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025Y1 -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 - Google Patents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025Y1
KR200482025Y1 KR2020150000790U KR20150000790U KR200482025Y1 KR 200482025 Y1 KR200482025 Y1 KR 200482025Y1 KR 2020150000790 U KR2020150000790 U KR 2020150000790U KR 20150000790 U KR20150000790 U KR 20150000790U KR 200482025 Y1 KR200482025 Y1 KR 200482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upling
bracket
lamp uni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803U (ko
Inventor
김성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홍
Priority to KR2020150000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025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8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8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0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8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등기구유닛과 브라켓유닛을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는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는 브라켓유닛과, 등기구유닛과, 결합유닛을 포함한다. 브라켓유닛은 연결공이 관통 형성된 브라켓바닥과, 설치공간을 형성하도록 브라켓바닥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브라켓측벽을 포함한다. 등기구유닛은 연결공에 대응하여 결합공이 관통 형성된다. 결합유닛은 연결공과 결합공을 관통하면서 배치되고, 브라켓유닛에 등기구유닛을 결합 고정시킨다.
특히, 결합유닛은 연결공과 결합공을 관통하면서 배치되고 등기구유닛에 걸림 결합되는 결합본체 및 브라켓유닛이 고정되도록 결합본체에 결합되는 결합헤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등기구유닛은 모듈화되어 제1등기구유닛과 제2등기구유닛으로 구분되고, 브라켓유닛은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과, 브라켓고정유닛으로 구분되며, 제1등기구유닛은 제1브라켓에 접지되고, 제2등기구유닛은 제2브라켓에 접지되어 상기 제1 등기구유닛과 상기 제2 등기구유닛은 등전위로 접지된다.

Description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RACEWAY MODULE DEVICE FOR LIGHTING FIXTURE}
본 고안은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브라켓유닛과 등기구유닛이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됨으로써, 브라켓유닛과 등기구유닛의 설치가 간단해지고, 설치 시간을 단축시키며,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스웨이(Raceway)는 전기 배선을 위해 흔히 대형 건물의 주차장이나 기계실 등의 노출 천정에 설치되는 일종의 배선용 덕트를 의미한다. 이러한 레이스웨이는 바닥판이나 벽체 또는 천정 등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종래에는 레이스웨이의 하면에 설치되는 등기구의 간격에 맞추어 상기 레이스웨이 내부에 전기 배선을 하고, 상기 등기구를 설치한 다음, 결선하는 작업을 하였다. 이때, 각 단위 공사를 위하여 여러 단계의 현장 작업이 필요하므로, 설치 작업이 불편하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설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7104호(고안의 명칭: 등기구가 일체로 구비된 레이스웨이, 공고일: 2006년 1월 24일)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브라켓유닛과 등기구유닛이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됨으로써, 브라켓유닛과 등기구유닛의 설치가 간단해지고, 설치 시간을 단축시키며,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브라켓유닛에 개별의 등기구유닛을 모듈화시키고, 각각의 브라켓유닛에 개별의 등기구유닛들을 등전위로 접지시킴으로써, 등기구유닛의 전기적 안전성과 편리성, 신뢰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는 연결공이 관통 형성된 브라켓바닥과, 설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브라켓바닥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브라켓측벽을 포함하는 브라켓유닛; 상기 연결공에 대응하여 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등기구유닛; 및 상기 연결공과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면서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유닛에 상기 등기구유닛을 결합 고정시키는 결합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연결공과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면서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유닛과 상기 등기구유닛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결합되는 결합본체; 및 상기 브라켓유닛과 상기 등기구유닛 중 다른 하나가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본체에 결합되는 결합헤드;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본체는, 상기 연결공과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면서 배치되는 결합바디부; 상기 결합헤드가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바디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체결부; 상기 결합체결부의 일측에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결합바디부에 돌출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되는 결합후크부; 및 상기 결합체결부와 상기 결합후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바디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본체는, 상기 간격유지부로부터 상기 결합후크부를 향해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결합바디부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결합슬릿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결합슬릿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빗장;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빗장은, 상기 결합후크부가 삽입되는 후크안착부가 함몰 형성되는 빗장바디부; 상기 결합바디부가 삽입되는 바디삽입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빗장바디부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슬릿부에 끼움 결합되는 빗장날개부; 및 상기 빗장날개부에서 상기 바디삽입홈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빗장지지돌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는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브라켓유닛을 상호 연결 고정시키는 브라켓고정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유닛은, 상기 브라켓고정유닛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고정유닛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공간에 상기 결합체결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에 관통 형성된 상기 연결공과 상기 결합공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결합바디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헤드가 상기 결합바디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결합후크부가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에 관통 형성된 상기 연결공과 상기 결합공 중 다른 하나에 삽입되면서 걸림 결합됨에 따라 상기 등기구유닛은 상기 결합본체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는 상기 등기구유닛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배선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에는, 각각 상기 등기구유닛을 등전위로 접지시킨다.
여기서, 본 고안의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는 상기 브라켓유닛의 설치공간을 개폐하는 덮개유닛; 및 상기 브라켓유닛에서 상기 덮개유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브라켓유닛과 상기 덮개유닛을 일체로 감싸면서 지지하는 결합밴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는 상기 등기구유닛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배선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선유닛은, 전원이 인가되는 메인전력선; 상기 메인전력선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리셉터클; 상기 제1리셉터클과의 결합에 의해 상기 메인전력선과 인접한 다른 메인전력선이 상호 통전되도록 상기 메인전력선의 타측 단부 또는 인접한 다른 메인전력선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리셉터클; 상기 메인전력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분기유닛; 및 상기 전력분기유닛에 의해 상기 메인전력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등기구유닛에 접속되는 분기전력선;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선유닛은, 상기 제1리셉터클 또는 상기 제2리셉터클에 결합되는 메인접지선; 상기 메인접지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분기유닛; 및 상기 접지분기유닛에 의해 상기 메인접지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유닛과 상기 등기구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분기접지선;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에 따르면, 브라켓유닛과 등기구유닛이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됨으로써, 브라켓유닛과 등기구유닛의 설치가 간단해지고, 설치 시간을 단축시키며,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 전체를 분해하거나 재조립하지 않아도 되고, 이미 설치된 브라켓유닛에서 등기구유닛을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으며, 등기구유닛의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결합빗장의 결합 구조를 통해 결합후크부의 걸림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브라켓유닛과 등기구유닛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결합빗장의 세부 구성을 통해 결합후크부의 걸림 결합과 더불어 결합유닛에서 브라켓유닛 또는 등기구유닛을 안정되게 지탱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결합후크부의 걸림 결합 또는 결합빗장의 끼움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브라켓고정유닛을 통해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조립함으로써,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설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시공이 편리해지며, 설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브라켓유닛에서 설치공간에 배선유닛을 배치함으로써, 전원의 인가를 위한 배선의 노출을 방지하고,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에서 배선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브라켓유닛에서 설치공간에 배선유닛을 배치함에 있어서, 각각의 브라켓유닛에 개별의 등기구유닛을 모듈화시키고, 각각의 브라켓유닛에 개별의 등기구유닛들을 등전위로 접지시킴으로써, 등기구유닛의 전기적 안전성과 편리성, 신뢰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개별 등기구의 과열이나 오작동에 대응하여 해당 등기구를 선택하여 유지 보수할 수 있고, 과열이나 오작동된 등기구가 주변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 전체의 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배선유닛의 세부 구성에 따라 분기유닛을 사용하여 메인전력선에서 분기전력선을 연결함에 따라 전기적 연결 작업이 간단하고,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를 설치하거나 유지 보수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배선유닛의 세부 구성에 따라 접지를 위해 접지선을 별도로 연장하지 않아도 되고, 분기유닛을 사용하여 메인접지선에서 분기접지선을 연접시킴으로서 전기적 연결 작업이 간단하며,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를 설치하거나 유지 보수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브라켓유닛을 이용하여 등기구유닛을 간편하게 접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에서 결합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에서 브라켓유닛과 등기구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에서 브라켓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에서 브라켓유닛과 덮개유닛과 결합밴드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에서 배선유닛의 배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에서 분기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등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고안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에서 결합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에서 브라켓유닛과 등기구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에서 브라켓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에서 브라켓유닛과 덮개유닛과 결합밴드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에서 배선유닛의 배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에서 분기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는 브라켓유닛(100)과, 등기구유닛(200)과, 결합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유닛(100)은 브라켓바닥(101)과, 브라켓측벽(103)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바닥(101)에는 연결공(102)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측벽(103)은 설치공간(104)을 형성하도록 상기 브라켓바닥(101)의 양측에서 연장된다. 그러면, 상기 브라켓유닛(100)은 찬넬 형상을 갖는다.
상기 브라켓유닛(100)은 조임절곡부(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임절곡부(105)는 상기 브라켓측벽(103)에서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측벽(103)에서 상기 설치공간(104)으로 턱을 형성한다.
상기 브라켓유닛(100)은 개방부(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부(106)는 후술하는 고정돌기(144)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조임절곡부(105)에서 연장된다. 상기 조임절곡부(105)에 상기 개방부(106)가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브라켓측벽(103)의 단부에는 "ㄱ"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조임절곡부(105)와 상기 개방부(106)가 구비된다.
상기 개방부(106)는 후술하는 고정돌기(144)가 상기 조임절곡부(105)를 가압할 때, 후술하는 고정돌기(144)가 상기 조임절곡부(105)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브라켓유닛(100)은 제1브라켓(110)과, 제2브라켓(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브라켓(110)과 상기 제2브라켓(120)은 후술하는 브라켓고정유닛(130)을 매개로 상호 연결 고정된다. 특히, 상기 제1브라켓(110)은 후술하는 브라켓고정유닛(130)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고, 상기 제2브라켓(120)은 후술하는 브라켓고정유닛(130)의 타측에 연결 고정된다.
상기 제1브라켓(110)과 상기 제2브라켓(120)은 각각 상기 브라켓바닥(101)과, 상기 브라켓측벽(103)을 포함하고, 상기 조임절곡부(105)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방부(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기구유닛(200)은 상기 연결공(102)에 대응하여 결합공(20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등기구유닛(200)은 상기 결합유닛(300)을 매개로 상기 브라켓유닛(100)에 결합된다.
상기 등기구유닛(200)은 등기구프레임(201)과, 등기구(203)를 포함한다.
상기 등기구프레임(201)은 상기 연결공(102)에 대응하여 결합공(20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등기구프레임(201)은 상기 결합유닛(300)을 매개로 상기 브라켓바닥(101)에 결합된다.
상기 등기구(203)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것으로, 상기 등기구프레임(201)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등기구유닛(200)은 제1등기구유닛(210)과, 제2등기구유닛(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등기구유닛(210)은 상기 결합유닛(300)을 매개로 상기 제1브라켓(110)에 결합되고, 상기 제2등기구유닛(220)은 상기 결합유닛(300)을 매개로 상기 제2브라켓(120)에 결합된다. 상기 제1등기구유닛(210)과 상기 제2등기구유닛(220)은 각각 상기 등기구프레임(201)과, 상기 등기구(20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등기구유닛(210)과 상기 제2등기구유닛(220)은 그 결합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를 통해 상기 결합유닛(300)을 매개로 상기 브라켓유닛(1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유닛(300)은 상기 연결공(102)과 상기 결합공(202)을 관통하면서 배치된다. 상기 결합유닛(300)은 상기 브라켓유닛(100)에 상기 등기구유닛(200)을 결합 고정시킨다.
상기 결합유닛(300)은 결합본체(310)와, 결합헤드(32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본체(310)는 상기 연결공(102)과 상기 결합공(202)을 관통하면서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유닛(100)과 상기 등기구유닛(200)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결합된다.
상기 결합본체(310)는 결합바디부(311)와, 결합체결부(313)와, 결합후크부(315)와, 간격유지부(317)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바디부(311)는 상기 연결공(102)과 상기 결합공(202)을 관통하면서 배치된다. 상기 결합바디부(311)에는 후술하는 분기배선(450)이 통과되도록 관통공(31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체결부(313)는 상기 결합헤드(320)가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바디부(311)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일예로, 상기 결합체결부(313)는 상기 결합바디부(311)의 일측 단부 영역에서 외주면을 따라 나선을 형성하도록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된다.
상기 결합후크부(315)는 상기 결합체결부(313)의 일측에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결합바디부(311)에 돌출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된다. 일예로, 상기 결합후크부(315)는 상기 결합바디부(311)의 타측에서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결합바디부(311)의 내부로 삽입되었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귀된다.
상기 간격유지부(317)는 상기 결합체결부(313)와 상기 결합후크부(315)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간격유지부(317)는 상기 결합바디부(311)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유닛(300)이 상기 브라켓유닛(100)과 상기 등기구유닛(200)을 상호 결합시킬 때, 상기 간격유지부(317)는 상기 브라켓바닥(101)과 상기 등기구프레임(201)이 상호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브라켓바닥(101)과 상기 등기구프레임(201) 사이에서 절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결합본체(310)는 결합슬릿부(3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슬릿부(319)는 상기 간격유지부(317)로부터 상기 결합후크부(315)를 향해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결합슬릿부(319)는 상기 결합바디부(311)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릿부(319)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결합바디부(31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결합후크부(315)의 자유단부가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결합헤드(320)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유닛(100)과 상기 등기구유닛(200) 중 다른 하나가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본체(310)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헤드(320)에는 상기 결합본체(31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해 헤드체결부(321)가 구비된다.
상기 헤드체결부(321)는 상기 결합체결부(313)가 구비된 상기 결합바디부(311)가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헤드(320)의 내주면에 나선을 형성하도록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된다. 상기 결합헤드(320)는 회전하면서 상기 결합체결부(313)와 상기 헤드체결부(321)가 맞물림에 따라 상기 결합헤드(320)가 상기 결합본체(310)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결합유닛(300)은 결합빗장(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빗장(330)은 상기 결합슬릿부(319)에 끼움 결합된다. 상기 결합빗장(330)은 상기 결합바디부(311)를 감싸면서 상기 결합슬릿부(319)에 끼움 결합된다.
상기 결합빗장(330)은 빗장바디부(331)와, 빗장날개부(333)와, 빗장지지돌부(335)를 포함한다.
상기 빗장바디부(331)에는 상기 결합후크부(315)가 삽입되는 후크안착부(332)가 함몰 형성된다. 또한, 상기 빗장바디부(331)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빗장날개부(333)는 상기 빗장바디부(331)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돌출된다. 상기 빗장날개부(333)는 상기 결합슬릿부(319)에 끼움 결합된다. 상기 빗장날개부(333)에 의해 상기 결합빗장(330)에는 상기 결합바디부(311)가 삽입되는 바디삽입홈(334)이 형성된다.
상기 빗장지지돌부(335)는 상기 빗장날개부(333)에서 상기 바디삽입홈(334)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빗장날개부(333)의 끼움 결합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바디부(311)가 상기 바디삽입홈(334)에 삽입되고, 상기 빗장지지돌부(335)는 상기 결합슬릿부(319)를 통과하여 상기 결합바디부(311)에 걸림 결합된다.
상기 결합유닛(300)은 유동방지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헤드(320)가 상기 브라켓유닛(100) 측에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유동방지부(340)는 상기 결합헤드(320)를 상기 브라켓유닛(100)에 고정시킨다.
상기 유동방지부(340)는 유동방지홈부(341)와, 유동방지돌부(343)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방지홈부(341)는 상기 결합헤드(320)와 상기 브라켓유닛(100) 중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돌부(343)는 상기 결합헤드(320)와 상기 브라켓유닛(100)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결합헤드(320)가 상기 브라켓유닛(100)에 밀착될 때, 상기 유동방지돌부(343)는 상기 유동방지홈부(341)에 끼움 결합된다.
반대로, 상기 결합헤드(320)가 상기 등기구유닛(200) 측에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유동방지부(340)는 상기 결합헤드(320)를 상기 등기구유닛(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설치공간(104)에 상기 결합체결부(313)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120)에 각각 관통 형성된 상기 연결공(102)에 상기 결합바디부(311)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헤드(320)가 상기 결합바디부(311)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브라켓(110)과 상기 제2브라켓(120)에 각각 상기 결합본체(310)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결합후크부(315)가 상기 결합공(202)에 삽입되면서 걸림 결합됨에 따라 상기 등기구유닛(200)은 상기 결합본체(310)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된다.
반대로, 상기 등기구프레임(201)의 내측에 상기 결합체결부(313)가 노출되도록 상기 결합공(202)에 상기 결합바디부(311)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헤드(320)가 상기 결합바디부(311)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등기구프레임(201)에 상기 결합본체(310)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결합후크부(315)가 상기 제1브라켓(110)과 상기 제2브라켓(120)에 각각 관통 형성된 상기 연결공(102)에 삽입되면서 걸림 결합됨에 따라 상기 등기구유닛(200)은 상기 결합본체(310)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는 브라켓고정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고정유닛(130)은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브라켓유닛(100)을 상호 연결 고정시킨다. 특히, 상기 브라켓고정유닛(130)의 일측에는 상기 제1브라켓(110)이 연결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고정유닛(130)의 타측에는 상기 제2브라켓(120)이 연결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고정유닛(130)은 고정브라켓(140)과, 고정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라켓(140)은 일측이 상기 제1브라켓(110)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브라켓(120)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40)은 고정바닥(141)과, 고정측벽(14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바닥(141)에는 상기 고정부재(150)의 나사 결합을 위한 고정공(142)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측벽(143)은 상기 브라켓측벽(103)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바닥(141)의 양측에서 연장된다. 상기 고정측벽(143)의 단부에는 고정돌기(144)가 돌출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고정브라켓(140)은 상기 브라켓유닛(100)에 대응하여 찬넬 형상을 갖는다.
상기 고정부재(150)는 상기 고정공(142)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브라켓바닥(101)을 가압한다. 상기 고정부재(150)는 가압부재(151)와, 홀더부재(152)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재(151)는 상기 브라켓바닥(101)을 가압하도록 상기 고정공(142)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상기 홀더부재(152)는 상기 가압부재(151)의 유동을 억제하도록 상기 가압부재(151)를 감싸 지지한다. 상기 홀더부재(152)는 상기 가압부재(151)와 상기 고정공(142)의 나사 결합에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는 덮개유닛(160)과, 결합밴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유닛(160)은 상기 브라켓유닛(100)에서 상기 설치공간(104)을 개폐한다. 상기 덮개유닛(160)에는 상기 브라켓측벽(103)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 지지하는 덮개날개부(16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밴드(170)는 상기 브라켓유닛(100)에서 상기 덮개유닛(160)을 지지하도록 상기 브라켓유닛(100)과 상기 덮개유닛(160)을 일체로 감싸면서 지지한다. 상기 결합밴드(170)는 탄성을 갖는 찬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걸림 결합을 위해 단부가 구부러져 있다.
상기 결합밴드(170)는 상기 브라켓유닛(100)과 상기 덮개유닛(160)을 일체로 감싼 상태에서 단부가 상기 브라켓유닛(100)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상기 브라켓유닛(100)에서 상기 덮개유닛(160)을 지지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밴드(170)는 상기 브라켓유닛(100)과 상기 덮개유닛(160)을 일체로 감싼 상태에서 단부가 상기 덮개유닛(160)에 걸림 결합되기도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는 배선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유닛(400)은 상기 등기구유닛(20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설치공간(104)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브라켓(110)과 상기 제2브라켓(120)에는 각각 상기 등기구유닛(200)을 접지시킬 수 있다.
상기 배선유닛(400)은 전기적 연결을 위한 메인배선(410)과, 상기 메인배선(4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리셉터클(420)과, 상기 메인배선(410)과 인접한 다른 메인배선(410)이 상호 통전되도록 상기 제1리셉터클(420)과 결합되는 제2리셉터클(430)과, 상기 메인배선(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분기유닛(440)과, 상기 분기유닛(440)에 의해 상기 메인배선(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분기배선(45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배선(410)은 전원이 인가되는 메인전력선(411)과, 접지를 위해 상기 제1리셉터클(420) 또는 상기 제2리셉터클(430)에 결합되는 메인접지선(413)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배선(410)은 상기 메인전력선(411)의 개수에 따라 단상 2선식으로 상기 등기구유닛(200)에 전원을 인가하기도 하고, 단상 3선식으로 상기 등기구유닛(200)에 전원을 인가하기도 하며, 3상 3선식으로 상기 등기구유닛(200)에 전원을 인가하기도 하고, 3상 4선식으로 상기 등기구유닛(20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배선(410)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메인전력선(411)을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분기배선(450)은 상기 메인전력선(4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분기전력선(451)과, 상기 메인접지선(4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분기접지선(453)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기전력선(451)은 상기 등기구유닛(200), 좀더 자세하게, 상기 등기구(20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분기접지선(453)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브라켓유닛(100), 즉, 상기 제1브라켓(110) 또는 상기 제2브라켓(120)에 접속되고, 상기 분기접지선(453)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등기구유닛(200), 좀더 자세하게, 상기 등기구(20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리셉터클(430)은 상기 메인배선(410)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거나 인접한 다른 메인배선(410)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분기유닛(440)은 상기 메인전력선(4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분기유닛(441)과, 상기 메인접지선(4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분기유닛(443)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분기유닛(440)은 분기본체(461)와, 분기도체(465)와, 분기덮개(466)를 포함한다.
상기 분기본체(461)는 상기 메인배선(410)과 상기 분기배선(450)이 끼움 결합된다. 상기 분기본체(461)에는 상기 메인배선(410)이 끼움 결합되는 메인삽입부(462)와, 상기 분기배선(450)이 끼움 결합되는 분기삽입부(46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분기본체(461)에는 상기 메인삽입부(462)의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메인삽입부(462)와 연통되는 끼움슬릿부(46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끼움슬릿부(464)의 구성에 따라 상기 메인배선(410)에 상기 제1리셉터클(420)과 상기 제2리셉터클(430)이 모두 결합되더라도 상기 메인배선(410)을 절단하지 않고, 상기 메인삽입부(462)에 상기 메인배선(410)을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분기도체(465)는 상기 메인삽입부(462)와 상기 분기삽입부(463)에 각각 끼움 결합된 상기 메인배선(410)과 상기 분기배선(4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분기도체(465)는 상기 분기본체(461)에 지지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메인삽입부(462)와 상기 분기삽입부(463)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메인배선(410)과 상기 분기배선(4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분기도체(465)는 상기 분기본체(461)에 압입됨에 따라 상기 메인배선(410)과 상기 분기배선(450)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분기덮개(466)는 분기절곡부(469)를 매개로 상기 분기본체(46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분기덮개(466)는 상기 분기도체(465)를 감싸 절연할 수 있다. 상기 분기덮개(466)는 상기 분기절곡부(469)를 매개로 상기 분기본체(46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기지지부(467)와, 상기 분기지지부(467)에 구비되는 분기걸림부(468)를 포함한다.
상기 분기지지부(467)는 상기 분기도체(465)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분기도체(465)가 상기 분기본체(46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분기도체(465)의 압입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분기걸림부(468)는 상기 분기본체(461)에 걸림 결합되어 상기 분기지지부(467)가 상기 분기도체(465)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분기절곡부(469)에는 접힘홈이 형성되어 상기 분기덮개(466)의 회동을 부드럽게 하고, 상기 분기덮개(466)가 상기 분기도체(465)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분기본체(461)와 상기 분기덮개(466) 사이의 들뜸 현상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배선유닛(400)은 상기 메인전력선(411)과, 상기 제1리셉터클(420)과, 상기 제2리셉터클(430)과, 상기 전력분기유닛(441)과, 상기 분기전력선(451)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접지선(413)과, 상기 접지분기유닛(443)과, 상기 분기접지선(4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의 조립 및 설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에 고정되는 앵커볼트(10)와 상기 앵커볼트(10)의 하단에 결합되는 행거(2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행거(20)에는 상기 브라켓유닛(100)이 안착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앵커볼트(10)와 상기 행거(2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상기 브라켓유닛(100)의 결합을 살펴보면, 상기 제1브라켓(110)과 상기 제2브라켓(120)이 상기 브라켓고정유닛(130)을 매개로 상호 결합 고정된다.
좀더 자세하게, 상기 고정브라켓(140)은 일측이 상기 제1브라켓(110)의 단부에 적층 안착되고, 타측이 상기 제2브라켓(120)의 단부에 적층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110) 측에 형성된 상기 고정공(142)과 상기 제2브라켓(120) 측에 형성된 상기 고정공(142)에 각각 상기 가압부재(151)가 나사 결합된다.
그러면, 상기 가압부재(151)의 단부가 상기 제1브라켓(110)의 브라켓바닥(101)과 상기 제2브라켓(120)의 브라켓바닥(101)을 각각 가압함에 따라 상기 브라켓바닥(101)에 대하여 상기 고정바닥(141)이 이격된다.
이때, 상기 고정측벽(143)의 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돌기(144)는 상기 조임절곡부(105)와 상기 개방부(106)에 의해 형성되는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절곡부(105)를 가압하면서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1브라켓(110)과 상기 제2브라켓(120)과 브라켓고정유닛(130)이 상호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설치공간(104)을 개폐하는 상기 덮개유닛(160)은 상기 브라켓유닛(10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덮개날개부(161)는 상기 브라켓유닛(100)의 단부를 감싸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결합밴드(170)가 상기 브라켓유닛(100)과 상기 덮개유닛(160)을 감싼 상태에서 단부가 상기 브라켓유닛(100) 또는 상기 덮개유닛(160)에 걸림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유닛(300)의 결합을 살펴보면, 상기 결합본체(310)의 일측은 상기 브라켓바닥(101)에 구비되는 상기 연결공(102)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본체(310)의 타측은 상기 등기구프레임(201)에 구비되는 상기 결합공(202)에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결합본체(310)와 상기 결합헤드(320)가 나사 결합됨은 물론 상기 결합후크부(315)의 걸림 결합에 따라 상기 결합유닛(300)을 매개로 상기 브라켓유닛(100)과 상기 등기구유닛(200)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빗장(330)을 상기 결합본체(310)에 추가로 결합하여 상기 결합후크부(315)를 통한 걸림 결합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상기 결합체결부(313)가 상기 설치공간(104)에 돌출되도록 상기 결합바디부(311)를 상기 연결공(102)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헤드(320)를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체결부(313)와 상기 헤드체결부(321)가 상호 맞물리게 되어 상기 결합바디부(311)에 상기 결합헤드(320)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결합헤드(320)와 상기 결합바디부(311)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유닛(300)이 상기 브라켓유닛(100)에 결합된다.
특히, 상기 결합헤드(320)와 상기 결합바디부(311)의 나사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유동방지돌부(343)가 상기 유동방지홈부(34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결합헤드(320)의 역회전을 저지하여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나사 결합 상태가 해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결합헤드(320)의 분리 작업시에는 상기 유동방지돌부(343)를 상기 유동방지홈부(341)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후크부(315)를 상기 결합공(202)에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결합후크부(315)는 상기 결합바디부(311)의 내부로 삽입되었다가 탄성에 의해 복원됨으로써, 상기 결합유닛(300)이 상기 등기구유닛(200)에 결합된다.
더불어 상기 결합빗장(330)에 구비되는 상기 바디삽입홈(334)에 상기 결합바디부(311)를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빗장날개부(333)와 상기 빗장지지돌부(335)는 상기 결합슬릿부(319)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빗장지지돌부(335)가 상기 결합슬릿부(319)에서 이탈하면서 상기 결합바디부(311)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후크안착부(332)에는 상기 결합후크부(315)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결합빗장(330)이 상기 결합바디부(311)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부(317)는 상기 결합바디부(311)에서 돌출되어 상기 브라켓유닛(100)과 상기 등기구유닛(20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브라켓유닛(100)과 상기 등기구유닛(200)을 상호 이격시키고, 상기 브라켓유닛(100)과 상기 등기구유닛(200) 사이를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유닛(300)은 상기 브라켓유닛(100)과 상기 등기구유닛(200)의 결합 뿐만 아니라 상기 관통공(312)을 통해 상기 분기배선(450)이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배선(410)과 상기 등기구(203)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결합바디부(311)는 상기 결합공(20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헤드(320)와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유닛(300)은 상기 등기구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결합바디부(311)는 상기 연결공(10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후크부(315)가 상기 브라켓바닥(101)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유닛(300)은 상기 브라켓유닛(1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유닛(400)의 결합을 살펴보면, 상기 배선유닛(400)은 상기 설치공간(104)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리셉터클(420)과 상기 제2리셉터클(430)이 상호 결합됨에 따라 상기 설치공간(104)에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메인배선(4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분기배선(450)이 연결된 상기 분기유닛(440)이 상기 메인배선(41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배선유닛(400)은 상기 제1브라켓(110)과 상기 제2브라켓(120)에 각각 모듈화되어 상기 설치공간(104)에 배치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상기 메인전력선(411)에는 개별 등기구유닛(200)과의 접속을 위해 상기 등기구유닛(200)에 대응하여 상기 분기전력선(451)이 연결된 상기 전력분기유닛(441)이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메인접지선(413)에는 개별 등기구유닛(200)과의 접속을 위해 상기 등기구유닛(200)에 대응하여 상기 분기접지선(453)이 연결된 상기 접지분기유닛(443)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메인접지선(413)에는 접지를 위해 상기 제1브라켓(110) 또는 상기 제2브라켓(120)에 대응하여 상기 분기접지선(453)이 연결된 상기 접지분기유닛(443)이 추가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분기유닛(440)에는 상기 끼움슬릿부(464)를 통해 상기 메인삽입부(462)에 상기 메인배선(410)이 삽입되고, 상기 분기삽입부(463)에 상기 분기배선(450)의 단부가 삽입된다. 특히, 상기 메인배선(41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메인배선(410)은 절단하지 않고서도 상기 끼움슬릿부(464)를 통해 상기 메인삽입부(462)에 삽입할 수 있고, 상기 메인배선(410)에서의 전기적 저항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기도체(465)를 가압하면, 상기 메인삽입부(462)와 상기 분기삽입부(463)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메인배선(410)과 상기 분기도체(465)와 상기 분기배선(450)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분기도체(465)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배선(410)의 일부와 상기 분기도체(465)의 단부에서 피복을 제거하여 전기적 접속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기절곡부(469)를 중심으로 상기 분기덮개(466)를 회동시키면, 상기 분기지지부(467)는 상기 분기도체(465)를 지지하면서 상기 분기걸림부(468)가 상기 분기본체(461)에 걸림 결합된다. 그러면, 상기 분기도체(465)의 가압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상기 분기도체(465) 주변을 절연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브라켓(110)에는 상기 결합유닛(300)을 매개로 상기 제1등기구유닛(210)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브라켓(120)에는 상기 결합유닛(300)을 매개로 상기 제1등기구유닛(220)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110)과 상기 제2브라켓(120)에는 각각 하나의 상기 메인접지선(413)에 두 개의 상기 분기접지선(453)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브라켓(110)에서 두 개 중 하나의 상기 분기접지선(453)은 상기 제1등기구유닛(210)에 연결되고, 두 개 중 다른 하나의 상기 분기접지선(453)은 상기 제1브라켓(110)에 접지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브라켓(120)에서 두 개 중 하나의 상기 분기접지선(453)은 상기 제2등기구유닛(220)에 연결되고, 두 개 중 다른 하나의 상기 분기접지선(453)은 상기 제2브라켓(120)에 접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브라켓(110)에는 상기 제1등기구유닛(210)이 접지되고, 상기 제2브라켓(120)에는 상기 제2등기구유닛(220)이 접지됨으로써, 개별의 등기구유닛(200)들을 상기 브라켓유닛(100)에 등전위로 접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유닛(100)과 상기 등기구유닛(200)이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브라켓유닛(100)과 상기 등기구유닛(200)의 조립이 간단해지고, 조립 시간을 단축시키며,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 전체를 분해하거나 재조립하지 않아도 되고, 이미 설치된 상기 브라켓유닛(100)에서 상기 등기구유닛(200)을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으며, 상기 등기구유닛(200)의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빗장(330)의 결합 구조를 통해 상기 결합후크부(315)의 걸림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브라켓유닛(100)과 상기 등기구유닛(200)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빗장(33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상기 결합후크부(315)의 걸림 결합과 더불어 상기 결합유닛(300)에서 상기브라켓유닛(100) 또는 상기 등기구유닛(200)을 안정되게 지탱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상기 결합후크부(315)의 걸림 결합 또는 상기 결합빗장(330)의 끼움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고정유닛(130)을 통해 상기 제1브라켓(110)과 상기 제2브라켓(120)을 조립함으로써, 상기 제1브라켓(110)과 상기 제2브라켓(120)의 조립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시공이 편리해지며,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유닛(100)에서 상기 설치공간(104)에 상기 배선유닛(400)을 배치함으로써, 전원의 인가를 위한 배선의 노출을 방지하고,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에서 배선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유닛(100)에서 상기 설치공간(104)에 상기 배선유닛(400)을 배치함에 있어서, 각각의 브라켓유닛(100)에 개별의 등기구유닛(200)을 하나씩 모듈화시키고, 각각의 브라켓유닛(100)에 개별의 등기구유닛(200)들을 등전위로 접지시킴으로써, 상기 등기구유닛(200)의전기적 안전성과 편리성, 신뢰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개별 등기구(203)의 과열이나 오작동에 대응하여 해당 등기구(203)를 선택하여 유지 보수할 수 있고, 과열이나 오작동된 등기구(203)가 주변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 전체의 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유닛(400)의 세부 구성에 따라 상기 분기유닛(440)을 사용하여 상기 메인전력선(411)에서 상기 분기전력선(451)을 연결함에 따라 전기적 연결 작업이 간단하고,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를 설치하거나 유지 보수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유닛(400)의 세부 구성에 따라 접지를 위해 접지선을 별도로 연장하지 않아도 되고, 상기 분기유닛(440)을 사용하여 상기 메인접지선(413)에서 상기 분기접지선(453)을 연결함에 따라 전기적 연결 작업이 간단하며,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를 설치하거나 유지 보수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상기 브라켓유닛(100)을 이용하여 상기 등기구유닛(200)을 간편하게 접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앵커볼트 20: 앵커 100: 브라켓유닛
101: 브라켓바닥 102: 연결공 103: 브라켓측벽
104: 설치공간 105: 조임절곡부 106: 개방부
110: 제1브라켓 120: 제2브라켓 130: 브라켓고정유닛
140: 고정브라켓 141: 고정바닥 142: 고정공
143: 고정측벽 144: 고정돌기 150: 고정부재
151: 가압부재 152: 홀더부재 160: 덮개유닛
161: 덮개날개부 170: 결합밴드 200: 등기구유닛
201: 등기구프레임 202: 결합공 203: 등기구
210: 제1등기구유닛 220: 제2등기구유닛 300: 결합유닛
310: 결합본체 311: 결합바디부 312: 관통공
313: 결합체결부 315: 결합후크부 317: 간격유지부
319: 결합슬릿부 320: 결합헤드 321: 헤드체결부
330: 결합빗장 331: 빗장바디부 332: 후크안착부
333: 빗장날개부 334: 바디삽입홈 335: 빗장지지돌부
340: 유동방지부 341: 유동방지홈부 343: 유동방지돌부
400: 배선유닛 410: 메인배선 411: 메인전력선
413: 메인접지선 420: 제1리셉터클 430: 제2리셉터클
440: 분기유닛 441: 전력분기유닛 443: 접지분기유닛
450: 분기배선 451: 분기전력선 453: 분기접지선
461: 분기본체 462: 메인삽입부 463: 분기삽입부
464: 끼움슬릿부 465: 분기도체 466: 분기덮개
467: 분기지지부 468: 분기걸림부 469: 분기절곡부

Claims (8)

  1. 연결공이 관통 형성된 브라켓바닥과, 설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브라켓바닥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브라켓측벽을 포함하는 브라켓유닛;
    상기 연결공에 대응하여 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등기구유닛; 및
    상기 연결공과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면서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유닛에 상기 등기구유닛을 결합 고정시키는 결합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연결공과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면서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유닛과 상기 등기구유닛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결합되는 결합본체; 및
    상기 브라켓유닛과 상기 등기구유닛 중 다른 하나가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본체에 결합되는 결합헤드;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본체는,
    상기 연결공과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면서 배치되는 결합바디부;
    상기 결합헤드가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바디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체결부;
    상기 결합체결부의 일측에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결합바디부에 돌출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되는 결합후크부;
    상기 결합체결부와 상기 결합후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바디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간격유지부; 및
    상기 간격유지부로부터 상기 결합후크부를 향해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결합바디부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결합슬릿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결합슬릿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빗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빗장은,
    상기 결합 슬릿부에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빗장바디부;
    상기 결합바디부가 삽입되는 바디삽입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빗장바디부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슬릿부에 끼움 결합되는 빗장날개부; 및
    상기 빗장날개부에서 상기 바디삽입홈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빗장지지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브라켓유닛을 상호 연결 고정시키는 브라켓고정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유닛은,
    상기 브라켓고정유닛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고정유닛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공간에 상기 결합체결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에 관통 형성된 상기 연결공과 상기 결합공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결합바디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헤드가 상기 결합바디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결합후크부가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에 관통 형성된 상기 연결공과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면서 걸림 결합됨에 따라 상기 등기구유닛은 상기 결합본체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유닛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배선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에는, 각각 상기 등기구유닛을 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유닛의 설치공간을 개폐하는 덮개유닛; 및
    상기 브라켓유닛에서 상기 덮개유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브라켓유닛과 상기 덮개유닛을 일체로 감싸면서 지지하는 결합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
  7. 제1항,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유닛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배선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선유닛은,
    전원이 인가되는 메인전력선;
    상기 메인전력선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리셉터클;
    상기 제1리셉터클과의 결합에 의해 상기 메인전력선과 인접한 다른 메인전력선이 상호 통전되도록 상기 메인전력선의 타측 단부 또는 인접한 다른 메인전력선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리셉터클;
    상기 메인전력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분기유닛; 및
    상기 전력분기유닛에 의해 상기 메인전력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등기구유닛에 접속되는 분기전력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유닛은,
    상기 제1리셉터클 또는 상기 제2리셉터클에 결합되는 메인접지선;
    상기 메인접지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분기유닛; 및
    상기 접지분기유닛에 의해 상기 메인접지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유닛과 상기 등기구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분기접지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
KR2020150000790U 2015-02-03 2015-02-03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 KR200482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790U KR200482025Y1 (ko) 2015-02-03 2015-02-03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790U KR200482025Y1 (ko) 2015-02-03 2015-02-03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803U KR20160002803U (ko) 2016-08-12
KR200482025Y1 true KR200482025Y1 (ko) 2016-12-09

Family

ID=5671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790U KR200482025Y1 (ko) 2015-02-03 2015-02-03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0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173B1 (ko) 2020-04-29 2020-10-28 주식회사 루테크 주차장용 레이스웨이의 내진 설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290B1 (ko) * 2020-06-03 2020-10-26 이종훈 안정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선상 유틸리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410Y1 (ko) * 2001-03-20 2001-10-08 상 택 임 탄성결합식 조명등 현수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104Y1 (ko) 2005-11-15 2006-01-24 주식회사 제일조명 등기구가 일체로 구비된 레이스웨이
KR200448343Y1 (ko) * 2007-09-06 2010-04-0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
KR101048020B1 (ko) * 2009-04-13 2011-07-13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 덕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410Y1 (ko) * 2001-03-20 2001-10-08 상 택 임 탄성결합식 조명등 현수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173B1 (ko) 2020-04-29 2020-10-28 주식회사 루테크 주차장용 레이스웨이의 내진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803U (ko) 2016-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5114B2 (en) Recessed lighting fixture and flexibly attached compact junction box
US7148420B1 (en) Electrical ceiling box for fixture support
KR101731680B1 (ko) 천정등 탈부착장치
US7261446B2 (en) Light assembly for a vehicle
US9735558B1 (en) Electrical cut-in floor box assembly
KR200482025Y1 (ko) 등기구용 레이스웨이 모듈 장치
KR200493089Y1 (ko) Smps의 결합 분리가 용이한 조명기구
US20170038037A1 (en) Led strip housing apparatus
KR20220074463A (ko) Led 다운라이트 장치
GB2457871A (en) Light fitting assembly with hinged terminal block
TWI417064B (zh) 傢俱(二)
PL113537U1 (en) Electric wiring junction box
KR101522389B1 (ko) 조명기구나 cctv 카메라 설치용 레이스웨이
JP6590279B2 (ja) 照明器具
JP6617409B2 (ja) 屋外用照明装置
JP5001881B2 (ja) ねじ式の端子台ユニット
ATE403963T1 (de) Elektrodose mit ring
KR200445607Y1 (ko) 통합수구의 배선기구 장착구조
KR20170002739U (ko) 전선 커넥터가 일체로 설치된 배선 박스용 커버
KR200485525Y1 (ko) 천장용 일체형 배선분기장치
JP6493824B2 (ja) 照明器具
JP3141338U (ja) 照明器具用配電具
JP6534575B2 (ja) 直管形ランプ及び照明装置
KR20220078112A (ko) Led 다운라이트 장치
JP6613574B2 (ja) 光源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