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680B1 - 천정등 탈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천정등 탈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680B1
KR101731680B1 KR1020140172557A KR20140172557A KR101731680B1 KR 101731680 B1 KR101731680 B1 KR 101731680B1 KR 1020140172557 A KR1020140172557 A KR 1020140172557A KR 20140172557 A KR20140172557 A KR 20140172557A KR 101731680 B1 KR101731680 B1 KR 101731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bracket
main body
rails
lower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7004A (ko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이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규 filed Critical 이영규
Priority to KR1020140172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68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7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06Electrical outlet box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 브라켓을 이용하여 천정등 본체를 탈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실내의 천정에 천정등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등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정면에 천정 브라켓을 고정하고 천정등 본체를 슬라이드 방식이나 압입 방식으로 천정 브라켓에 고정시키는 새로운 천정등 설치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천정등 본체를 천정에 설치 시 숙련된 작업자 뿐만 아니라 누구나 손쉽게 탈거하고 부착시킬 수 있는 한편, 천정면에 고정되는 천정등 브라켓과 천정등 본체에 있는 본체 브라켓 간의 결합 시 슬라이드/압입 접촉 방식으로 접속되는 전도체 레일을 적용한 새로운 천정등 접속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천정등 배선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배선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천정등 접속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천정등 탈부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정등 탈부착장치{Ceiling light Mounting and Separating Device}
본 발명은 천정등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 브라켓을 이용하여 천정등 본체를 탈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실내의 천정에 천정등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등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선출원하여 등록된 국내 등록특허 10-1252761호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의 인서트고정너트에 의한 체결커버 체결구조가 게재되어 있다.
상기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의 인서트고정너트에 의한 체결커버 체결구조는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의 인서트고정너트에 의한 체결커버 체결구조는 건물의 천정 또는 벽체에 마련되는 체결구에 체결되는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천정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이면에 일체형으로 돌출된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삽입되고 일자형, 3방향 방사형 또는 십자형의 베이스가 연결되는 인버터수용홈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돌부가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가이드돌부에 관통되어 노출되는 체결볼트에 나사 결합되고 너트 및 자석이 인서트된 인서트고정너트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선출원하여 등록된 국내 등록특허 10-1248152호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의 체결구조가 게재되어 있다.
상기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의 체결구조는, 건물의 천정 또는 벽체에 마련되는 체결구에 체결되는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에 있어서, 일렬, 3방향 방사형 또는 십자형의 베이스가 구성되고, 베이스 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되고 관통된 결합홈이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하여 엘이디모듈을 보호하고 빛을 확산하고, 가장자리 저면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결합돌기가 구성되고, 일측면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일체체결돌기와 일체체결돌기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되 직각으로 절곡 연장 구성되는 연장체결돌기로 구성되어 "ㄱ"형상으로 구성되는 체결돌기가 구성된 확산커버와; 상기 확산커버와 접촉하는 접촉면에 절취되고 ㄷ"형상의 체결요홈이 형성된 체결커버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돌기가 삽입되고 체결요홈이 체결돌기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확산커버가 전후슬라이딩이 되지 아니하고 고정되어, 하나의 체결커버가 다수의 확산커버의 일측면을 한번에 일체형으로 체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은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는 체결구를 천정에 고정하고 중앙에 돌출된 체결볼트를 몸체와 체결커버를 관통하여 암나사로 체결하므로 엘이디등기구를 체결구에 결합하기가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체결구에 체결되는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는 체결구의 중앙에 돌출된 체결볼트에 의해 엘이디 등기구가 암나사로 고정되게 설치되어 엘이디 등기구의 양측이 처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반영구적으로 사용되는 엘이디 모듈을 내장하고 있는 타입의 엘이디 등기구는 고장시 엘이디 모듈만을 분리하여 교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등기구 전체를 교체하여야 한다.
즉, 기존 형광등이나 피엘램프를 조명으로 사용하는 등기구는 고장시 램프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하부 본체나 또는 커버만을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삭제
국내 등록특허 10-1252761호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의 인서트고정너트에 의한 체결커버 체결구조. 국내 등록특허 10-1248152호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의 체결구조.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천정면에 천정 브라켓을 고정하고 천정등 본체를 슬라이드 방식 또는 압입 방식으로 천정 브라켓에 고정시키는 새로운 천정등 설치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천정등 본체를 천정에 설치 시 숙련된 작업자 뿐만 아니라 누구나 손쉽게 탈거하고 부착시킬 수 있는 천정등 탈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정면에 고정되는 천정등 브라켓과 천정등 본체에 있는 본체 브라켓 간의 결합 시 슬라이드/압입 접촉 방식으로 접속되는 전도체 레일을 적용한 새로운 천정등 접속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천정등 배선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배선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천정등 접속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천정등 탈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천정등 탈부착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천정등 탈부착장치는 저면의 폭방향 양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한 상부 레일을 가지면서 천정면에 고정되는 천정 브라켓과, 상면의 폭방향 양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한 동시에 천정 브라켓에 있는 상부 레일에 슬라이드 결합 또는 압입 결합되는 하부 레일을 가지는 본체 브라켓와, 내부에 엘이디 모듈을 구비하면서 본체 브라켓의 저면에 결합되는 천정등 본체와, 상기 천정등 본체의 하단부를 마감하면서 결합되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천정등 탈부착장치는 천정 브라켓과 본체 브라켓이 가지는 상하부 레일 간의 슬라이드 끼움구조 또는 상하 압입식 걸림구조를 이용하여 천정등을 천정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천정 브라켓의 상부 레일에는 안쪽면을 따라 전원측 전도체가 부착되고, 상기 본체 브라켓의 하부 레일에는 안쪽면을 따라 천정등측 전도체가 부착되어, 상하부 레일 간의 슬라이드 결합 시 또는 압입식 결합 시 전원측 전도체 레일와 천정등측 전도체가 서로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브라켓의 하부 레일에 있는 천정등측 전도체는 "U"자 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벤딩 성형된 탄력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의 본체 브라켓의 상면에는 천정등측 전도체의 저면을 받쳐줄 수 있는 받침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정 브라켓의 저면에는 외부로부터 연장되어 브라켓 내측으로 진입한 배선을 접속시킬 수 있는 전원 연결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브라켓에 있는 하부 레일의 상단부는 곡면부로 형성하여, 천정 브라켓에 있는 상부 레일과의 접촉 시 하부 레일이 원활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천정 브라켓에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장공이 형성되어, 고정나사에 의해 실내의 천정면에 선택적으로 설치 각을 조절하며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천정등 탈부착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천정면에 고정되어 있는 천정 브라켓을 이용하여 천정등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밀어서 또는 압입 방식으로 끼워서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천정등 본체를 천정에 설치 시 숙련된 작업자 뿐만 아니라 누구나 손쉽게 탈거하고 부착시킬 수 있다.
둘째, 천정면에 설치되어 있는 천정 브라켓과 천정등 본체 있는 본체 브라켓을 슬라이드 결합 또는 압입 결합시키기만 하면 천정등 배선이 자연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이므로, 천정등 배선 구조의 단순화 및 배선 작업의 용이함을 도모할 수 있고, 단락 등을 문제를 근본적으로 배제하여 천정등의 안정적인 접속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정등 탈부착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정등 탈부착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정등 탈부탁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정등 탈부착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정등 탈부착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결합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천정등 탈부착장치는 천정에 고정시킨 천정 브라켓에 천정등 본체를 손쉽게 부착하거나 손쉽게 탈거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천정등 탈부착장치는 천정등 본체(16)의 본체 브라켓(14)을 고정시켜주는 수단으로 천정면(11)에 고정 설치되는 천정 브라켓(12)을 포함한다.
상기 천정 브라켓(12)은 폭방향 양편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 벽체를 가지는 길다란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플레이트 전체 면적에 걸쳐서 다수 개의 장공(24)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때의 장공(24)을 통해 실내의 천정면(11)에 체결되는 고정나사(25)에 의해 천정 브라켓(12)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장공(24)은 플레이트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실내의 천정면(11)에 천정 브라켓(12)의 설치 시 선택적으로 천정 브라켓(12)의 설치 각을 조절하며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천정 브라켓(12)의 저면에는 플레이트 폭방향 양쪽에서 플레이트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한 상부 레일(10a,10b)이 형성되고, 이러한 상부 레일(10a,10b)의 하단에는 수평을 절곡된 상부 걸림턱(26)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의 상부 걸림턱(26)은 후술하는 하부 레일(13a,13b)에 있는 하부 걸림턱(27)과 위아래로 맞걸려지면서, 실질적으로는 후술하는 천정등측 전도체(19)를 사이에 두고 맞걸려지면서 천정등 본체(16)를 포함하는 본체 브라켓(14) 전체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천정 브라켓(12)의 상부 레일(10a,10b)에는 안쪽면을 따라 절곡형 띠 모양의 전원측 전도체(18)가 나란하게 부착되고, 이때의 전원측 전도체(18)는 본체 브라켓(14)에 있는 천정등측 전도체(19)와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측 전도체(18)와 후술하는 천정등측 전도체(19)는 황동 등의 소재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원측 전도체(18)의 후면에는 상부 레일(10a,10b)을 관통하는 배선(21)이 연결되고, 이에 따라 전원 인가 시 전원측 전도체(18)는 도통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천정 브라켓(12)의 저면 일측에는 전원 연결단자(22)가 형성되고, 이곳에서는 외부로부터 브라켓 홀을 통해 내부로 연장되는 전원선과 전원측 전도체(18)측으로 연결되는 배선(21) 간의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2가닥의 전원선이 전원 연결단자(22)에 접속되고, 상기 전원 연결단자(22)로부터 인출되는 2가닥의 배선(21)이 양편의 상부 레일(10a,10b)에 있는 전원측 전도체(18)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천정등 탈부착장치는 천정등 지지를 위한 수단으로 본체 브라켓(14)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브라켓(14)은 길다란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면에는 플레이트 폭방향 양쪽에 플레이트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한 하부 레일(13a,13b)이 각각 형성되고, 이러한 하부 레일(13a,13b)의 하단에는 수평을 절곡된 하부 걸림턱(27)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의 하부 걸림턱(27)은 상부 레일(10a,10b)에 있는 상부 걸림턱(26)과 슬라이드 구조나 압입식 끼움구조에 의해 위아래로 맞걸려지게 되며, 실질적으로는 천정등측 전도체(19)를 사이에 두고 맞걸려지게 되며, 결국 천정등 본체(16)를 포함하는 본체 브라켓(14) 전체가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 브라켓(14)의 하부 레일(13a,13b)에는 안쪽면을 따라 절곡 및 벤딩형 띠 모양의 천정등측 전도체(19)가 나란하게 부착되고, 이때의 천정등측 전도체(19)는 천정 브라켓(12)에 있는 전원측 전도체(18)와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천정등측 전도체(19)의 후면에는 하부 레일(13a,13b)을 관통하는 전선, 즉 천정등 본체(16)로부터 연장되는 전선이 연결되고, 이에 따라 전원 인가 시 전원은 전원측 전도체(18)와 천정등측 전도체(19) 간의 접속부분을 통해 천정등 본체(16)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본체 브라켓(14)의 하부 레일(13a,13b)에 부착되어 있는 있는 천정등측 전도체(19)는 옆으로 누은 "U"자 모양의 단면을 가지도록 벤딩 성형된 탄력형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의 "U"자 모양의 단면 부분이 전원측 전도체(18)측과 접촉 및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천정등측 전도체(19)가 탄력을 발휘하는 "U"자 모양의 단면 부분을 통해 전원측 전도체(18)와 접촉하면서 접속구조를 이룸에 따라 진동이나 조립 오차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접속상태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 브라켓(14)을 천정 브라켓(12)측에 슬라이드식 또는 상하 압입식으로 결합 시 각각이 가지고 있는 상부 레일(10a,10b)과 하부 레일(13a,13b)을 서로 맞걸어주기만 하면, 각각이 가지고 있는 천정등측 전도체(19)와 전원측 전도체(18)가 그대로 접촉되면서 상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배선 연결 작업없이도 본체 브라켓(14)을 천정 브라켓(12)측에 결합시키는 작업만으로 전원 연결을 위한 배선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배선 작업을 위한 시간과 수고를 덜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 브라켓(14)의 상면 일측, 예를 들면 상하부 레일 간의 결합 시 상하부 레일 사이의 위치에는 받침 리브(20)가 플레이트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며, 이러한 받침 리브(20)는 천정등측 전도체(19)의 저면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 브라켓(14)에 있는 하부 레일(13a,13b)의 상단부, 즉 하부 레일(13a,13b)의 상단부에 일체 형성되는 하부 걸림턱(27)의 상면은 곡면부(23)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위아래로 압입 결합 시 천정 브라켓(12)에 있는 상부 레일(10a,10b)의 상부 걸림턱(26)은 곡면부(23)를 부드럽게 타고 넘으면서 휘어지는 하부 레일(13a,13b)의 하부 걸림턱(27) 및 천정등측 전도체(19)를 젖힌 후 그 아래쪽으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천정등 본체(16)는 내부에 엘이디 모듈(15)이 탑재되어 있는 광원으로서, 본체 브라켓(14)의 저면에 스크류 체결구조 등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천정등 본체(16)의 하단부에는 엘이디 모듈(15) 등을 마감하는 수단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의 커버 프레임(17)이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천정등 본체의 세부적인 내부 구성이나 커버 프레임의 설치 방식 등은 공지,공용으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천정등 탈부착장치를 이용하여 천정등을 설치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정등 탈부착장치의 사용상태, 즉 천정등 탈부착장치를 이용하여 천정에 천정등을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실내의 천정면(11)에 위치를 선택한 후, 천정 브라켓(12)에 형성된 체결홀 또는 장공(24)들을 이용하여 고정나사(25)로 천정 브라켓(12)을 고정되게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천정등 본체(16)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는 본체 브라켓(14)을 천정 브라켓(12)의 저부에 위치시킨다.
계속해서, 천정 브라켓(12)의 상부 레일(10a,10b)과 본체 브라켓(14)의 하부 레일(13a,13b)의 위치를 나란하게 맞춘 다음, 위로 힘을 가하여 그대로 눌러 끼우면, 상부 레일(10a,10b)의 상부 걸림턱(26) 위에 하부 레일(13a,13b)의 하부 걸림턱(27)이 위아래로 맞걸려지면서 원터치 형태로 용이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 브라켓(14)을 포함하는 천정등 본체(16) 전체를 천정면(11)에 고정되어 있는 천정 브라켓(12)에 지지되도록 하는 구조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본체 브라켓(14)에 있는 천정등측 전도체(19) 또한 상하부 레일 간의 결합과 동시에 천정 브라켓(12)에 있는 전원측 전도체(18)와 접촉되면서 접속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천정등 설치 작업의 다른 예로서, 실내의 천정면(11)에 천정 브라켓(12)을 고정되게 설치한 상태에서, 천정등 본체(16)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는 본체 브라켓(14)을 천정 브라켓(12)의 측면에 위치시킨다.
계속해서, 천정 브라켓(12)의 상부 레일(10a,10b)과 본체 브라켓(14)의 하부 레일(13a,13b)의 위치를 나란하게 맞춘 다음, 옆으로 힘을 주어 가볍게 밀어 넣으면, 하부 레일(13a,13b)이 상부 레일(10a,10b)에 슬라이드되면서 끼워지게 되고, 결국 상부 레일(10a,10b)의 상부 걸림턱(26) 위에 하부 레일(13a,13b)의 하부 걸림턱(27)이 위아래로 맞걸려지면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 브라켓(14)을 포함하는 천정등 본체(16) 전체를 천정면(11)에 고정되어 있는 천정 브라켓(12)에 지지되도록 하는 구조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본체 브라켓(14)에 있는 천정등측 전도체(19) 또한 상하부 레일 간의 슬라이드 결합과 동시에 천정 브라켓(12)에 있는 전원측 전도체(18)와 접촉되면서 접속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천정등 탈거 시의 경우에는 천정등 본체(16) 및 본체 브라켓(14)을 아래로 약간 힘을 주어 당겨 빼내거나, 또는 천정등 본체(16) 및 본체 브라켓(14)을 옆으로 밀어서 빼내게 되면, 천정등 탈거작업도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천정등 탈부착장치를 이용하면, 천정등 본체를 천정에 설치 시 숙련된 작업자 뿐만 아니라 누구나 손쉽게 탈거하고 부착시킬 수 있는 등 전체적인 천정등 시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수 있는 등 전체적인 천정등 시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a,10b : 상부 레일 11 : 천정면
12 : 천정 브라켓 13a,13b : 하부 레일
14 : 본체 브라켓 15 : 엘이디 모듈
16 : 천정등 본체 17 : 커버 프레임
18 : 전원측 전도체 19 : 천정등측 전도체
20 : 받침 리브 21 : 배선
22 : 전원 연결단자 23 : 곡면부
24 : 장공 25 : 고정나사

Claims (7)

  1. 저면의 폭방향 양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한 상부 레일(10a,10b)을 가지면서 천정면(11)에 고정되는 천정 브라켓(12);
    상면의 폭방향 양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한 동시에 천정 브라켓(12)에 있는 상부 레일(10a,10b)에 슬라이드 결합 또는 압입 결합되는 하부 레일(13a,13b)을 가지는 본체 브라켓(14);
    내부에 엘이디 모듈(15)을 구비하면서 본체 브라켓(14)의 저면에 결합되는 천정등 본체(16);
    상기 천정등 본체(16)의 하단부를 마감하면서 결합되는 커버 프레임(17);
    을 포함하며, 상기 천정등 본체는 천정 브라켓과 본체 브라켓이 가지는 상하부 레일 간의 슬라이드 끼움구조 또는 상하 압입식 걸림구조에 의해 천정측에 설치되며,
    상기 천정 브라켓(12)의 상부 레일(10a,10b)에는 안쪽면을 따라 전원측 전도체(18)가 부착되고, 상기 본체 브라켓(14)의 하부 레일(13a,13b)에는 안쪽면을 따라 천정등측 전도체(19)가 부착되어, 상하부 레일 간의 슬라이드 결합 시 또는 압입식 결합 시 전원측 전도체와 천정등측 전도체가 서로 접속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본체 브라켓(14)의 하부 레일(13a,13b)에 있는 천정등측 전도체(19)는 "U"자 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벤딩 성형된 탄력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 브라켓(14)의 상면에는 천정등측 전도체(19)의 저면을 받쳐줄 수 있는 받침 리브(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등 탈부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저면의 폭방향 양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한 상부 레일(10a,10b)을 가지면서 천정면(11)에 고정되는 천정 브라켓(12);
    상면의 폭방향 양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한 동시에 천정 브라켓(12)에 있는 상부 레일(10a,10b)에 슬라이드 결합 또는 압입 결합되는 하부 레일(13a,13b)을 가지는 본체 브라켓(14);
    내부에 엘이디 모듈(15)을 구비하면서 본체 브라켓(14)의 저면에 결합되는 천정등 본체(16);
    상기 천정등 본체(16)의 하단부를 마감하면서 결합되는 커버 프레임(17);
    을 포함하며, 상기 천정등 본체는 천정 브라켓과 본체 브라켓이 가지는 상하부 레일 간의 슬라이드 끼움구조 또는 상하 압입식 걸림구조에 의해 천정측에 설치되며,
    상기 천정 브라켓(12)의 저면에는 외부로부터 연장되어 브라켓 내측으로 진입한 배선(21)을 접속시킬 수 있는 전원 연결단자(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등 탈부착장치.
  6. 저면의 폭방향 양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한 상부 레일(10a,10b)을 가지면서 천정면(11)에 고정되는 천정 브라켓(12);
    상면의 폭방향 양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한 동시에 천정 브라켓(12)에 있는 상부 레일(10a,10b)에 슬라이드 결합 또는 압입 결합되는 하부 레일(13a,13b)을 가지는 본체 브라켓(14);
    내부에 엘이디 모듈(15)을 구비하면서 본체 브라켓(14)의 저면에 결합되는 천정등 본체(16);
    상기 천정등 본체(16)의 하단부를 마감하면서 결합되는 커버 프레임(17);
    을 포함하며, 상기 천정등 본체는 천정 브라켓과 본체 브라켓이 가지는 상하부 레일 간의 슬라이드 끼움구조 또는 상하 압입식 걸림구조에 의해 천정측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브라켓(14)에 있는 하부 레일(13a,13b)의 상단부는 곡면부(23)로 이루어져, 천정 브라켓(12)에 있는 상부 레일(10a,10b)과의 접촉 시 하부 레일(13a,13b)이 원활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등 탈부착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정 브라켓(12)에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장공(24)이 형성되어, 고정나사(25)에 의해 실내의 천정면에 선택적으로 설치 각을 조절하며 설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등 탈부착장치.
KR1020140172557A 2014-12-03 2014-12-03 천정등 탈부착장치 KR101731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557A KR101731680B1 (ko) 2014-12-03 2014-12-03 천정등 탈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557A KR101731680B1 (ko) 2014-12-03 2014-12-03 천정등 탈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004A KR20160067004A (ko) 2016-06-13
KR101731680B1 true KR101731680B1 (ko) 2017-04-28

Family

ID=5619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557A KR101731680B1 (ko) 2014-12-03 2014-12-03 천정등 탈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197A (ko) * 2020-04-16 2021-10-26 김태훈 연결형 조명기구의 천장설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466B1 (ko) * 2016-12-12 2018-08-01 주식회사 동우전자 엘이디 평판등 브라켓
KR200487570Y1 (ko) 2017-02-17 2018-11-28 민광기 천정등용 브라켓
KR200490509Y1 (ko) 2017-08-03 2019-12-02 유현임 천정등용 브라켓 어셈블리
KR102073866B1 (ko) * 2017-11-24 2020-02-05 강수 탈부착형 천장등
KR101872765B1 (ko) * 2018-01-18 2018-06-29 기민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 조립구조를 갖는 엘이디 조명기구
KR102139608B1 (ko) * 2019-05-15 2020-07-30 박병기 엣지형 조명등
KR102536785B1 (ko) * 2021-04-16 2023-05-26 이경철 엘이디 조명등기구의 천장 결합구조
KR102536787B1 (ko) * 2021-04-16 2023-05-26 이경철 엘이디 조명등기구의 천장 결합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867B1 (ko) * 2012-08-07 2013-01-22 주식회사 대진디엠피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761B1 (ko) 2012-11-06 2013-04-11 주식회사 디에스이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의 인서트고정너트에 의한 체결커버 체결구조
KR101248152B1 (ko) 2012-11-06 2013-04-02 주식회사 디에스이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867B1 (ko) * 2012-08-07 2013-01-22 주식회사 대진디엠피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197A (ko) * 2020-04-16 2021-10-26 김태훈 연결형 조명기구의 천장설치구조
KR102435594B1 (ko) * 2020-04-16 2022-08-24 김태훈 연결형 조명기구의 천장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004A (ko)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680B1 (ko) 천정등 탈부착장치
KR101738216B1 (ko) 천정등 탈부착장치
KR101713384B1 (ko) 천정등 탈부착장치
KR101660707B1 (ko) 천정등 탈부착장치
US8746933B2 (en) Lighting apparatus
KR101224867B1 (ko)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JP5954665B2 (ja) 照明器具
US10605978B2 (en) Edgelit recessed luminaire
US10935191B2 (en) LED light panel system for retrofitting light troffers
JP2014170732A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20160077296A (ko) 엣지형 led조명등 설비
US20140233225A1 (en) Led lighting module, led lighting system and led lighting retrofit kit
JP2014078427A (ja) 照明器具
KR101748681B1 (ko) 조명등 천장 결합장치
KR20150001858U (ko) 다목적 led 전등
KR102195876B1 (ko) 레이스웨이 결합형 led 조명장치
KR101344264B1 (ko) 컨버터 및 전원소켓이 내장된 사무용 엘이디 매입등기구
KR101710759B1 (ko) 천정등 탈부착장치
CN107461619B (zh) 灯具及其灯具组件
KR101911774B1 (ko)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조명 장치
KR101792944B1 (ko) 취부가 용이한 천장형 led 등기구
KR200486988Y1 (ko) 천장 설치용 조명등
CN107461618B (zh) 灯具及其灯具组件
KR101751973B1 (ko) 천정등 탈부착장치
CN107461636B (zh) 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