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331Y1 - 물약용기의 분실방지 이중뚜껑 - Google Patents

물약용기의 분실방지 이중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331Y1
KR200482331Y1 KR2020150006158U KR20150006158U KR200482331Y1 KR 200482331 Y1 KR200482331 Y1 KR 200482331Y1 KR 2020150006158 U KR2020150006158 U KR 2020150006158U KR 20150006158 U KR20150006158 U KR 20150006158U KR 200482331 Y1 KR200482331 Y1 KR 2004823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discharge
discharge port
peripher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우
Original Assignee
김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우 filed Critical 김덕우
Priority to KR2020150006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3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3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3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16Devices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부에 의해 오염 및 분실, 어린 아이가 삼키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더욱 용이하고 긴밀하게 개폐되는 물약용기의 분실방지 이중뚜껑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입구를 밀폐하는 용기뚜껑과, 상기 용기뚜껑의 상측에 형성된 토출부에 결합되는 토출부뚜껑으로 구성되며, 상기 토출부의 외주면에는 외측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뚜껑에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는 회전링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링은 외측경사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되, 상기 토출부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밀착부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에는 토출부뚜껑의 내주면에 나선형을 이루며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결합부가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토출부뚜껑이 연결부에 의해 용기뚜껑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실을 하거나 어린 아이가 집어삼킬 염려가 없어 더욱 안전한 효과가 있다. 또한, 토출부뚜껑이 회전링과 함께 회전하며 개방 또는 밀폐됨으로써 사용이 더욱 편리할 뿐만 아니라, 밀폐가 더욱 긴밀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약용기의 분실방지 이중뚜껑{Lost avoid double lid for potion bottle}
본 고안은 물약을 보관하는 용기의 입구를 밀폐하기 위한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부에 의해 오염 및 분실, 어린 아이가 삼키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더욱 용이하고 긴밀하게 개폐되는 물약용기의 분실방지 이중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용 물약 등의 액상물질을 보관하는 용기는 어느 것이나 주둥이가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주둥이를 개폐하는 뚜껑이 구비되며, 주둥이에 대한 뚜껑의 개폐는 나사 결합식, 또는 탄성을 갖는 걸림단을 이용하는 가압식이 보통이다.
그리고 용기의 규모가 커지거나 기밀을 강화하기 위하여 탄성을 갖는 수지재 내부캡이 부여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용기는 내용물 덜어내기 등으로 뚜껑을 용기로부터 분리시켜 주둥이를 열어두었다가 재결합하는 일이 반복되며, 이때 뚜껑은 실내 바닥 등 지면에 내려놓게 된다.
이에 따라 주위환경을 어수선하게 만들고, 이물질에 의해 뚜껑이 오염될 뿐만 아니라, 뚜껑을 분실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심지어는 어린 아이가 집어 삼킴으로써 위급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16029호에서는 뚜껑에 연결부를 형성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분실방지 뚜껑은 가압에 의해 밀폐하는 구조로서, 용기를 순간적으로 강하게 누르게 되면 용기의 내측에 강한 압력이 발생하여 뚜껑이 개방되면서 내용물이 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염 및 분실을 방지할뿐만 아니라, 어린 아이가 삼키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물약용기의 분실방지 이중뚜껑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결부와 연결된 뚜껑이 회전에 의해 나사 결합되도록 개선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물약용기의 분실방지 이중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물약용기의 분실방지 이중뚜껑은 용기의 입구를 밀폐하는 용기뚜껑과, 상기 용기뚜껑의 상측에 형성된 토출부에 결합되는 토출부뚜껑으로 구성되며, 상기 토출부의 외주면에는 외측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뚜껑에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는 회전링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링은 외측경사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되, 상기 토출부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밀착부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에는 토출부뚜껑의 내주면에 나선형을 이루며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결합부가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물약용기의 분실방지 이중뚜껑에 의하면, 토출부뚜껑이 연결부에 의해 용기뚜껑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실을 하거나 어린 아이가 집어삼킬 염려가 없어 더욱 안전한 효과가 있다.
또한, 토출부뚜껑이 회전링과 함께 회전하며 개방 또는 밀폐됨으로써 사용이 더욱 편리할 뿐만 아니라, 밀폐가 더욱 긴밀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분실방지 이중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토출부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분실방지 이중뚜껑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토출부뚜껑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토출부뚜껑의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토출부뚜껑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물약용기의 분실방지 이중뚜껑은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에 어린 아이를 위한 물약을 담아 외측에 표시된 눈금(도면 미표시)을 이용하여 정량을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용기(10)의 입구를 밀폐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10)의 입구를 밀폐하는 용기뚜껑(20)과, 상기 용기뚜껑(20)의 상측에 결합되는 토출부뚜껑(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10), 용기뚜껑(20) 및 토출부뚜껑(3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용기뚜껑(20) 및 토출부뚜껑(30)은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용기뚜껑(20)을 분리하여 용기(10)의 내측에 내용물을 채울 수 있으며, 토출부뚜껑(30)을 분리하여 내용물을 소량씩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분실방지 이중뚜껑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부뚜껑(30)이 회전링(33)에 의해 용기뚜껑(20)과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연결부(32)에 의해 토출부뚜껑(30)이 오픈된 상태에서 용기뚜껑(20)에서 분리되지 않고 연결된다.
상기 회전링(33)은 토출부뚜껑(30)을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나사 결합된 토출부뚜껑(30)을 회전하여 용기뚜껑(20)을 개방하거나 밀폐할 때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을 위한 용기뚜껑(20)의 구성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에 토출부뚜껑(30)이 결합되는 토출부(2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부(21)의 외주면에는 토출부뚜껑(30)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수나사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부(21)는 내용물을 소량씩 배출하여 정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토출부(21)의 상측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내용물이 배출되는 토출구멍(23)이 형성되어 있으며, 토출부(21)의 하측에는 외측경사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경사부(24)의 상측에는 돌출 형성된 복수의 밀착부(25)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경사부(24)는 토출부뚜껑(30)의 회전링(33)이 결합되는 곳이며, 상기 밀착부(25)는 토출부뚜껑(30)이 긴밀히 밀착되어 견고히 고정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토출부뚜껑(30)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부(2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토출부뚜껑(30)이 토출부(21)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토출구멍(23)에 긴밀히 삽입됨으로써 내용물이 진동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부뚜껑(30)의 하측에는 절곡이 용이하도록 연결부(32)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32)의 선단에는 토출부(21)의 외측경사부(24)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회전링(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링(33)은 압착에 의해 외측경사부(24)에 결합되며, 경사로 형성된 면에 의해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토출부뚜껑(30)의 내주면에는 도 5에서 나타낸 저면도에서와 같이 토출부(21)의 수나사부(22)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결합부(35)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35)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토출부(21)에 돌출 형성된 밀착부(25)에 밀착됨으로써 토출부뚜껑(30)이 용기뚜껑(20)에 견고히 고정되어 용기(10)를 떨어뜨리거나 휴대에 의한 잦은 진동에도 토출부뚜껑(30)이 개방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토출부뚜껑(30a)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링(33)의 내주면에 토출부(21)의 외측경사부(24)에 대응하는 내측경사부(36)를 형성하여 더욱 긴밀한 밀착에 의해 고정과 회전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회전링(33)에 절개부(37)를 형성함으로써 토출부뚜껑(30)의 결합 및 분리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물약용기의 분실방지 이중뚜껑은 토출부뚜껑(30)(30a)이 연결부(32)에 의해 용기뚜껑(20)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실을 하거나 어린 아이가 집어삼킬 염려가 없어 더욱 안전한 효과가 있다.
또한, 토출부뚜껑(30)(30a)이 회전링(33)과 함께 회전하며 개방 또는 밀폐됨으로써 사용이 더욱 편리할 뿐만 아니라, 밀폐가 더욱 긴밀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10 : 용기 20 : 용기뚜껑
21 : 토출부 22 : 수나사부
23 : 토출구멍 24 : 외측경사부
25 : 밀착부 30,30a : 토출부뚜껑
31 : 돌기부 32 : 연결부
33 : 회전링 34 : 암나사부
35 : 결합부 36 : 내측경사부
37 : 절개부

Claims (4)

  1. 용기(10)의 입구를 밀폐하는 용기뚜껑(20)과, 상기 용기뚜껑(20)의 상측에 형성된 토출부(21)에 결합되는 토출부뚜껑(30)(30a)으로 구성되며, 상기 토출부(21)의 외주면에는 외측경사부(24)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뚜껑(30)(30a)에는 연결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32)의 선단에는 회전링(3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링(33)은 외측경사부(24)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되,
    상기 토출부(21)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밀착부(25)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25)에는 토출부뚜껑(30)(30a)의 내주면에 나선형을 이루며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결합부(35)가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약용기의 분실방지 이중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33)의 내주면에는 상기 외측경사부(24)와 대응하는 내측경사부(3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약용기의 분실방지 이중뚜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33)에는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절개부(3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약용기의 분실방지 이중뚜껑.
  4. 삭제
KR2020150006158U 2015-09-15 2015-09-15 물약용기의 분실방지 이중뚜껑 KR2004823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158U KR200482331Y1 (ko) 2015-09-15 2015-09-15 물약용기의 분실방지 이중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158U KR200482331Y1 (ko) 2015-09-15 2015-09-15 물약용기의 분실방지 이중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331Y1 true KR200482331Y1 (ko) 2017-01-11

Family

ID=5779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158U KR200482331Y1 (ko) 2015-09-15 2015-09-15 물약용기의 분실방지 이중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33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5848A (ja) * 2007-04-24 2008-11-06 Minekazu Okamoto ボトルキャップ
KR20110005090A (ko) * 2009-07-09 2011-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액정구동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5848A (ja) * 2007-04-24 2008-11-06 Minekazu Okamoto ボトルキャップ
KR20110005090A (ko) * 2009-07-09 2011-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액정구동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4937B2 (ja) エアレス容器
JP5613440B2 (ja) キャップ及び蓋付容器
JP6059489B2 (ja) 吐出容器
JP2004075133A (ja) 容器の封止機構及びその機構に使用するキャップ
JP2006131283A (ja) 容器の蓋体構造
FR3094354A1 (fr) Récipient de mélange de contenus hétérogènes
JP6249094B2 (ja) 粉乳ボックス及び調乳装置
JP2017013830A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1385339B1 (ko) 습기 및 건조 방지용 화장품 용기
JP5069033B2 (ja) チューブ容器
KR200482331Y1 (ko) 물약용기의 분실방지 이중뚜껑
JP5451092B2 (ja) 口栓ユニット、口栓付き包装容器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KR101486078B1 (ko) 하나의 뚜껑을 서로 다른 용기 목에 결합하는 구조
KR101745364B1 (ko) 용기뚜껑에 돌출리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614461B1 (ko) 음료용기용 마개
JP5295816B2 (ja) ボトルキャップおよび飲料用ボトル
JP2008062981A (ja) ボトルキャップ及びその組立方法
CN102317166A (zh) 密封容器
KR100969411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101800239B1 (ko) 재활용 가능한 말통 용기
JP5925629B2 (ja) 注出キャップ及びそれを有する容器
KR200474542Y1 (ko) 첨가제 첨가용 위생 이중캡
JP2009161220A (ja) 原料収容型ボトルキャップ
KR101894158B1 (ko) 병의 속마개
JP5813581B2 (ja) 二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