한 제1 인입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2 보강부는,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측을 각각 감싸는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일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2 보강부와 밀착되는 일부에 상기 한 쌍의 제2 보강부가 인입되기 위한 제2 인입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상측에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와 맞닿지 않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와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상기 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가 맞닿지 않는 이음새 부분에 결합되는 제3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고절감형 바닥구조는,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의 하측에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와 상기 연결부의 이음새,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와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이음새 및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와 상기 복수의 찬넬부재의 이음새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부; 및 상기 방수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의 이동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는 방음부;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방수부는, 상기 이음새를 통해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제1 경로; 및 상기 물이 상기 제1 경로에 유입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경로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제2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유입된 물이 용이하게 방수되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입된 물이 이동되는 경로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는,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측을 감싸는 일부의 끝단이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측을 감싸기 위해 절곡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찬넬부재가 하중에 의한 휨 모멘트로부터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차장 데크 시공에 비해 용이하게 빗물, 오수 등의 물의 방수처리와 차량 소음의 방음처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건축법과 주차장법의 규정을 지키면서 3층4단의 주차장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에 복수의 보강부가 마련됨으로써, 차량이 이동하거나 차량이 주차되는 바닥부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를 용이하게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가 구현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제3 보강부, 방수부 및 방음부가 추가적으로 구성된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제1 보강부와 한 쌍의 앵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제1 보강부와 한 쌍의 앵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제2 보강부와 한 쌍의 앵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경로 및 제2 경로가 형성된 방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가 구현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 전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는 빗물, 오수 등의 물의 방수처리와 차량 소음의 방음처리가 용이한 바닥재를 통해 주차장 바닥을 시공하면서 건축법 및 주차장법의 규정을 지키면서 3층4단의 철골자주식 주차장의 시공이 가능토록 하는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는 H형 빔(100), 한 쌍의 바닥부(200) 및 연결부(300)로 구성된다.
먼저, H형 빔(100)은 본 실시예의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의 기둥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때, H형 빔(100)은 한 쌍의 바닥부(200)가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H형 빔(100)은 한 쌍의 바닥부(200)가 평행 상태로 유지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H형 빔(100-1)의 상측에 한 쌍의 바닥부(200-1,200-2)가 결합되되, 제1 H형 빔(100-1)의 상측에 결합된 바닥부(200-2)는 제2 H형 빔(100-2)에도 결합됨으로써, 바닥부(200-2)는 평행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바닥부(200)가 차량이 주차 또는 이동이 가능한 바닥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H형 빔(100)이 이격된 정도는 차량의 하중에 의한 한 쌍의 바닥부(200)의 처짐 현상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H형 빔(100)은 3층4단의 철골자주식 주차장의 구현이 가능토록 300mm 이하의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는 주차장법의 규정을 지키는 높이인 2.3m 와 H형 빔(100)의 높이인 300mm를 더한 7.8m(2.3m + 0.3m + 2.3m + 0.3m + 2.3m + 0.3m)로 구현됨으로써, 주차장법을 지키면서도 3층4단의 철골자주식 주차장으로 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바닥부(200)는 H형 빔(100)의 상측에 결합되며, 차량이 주차되거나 차량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때, 한 쌍의 바닥부(200)는 상측에 차량이 주차 또는 이동되는 차량의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길이방향의 휨 모멘트(bending moment)가 경감되도록 하기 위한 강판(鋼板) 등의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한 쌍의 바닥부(200)는 본 실시예의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를 통해 주차장법을 지키면서 3층4단의 철골자주식 주차장으로 시공되도록, 주차 층마다 마련되는 한 쌍의 바닥부(200)의 높이는 모두 합하여 200mm 이하의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바닥부(200)는 3층4단의 철골자주식 주차장의 시공이 가능토록, 주차 층마다 각각 40mm ~ 60mm 이하의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한 쌍의 바닥부(200)가 이격된 공간에 마련되어 한 쌍의 바닥부(200)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0)는 제1 H형 빔(100-1)과 제2 H형 빔(100-2)의 상측에 위치되어 한 쌍의 바닥부(200-1,200-2,200-3)이 각각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는 연결부(300)는 한 쌍의 바닥부(200)와 맞닿지 않게 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후술될 한 쌍의 제3 보강부(430)에 의해 맞닿게 되어 한 쌍의 바닥부(200)가 각각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한 쌍의 바닥부(200)가 연결부(300)를 통해 각각 연결되면, 한 쌍의 바닥부(200)와 연결부(300)의 결합력을 통해 한 쌍의 바닥부(200)의 상측에 주차된 차량의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길이방향의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00)는 한 쌍의 바닥부(200)와 같은 높이로 돌출되게 H형 빔(10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은 한 쌍의 바닥부(200) 및 연결부(300)의 상측에서 용이하게 주차 또는 이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제3 보강부, 방수부 및 방음부가 추가적으로 구성된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H형 빔(100)은 상부 플랜지(110), 웨브(120) 및 하부 플랜지(130)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부 플랜지(110), 웨브(120) 및 하부 플랜지(130)를 통해 H형 형상으로 마련된 H형 빔(100)은 다른 형강에 비해 한 쌍의 바닥부(200)가 결합되는 방식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한 쌍의 바닥부(200)의 상측에 주차 또는 이동되는 차량의 하중에 의한 국부좌굴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부 플랜지(110)는 양 끝단에 한 쌍의 앵글부재(21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상부 플랜지(110) 중 한 쌍의 바닥부재(220)와 연결부(300)와 겹쳐지지 않는 상측의 면적에는 한 쌍의 H형 빔이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H형 빔(미도시)은 다른 층의 H형 빔(100)과 결합될 수 있다.
웨브(120)는 상부 플랜지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하부 플랜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웨브(120)는 상부 플랜지(110)와 하부 플랜지(130)에 발생되는 전단력, 국부좌굴에 저항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하부 플랜지(130)는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다른 층의 H형 빔(100)에 결합된 한 쌍의 H형 빔(미도시)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H형 빔(100)은 복수로 마련될 뿐만 아니라, 각각 길이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3층4단의 철골자주식 주차장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바닥부(200)는 한 쌍의 앵글부재(210), 한 쌍의 바닥부재(220), 복수의 찬넬부재(230)로 마련된다.
한 쌍의 앵글부재(210)는 한 쌍의 바닥부재(220)가 H형 빔(100)의 이격된 공간에 마련되도록 하기 위해 절곡형성되어 상부 플랜지(110)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한 쌍의 앵글부재(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110)의 상측과 양측을 각각 감싸는 'ㄱ'형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앵글부재(210)는 보강부(400)를 통해 상부 플랜지(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앵글부재(210)는 절곡형성된 상태로 상부 플랜지(110)와 결합됨으로써, 상부 플랜지(110)와 결합력을 통해 한 쌍의 바닥부재(220)에 발생되는 길이방향의 휨 모멘트로부터 인장력이 용이하게 보강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앵글부재(210)가 보강부(400)를 통해 상부 플랜지(110)에 결합되는 방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에서 하기로 하겠다.
한 쌍의 바닥부재(220)는 차량이 주차되거나 차량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한 쌍의 앵글부재(210)의 상측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한 쌍의 바닥부재(220)는 주차장법의 규정을 지키면서 3층4단의 철골자주식 주차장의 시공이 가능토록 하기 위해 얇은 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찬넬부재(230)는 차량의 하중으로부터 한 쌍의 바닥부재(220)를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복수의 찬넬부재(230)는 상부 플랜지(110)의 양측을 감싸는 한 쌍의 앵글부재(210)의 일부와 한 쌍의 바닥부재(22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찬넬부재(230)는 한 쌍의 바닥부재(220)의 전체면적을 지지함으로써, 한 쌍의 바닥부재(220)에 발생되는 길이방향의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찬넬부재(230)는 한 쌍의 바닥부재(220)를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해 C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는 보강부(400)가 더 구성된다.
보강부(400)는 한 쌍의 앵글부재(210)가 상부 플랜지(110)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한 쌍의 제1 보강부(410) 및 한 쌍의 제2 보강부(420)로 마련된다.
여기서, 한 쌍의 제1 보강부(410) 및 한 쌍의 제2 보강부(420)는 한 쌍의 앵글부재(210)가 상부 플랜지(110)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도록, 한 쌍의 앵글부재(210)와 용접 등의 결합과정을 통해 한 쌍의 앵글부재(210)와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보강부(410)는 한 쌍의 앵글부재(210)가 상부 플랜지(110)의 양 끝단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한 쌍의 제1 보강부(410-1,410-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110)의 상측을 각각 감싸는 한 쌍의 앵글부재(210-1,210-2)의 일부의 끝단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앵글부재(210-1,210-2)가 상부 플랜지(110)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보강부(420)는 한 쌍의 제1 보강부(410)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앵글부재(210)가 상부 플랜지(110)의 양 끝단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한 쌍의 제2 보강부(420-1,420-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110)의 양측을 각각 감싸는 한 쌍의 앵글부재(210-1,210-2)의 일부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앵글부재(210-1,210-2)가 상부 플랜지(110)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앵글부재(210)는 한 쌍의 제1 보강부(410)와 한 쌍의 제2 보강부(420)를 통해 상부 플랜지(110)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부 플랜지(110)와의 결합력을 통해 한 쌍의 바닥부재(220)에 발생되는 길이방향의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바닥부재(220)와 맞닿지 않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바닥부재(220-1,220-2)의 이격된 공간(A)에 연결부(300)가 한 쌍의 앵글부재(210-1,210-2)와 결합을 통해 마련되되, 연결부(300)는 한 쌍의 바닥부재(220-1,220-2)의 사이 공간(A)와 맞닿지 않는 너비방향의 폭(B)을 가지게 됨으로써, 한 쌍의 바닥부재(220-1,220-2)와 연결부(300)는 맞닿지 않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300)는 보강부(400)를 통해 한 쌍의 바닥부재(2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보강부(400)는 연결부(300)가 한 쌍의 바닥부재(220)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한 쌍의 제3 보강부(43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3 보강부(430-1,430-2)는 한 쌍의 바닥부재(220-1,220-2)와 연결부(300)가 맞닿지 않는 공간(C)의 사이에 인입되어 연결부(300)와 한 쌍의 바닥부재(220-1,220-2)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 쌍의 바닥부재(220), 연결부(300) 및 한 쌍의 제3 보강부(430)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바닥부재(220), 연결부(300) 및 한 쌍의 제3 보강부(430)간의 결합력을 통해 한 쌍의 바닥부재(220)에 발생되는 길이방향의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3 보강부(430)는 한 쌍의 바닥부재(220)와 연결부(300)가 맞닿지 않는 사이 공간(C)에 인입됨으로써, 한 쌍의 바닥부재(220)와 연결부(300) 간의 이음새를 통해 빗물, 오수 등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3 보강부(430)는 차량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 쌍의 바닥부재(220)와 연결부(300)의 돌출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는 방수부(500) 및 방음부(600)가 더 구성된다.
방수부(500)는 이음새를 통해 빗물, 오수 등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 쌍의 바닥부재(220)의 하측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방수부(500-1,500-2)는 한 쌍의 바닥부재(220-1,220-2)와 한 쌍의 앵글부재(210-1,210-2)간의 이음새, 한 쌍의 바닥부재(220-1,220-2)와 복수의 찬넬부재(230-1,230-2)간의 이음새 및 한 쌍의 바닥부재(220-1,220-2)와 연결부(300)간의 이음새를 통해 빗물, 오수 등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이음새를 통해 유입된 빗물, 오수 등의 물이 다른 주차 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수부(500)는 빗물, 오수 등의 물을 방수처리할 수 있는 표면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방음부(600)는 한 쌍의 바닥부재(220)의 상측에서 이동되는 차량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부(500)의 하측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방음부(600-1,600-2)는 방수부(500-1,500-2)의 하측에 결합되되, 한 쌍의 바닥부재(220-1,220-2)와 한 쌍의 앵글부재(210-1,210-2)간의 이음새 및 한 쌍의 바닥부재(220-1,220-2)와 복수의 찬넬부재(230-1,230-2)간의 이음새에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소음이 다른 주차 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음부(600)는 차량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표면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방음부(600)는 차량 소음을 방지하면서, 빗물, 오수 등의 물을 방수처리할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이음새를 통해 빗물, 오수 등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2중으로 방지함으로써, 방수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제1 보강부와 한 쌍의 앵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제1 보강부(410)는 상부 플랜지(110)의 상측을 각각 감싸는 한 쌍의 앵글부재(210)의 일부의 끝단에 결합되기 위해 외주면이 기울기를 가지게 절단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앵글부재(210)의 일부의 끝단은 제1 보강부(410)의 외주면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게 절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1 보강부(410-1)는 상부 플랜지(110)의 감싸는 앵글부재(210-1)의 일부의 끝단과 결합되기 위해 외주면이 제1 기울기를 가지게 절단될 수 있고, 앵글부재(210-1)의 일부의 끝단은 제1 보강부(410-1)의 제1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인 제2 기울기를 가지게 절단됨으로써, 제1 보강부(410-1)와 앵글부재(210-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앵글부재(210)는 제1 보강부(410)와 결합력을 통해 한 쌍의 바닥부재(220)에 발생되는 길이방향의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차장 데크 시공에 비해 용이하게 빗물, 오수 등의 물의 방수처리와 차량 소음의 방음처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건축법과 주차장법의 규정을 지키면서 3층4단의 주차장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에 복수의 보강부가 마련됨으로써, 차량이 이동하거나 차량이 주차되는 바닥부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를 용이하게 경감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제1 보강부와 한 쌍의 앵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보강부(410)는 상부 플랜지(110)의 상측을 감싸는 한 쌍의 앵글부재(210)의 일부의 끝단에 결합되기 위해 외주면이 기울기를 가지게 절단되되, 한 쌍의 앵글부재(210)의 일부의 끝단과 결합력이 강화되도록, 돌출부(41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앵글부재(210)의 일부의 끝단은 제1 보강부(410)의 외주면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게 절단되되, 돌출부(415)가 인입되기 위한 제1 인입홈(21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1 보강부(410-1)는 상부 플랜지(110)의 상측을 감싸는 앵글부재(210-1)의 일부의 끝단과 결합되기 위해 외주면이 제1 기울기를 가지게 절단되되, 외주면의 일부에 돌출부(415-1)가 형성될 수 있고, 앵글부재(210-1)의 일부의 끝단은 제1 보강부(410-1)의 제1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인 제2 기울기를 가지게 절단되되, 제2 기울기를 가지는 끝단의 일부에 제1 인입홈(211-1)이 형성됨으로써, 제1 보강부(410-1)와 한 쌍의 앵글부재(210-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앵글부재(210)는 제1 보강부(410)와 결합력이 강화되고, 이에 한 쌍의 바닥부재(220)에 발생되는 길이방향의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제2 보강부와 한 쌍의 앵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보강부(420)는 상부 플랜지(110)의 양측을 감싸는 한 쌍의 앵글부재(210)의 일부에 결합되기 위해 상부 플랜지(11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앵글부재(210)의 일부는 한 쌍의 제2 보강부(420)가 인입되기 위한 제2 인입홈(21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1 보강부(420-1)는 상부 플랜지(110)의 측면을 감싸는 앵글부재(210-1)의 일부와 결합되기 위해 상부 플랜지(1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앵글부재(210-1)의 일부는 제2 보강부(420-1)가 인입되기 위한 인입홈(212-1)가 형성됨으로써, 제2 보강부(420-1)와 앵글부재(210-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앵글부재(210)는 제2 보강부(420)와 결합력을 통해 한 쌍의 바닥부재(220)에 발생되는 길이방향의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경로 및 제2 경로가 형성된 방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방수부(500)는 이음새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 오수 등의 물이 용이하게 방수되도록 하기 위해 제1 경로(510) 및 제2 경로(5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로(510)는 이음새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빗물, 오수 등의 물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경로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1 경로(510-1)는 한 쌍의 바닥부재(220-1)와 연결부(300)간의 이음새를 통해 빗물, 오수 등의 물이 유입되면, 유입된 물이 방수부(500-1)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되도록, 제2 경로(520-1)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경로(510)는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빗물, 오수 등의 물이 흐르는 경로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제1 경로(510)에 유입된 빗물, 오수 등의 물이 제2 경로(520)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는 동안 방수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경로(520)는 제1 경로(510)를 통해 유입된 빗물, 오수 등의 물이 방수되도록 하기 위한 경로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2 경로(520-1)는 제1 경로(510-1)를 따라 빗물, 오수 등의 물이 유입되면, 유입된 물이 너비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되, 유입된 물이 유동되는 동안 방수되도록, 제2 경로(520-1)는 너비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경로(520)는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빗물, 오수 등의 물이 흐르는 경로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제2 경로(520)에 유입된 빗물, 오수 등의 물이 너비방향으로 유동되는 동안 방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는 본 실시예의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와 동일하게 H형 빔(100), 한 쌍의 바닥부(200) 및 연결부(300)로 구성되되, 한 쌍의 앵글부재(210)가 복수의 찬넬부재(230)를 지지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한 쌍의 앵글부재(210)는 상부 플랜지(110)의 양측을 감싸는 일부의 끝단이 상부 플랜지의 상측을 감싸는 일부가 절곡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복수의 찬넬부재(23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앵글부재(210)는 본 실시예의 한 쌍의 앵글부재와 달리, 'Z'형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른 실시예의 한 쌍의 앵글부재(210)는 본 실시예의 한 쌍의 앵글부재(210)보다 복수의 찬넬부재(230)를 지지되는 구조가 강화됨으로써, 차량의 하중에 의해 한 쌍의 바닥부재(220)과 복수의 찬넬부재(230)에 발생되는 길이방향의 휨 모멘트가 보다 경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의 한 쌍의 앵글부재(210)는 본 실시예의 한 쌍의 앵글부재(210)와 달리, 상부 플랜지(110)의 양측을 감싸는 일부의 끝단이 절곡되어 복수의 찬넬부재(230)의 하측과 결합이 가능하게 되어 주차장의 바닥 구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H형 빔 110: 상부 플랜지
120: 웨브 130: 하부 플랜지
200: 바닥부 210: 앵글부재
211: 제1 인입홈 212: 제2 인입홈
220: 바닥부재 230: 찬넬부재
300: 연결부 400: 보강부
410: 제1 보강부 415: 돌출부
420: 제2 보강부 430: 제3 보강부
500: 방수부 510: 제1 경로
520: 제2 경로 600: 방음부

Claims (11)

  1. 상부 플랜지, 웨브 및 하부 플랜지가 마련되는 H형 빔;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차량이 주차되거나 상기 차량이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바닥부;
    상기 한 쌍의 바닥부와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바닥부가 각각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 및
    상기 한 쌍의 바닥부가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도록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측과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측을 각각 감싸게 절곡형성되는 한 쌍의 앵글부재;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차량이 주차되거나 상기 차량이 이동되도록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바닥부재; 및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측을 각각 감싸는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일부 및 상기 바닥부재의 하측과 결합되어 상기 차량의 하중으로부터 상기 바닥부재를 지지하는 복수의 찬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측을 각각 감싸는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일부가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제1 보강부; 및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측을 각각 감싸는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일부가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제2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보강부는,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측을 각각 감싸는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일부의 끝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일부의 끝단과 결합되는 외주면이 각각 절단되고,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1 보강부의 절단된 외주면과 결합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보강부의 외주면과 결합되는 일부의 끝단이 상기 한 쌍의 제1 보강부의 외주면이 절단된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각각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보강부는,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일부의 끝단과 결합력이 강화되도록, 상기 절단된 외주면의 일부에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1 보강부와 외주면과 결합되는 일부의 끝단에 상기 돌출부가 인입되기 위한 제1 인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6. 상부 플랜지, 웨브 및 하부 플랜지가 마련되는 H형 빔;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차량이 주차되거나 상기 차량이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바닥부;
    상기 한 쌍의 바닥부와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바닥부가 각각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 및
    상기 한 쌍의 바닥부가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도록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측과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측을 각각 감싸게 절곡형성되는 한 쌍의 앵글부재;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차량이 주차되거나 상기 차량이 이동되도록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바닥부재; 및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측을 각각 감싸는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일부 및 상기 바닥부재의 하측과 결합되어 상기 차량의 하중으로부터 상기 바닥부재를 지지하는 복수의 찬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측을 각각 감싸는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일부가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제1 보강부; 및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측을 각각 감싸는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일부가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제2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보강부는,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측을 각각 감싸는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일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2 보강부와 밀착되는 일부에 상기 한 쌍의 제2 보강부가 인입되기 위한 제2 인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상측에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와 맞닿지 않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와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상기 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가 맞닿지 않는 이음새 부분에 결합되는 제3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의 하측에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와 상기 연결부의 이음새,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와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이음새 및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와 상기 복수의 찬넬부재의 이음새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부; 및
    상기 방수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의 이동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는 방음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는,
    상기 이음새를 통해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제1 경로; 및
    상기 물이 상기 제1 경로에 유입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경로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제2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유입된 물이 용이하게 방수되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입된 물이 이동되는 경로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는,
    상기 상부 플랜지의 양측을 감싸는 일부의 끝단이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측을 감싸는 일부가 절곡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찬넬부재가 하중에 의한 휨 모멘트로부터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KR2020160007567U 2016-12-27 2016-12-27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KR200483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567U KR200483071Y1 (ko) 2016-12-27 2016-12-27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567U KR200483071Y1 (ko) 2016-12-27 2016-12-27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071Y1 true KR200483071Y1 (ko) 2017-03-31

Family

ID=5849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567U KR200483071Y1 (ko) 2016-12-27 2016-12-27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071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9336A (ja) * 1994-08-09 1996-02-20 Kenji Fujioka 枠組フロアパネルの構造および該パネルを床版に用いた構造物
JPH09111929A (ja) * 1995-10-17 1997-04-28 Asahi Chem Ind Co Ltd 壁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50077420A (ko) * 2004-01-28 2005-08-02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섬유강화 복합소재 주차장용 바닥판 부재 및 그를 이용한주차장 바닥판 시공방법
KR200410403Y1 (ko) * 2005-12-23 2006-03-08 주식회사 동성진흥 철재구조물의 주차 바닥
KR100573041B1 (ko) 2004-04-06 2006-04-25 주식회사 케이스틸 철골주차장바닥 누수방지 구조 및 바닥 시공방법
KR101356245B1 (ko) * 2013-02-15 2014-01-29 (주)경수제철 층고절감형 3층 4단 콘크리트 슬래브 장스판 공작물 주차장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9336A (ja) * 1994-08-09 1996-02-20 Kenji Fujioka 枠組フロアパネルの構造および該パネルを床版に用いた構造物
JPH09111929A (ja) * 1995-10-17 1997-04-28 Asahi Chem Ind Co Ltd 壁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50077420A (ko) * 2004-01-28 2005-08-02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섬유강화 복합소재 주차장용 바닥판 부재 및 그를 이용한주차장 바닥판 시공방법
KR100573041B1 (ko) 2004-04-06 2006-04-25 주식회사 케이스틸 철골주차장바닥 누수방지 구조 및 바닥 시공방법
KR200410403Y1 (ko) * 2005-12-23 2006-03-08 주식회사 동성진흥 철재구조물의 주차 바닥
KR101356245B1 (ko) * 2013-02-15 2014-01-29 (주)경수제철 층고절감형 3층 4단 콘크리트 슬래브 장스판 공작물 주차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6490B2 (ja) 鋼矢板地下壁構造
KR100486448B1 (ko) 철골구조물에서 h형강보의 상부 플랜지에 데크를결합시킨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KR101404513B1 (ko) ㄱ형강 또는 t형강을 이용한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
KR101187666B1 (ko)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KR200483071Y1 (ko) 주차장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KR101813701B1 (ko) 조립식 교량
KR101635523B1 (ko) 복합 원형 트러스교
JP2012167462A (ja) 仕口部材とこれを用いた仕口構造、並びに鉄骨建築物
JP2016075131A (ja) 複合構造
JP5054390B2 (ja) 建築物耐震用乗客コンベア設備
JP6507052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構造
KR20190126530A (ko) 앵글형 선조립 기둥
JP3981688B2 (ja) 鉄骨梁と鉄筋コンクリート柱の接合構造および複合構造物
JP3764020B2 (ja) 鉄骨軸組構造
KR100457173B1 (ko) 건축용 골조
JP2005009075A (ja) 多層階建築物の構築方法
JP2007039995A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架構
JP7464566B2 (ja) 構造物
JP6383557B2 (ja) 落下防止壁
JP7095833B2 (ja) 外階段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KR102217218B1 (ko) 하중에 대한 보강응력과 야간시인성 및 작업성을 좋게 한 스틸 그레이팅
KR102443924B1 (ko) 보행자용 안전 통로
KR101687408B1 (ko) 철골조 건물용 조립식 바닥구조
JP4691202B1 (ja) 建物の補強構造
JP2011214323A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