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388Y1 - 합성수지용 결합기구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용 결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388Y1
KR200482388Y1 KR2020150005816U KR20150005816U KR200482388Y1 KR 200482388 Y1 KR200482388 Y1 KR 200482388Y1 KR 2020150005816 U KR2020150005816 U KR 2020150005816U KR 20150005816 U KR20150005816 U KR 20150005816U KR 200482388 Y1 KR200482388 Y1 KR 2004823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present
coupling mechanism
extension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우
Original Assignee
이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우 filed Critical 이대우
Priority to KR2020150005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3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3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3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24Apparatu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73/30Apparatu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local pressing or local heating
    • B29C73/34Apparatu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local pressing or local heating for local he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인 제1 파트와 제2 파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합성수지용 결합기구에 관한 것으로, 제1 파트와 제2 파트의 경계를 가로질러 일측이 제1 파트의 일측에 용융 삽입되고 타측이 제2 파트의 일측에 용융 삽입되는 몸체와, 몸체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용 결합기구{Jointing device for synthetic resins}
본 고안은 결합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재인 제1 파트와 제2 파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합성수지용 결합기구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 성형물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며, 서로 별개로 성형된 후 조립시, 또는 파손에 따른 수리나 수선시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나 접착 또는 열융착에 의해 결합된다.
그런데, 접착이나 열융착에 의한 결합시에는 결합력이 견고하지 못하여 사용중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고,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한 결합은 외관상 체결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감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일 예로서, 프레임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안경(일명, '뿔테 안경')의 일측이 부러진 경우, 프레임의 파단 부분을 접착하거나 열융착하면 결합력이 낮아서 사용중 작은 충격에도 쉽게 분리된다.
또한, 별도의 체결구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경우, 결합된 체결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함으로써 불쾌감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각 부품의 대향면에 나사홈을 형성하고, 나사산을 가진 체결구를 삽입하여 부품들을 나사 결합하는 방안도 제시되고 있으나, 두께나 폭이 얇은 부품의 경우 나사홈을 형성하기도 어렵고, 원래의 형태로 정확하게 복구하기 위해서는 나사산의 규격을 정확히 설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체결구의 체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쉽게 분리되는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합성수지제 부품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합성수지용 결합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파단에 의해 파손된 합성수지 제품을 원래의 형태로 용이하게 복구할 수 있는 합성수지용 결합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파손된 합성수지 제품의 수리 또는 수선시, 외관상 흔적이 남지 않는 합성수지용 결합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제1 파트와 제2 파트를 결합하는 합성수지용 결합기구에 있어서, 제1 파트와 제2 파트의 경계를 가로질러, 일측이 제1 파트의 일측에 용융 삽입되고 타측이 제2 파트의 일측에 용융 삽입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용 결합기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장부에 접속되며, 상기 몸체를 가열시켜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에서 상기 몸체와 맞닿는 부분을 용융시키는 가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요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의 용융물이 상기 요홈에 충진되어 응고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상기 연장부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절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용 결합기구에 의하면, 제1 파트와 제2 파트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의 양측이 각각 제1 파트와 제2 파트의 표면을 용융시키면서 내부에 매몰되고, 용융물에 의해 몸체가 덮여지므로, 외관상 몸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가 제1 파트와 제2 파트의 경계를 가로질러 내부에 삽입되고, 몸체의 요홈에 용융물이 충진된 후 응고됨으로써,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용 결합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결합 순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결합을 단계별로 도시한 공정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용 결합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용 결합기구(이하, '결합기구')(100)는, 몸체(200)와, 몸체(200)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300)를 포함한다.
몸체(200)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고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선재 형상이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등 다각형이나,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몸체(200)의 폭과 길이 및 두께 등의 규격과 단면 형상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몸체(200)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에너지에 의해 발열하며, 서로 결합시키고자 하는 합성수지 부품의 표면을 열에 의해 용융시키게 되는데, 예컨대 전기 저항에 의한 발열이나 고주파 인가에 따른 발열이 가능하도록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몸체(200)의 발열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방법에 적절한 소재가 몸체(20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몸체(200)의 적어도 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의 요홈(210)이 형성된다. 이 요홈(210)은 몸체(200)의 발열에 의해 용융된 합성수지 용융물이 충진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요홈(210)에 충진된 용융물은 응고시 제1 파트(10, 도 3 참조)와 제2 파트(20, 도 3 참조)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210)은 쐐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원호형이나 사각형,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사각형 단면 형상의 몸체(200)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복수 개의 요홈(210)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몸체(200)의 일면 또는 복수 개의 면에 각각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요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300)는 몸체(200)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며, 몸체(200)의 일측에 이격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가열장치(500, 도 3 참조)가 각각의 연장부(3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 예로서, 전기 저항에 의해 몸체(200)가 가열되는 경우, 가열장치(500)는 전원공급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연장부(300)에 (+),(-) 전선부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고주파 인가에 의해 몸체(200)가 가열되는 경우, 가열장치(500)는 고주파 인가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연장부(300)에 전극이 접속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몸체(20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한 쌍의 연장부(300)가 서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서로 결합하고자 하는 합성수지 부품의 형상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연장부(300)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몸체(200)와 연장부(300) 사이에는 연장부(300)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절단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절단부(400)는 몸체(200)로부터 연장부(300)를 제거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몸체(200)로부터 절단부(400)를 절단함으로써, 절단부(400)와 함께 연장부(300)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절단부(400)는 몸체(20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부(300)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1 테이퍼부(410)와, 제1 테이퍼부(410)에 대하여 대칭이며 제1 테이퍼부(410)로부터 연장부(300)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제2 테이퍼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1 테이퍼부(410)와 제2 테이퍼부(420) 사이에 연장부(300)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연결부(43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결합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결합을 단계별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기구(100)는 합성수지제 부품들을 서로 결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합성수지제 안경테(일명, '뿔테') 등 합성수지 제품의 파단시 원형 복구를 위한 수리 및 수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용 결합기구(100)를 사용하여 한 쌍의 합성수지 부품을 서로 결합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접착 단계( S10 ):
먼저, 파단에 의해 분리된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의 파단면에 본드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서로 맞대어 접착시킨다.
배치 단계( S20 ):
이후,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의 경계를 가로지르도록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의 표면에 몸체(200)를 안착시킨다. 이때, 경계선과 몸체(200)가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하여, 몸체(200)의 길이 방향 양단이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의 경계선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위치하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의 일면에 하나의 결합기구(100)의 몸체(200)가 배치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면에 각각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몸체(200)를 배치함으로써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용융 가압 단계( S30 ):
연장부(300)에 가열장치(500)의 전극을 접속시키고, 가열장치(500)를 작동시켜 연장부(300)를 통해 몸체(200)를 가열시킨다. 이때, 몸체(200)의 가열방식으로는 전류 인가와 몸체(200)의 전기저항을 이용한 전기 가열, 또는 고주파 인가에 따른 몸체(200)의 고주파 유도 가열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가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몸체(200)가 가열되면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의 표면에서 몸체(200)와 맞닿는 부분이 열에 의해 용융되며, 연장부(300)를 통해 몸체(200)를 가압함으로써, 몸체(200)는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를 용융시키면서 그 내부로 삽입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연장부(300)에 각각 접속된 접속클립(미도시)을 파지한 상태로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의 표면에 몸체(200)를 가압함으로써,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의 내부로 몸체(200)를 용융 압입할 수 있다.
연장부 절단 단계( S40 ):
몸체(200)를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 내부의 적절한 깊이까지 압입하면, 몸체(200)의 요홈(210)이 형성된 공간에 용융물이 충진되며, 이 상태로 응고가 진행되면 몸체(200)는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상태로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의 내부에 매몰된다.
이때,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의 표면 외부로 연장부(300)가 노출되는데, 이 연장부(300)는 절단하여 제거한다. 사용자는 니퍼 등의 절단공구를 사용하여 절단부(400)를 절단함으로써 연장부(300)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연장부(300)를 손으로 파지한 후 흔들어서 절단부(400)를 파단시킬 수도 있다.
마감 단계( S50 ):
제1 파트(10)와 제2 파트(20)의 외부로 노출된 절단부(400)를 연마하거나 절단하여 작업면을 매끈하게 마감하고, 필요에 따라 도색과 도금 공정을 거쳐 마무리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 제1 파트
20 : 제2 파트
100 : 합성수지용 결합기구
200 : 몸체
210 : 요홈
300 : 연장부
400 : 절단부
410 : 제1 테이퍼부
420 : 제2 테이퍼부
430 : 연결부
500 : 가열장치

Claims (5)

  1.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제1 파트와 제2 파트를 결합하는 합성수지용 결합기구에 있어서,
    발열에 의해, 제1 파트와 제2 파트의 경계를 가로질러 일측이 제1 파트의 일측을 용융시켜 삽입되고 타측이 제2 파트의 일측을 용융시켜 삽입되는 금속재의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 몸체에 대하여 각각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의 표면 외부로 노출되는 연장부;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상기 연장부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용 결합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요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용 결합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의 용융물이 상기 요홈에 충진되어 응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용 결합기구.
  5. 삭제
KR2020150005816U 2015-08-31 2015-08-31 합성수지용 결합기구 KR2004823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816U KR200482388Y1 (ko) 2015-08-31 2015-08-31 합성수지용 결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816U KR200482388Y1 (ko) 2015-08-31 2015-08-31 합성수지용 결합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388Y1 true KR200482388Y1 (ko) 2017-01-17

Family

ID=5796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816U KR200482388Y1 (ko) 2015-08-31 2015-08-31 합성수지용 결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38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573A (ko) * 1998-06-29 2000-01-15 김영환 고속 인터페이스장치
KR100796621B1 (ko) * 2007-08-01 2008-01-22 장동수 세라믹 히터용 로드의 접합구조
KR20110099686A (ko) * 2008-11-21 2011-09-08 뉴프리 엘엘씨 하이브리드 부품을 탄성변형가능한 가공물에 접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073850A (ko) * 2010-12-27 2012-07-05 주식회사 한화건설 전기 융착을 이용해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573A (ko) * 1998-06-29 2000-01-15 김영환 고속 인터페이스장치
KR100796621B1 (ko) * 2007-08-01 2008-01-22 장동수 세라믹 히터용 로드의 접합구조
KR20110099686A (ko) * 2008-11-21 2011-09-08 뉴프리 엘엘씨 하이브리드 부품을 탄성변형가능한 가공물에 접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073850A (ko) * 2010-12-27 2012-07-05 주식회사 한화건설 전기 융착을 이용해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170B1 (ko) 제2 물체를 제1 물체에 고정
CN107521112A (zh) 不同材料片材的超声焊接
JP4296222B2 (ja) ベルトの継手加工方法
JP2013516029A (ja) 複数のワイヤを導電結合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アセンブリ
JP4080492B2 (ja) 接合体および接合方法
US9463522B2 (en) Drawn arc welding
KR200482388Y1 (ko) 합성수지용 결합기구
US5271785A (en) Method of inserting an insert in an opening of a plastic part
US20140219710A1 (en) Heat stake joining of adhesively bonded thermoplastic components
US10632690B2 (en) Resonator for joining or reception jig for joining
US10780519B2 (en) Integrated resistance welding of functional element and auxiliary element
JP5191629B2 (ja) 溶接方法
JPH09300471A (ja) プラスチックの接着方法及び接合構造
US9607739B2 (en) Method for bonding flat cable and bonding object, ultrasonic bonding device, and cable
JP2009185951A (ja) ベルトの継手加工方法
CN106335183B (zh) 用于塑料和复合接头强度改进的接头设计
JP7492391B2 (ja) 超音波接合装置、超音波接合装置のチップ部材及びチップ部材の取付方法
JP6815647B2 (ja) 金属樹脂接合体の製造方法
US20210114173A1 (en) Blade-like polish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17024040A (ja) 超音波接合装置
JP2016107741A (ja) 車両用内装品
KR101846929B1 (ko) 초음파 융착방식으로 접합되는 moc 액츄에이터
KR101678497B1 (ko) 진동 융착기의 접합 면 가열장치
JP4759581B2 (ja) ベルトの継手加工方法
JP3184593U (ja) 粉末造形品の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