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924B1 - 보행자용 안전 통로 - Google Patents

보행자용 안전 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924B1
KR102443924B1 KR1020210074344A KR20210074344A KR102443924B1 KR 102443924 B1 KR102443924 B1 KR 102443924B1 KR 1020210074344 A KR1020210074344 A KR 1020210074344A KR 20210074344 A KR20210074344 A KR 20210074344A KR 102443924 B1 KR102443924 B1 KR 102443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connector
fixed
passage structure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세인
이경윤
Original Assignee
(주)밴플러스
(주)코리아쉬핑엔컨테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밴플러스, (주)코리아쉬핑엔컨테이너 filed Critical (주)밴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074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09Temporary tunnels specially adapted against falling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용 안전 통로에 관한 것으로서, 지붕을 구비하며 보행자의 보행공간을 제공하는 통로본체와, 상기 통로본체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1커넥터와, 상기 통로본체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2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로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스냅핏 체결 방식으로 서로 결합됨으로써, 두 개 이상의 상기 통로구조체가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 스냅핏 체결 방식으로 조립 구성되므로 설치와 해체가 간단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커브가 있는 구간에도 얼마든지 설치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행자용 안전 통로{Safety pathway for pedestrians}
본 발명은 공사현장에 설치되는 보행자용 안전통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를 자체적으로 가져 스냅핏 체결 방식으로 필요한 길이만큼 연장 설치가 가능한, 보행자용 안전 통로에 관한 것이다.
건축이나 토목공사 등의 공사가 진행되는 작업현장에는 언제라도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의 내부 및 외부에는 작업자나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여러 가지 안전용 시설물이 설치되기 마련이다.
이러한 안전시설물에는, 낙하물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거나, 주행 차량과의 충돌을 막기 위한 보행자용 안전통로도 포함된다. 보행자용 안전통로는, 보행자가 공사현장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가지는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령,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25709호에 개시된 접이식 안전통로는, 수용부를 가지도록 양측부가 절곡 형성되며, 이 양측부 좌우측에 제1장공이 형성되고, 이 제1장공의 상부에 곡선부와 이 곡선부의 일단과 연결된 직선부로 이루어진 제2장공이 형성되며,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 하부가 수용부에 수용되고 고정축에 의해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바; 고정바의 양측에 위치하고, 하부에 상기 제1장공과, 제2장공에 각각 수용되는 제1 및 제2돌기가 구비되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바; 모서리는 회전바의 상단과 연결되고, 양변 중앙은 고정바의 상단과 연결되어 낙하물을 방호하는 방호선반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접이식 안전통로는, 방호선반이, 단지 회전바와 고정바에 의해서만 지지되므로 구조적 강도가 약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가령, 중량물이 방호선반에 떨어지면 방호선반이 아예 파괴되거나 크게 변형되고 회전바나 고정바가 부러질 수 있는 것이다. 안전통로가 안전통로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이다.
한편, 화물용 컨테이너를 개조한 타입의 안전통로는, 컨테이너의 양단부를 제거하고 측벽에 채광창을 천공한 것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한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 컨테이너형 안전통로는, 각 컨테이너를 연결하기 위한 추가 장비가 필요하고 연결 자체도 번거롭다. 또한, 강우 시, 각 컨테이너의 사이로 빗물이 새어 들기 때문에 별도의 방수처리를 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25709호 (접이식 안전통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3525호 (조립식 안전통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설치와 해체가 간단하고 커브가 있는 구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강우 시에도 쾌적한 보행공간을 제공하는, 보행자용 안전 통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보행자용 안전 통로는, 지붕을 구비하며 보행자의 보행공간을 제공하는 통로본체와, 상기 통로본체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1커넥터와, 상기 통로본체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2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로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스냅핏 체결 방식으로 서로 결합됨으로써, 두 개 이상의 상기 통로구조체가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커넥터는; 통로본체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수직방향으로 일정단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슬라이딩빔을 구비하고, 상기 제2커넥터는; 통로본체의 타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수직방향으로 일정 단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고정빔을 포함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통로구조체의 연결이, 일측 통로구조체를 들어 올려 제1커넥터의 슬라이딩빔의 하단부를, 타측 통로구조체의 제2커넥터의 고정빔 상단부에 맞춘 후 하강시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빔과 슬라이딩빔의 대측에는, 상호 면접하는 밀착경사판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커넥터는, 양측 슬라이딩빔의 상단에 고정되는 판상부재로서 양단부에 고리구멍을 갖는 연결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2커넥터는, 양측 고정빔의 상단에 고정되며 양단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며 연결커버의 고리구멍에 삽입 가능한 걸림고리가 구비되어 있는 상단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단바에, 강우 시 빗물을 받아 보행공간 외부로 유도하는 레인거터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커버에는, 상부로 돌출된 지지고리가 더 구비되고, 통로본체의 하부에는, 바닥판을 제공하는 바닥프레임이 배치되며, 바닥프레임의 네 귀퉁이부에는 홀딩구멍을 갖는 캐스팅이 위치하고, 상기 지지고리 및 걸림고리는, 통로구조체의 적층 시, 상측 통로구조체의 홀딩구멍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로구조체는, 구부러진 보행공간을 제공하는 코너통로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코너통로구조체의 통로본체의 지붕은,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 또는 부채꼴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로본체는; 주름관의 형태를 취하며 보행공간을 제공하고 신축 가능한 갱웨이와, 갱웨이의 양단부를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에 각각 결합시키는 결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보행자용 안전 통로는, 단순 스냅핏 체결 방식으로 조립 구성되므로 설치와 해체가 간단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커브가 있는 구간에도 얼마든지 설치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행자용 안전 통로는, 레인거터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강우 시 내부로 빗물이 새지 않아 쾌적한 보행공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용 안전 통로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보행자용 안전 통로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보행자용 안전 통로의 연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방식으로 결합 구성된 안전 통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용 안전 통로에서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연결커버와 상단바를 따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연결커버와 상단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용 안전 통로의 다른 구현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용 안전 통로의 또 다른 구현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코너통로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코너통로구조체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a,13b,13c는 도 10의 코너통로구조체의 여러 적용 예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용 안전 통로의 또 다른 구현 예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안전 통로에 적용된 코너통로구조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용 안전 통로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보행자용 안전 통로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보행자용 안전 통로의 연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의 안전 통로(10)는 보행공간을 제공하는 통로구조체를 포함한다. 통로구조체는, 통로본체, 제1커넥터, 제2커넥터의 기본 구조를 갖는다. 통로구조체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직선통로구조체(10A)와 코너통로구조체(10B,10C)로 구현된다.
직선통로구조체(10A)는, 화물용 컨테이너를 개조한 것으로서 직진형 보행공간(20a)을 제공한다. 보행공간은 보행자가 통과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직선통로구조체(10A)는, 공사현장의 환경에 맞추어, 하나만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길이방향으로 여러 개를 연결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 사용도 가능하다.
코너통로구조체(10B,10C)는 두 가지 타입이 있는데, 모두 구부러진 보행공간(50a,60a)을 제공한다. 코너통로구조체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현장 상황에 따라, 직선통로구조체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용 안전 통로(10)에 포함되는 직선통로구조체(10A)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직선통로구조체(10A)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보행자용 안전 통로의 연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방식으로 결합 구성된 안전 통로의 사시도이다. 아울러,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용 안전 통로에서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세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의 연결커버와 상단바를 따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연결커버와 상단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용 안전 통로의 다른 구현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통로구조체(10A)는, 통로본체(20), 제1커넥터(30), 제2커넥터(40)의 기본 구성을 갖는다.
통로본체(20)는, 지붕프레임(21g), 지붕(21a), 바닥프레임(21h), 바닥판(21e), 측벽(21c), 다수의 측부기둥(21k)을 구비한다.
지붕프레임(21g)은 다수의 빔으로 구성된 지지체로서 지붕(21a)을 수평으로 지지한다. 지붕(21a)은 강철판으로 제작되며 지붕프레임(21g)에 지지된 상태로 낙하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한다.
바닥프레임(21h)은 지면에 깔리는 구조체로서 바닥판(21e)을 지지한다. 보행자는 바닥판(21e)을 밟고 보행공간(20a)을 통과할 수 있다. 바닥프레임(21h)의 네 귀퉁이부에는 캐스팅(22)이 구비된다. 캐스팅(22)은 일반적인 컨테이너에 적용되어 있는 것으로서 측부와 저면에 홀딩구멍(22a)을 갖는다.
측벽(21c)은 지붕프레임(21g)과 바닥프레임(21h)을 연결하며 보행자를 보호한다. 도 1에서는 측벽(21c)이 일측에만 적용되고 반대편에는 측부기둥(21k)이 적용되었지만, 실시예에 따라, 측벽(21c)을 양측에 모두 적용할 수 도 있다.
측부기둥(21k)은 측벽(21c)의 반대편에 세워지고 지붕프레임(21g)의 처짐을 방지한다. 측부기둥(21k)을 적용함으로써 보행공간(20a)의 채광을 향상시킬 수 있고 거리의 풍경도 볼 수 있다. 도면부호 21m는 안전용 펜스이다.
한편, 제1커넥터(30)는, 통로본체(20)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이웃하는 다른 직선통로구조체(10A) 또는 코너통로구조체(10B,10C)의 제2커넥터(40)에 착탈 가능하도록 스냅핏(Snap-Fit)체결 방식으로 결합하는 부분이다.
상기 스냅핏(Snap-Fit)체결 방식은, 추가적인 구성부품이나 체결 기구의 필요 없이 두 부품을 간단히 끼워서 체결할 수 있는 체결 방식으로서, 슬라이딩 체결 방식, 래치(Latch)와 상기 래치가 걸리는 홈의 상호 작용으로 체결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의 체결 방식은, 상기 제1커넥터(30)의 슬라이딩빔(31)의 하단부를 상기 제2커넥터(40)의 고정빔(41)의 상단부에 끼워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체결 방식을 포함하고 있다.
제1커넥터(30)는, 한 쌍의 슬라이딩빔(31), 연결커버(33), 지지고리(33g)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빔(31)은, 통로본체(20)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수직방향으로 일정단면 형상을 갖는 막대형 부대이다. 두 개의 슬라이딩빔(31) 중, 하나는 측벽(21c)단부에, 또 하나는 측부기둥(21k)에 고정된다. 슬라이딩빔(31)이 상호 평행함은 물론이다.
도 5에 슬라이딩빔(31)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빔(31)은 대략 ㄷ자의 단면형상을 갖는 빔본체(31a)와, 빔본체(31a)의 내측에 고정된 밀착경사판(31c)으로 이루어진다. 밀착경사판(31c)은 일정두께를 갖는 띠형 부재로서, 양단부가 빔본체(31a)에 용접 고정된다. 밀착경사판(31c)은 후술할 고정빔(41)의 밀착경사판(41c)에 대응 면접하는 부분이다.
연결커버(33)는, 일정두께를 갖는 판상부재를 프레싱 가공한 것으로서, 양측 슬라이딩빔(31)의 상단에 결합한다. 연결커버(33)는 지붕프레임(21g)과 지붕(21a)의 일부에 겹쳐진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연결커버(33)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고리구멍(33e)이 형성되어 있다. 폭방향은 지붕(21a)의 폭방향을 의미한다. 고리구멍(33e)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고리(43c)를 상향 통과시키는 통로이다.
또한 각 고리구멍(33e)의 측부에는 지지고리(33g)가 구비된다. 지지고리(33g)는 연결커버(33)의 상면에 고정된 부재로서 캐스팅(22) 저면의 홀딩구멍(22a)에 끼워진다.
제2커넥터(40)는, 통로본체(20)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두 개의 고정빔(41)과 상단바(43)를 포함한다. 고정빔(41)은 수직으로 연장되며 연장방향으로 일정 단면 형상을 갖는다. 두 개의 고정빔(41) 중 하나는 측벽(21c)의 단부에 고정되고, 나머지 하나는 지붕프레임(29)과 캐스팅(22) 사이에 위치한다.
고정빔(4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ㄷ자의 단면 형상을 갖는 빔본체(41a)와, 밀착경사판(41c)으로 이루어진다. 밀착경사판(41c)은 일정폭을 갖는 띠형 부재로서, 빔본체(41a)의 내측에 경사지도록 용접 고정된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밀착경사판(41c)은 슬라이딩빔(31)의 밀착경사판(31c)에 대응하며 면접한다.
상단바(43)는, 양측 고정빔(41)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로 지붕프레임(21g)에 결합하는 수평 부재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모양을 갖는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바(42)는 일정두께를 갖는 철판을 절곡 및 용접 제작한 것으로서, 양단부에 걸림고리(43c)를 갖는다. 걸림고리(43c)는,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를 결합시킬 때 고리구멍(33e)을 상향 통과한다. 또한 걸림고리(43c)는, (직선통로구조체(10A) 상부에 다른 직선통로구조체를 적층할 때) 지지고리(33g)와 함께 캐스팅(22)의 홀딩구멍(22a)에 끼워지기도 한다.
아울러 상단바(43)에는 레인거터(43a)가 마련되어 있다. 레인거터(43a)는 강우 시, 도 8의 화살표 a방향으로 흘러내려온 빗물을 받아 측방향으로 유도한다. 측방향으로 유도된 빗물은 고정빔(41)과 슬라이딩빔(31)의 사이를 타고 흘러내려 지면에 도달한다.
도 3은 두 개의 직선통로구조체(10A)를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직선통로구조체(10A)의 결합이 완료된 모습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직선통로구조체(10A)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일측 직선통로구조체(10A)를 들어 올려 제1커넥터(30)의 슬라이딩빔(31)의 하단부를, 타측 통로구조체의 제2커넥터(40)의 고정빔(41) 상단부에 맞춘 후 하강시킨다. 일측 직선통로구조체(10A)을 하강시킴에 따라, 슬라이딩빔(31)이 고정빔(41)에 의하여 구속된 상태로 슬라이딩하면서 하강한 후 고정빔(41)에 완전하게 결합한다.
직선통로구조체(10A)의 하강이 완료되면,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지붕(21a)과 바닥판(21e)의 높이가 맞추어지고, 연결커버(33)는 상단바(43)의 일부를 커버한다. 상단바(43)의 레인거터(43a)도 연결커버(33)에 의해 거의 가려진다. 낙엽 등의 이물질이 레인버터(43a)에 쌓일 염려가 없는 것이다. 또한 걸림고리(43c)는 고리구멍(33e)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다. 걸림고리(43c)와 지지고리(33g)의 상단부의 높이는 같다.
도 9는 직선통로구조체(10A)를 적층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직선통로구조체(10A)를 적층할 경우, 아래층 직선통로구조체의 지지고리(33g) 및 걸림고리(43c)가 상부층 직선통로구조체의 캐스팅(22)의 홀딩구멍(22a)에 자동으로 삽입된다. 홀딩구멍(22a)에 지지고리(33g)와 걸림고리(43c)가 삽입되므로, 상부 직선통로구조체(10A)가 어긋날 염려가 없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용 안전 통로(10)의 다른 구현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코너통로구조체(10B)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11의 코너통로구조체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a,13b,13c는 코너통로구조체의 확장 예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10을 참조하면, 두 개의 직선통로구조체(10A) 사이에 코너통로구조체(10B)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코너통로구조체(10B)는 구부러진 형태의 보행공간(50a)을 구현하는 구조체이다. 공사현장 주변의 보행자 동선에 구부러진 지점이 있다면 코너통로구조체(10B)를 적용하는 것이다.
코너통로구조체(10B)는, 통로본체(50), 제1커넥터(30), 제2커넥터(40)로 구성된다. 제1,2커넥터(30,40)의 구성과 결합 방식은 위에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통로본체(50)는, 지붕(51a), 지붕프레임(51g), 바닥프레임(51h), 바닥판(51e), 측벽(51c), 측부기둥(51k)을 구비한다.
지붕(51a)은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는 강철판으로서 지붕프레임(51g)에 의해 수평 지지된다. 도 12에는 지붕(51a)이 사다리꼴 이지만, 삼각형이나 부채꼴의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바닥판(51e)은 지붕(51a)과 같은 모양을 갖는 판재로서 바닥프레임(51h)에 지지된다. 바닥판(51e)은 직선통로구조체(10A)에서의 바닥판(21e)과 같은 재질이다. 측벽(51c)과 측부기둥(51k)은 지붕프레임(51g)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측부기둥(51k)이 위치한 측에도 측벽(51c)을 적용할 수 있다.
제1커넥터(30)는, 코너통로구조체(10B)의 측부기둥(51k) 및 지붕프레임(51g)에 고정된다. 또한 제2커넥터(40)는 제1커넥터(30)의 반대편에서 지붕프레임(51g)과 캐스팅(22)에 고정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코너통로구조체(10B)는,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를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도 13b처럼 2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도 13c처럼 하나의 코너통로구조체(10B)만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한다는 의미는, 직선통로구조체(10A)에 연결하여 구부러진 보행공간(50a)을 제공한다는 뜻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용 안전 통로(10)의 또 다른 구현 예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안전 통로에 적용된 코너통로구조체(10C)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직선통로구조체(10A)의 사이에 다른 구조의 코너통로구조체(10C)가 적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코너통로구조체(10C)는, 벨로우즈타입의 통로본체(60), 제1커넥터(30), 제2커넥터(40)로 구성된다. 통로본체(60)는, 주름관의 형태를 취하며 보행공간(60a)을 제공하고 신축 가능한 갱웨이(63)와, 갱웨이(63)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사각틀 형태의 결합프레임(61)으로 이루어진다.
결합프레임(61)은 갱웨이(53)를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2커넥터(30,40)에 대한 결합프레임(61)의 고정은 볼팅 방식 일 수 있다. 도면부호 65는 보행자가 그 위를 통과하는 바닥판이다.
결국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보행자용 안전 통로(10)는, 제1,2커넥터(30,40)를 통한 단순 스냅핏 체결 방식으로 조립 구성되므로 설치와 해체가 간단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커브가 있는 구간에도 얼마든지 설치가 가능하고, 더 나아가 강우 시 내부로 빗물이 새지 않아 쾌적한 보행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40)가, 슬라이딩형 스냅핏(Snap-Fit)체결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나, 다른 형태의 스냅핏(Snap-Fit)체결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커넥터(30)의 슬라이딩빔(31)의 하단부를, 타측 통로구조체의 제2커넥터(40)의 고정빔(41) 상단부에 맞춘 후 하강시키는 수직 체결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슬라이딩빔(31) 및 고정빔(41)의 설치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빔(31)의 일단부를, 타측 통로구조체의 고정빔(41) 일단부에 맞춘 후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체결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10: 보행자용 안전 통로
10A:직선통로구조체
10B, 10C:코너통로구조체
20:통로본체
20a:보행공간
21a:지붕
21c:측벽
21e:바닥판
21g:지붕프레임
21h:바닥프레임
21k:측부기둥
21m:펜스
22:캐스팅
22a:홀딩구멍
30:제1커넥터
31:슬라이딩빔
31a:빔본체
31c:밀착경사판
33:연결커버
33e:고리구멍
33g:지지고리
40:제2커넥터
41:고정빔
41a:빔본체
41c:밀착경사판
43:상단바
43a:레인거터
43c:걸림고리
50:통로본체
50a:보행공간
51a:지붕
51c:측벽
51e:바닥판
51g:지붕프레임
51h:바닥프레임
51k:측부기둥
60:통로본체
60a:보행공간
61:결합프레임
63:갱웨이
65:바닥판

Claims (9)

  1. 지붕을 구비하며 보행자의 보행공간을 제공하는 통로본체와,
    상기 통로본체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1커넥터와, 상기 통로본체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2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로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두 개 이상의 상기 통로구조체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커넥터는;
    통로본체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수직방향으로 일정단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슬라이딩빔을 구비하고,
    상기 제2커넥터는;
    통로본체의 타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수직방향으로 일정 단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고정빔을 포함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통로구조체의 연결이,
    일측 통로구조체를 들어 올려 제1커넥터의 슬라이딩빔의 하단부를, 타측 통로구조체의 제2커넥터의 고정빔 상단부에 맞춘 후 하강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안전 통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빔과 슬라이딩빔의 대측에는, 상호 면접하는 밀착경사판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안전 통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양측 슬라이딩빔의 상단에 고정되는 판상부재로서 양단부에 고리구멍을 갖는 연결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2커넥터는, 양측 고정빔의 상단에 고정되며 양단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며 연결커버의 고리구멍에 삽입 가능한 걸림고리가 구비되어 있는 상단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안전 통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바에,
    강우 시 빗물을 받아 보행공간 외부로 유도하는 레인거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안전 통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커버에는, 상부로 돌출된 지지고리가 더 구비되고,
    통로본체의 하부에는, 바닥판을 제공하는 바닥프레임이 배치되며, 바닥프레임의 네 귀퉁이부에는 홀딩구멍을 갖는 캐스팅이 위치하고,
    상기 지지고리 및 걸림고리는, 통로구조체의 적층 시, 상측 통로구조체의 홀딩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안전 통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구조체는, 구부러진 보행공간을 제공하는 코너통로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안전 통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통로구조체의 통로본체의 지붕은,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 또는 부채꼴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안전 통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본체는;
    주름관의 형태를 취하며 보행공간을 제공하고 신축 가능한 갱웨이와,
    갱웨이의 양단부를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에 각각 결합시키는 결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안전 통로.
KR1020210074344A 2021-06-08 2021-06-08 보행자용 안전 통로 KR102443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344A KR102443924B1 (ko) 2021-06-08 2021-06-08 보행자용 안전 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344A KR102443924B1 (ko) 2021-06-08 2021-06-08 보행자용 안전 통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924B1 true KR102443924B1 (ko) 2022-09-16

Family

ID=8344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344A KR102443924B1 (ko) 2021-06-08 2021-06-08 보행자용 안전 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9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25Y1 (ko) 2006-05-11 2006-08-10 정윤수 조립식 안전통로
KR100841716B1 (ko) * 2007-05-30 2008-07-10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스냅-핏 연결부재를 이용한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데크의 곡선부 연결구조 및 이를 위한 스냅-핏 연결부재
KR100925709B1 (ko) 2009-04-02 2009-11-10 임지선 접이식 안전통로
JP2019014402A (ja) * 2017-07-07 2019-01-31 三菱重工交通機器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KR20200071298A (ko) * 2018-12-11 2020-06-19 한국공항공사 조립식 탑승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25Y1 (ko) 2006-05-11 2006-08-10 정윤수 조립식 안전통로
KR100841716B1 (ko) * 2007-05-30 2008-07-10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스냅-핏 연결부재를 이용한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데크의 곡선부 연결구조 및 이를 위한 스냅-핏 연결부재
KR100925709B1 (ko) 2009-04-02 2009-11-10 임지선 접이식 안전통로
JP2019014402A (ja) * 2017-07-07 2019-01-31 三菱重工交通機器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KR20200071298A (ko) * 2018-12-11 2020-06-19 한국공항공사 조립식 탑승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01038A (en) Portable house
CN107013045A (zh) 装载平台
WO2008093081A2 (en) Modular car park deck
KR102443924B1 (ko) 보행자용 안전 통로
JP6849261B1 (ja) 複数階建屋の解体時に解体フロアの上方への破砕物の飛散を防止するための、全体としてシート状の、養生シートを備える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
KR20080096085A (ko) 조립식 주택의 골조
JP6262805B2 (ja) トンネル内の移動自在の昇降柱付仮設車道及びその仮設車道による道路構築工法
GB2028905A (en) Roof Construction
KR102213584B1 (ko)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
JPS5817945A (ja) フレ−ム構造体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409486Y1 (ko) 조립식 철 구조물
EP1227203A1 (en) Method and device for building up a scaffold, in particular for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JP3543246B2 (ja) 仮設養生体
JP4303400B2 (ja) 枠組足場に組込んだ天井クレーン
KR20200069533A (ko) 발전소 보일러 연소실 내부 코너부 작업대 및 시공방법
JP3234442B2 (ja) 建築物のビルドアンドスクラップ式構築方法
CN217998870U (zh) 一种高层建筑屋面大悬挑钢筋混凝土梁板
JP3182709B2 (ja) 建設用雨避装置
JP2018188906A (ja) 防護構造体
GB1565498A (en) Portable buildings
JP3543247B2 (ja) 仮設養生体の支持ブラケット
JPH09137598A (ja) 足場用の渡し材
RU2308586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одного этажа надстройки при реконструкции жилого здания
JP2590671B2 (ja) 天井クレーン架構を用いた鉄骨架構の構築方法
KR101446788B1 (ko) 컨테이너형 하우스들 간에 마련된 지붕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