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092Y1 - 매너 기능을 가진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매너 기능을 가진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092Y1
KR200482092Y1 KR2020160004697U KR20160004697U KR200482092Y1 KR 200482092 Y1 KR200482092 Y1 KR 200482092Y1 KR 2020160004697 U KR2020160004697 U KR 2020160004697U KR 20160004697 U KR20160004697 U KR 20160004697U KR 200482092 Y1 KR200482092 Y1 KR 200482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light
emergency
turn signal
light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태
Original Assignee
정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태 filed Critical 정영태
Priority to KR2020160004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0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092Y1/ko
Priority to CN201720953605.1U priority patent/CN207078057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60Q1/0082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본 고안은 비상 상태임을 알리는 비상등이 점멸되는 횟수인 비상등 점멸횟수를 운전자로부터 설정받는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 방향지시등의 조작 명령을 운전자로부터 입력받는 조작 레버로서, 상기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가 마련된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 및 상기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의 조작에 따른 방향지시등의 동작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방향지시등의 점멸이 종료된 후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를 통해 설정된 비상등 점멸횟수만큼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너 기능을 가진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Apparatus for handling turn signal lamp with manner function}
본 고안은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로서, 차량 주행중에 뒤차량의 양보에 고마움을 표시해주는 비상등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자주 뜨는 기사 보도에 따르면, 자동차 보복운전이라는 기사를 자주 접하게 되는데 이는 자동차의 앞지르기, 급정거, 급 차선변경, 끼어들기 등에 있어서 주로 갑자기 급히 끼어드는 자동차에 있어서는 여간 불쾌하지 않았다.
그러나 앞차의 비상등의 점멸(깜박이) 하나면 어느 정도 마음을 누그러뜨릴 수 있지만, 그러하지 않을 경우 뒷차는 심히 불쾌함을 느끼고 이에 생각지 않는 끔찍한 행동을 함으로써, 교통사고 등 안전에 많은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물론 기존의 비상등 조작도 있지만 좌측 핸들의 경우, 좌측손으로 방향 지시등 조작 지시와 동시에 오른손으로 핸들을 잡고 있을 시에 다시 오른손으로 이내 비상등 조작은 쉽지 않은 동작으로 점멸 순번까지 생각해 온(ON), 오프(OFF)하는 동작은 쉽지 않은 동작이어서, 운전자 불편이 있다.
또한 비상등은, 그 점등방법이 수동식으로 운전자가 직접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등 점등 스위치를 작동시켜야만 점등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속주행시나 안개등으로 인하여 시야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에 운전자의 신속한 대응동작을 요구함으로써 운전자를 피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신속하게 비상등 점등 스위치를 켜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한국등록특허 10-1536677호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이 끼어들고 나서 상대방에게 미안하다는 표시를 아주 편리하고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비상 상태임을 알리는 비상등이 점멸되는 횟수인 비상등 점멸횟수를 운전자로부터 설정받는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 방향지시등의 조작 명령을 운전자로부터 입력받는 조작 레버로서, 상기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가 마련된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 및 상기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의 조작에 따른 방향지시등의 동작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방향지시등의 점멸이 종료된 후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를 통해 설정된 비상등 점멸횟수만큼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는,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요청없이도 비상등의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상등 자동모드,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비상등의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상등 수동모드를 선택받는 비상등 동작모드 선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는, 상기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요청을 입력받는 매너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제어유닛은, 상기 비상등 자동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매너 스위치를 통한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요청없이도, 상기 방향지시등의 점멸이 종료된 후 상기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를 통해 설정된 비상등 점멸횟수만큼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비상등 수동모드가 선택되고 아울러 상기 매너 스위치를 통한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방향지시등의 점멸이 종료된 후 상기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를 통해 설정된 비상등 점멸횟수만큼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제어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는 점멸횟수를 선택받는 다이얼 조작 버튼으로 구현되며, 비상등 동작모드 선택 버튼 및 매너 스위치은 푸쉬 토글형 조작 버튼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매너 기능을 가진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를 제공해줌으로써, 차량이 끼어들고 나서 상대방에게 미안하다는 표시를 아주 편리하고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대 차량에 미안하다는 표시를 함에 있어서 좌우의 운전자 손이 자유로워 차량 운전에 편리하고 특히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매너 기능을 가진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매너 기능을 가진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비상등 자동모드로 비상등 점멸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비상등 수동모드가 선택되고 아울러 매너 스위치이 눌리어진 경우 비상등 점멸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본 고안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매너 기능을 가진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매너 기능을 가진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비상등 자동모드로 비상등 점멸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비상등 수동모드가 선택되고 아울러 매너 스위치이 눌리어진 경우 비상등 점멸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자동차가 주행중에는 시계확보를 위한 등화장치와, 신호, 표식을 나타내기 위한 등화장치가 필요하다.
상기한 시계확보를 등화장치로서는 전조등, 안개등, 실내등, 후진등 등이 있고, 상기한 신호 표식을 위한 등화장치로서는 비상등, 방향 지시등, 미등, 번호등, 정지등 등이 있으며, 각각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규격에 맞는 제품을 의무적으로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비상등은 차량에 이상이 발생되었거나 비상상황이 발생된 경우에 뒷차에게 이를 알려주기 위한 등화장치이고, 상기한 방향 지시등은 주행중인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진행방향을 알려주기 위한 등화장치이다. 통상적으로 상기한 비상등은 황색의 깜박이등으로서 방향지시등과 겸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비상등이 방향지시등과 겸용되는 예를 설명하겠으나, 방향지시등과 별개로 비상등이 마련된 경우에도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120),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121), 및 차량제어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비상등 동작모드 선택 버튼(122), 및 매너 스위치(123)을 포함할 수 있다.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120)는, 방향지시등의 조작 명령을 운전자로부터 입력받는 조작 레버이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방향지시등은 자동차의 운행방향에 대한 정보를 상대방 자동차에게 알리는 운전자 및 자동차의 안전을 위한 필수적인 장비로서, 자동차용 방향 지시등의 제어는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운전대) 옆의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방향지시등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가능하며, 모든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는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120)에는, 비상 상태임을 알리는 비상등이 점멸되는 횟수(이하, '비상등 점멸횟수'라 함)를 운전자로부터 설정받는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121)가 마련된다.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121)는, 점멸횟수를 선택받는 다이얼 조작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121)의 옆에 '1','2','3','4' 등과 같은 점멸횟수를 표시해놓아, 단계별로 다이얼 돌리듯이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121)를 조작함으로써, 점멸횟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밖에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120)는, 다이얼 조작 버튼이 아니더라도 토글형 방식 등의 다양한 조작 버튼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점멸횟수란, 비상등이 온(ON)->오프(OFF)되는 점멸주기를 1사이클(cycle)로 가지는 횟수를 말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점멸횟수가 '1'이 선택된 경우, 비상등이 한번 점멸되도록 선택됨을 의미하며, 점멸횟수가 '2'가 선택된 경우, 비상등이 두번 점멸되도록 선택됨을 의미하며, 점멸횟수가 '3'이 선택된 경우, 비상등이 세번 점멸되도록 선택됨을 의미하며, 점멸횟수가 '4'가 선택된 경우, 비상등이 네번 점멸되도록 선택됨을 의미한다.
차량제어유닛(110)은, 차량의 운전제어, 부속품 제어 등을 수행하는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로서, 특히, 본 고안에서 차량제어유닛(110)은,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120)의 조작에 따른 방향지시등의 동작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방향지시등의 점멸이 종료된 후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121)를 통해 설정된 비상등 점멸횟수만큼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121)를 통해 점멸횟수가 '1'이 선택된 경우, 비상등이 "온(ON)->오프(OFF)"로서 1회 점멸되며,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121)를 통해 점멸횟수가 '2'가 선택된 경우, 비상등이 "온(ON)->오프(OFF)->온(ON)->오프(OFF)"로서 2회 점멸되며,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121)를 통해 점멸횟수가 '3'이 선택된 경우, 비상등이 "온(ON)->오프(OFF)->온(ON)->오프(OFF)->온(ON)->오프(OFF)"로서 3회 점멸되며,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121)를 통해 점멸횟수가 '4'가 선택된 경우, 비상등이 "온(ON)->오프(OFF)->온(ON)->오프(OFF)->온(ON)->오프(OFF)->온(ON)->오프(OFF)"로서 4회 점멸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방향지시등의 점멸이 종료된 후에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121)를 통해 설정된 비상등 점멸횟수만큼 비상등을 점멸시킴에 있어서, 비상등이 자동으로 점멸되도록 하는 비상등 자동모드와 운전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비상등의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상등 수동모드로 동작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120)는, 방향지시등의 동작이 종료된 후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요청없이도 비상등의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상등 자동모드, 또는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방향지시등의 동작이 종료된 후 비상등의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상등 수동모드를 선택받는 비상등 동작모드 선택 버튼(122)을 구비한다. 즉, 비상등 자동모드는,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요청이 없이도 방향지시등의 동작이 종료된 후 자동으로 비상등의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조작 모드이며, 비상등 수동모드는,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방향지시등의 동작이 종료된 후 비상등의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동조작 모드이다.
이러한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요청은, 별도의 매너 스위치(123)을 통해 입력받는다. 즉,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120)의 끝단에는,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요청을 입력받는 매너 스위치(123)가 구비된다.
상기의 비상등 동작모드 선택 버튼(122) 및 매너 스위치(123)는 푸쉬 토글형(push toggle type) 조작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비상등 동작모드 선택 버튼(122)이 한번 눌리어지면, 비상등 자동모드(AUTO)가 선택되며, 비상등 자동모드 상태에서 비상등 동작모드 선택 버튼(122)이 다시 한번 눌리어지면, 비상등 동작모드 선택 버튼(122)의 눌리어짐이 해제되어 비상등 수동모드(MANUAL)로 선택된다.
상술하면, 차량제어유닛(110)은, 비상등 자동모드가 선택된 경우, 매너 스위치(123)을 통한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요청없이도,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121)를 통해 설정된 비상등 점멸횟수만큼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즉,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상등 동작모드 선택 버튼(122)이 눌리어져 비상등 자동모드가 선택된 경우,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121)를 통해 설정된 비상등 점멸횟수만큼 자동으로 차량의 비상등이 점멸된다.
또한 차량제어유닛(110)은, 방향지시등의 동작이 종료된 후 비상등 자동모드로 동작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상등 동작모드 선택 버튼(122)이 눌리어져 비상등 자동모드(AUTO)가 선택된 상태에서 좌측 깜박이를 위해 방향지시등 레버가 아래 방향으로 조작된 경우,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깜박이가 켜지고, 그 후, 운전자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향지시등 레버를 복귀시켜 좌측 깜박이를 오프시키게 되면,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121)를 통해 설정된 비상등 점멸횟수만큼 자동으로 차량의 비상등이 점멸된다.
또한 차량제어유닛(11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상등 수동모드(MANUAL)가 선택된 경우, 좌/우 방향 지시등이 동작되어지는 동안에 매너 스위치(123)가 살짝 한번 눌리어지면, 비상등 점멸이 요청되어져 방향지시등 점멸이 끝나고 나면 이어서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121)에 의해 설정되어진 점멸횟수만큼 비상등이 점멸된다. 따라서 매너 스위치(123)는 평상시에는 비상등 동작모드 선택 버튼(122)에 관계없이, 눌러진 순간에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121)에 의해 설정된 점멸횟수만큼 비상등이 동작하게 된다.
결국, 비상등 동작모드 선택 버튼(122)이 자동모드(AUTO)일 때 방향지시등 작동 시에 아무 동작없이 지시등이 끝나면 비상등이 설정된 점멸횟수만큼 작동하고, 수동모드(MANUAL)일 때는 방향지시등 작동 중일 때 매너 스위치(123)을 누르면 방향 지시등이 끝나고 난 후 비상등이 설정된 점멸횟수만큼 작동한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10:차량제어유닛
120:방향지시등조작레버
121: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
122:비상등 동작모드 선택 버튼
123:매너 스위치

Claims (5)

  1. 비상 상태임을 알리는 비상등이 점멸되는 횟수인 비상등 점멸횟수를 운전자로부터 설정받는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
    방향지시등의 조작 명령을 운전자로부터 입력받는 조작 레버로서, 상기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가 마련된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 및
    상기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의 조작에 따른 방향지시등의 동작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방향지시등의 점멸이 종료된 후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를 통해 설정된 비상등 점멸횟수만큼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는,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요청 없이도 비상등의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상등 자동모드 또는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비상등의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상등 수동모드를 선택받는 비상등 동작모드 선택 버튼; 및
    상기 방향지시등 조작 레버의 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요청을 입력받는 매너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는 점멸횟수를 선택받는 다이얼 조작 버튼으로 구현되며, 상기 비상등 동작모드 선택 버튼 및 매너 스위치는 푸쉬 토글형 조작 버튼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너 기능을 가진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제어유닛은,
    상기 비상등 자동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매너 스위치를 통한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요청없이도, 상기 방향지시등의 점멸이 종료된 후 상기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를 통해 설정된 비상등 점멸횟수만큼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비상등 수동모드가 선택되고 아울러 상기 매너 스위치를 통한 운전자의 비상등 점멸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방향지시등의 점멸이 종료된 후 상기 비상등 점멸횟수 설정 스위치를 통해 설정된 비상등 점멸횟수만큼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제어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너 기능을 가진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
  5. 삭제
KR2020160004697U 2016-08-12 2016-08-12 매너 기능을 가진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 KR2004820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697U KR200482092Y1 (ko) 2016-08-12 2016-08-12 매너 기능을 가진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
CN201720953605.1U CN207078057U (zh) 2016-08-12 2017-08-02 具备礼貌功能的方向指示灯操作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697U KR200482092Y1 (ko) 2016-08-12 2016-08-12 매너 기능을 가진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092Y1 true KR200482092Y1 (ko) 2016-12-14

Family

ID=5757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697U KR200482092Y1 (ko) 2016-08-12 2016-08-12 매너 기능을 가진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2092Y1 (ko)
CN (1) CN207078057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637Y1 (ko) * 1999-11-02 2000-11-15 김종문 자동차용 자동 양보등 장치
KR20120058249A (ko) * 2010-11-29 2012-06-07 주식회사 케피코 방향지시등 자동점멸장치 및 그 자동점멸방법
KR101536677B1 (ko) 2014-02-25 2015-07-15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차량 추돌사고 예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637Y1 (ko) * 1999-11-02 2000-11-15 김종문 자동차용 자동 양보등 장치
KR20120058249A (ko) * 2010-11-29 2012-06-07 주식회사 케피코 방향지시등 자동점멸장치 및 그 자동점멸방법
KR101536677B1 (ko) 2014-02-25 2015-07-15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차량 추돌사고 예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7078057U (zh)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3533B1 (en) Signal U-turn
JP6918710B2 (ja) 非常方向灯
KR101823937B1 (ko) 차량 운행 안전성 확보 장치
KR200482341Y1 (ko) 급차선 변경 알림 기능을 가진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
KR200482092Y1 (ko) 매너 기능을 가진 방향지시등 조작 장치
KR101601718B1 (ko) 차량의 방향지시등 및 비상등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31345B1 (ko) 차량용 방향지시장치
KR101210675B1 (ko) 방향지시등 자동점멸장치 및 그 자동점멸방법
JP2011001038A (ja) 車両用方向指示装置
KR102584422B1 (ko) 비상등 작동 시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
KR200203637Y1 (ko) 자동차용 자동 양보등 장치
KR20060096248A (ko) 차량용 방향지시등 제어장치
KR101595555B1 (ko) 자동차용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17696B1 (ko) 자동차의 비상등과 전조등 자동점멸장치
KR100727350B1 (ko) 자동차의 비상등/방향지시등 제어방법
KR200388651Y1 (ko) 차량용 방향지시등 제어장치
JP4224114B2 (ja) 車両のウィンカー制御装置
JP3215978U (ja) 緊急停止表示装置
KR100394835B1 (ko) 차량의 비상등 방향지시 제어장치
KR200412581Y1 (ko) 차량의 비상등 제어장치
JP2016104622A (ja) 車両用ハザード装置
KR20230083449A (ko) 차량의 방향지시등 조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231241Y1 (ko) 터치타이머를 이용한 비상점멸등의 순간점등 및자동소등장치
KR20230036885A (ko) 자동차 라이트 점등 제어 방법
KR200231289Y1 (ko) 터치타이머를 이용한 비상점멸등의 순간점등 및자동소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