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125Y1 - 생선구이기 - Google Patents

생선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125Y1
KR200482125Y1 KR2020150006737U KR20150006737U KR200482125Y1 KR 200482125 Y1 KR200482125 Y1 KR 200482125Y1 KR 2020150006737 U KR2020150006737 U KR 2020150006737U KR 20150006737 U KR20150006737 U KR 20150006737U KR 200482125 Y1 KR200482125 Y1 KR 2004821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main body
pair
support frame
mou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석수
Original Assignee
전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석수 filed Critical 전석수
Priority to KR2020150006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1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1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1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3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 측면에 구비된 한 쌍의 투명개폐창문(50)에 의해 개폐되는 구이챔버(20)를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구이챔버(20)의 중앙부에 투명개폐창문(50)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면에는 생선(1)을 수직관통한 꼬챙이(2)의 하단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홀(71)이 이격 형성된 꼬치장착부재(70); 및 상기 본체(10)의 구이챔버(20)에 구비되며 상기 꼬치장착부재(70)를 중심으로 대향 배치되어 생선(1)의 양면을 가열하는 한 쌍의 가열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구이기이다.

Description

생선구이기{A apparatus for roasting fish}
본 고안은 생선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천어축제 등에서 대량의 생선을 좀 더 간편하고 신속하면서도 타지 않게 구울 수 있는 생선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매년 겨울철에 산천어축제 등과 같은 페스티벌이 열리고 있다. 이와 같은 페스티벌에서는 참가자들이 직접 잡은 산천어를 그 자리에서 구워먹을 수 있도록 화덕이 설치된다. 이때, 종래의 화덕은 드럼통과 같은 빈통에 나무로 불을 지핀 형태로 이루어지며, 알루미늄호일로 감싼 산천어를 드럼통에 넣어서 굽고 있다.
그런데 알루미늄호일에 열이 가해지면 인체에 유해한 알루미늄의 독성물질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산천어가 알루미늄호일로 감싸져서 육안으로는 어느 정도 구워졌는지 확인할 수가 없으므로 산천어가 까맣게 타는 경우가 많고 까맣게 탄 부분을 취식하면 암이 유발되는 문제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그릴과 같은 구이판에 산천어를 굽기도 하지만, 구이판과 접하는 일면만 구워지기 때문에 산천어를 뒤집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시간도 오래 걸린다. 이에 따라, 대량의 산천어를 신속하게 구워야 하는 산천어축제 등에서는 적합하지 못하다. 그리고 정시에 뒤집어주지 않으면 까맣게 타게 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산천어가 구워질 때 발생되는 기름이 장작불에 낙하됨에 따라 연기가 많이 발생되고 불완전연소로 인해 일산화탄소가 발생되기도 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7359호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산천어축제 등에서 대량의 생선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구울 수 있으며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구울 수 있어 까맣게 타지 않고 골고루 구울 수 있고, 생선을 중간에 뒤집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며 좀 더 간단한 구조로 연기를 배출시키면서도 열효율을 향상시키며 생선의 사이즈에 따라 열원을 적절히 근접 또는 이격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생선을 좀 더 골고루 타지 않게 구울 수 있는 생선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양 측면에 구비된 한 쌍의 투명개폐창문(50)에 의해 개폐되는 구이챔버(20)를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구이챔버(20)의 중앙부에 투명개폐창문(50)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면에는 생선(1)을 수직관통한 꼬챙이(2)의 하단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홀(71)이 이격 형성된 꼬치장착부재(70); 및 상기 본체(10)의 구이챔버(20)에 구비되며 상기 꼬치장착부재(70)를 중심으로 대향 배치되어 생선(1)의 양면을 가열하는 한 쌍의 가열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구이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구이챔버(20)에는 꼬치장착부재(70)에 장착된 생선(1)의 사이즈에 따라 꼬치장착부재(70) 또는 가열부재(80)를 위치이동시키는 위치이동수단(90,1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구이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구이챔버(20)의 전후단에는 각각 양 측면에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43)가 형성된 한 쌍의 측벽부재(40)가 구비되고, 이 한 쌍의 측벽부재(40)의 상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힌지축(46)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투명개폐창문(50)은 측벽부재(40)의 경사부(43)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투명개폐창문(50)의 양단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선단이 상기 힌지축(4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바(5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구이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구이챔버(2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프레임(60)이 더 구비되고, 이 지지프레임(60)의 하단에는 본체(10)를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바퀴(63)와, 지지프레임(60)의 하단에서 승강되어 지지프레임(60)을 위치 고정시키는 승강고정볼트(6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구이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꼬챙이(2)에 의해 세워진 생선(1)의 양측에 가열부재(80)가 구비되어, 생선(1)의 양면이 동시에 가열되므로 생선(1)을 뒤집어줄 필요가 없어 편리하며 굽는시간이 단축되어 대량의 생선(1)을 신속하게 구울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수요자가 몰리는 산천어축제 등의 페스티벌에서 수요자들의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투명개폐창문(50)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직화로 구울 수 있어 생선(1)이 까맣게 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알루미늄호일로 구울 때 발생되는 독성물질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인체유해성이 없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생선(1)의 사이즈에 따라 가열부재(80)를 적절히 위치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생선(1)을 까맣게 태우지 않고 덜 익지도 않은 보다 알맞은 상태로 구울 있다. 한편, 구이챔버(20)의 측벽(40)에 경사부(43)가 형성되고 투명개폐창문(50)이 경사부(43)를 따라 형성되므로, 구이챔버(20)의 공간이 보다 축소되어 열효율이 향상되고 내부의 연기는 신속히 배출되면서도 내부의 열은 장시간 잔류되며 생선(1)이 구비된 하측으로 집중되어 생선(1)이 더욱 신속하게 구워지게 된다. 또한 투명개폐창문(50)의 상하 회동반경이 줄어 생선구이기 본체(10) 측방으로 덜 돌출되므로 주변공간의 활용성이 우수하고 좁은 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어 설치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체(10) 하단에 바퀴(63)가 장착되어 운반이 용이하며 승강조절볼트(64)를 통해 본체(10)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생선구이기는 작업자가 많이 필요 없이도 대량의 생선(1)을 충분히 구울 수 있으므로 인건비가 절감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생선구이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구이챔버 내부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투명개폐창문을 개방시켜 내부를 보인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요부의 평면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제1작동상태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제2작동상태도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측면도
도 8은 상기 실시예의 정면도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선구이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선구이기는 꼬챙이(2)가 생선(1)의 머리에서 꼬리를 관통하는 형태의 꼬치를 굽는 것으로, 구이챔버(20)를 포함하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구이챔버(20)의 중앙부 및 양 측방에 각각 구비된 꼬치장착부재(70) 및 가열부재(80)와, 이 꼬치장착부재(70) 또는 가열부재(8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90,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구이챔버(20) 및 지지프레임(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이챔버(20)는 직사각 테두리 형상의 베이스프레임(30)과, 이 베이스프레임(30)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비된 한 쌍의 측벽부재(4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30)의 폭방향 양단을 개폐하는 한 쌍의 투명개폐창문(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프레임(30)에는 폭방향 양단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바(31)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측벽부재(40)는 띠 형상의 금속판재를 절곡시켜 양단을 베이스프레임(30)의 폭방향 양단에 결합시킨 측벽프레임(41)과, 이 측벽프레임(41)의 일측면에 결합된 측판(45)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측벽프레임(41)은 베이스프레임(30)의 폭방향 양 단부에서 직립된 한 쌍의 수직부(42), 이 한 쌍의 수직부(42) 상단에서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근접되도록 경사진 한 쌍의 경사부(43)와, 이 한 쌍의 경사부(43)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부(44)로 이루어진다. 또한 수평부(44)에는 상기 투명개폐창문(50) 개방시 임의적으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핀(47)이 삽입되는 핀결합관(48)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이나 팔 등 신체일부가 끼이는 것이 방지되므로 안전성이 향상된다.
한편, 측판(45)은 상기와 같이 절곡된 측벽프레임(41)의 폭방향 일측면에 결합되는데, 측벽프레임(4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측판(45)에는 구이챔버(20)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측판(45)의 상단 중앙부에는 상기 투명개폐창문(5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46)이 형성되며, 이 힌지축(46)은 각 측벽부재(40)의 측판(45)의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측벽프레임(41)이 한 쌍의 측벽부재(40) 사이에 더 구비되어 상기 투명개폐창문(50)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투명개폐창문(50)은 투명창(51)과, 이 투명창(51)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틀(52)로 이루어져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재(40) 사이 즉, 경사부(43)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구이챔버(20)의 양 측면을 개폐한다. 이에 따라, 도 7과 같이 투명개폐창문(50)의 회동반경이 작아지므로 즉, 투명개폐창문(50) 회동시 본체(10) 측방으로 덜 돌출되므로, 주변의 공간활용도가 우수하다. 그리고 도 1 및 도 5와 같이 본체(10)의 측벽부재(40)의 수평부(44)는 투명개폐창문(50)에 의해 폐쇄되지 않아서 구이챔버(20)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배출하는 연개배출구(49)를 형성한다.
한편, 이와 같은 각 투명개폐창문(50)의 양단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각 측벽부재(40)의 힌지축(4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바(53)가 구비되어, 한 쌍의 투명개폐창문(50)이 단일의 힌지축(46)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도 7과 같이 투명개폐창문(50) 개방시 사용자는 본체(10) 중앙부에 위치된 상기 꼬치장착부재(70)에 좀 더 가까워지므로, 생선(1)을 좀 더 편리하게 장착 및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투명개폐창문(50)의 틀(52)에는 손잡이(54)가 구비된다. 한편, 마주보는 측벽부재(40)의 수직부(42) 사이는 막음판(55)에 의해 커버된다.
그리고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60)은 구이챔버(2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으로, 베이스프레임(30)의 각 꼭지점에서 하향 연장된 수직바(61)와, 이 수직바(61)의 하단부들을 연결하는 수평바(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바(61) 상측부는 보강바(63)들에 의해 좀 더 견고하게 상호 결합된다. 한편, 도 1 및 도 7과 같이 보강바(63)에 의해 받쳐지며 생선(1)을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수용되는 기름받이(110)가 더 구비되며, 이 기름받이(110)는 본체(10)의 측방으로 슬라이드 인출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60)의 하단에는 바퀴(63) 및 승강고정볼트(64)가 구비된다. 즉, 지지프레임(60)의 수평바(62)의 하면에 본체(10)를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바퀴(63)가 구비되고, 수직바(61)의 하단에 작업자가 회전시킴으로써 승강되는 승강고정볼트(64)가 구비된다. 이때, 승강고정볼트(64)는 바퀴(63)의 하단보다 하측으로 하강가능하게 구성되어 본체(10)를 위치 고정시키는데, 승강고정볼트(64)에는 사용자가 승강고정볼트(64)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파지돌기(64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프레임(60)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65)이 구비되어, 사용자는 핸들(65)을 파지하고 본체(10)를 이동시킨다.
상기 꼬치장착부재(70)는 생선(1)을 관통한 꼬챙이(2)의 하단이 삽입되는 것으로, 소정두께의 금속띠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구이챔버(20)의 중앙부 즉, 베이스프레임(30)의 폭방향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된다.
한편, 꼬치장착부재(70)의 상면에는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홀(71)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며, 이 홀(71)의 상면 입구 둘레에는 입구로 수렴되는 형태의 오목면 또는 테이퍼면(72)이 형성되어 꼬챙이(2)를 좀 더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하면에는 꼬챙이(2)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관(73)이 하향 연장된다.
상기 한 쌍의 가열부재(80)는 꼬치장착부재(70)의 양 측방에 구비되며 전기나 가스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꼬치장착부재(70)에 장착된 생선(1)을 가열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열부재(80)는 가스버너인 것을 예시하였고 본체(10)의 지지프레임(60)에 도시안된 가스통 및 가열부재(80)와 연결되는 가스배관(81) 및 밸브(82)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 꼬치장착부재(70)의 양측에 구비된 각 가열부재(80)가 두 개로 분리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수단(90,100)은 꼬치장착부재(70) 및/또는 가열부재(80)를 위치이동시키는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꼬치장착부재(70)를 위치이동시키는 제1위치이동수단(90) 및 가열부재(80)를 위치이동시키는 제2위치이동수단(100)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제1위치이동수단(90)은 본체(10)의 베이스프레임(30)의 길이방향 양단에 직립되며 면상에는 상하로 긴 위치조절공(92)이 형성된 한 쌍의 수직설치바(91)와, 이 각 수직설치바(91)의 위치조절공(92)을 관통하여 꼬치장착부재(70)에 결합되는 볼트(93)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꼬치장착부재(70)를 승강시켜 볼트(93)를 이용하여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꼬치장착부재(70)가 승강된다.
그리고 제2위치이동수단(100)은 띠 형상의 금속판을 L자 형상으로 절곡 시킨 것으로 각 면상에는 수직장공(102) 및 수평장공(103)이 각각 형성된 가이드부재(101)와, 이 가이드부재(101)의 수직장공(102) 및 수평장공(103)을 각각 관통하여 가열부재(80)에 결합된 수평볼트(104) 및 수직볼트(105)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평볼트(104)를 풀거나 조여줌에 따라 가열부재(80)가 가이드부재(101)에 근접되거나 멀어져서 수평이동되고, 가열부재(80)를 승강시켜 수평볼트(104)를 이용하여 임의의 위치 고정시킴으로써 가열부재(80)가 승강된다. 또한 가이드부재(101)의 수평장공(103)은 본체(10)의 구이챔버(20)의 연결바(31)에 수직볼트(105)에 의해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가열부재(80)는 제2위치이동수단(100)에 의해 승강 및 수평이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선구이기는 투명개폐창문(50)을 개방시키고 생선(1)을 관통한 꼬챙이(2)의 하단을 꼬치장착부재(70)의 각 홀(71)에 삽입한다. 이때, 꼬챙이(2)는 생선(1)의 머리와 꼬리를 모두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머리쪽으로 돌출된 꼬챙이(2) 하단이 구이기에 장착되고 사용자는 꼬리쪽으로 돌출된 꼬챙이(2) 상단을 잡고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선(1)의 사이즈에 따라 위치이동수단(90,100)을 이용하여 꼬치장착부재(70) 또는 가열부재(80)를 위치이동시킨다. 즉, 생선(1)의 사이즈가 큰 경우 가열부재(80)를 생선(1)의 몸통부에 위치되도록 상승시키고, 가열부재(80)가 생선(1)과 너무 근접된 상태이므로 가열부재(80)를 후퇴시킨다. 또한 생선(1)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로 위치조절한다.
그런 후, 투명개폐창문(50)을 닫고 가열부재(80)를 작동시키면 생선(1)의 양면이 동시에 가열된다. 이에 따라, 생선(1)을 뒤집어줄 필요가 없어 편리하며 시간이 단축된다. 더욱이, 도 5 및 도 6과 같이, 구이챔버(20)의 양 측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이므로, 구이챔버(20)의 내부열이 생선(1)이 위치된 하측으로 집중되어 생선(1)을 집중적으로 가열하기 때문에 가열시간이 더욱 단축된다.
그리고 생선(1)의 머리가 하측을 향하도록 세운 상태로 굽기 때문에 생선(1)을 구울 때 생선(1)의 표면 뿐 아니라 내부에서 발생되는 기름도 배출되어 구워진 생선(1)은 더욱 담백해 진다. 또한 수요자가 대량의 생선(1)이 한꺼번에 구워지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는 재미와 더불어 신속하게 구워지므로 수요자는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욕구가 충족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많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위치이동수단(90,100)이 장공과 볼트 형태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랙과 피니언 등의 기어나 실린더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생선 10 : 본체
20 : 구이챔버 30 : 베이스프레임
40 : 측벽부재 50 : 투명개폐창문
60 : 지지프레임 70 : 꼬치장착부재
80 : 가열부재 90,100 : 위치이동수단

Claims (4)

  1. 양 측면에 구비된 한 쌍의 투명개폐창문(50)에 의해 개폐되는 구이챔버(20)를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구이챔버(20)의 중앙부에 투명개폐창문(50)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면에는 생선(1)을 수직관통한 꼬챙이(2)의 하단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홀(71)이 이격 형성된 꼬치장착부재(70); 및
    상기 본체(10)의 구이챔버(20)에 구비되며 상기 꼬치장착부재(70)를 중심으로 대향 배치되어 생선(1)의 양면을 가열하는 한 쌍의 가열부재(8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의 구이챔버(20)의 전후단에는 각각 양 측면에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43)가 형성된 한 쌍의 측벽부재(40)가 구비되고, 이 한 쌍의 측벽부재(40)의 상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힌지축(46)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투명개폐창문(50)은 측벽부재(40)의 경사부(43)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투명개폐창문(50)의 양단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선단이 상기 힌지축(4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바(5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구이챔버(20)에는 꼬치장착부재(70)에 장착된 생선(1)의 사이즈에 따라 꼬치장착부재(70) 또는 가열부재(80)를 위치이동시키는 위치이동수단(90,1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구이기.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구이챔버(2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프레임(60)이 더 구비되고, 이 지지프레임(60)의 하단에는 본체(10)를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바퀴(63)와, 지지프레임(60)의 하단에서 승강되어 지지프레임(60)을 위치 고정시키는 승강고정볼트(6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구이기.
KR2020150006737U 2015-10-15 2015-10-15 생선구이기 KR2004821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737U KR200482125Y1 (ko) 2015-10-15 2015-10-15 생선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737U KR200482125Y1 (ko) 2015-10-15 2015-10-15 생선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125Y1 true KR200482125Y1 (ko) 2016-12-16

Family

ID=5770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737U KR200482125Y1 (ko) 2015-10-15 2015-10-15 생선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1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45754A (zh) * 2018-08-14 2018-12-07 衡东县美中餐腐乳制品有限责任公司 一种油辣鱼储存设备
KR20200065650A (ko) * 2018-11-30 2020-06-09 이철호 바비큐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725A (ja) * 1989-10-16 1991-06-04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
KR19990022394U (ko) * 1999-02-10 1999-07-05 장기조 즉석미니피자구이판매용박스형피자하우스
KR200307359Y1 (ko) 2002-12-10 2003-03-15 김영남 생선용 구이기
KR200412388Y1 (ko) * 2006-01-06 2006-03-27 최영섭 테이블용 회전식 고기구이장치
KR20090009912U (ko) * 2008-03-27 2009-10-01 김향금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고기구이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725A (ja) * 1989-10-16 1991-06-04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
KR19990022394U (ko) * 1999-02-10 1999-07-05 장기조 즉석미니피자구이판매용박스형피자하우스
KR200307359Y1 (ko) 2002-12-10 2003-03-15 김영남 생선용 구이기
KR200412388Y1 (ko) * 2006-01-06 2006-03-27 최영섭 테이블용 회전식 고기구이장치
KR20090009912U (ko) * 2008-03-27 2009-10-01 김향금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고기구이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45754A (zh) * 2018-08-14 2018-12-07 衡东县美中餐腐乳制品有限责任公司 一种油辣鱼储存设备
KR20200065650A (ko) * 2018-11-30 2020-06-09 이철호 바비큐 장치
KR102173460B1 (ko) * 2018-11-30 2020-11-03 이철호 바비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39166T3 (es) Aparato de cocción
CN107635441B (zh) 烧烤装置和烧烤设备
CN102378591B (zh) 移动烤肉炉
US4788906A (en) Grill
KR200482125Y1 (ko) 생선구이기
EP0621000B1 (fr) Appareil de cuisson à plaque de cuisson pourvue d'ouvertures
EP2114220B1 (fr) Appareil de cuisson du type gril a gaz
FR3066885A1 (fr) Four d'exterieur a entree des flammes dans l'enceinte de cuisson
KR102239775B1 (ko) 야외용 조립식 구이기
KR102113271B1 (ko)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KR20100118738A (ko) 숯불 화로
KR101719614B1 (ko) 구이용 장치
KR20150039035A (ko) 차 덖음장치
KR101009173B1 (ko) 로스터
KR20170024723A (ko) 고강도 가스통을 재활용한 타지 않는 간접화 바비큐 장치
CN106724923B (zh) 炭火烧烤架
KR100984432B1 (ko) 로스터
FR2812529A1 (fr) Gril au charbon de bois
KR200359493Y1 (ko) 숯불구이장치
KR20090055936A (ko) 고기불판을 가지는 보일러
KR19980065176U (ko) 구이판 및 상기 구이판을 가지는 다목적 구이기
CN214678672U (zh) 一种气、炭两用烧烤炉
CN111076219B (zh) 组合式多功能节能炉
KR200353923Y1 (ko) 육류구이기의 숯불수납용기 승강장치
KR200358153Y1 (ko) 이동용 황토숯가마 순간 고기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