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234Y1 - 수목 벌채 걸고리 - Google Patents

수목 벌채 걸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234Y1
KR200482234Y1 KR2020140009184U KR20140009184U KR200482234Y1 KR 200482234 Y1 KR200482234 Y1 KR 200482234Y1 KR 2020140009184 U KR2020140009184 U KR 2020140009184U KR 20140009184 U KR20140009184 U KR 20140009184U KR 200482234 Y1 KR200482234 Y1 KR 200482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elastic member
movable
main frame
conn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143U (ko
Inventor
민병훈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9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23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1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1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2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8Felling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8Felling trees
    • A01G23/087Shearing apparatu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felling trees
    • A01G23/09Shearing apparatu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felling trees of the percussion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3/00Cutting
    • Y10S83/928Vehicle-mounted t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벌채용 걸고리는일정 길이를 가지는 손잡이 막대; 상기 손잡이 막대에 결합 고정되는 후킹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후킹모듈은 상기 손잡이 막대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며, U자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부분의 타측에 오픈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힌지 회동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가동레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양 끝단이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와 연결되는 부분을 당겨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목 벌채 걸고리{Hook for lumbering}
본 실시예는 송전선로 주변 수목 벌채 작업시 사용할 수 있는 수목벌채 걸고리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송전선로를 통해 도시나 공장 등의 수요가로 공급된다. 이러한 송전선로는 도심 외곽의 평야 및 산림 지대에 송전탑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송전선로 주변에 자라고 있는 수목들이 전력선에 근접하면 위험하기 때문에, 일정 반경 이상 접근하게 될 경우, 벌채작업을 통해 위험요인을 제거한다.
또한, 수목의 생육에 따른 요인 이외에, 기후변화 및 자연 환경에 의해 전력선 처짐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수목과 전력선 안전 이격거리 미 확보로 송전 설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목전지 작업시 작업에 필요한 공기구는 무거우며, 사람의 키보다 큰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다리를 휴대하여 산악지를 이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이러한 전지 작업에는 인력 및 정비 소요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수목정비 작업의 능률저하 및 사다리에 올라가서 직접 로프로 결박하는등 안전사고 발생에 우려가 있고, 벌채시 잘라낸 나무가 송전선로 방향으로 넘어갈 경우, 단선 등의 전력사고 발생 우려도 있다.
한국공개실용 제20-2011-0005668호(2011.06.09. 공개)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작업자가 산악 이동시 편리하게 지참할 수 있으며, 수목 벌채 시 전력선 쪽으로 벌채된 나무가 쓰러지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수목 벌채용 걸고리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벌채용 걸고리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손잡이 막대; 상기 손잡이 막대에 결합 고정되는 후킹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후킹모듈은 상기 손잡이 막대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며, U자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부분의 타측에 오픈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힌지 회동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가동레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양 끝단이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와 연결되는 부분을 당겨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와 핀 부재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 형상의 줄 부재 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줄 부재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대칭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동레버는 단부에 제 1 탄성부재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탄성부재 연결부에는 제 1 탄성부재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1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탄성부재가 상기 제 1 가동레버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을 향해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동레버는 단부에 제 2 탄성부재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탄성부재 연결부에는 제 2 탄성부재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2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탄성부재가 상기 제 2 가동레버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을 향해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스토퍼; 및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는 상기 줄 부재의 양 단부가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줄 부재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에 비해 적은 작업자로 수목 벌채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작업자의 안전 불감증을 줄일 수 있어, 안전사고 및 설비 고장예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수목 벌채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수목 벌채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벌채용 걸고리의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후킹 모듈의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벌채용 걸고리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도면 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벌채용 걸고리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벌채용 걸고리의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후킹 모듈의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벌채용 걸고리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도면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벌채용 걸고리는일정 길이를 가지는 손잡이 막대(1)와 후킹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막대(1)는 다양한 길이를 가지도록 길이 방향 신장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일정 길이의 막대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킹모듈(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10), 메인 프레임(120), 제 1 및 제 2 가동레버(130)(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130)(140)는 줄 부재(W)에 의해 개폐 될 수 있다.
연결부(110)는 상기 손잡이 막대(1)와 메인 프레임(120)을 고정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 막대(1)의 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1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대응되는 손잡이 막대(1) 또한 원통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10)의 단부에는 고리부재(1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리부재(111)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줄 부재(W)가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리부재(111)는 후술할 제 1 내지 제 4 줄 부재 고정부(123~126)들과 함께 줄 부재의 위치를 고정 및 가이드 할 수 있다.
핀 부재(112)는 상기 연결부(110)와 손잡이 막대(1)를 고정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핀 부재(112)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일 예로 볼트부재와 너트부재를 이용한 고정 결합도 가능하고, 힌지핀, 또는 리벳핀 등 다양한 구성의 체결요소들의 결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U자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20)은 오픈된 개구부를 통해 수목의 가지 부분을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메인 프레임(120)은 한 쌍의 제 1 스토퍼(121)와 한 쌍의 힌지 프레임(122) 및 제 1 내지 제 4 줄 부재 고정부(123~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줄 부재 고정부(123~126)는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 용접 등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줄 부재 고정부(123~126)는 줄 부재(W)가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20)을 따라 줄 부재(W)가 양 끝단이 제 1 및 제 2 가동레버(130)(14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줄 부재(W)는 상기한 제 1 내지 제 4 줄 부재 고정부(123~126)에 의해 이동 가이드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130)(140)와 연결되는 부분인 후술할 제 1 및 제 2 와이어 연결부(133)(143)와의 연결을 통해, 상기 줄 부재(W)를 잡아당겨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130)(14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제 1 내지 제 4 줄 부재 고정부(123~126)들은 상기 연결부(110)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이는 줄 부재(W)의 움직임 도중에 균형이 틀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1 가동레버(130)는 단부에 제 1 탄성부재 연결부(131)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탄성부재 연결부(131)에는 제 1 탄성부재(132)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1 탄성부재(132)의 타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탄성부재(132)가 상기 제 1 가동레버(130)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을 향해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동레버(140)는 단부에 제 2 탄성부재 연결부(141)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탄성부재 연결부(141)에는 제 2 탄성부재(142)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2 탄성부재(142)의 타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120)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탄성부재(142)가 상기 제 2 가동레버(140)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을 향해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130)(140)는 상기 줄 부재(W)의 양 단부가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줄 부재 연결부(135)(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줄 부재 연결부(135)(145)는 상기한 제 1 내지 제 4 줄 부재 고정부(123~126)들과 같이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줄 부재(W)의 단부가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130)(140) 중 어느 한 곳에는 제 2 스토퍼(150)가 결합될 수 있다. 제 2 스토퍼(150)는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13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위치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130)(140)가 수평상태를 벗어나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스토퍼(121)와 함께 제 1 및 제 2 가동레버(130)(140)의 회전 동작을 규제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벌채용 걸고리를 사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를 사용할 필요 없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걸고리에 손잡이 막대(1)를 연결하고, 벌채 대상이 되는 수목의 상부 지점에 쉽게 걸어 수목을 잡아 줄 수 있기 때문에, 벌목 시에 송전선로 쪽으로 수목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에 비해 적은 작업자로 수목 벌채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작업자의 안전 불감증을 줄일 수 있어, 안전사고 및 설비 고장예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수목 벌채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수목 벌채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손잡이 막대 100; 후킹모듈
110; 연결부 111; 고리부재
112; 핀 부재 120; 메인 프레임
121; 제 1 스토퍼 122; 힌지 프레임
123~126; 제 1 내지 제 4 줄 부재 고정부
130; 제 1 가동레버 131; 제 1 탄성부재 연결부
132; 제 1 탄성부재 133; 제 1 줄 부재 연결부
135; 제 1 힌지 140; 제 2 가동레버
141; 제 2 탄성부재 연결부 142; 제 2 탄성부재
143; 제 2 줄 부재 연결부 145; 제 2 힌지
150; 제 2 스토퍼 W; 줄 부재

Claims (7)

  1. 일정 길이를 가지는 손잡이 막대;
    상기 손잡이 막대에 결합 고정되는 후킹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후킹모듈은,
    상기 손잡이 막대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며, U자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부분의 타측에 오픈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힌지 회동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가동레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양 끝단이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와 연결되는 부분을 당겨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가동레버는,
    단부에 제 1 탄성부재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탄성부재 연결부에는 제 1 탄성부재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1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탄성부재가 상기 제 1 가동레버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을 향해 탄성 지지하는 수목벌채 걸고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와 핀 부재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 형상의 줄 부재 고정부가 마련되는 수목벌채 걸고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줄 부재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대칭 배치되는 수목벌채 걸고리.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동레버는,
    단부에 제 2 탄성부재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탄성부재 연결부에는 제 2 탄성부재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2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탄성부재가 상기 제 2 가동레버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을 향해 탄성 지지하는 수목벌채 걸고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스토퍼; 및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수목벌채 걸고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레버는,
    상기 줄 부재의 양 단부가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줄 부재 연결부를 포함하는 수목벌채 걸고리.
KR2020140009184U 2014-12-12 2014-12-12 수목 벌채 걸고리 KR200482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184U KR200482234Y1 (ko) 2014-12-12 2014-12-12 수목 벌채 걸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184U KR200482234Y1 (ko) 2014-12-12 2014-12-12 수목 벌채 걸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143U KR20160002143U (ko) 2016-06-22
KR200482234Y1 true KR200482234Y1 (ko) 2017-01-02

Family

ID=5634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184U KR200482234Y1 (ko) 2014-12-12 2014-12-12 수목 벌채 걸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23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8420B2 (ja) * 1995-07-18 2004-12-08 有限会社下村組 ガイドロープ取付け工具
JP2010239870A (ja) * 2009-04-01 2010-10-2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伐採木引張ロープ取付用具
KR101248832B1 (ko) 2012-10-18 2013-04-02 (자) 삼우전자통신 Cctv 케이블용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397B1 (ko) * 2002-04-11 2004-05-28 이해동 자동전지가위
ITMI20081659A1 (it) 2008-09-17 2010-03-18 Cifarelli Spa Gancio per attrezzi agricoli quali scuotitori e similari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8420B2 (ja) * 1995-07-18 2004-12-08 有限会社下村組 ガイドロープ取付け工具
JP2010239870A (ja) * 2009-04-01 2010-10-2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伐採木引張ロープ取付用具
KR101248832B1 (ko) 2012-10-18 2013-04-02 (자) 삼우전자통신 Cctv 케이블용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143U (ko)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409126U (zh) 为树上果实套袋的果实套袋机
FI126146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puun käsittelemiseksi
CN102316939B (zh) 杆安全组件
US2846259A (en) Manhole cover lifter
CN205212333U (zh) 被伐树竹倒向控制装置
JP2010239870A (ja) 伐採木引張ロープ取付用具
KR200482234Y1 (ko) 수목 벌채 걸고리
JP7131088B2 (ja) 伐採用ワイヤ取付け装置
CN205419688U (zh) 组装式叶尖夹持检修装置
CN110447502A (zh) 一种绑树装置
CN205213637U (zh) 一种被伐树竹倒向牵拉装置
JP2012152118A (ja) 竹木伐採補助具
US10674682B2 (en) Tree limb rope brake
JP3187623U (ja) 樹木の枝支持装置
JP2019176763A (ja) 伐倒方向制御器具
CN112314213B (zh) 一种非接触式树木栓绳器
EP3184479A1 (en) Simplified assembly trellis-like modular element for towers of tower cranes and tower comprising such modular element
CN113889916A (zh) 一种配电线路多功能紧线作业平台
JP3175849U (ja) くくり罠
CN211793097U (zh) 一种具有组合轮结构的林业树木工人修枝装置
CN106305340A (zh) 电力线路快速伐树用安全定位器
CN110652664B (zh) 一种防坠设备安装装置及具有该装置的防坠设备
CN106536399A (zh) 用于风力涡轮机中的操作装置的安全系统
JP2019092237A (ja) 碍子連取付装置および碍子連取付方法
CN106362322B (zh) 一种缓降型安全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