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607Y1 - 통합수구의 배선기구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통합수구의 배선기구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607Y1
KR200445607Y1 KR2020070013255U KR20070013255U KR200445607Y1 KR 200445607 Y1 KR200445607 Y1 KR 200445607Y1 KR 2020070013255 U KR2020070013255 U KR 2020070013255U KR 20070013255 U KR20070013255 U KR 20070013255U KR 200445607 Y1 KR200445607 Y1 KR 2004456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bracket
present
mounting
integrat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442U (ko
Inventor
문상목
Original Assignee
아남르그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남르그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남르그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3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607Y1/ko
Publication of KR200900014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4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6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6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5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separate from the housing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센트, 티브이단자, 통신단자를 포함한 배선기구들을 별도의 도구 없이도 쉽고 간편하게 분리, 장착 가능하게 하여 상기 배선기구들을 서로 다른 날에 배선하는데 따른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부분적인 배선기구의 교체용이성을 구현하여 제품의 신뢰도 향상을 통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하기 위한 통합수구의 배선기구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합수구, 배선기구, 콘센트, TV단자, 통신단자, 장착구조

Description

통합수구의 배선기구 장착구조{Building structure for wiring apparatus of workstation}
본 고안은 콘센트, 티브이단자, 통신단자를 포함한 배선기구들을 통합한 통합수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합수구에 배선기구들을 별도의 도구 없이도 쉽고 간편하게 분리, 장착 가능하게 하여 상기 배선기구들을 서로 다른 날에 배선하는데 따른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부분적인 배선기구의 교체용이성을 구현하기 위한 통합수구의 배선기구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기구는 전기나 통신 등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주로 건물의 내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콘센트 및 티브이(TV)단자, 통신단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배선기구를 통해 각종 케이블을 배선하고 있어 전기전자제품을 사용하는데 따른 안전성의 향상은 물론, 누구나 쉽게 전기전자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배선기구들은 내벽에 제각각으로 설치되어 있어 이에 배선되는 각종 케이블의 관리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으며, 전기전자제품을 연결하기에도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문헌 1] KR 20-0312266 2003.05.09,이 제안된바, 이를 살펴보면 건물의 벽면에 여러 개로 설치되는 전기, 통신콘센트를 하나로 통합한 통합수구가 게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에 규격품으로 시중에 널리 유통되는 전원콘센트나 각종 통신터미널을 별도의 가공 없이 커버에 형성된 조립구멍에 간단히 장착하여, 벽면에 매설된 매입박스의 해당 배선에 결선한 후 커버를 매입박스에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설치시간과 비용이 크게 절약됨은 물론 설치 후 미관이 뛰어나고 공간 절약 및 전자, 통신기기의 사용에 매우 편리한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 1]은 커버를 반드시 벽면으로부터 분리해야만 각종 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어 각각의 배선기구를 배선하는데 따른 불편함이 있다.
이는, 상기 배선기구들이 커버의 안쪽에서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으로, 다만 [문헌 1]에 따른 전화터미널이나 통신터미널은 커버의 바깥쪽에서 장착되나,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걸림턱은 상기 커버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어 배선시 반드시 커버를 분리하는 데는 변함이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배선기구들을 동시에 배선하는 경우에는 크게 부각되지 않으나, 전기 및 통신 등을 배선하는 업체들의 사정에 의해 서로 다른 날짜에 배선기구들을 배선할 경우에는 업체마다 일일이 커버를 분리하고, 결합하는데 따른 불편함이 발생함은 물론, 분리 결합에 의한 손상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헌 1]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각각의 배선기구들을 서로 다른 날에 배선하는데 따른 편의성의 제공과 함께 배선기구의 파손시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통합수구로부터 배선기구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통합수구로부터 배선기구들을 별다른 도구 없이 쉽고 간편하게 분리토록 하여 배선에 따른 편의성의 향상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 통합수구의 배선기구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선기구들의 부분파손시 누구나 쉽게 배선기구들을 교체토록 하여 통합수구를 사용하는데 따른 사용성의 향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통합수구의 배선기구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구멍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종류의 케이블들이 노출되어 있는 벽면에 고정된 브라케트와;
상기 조립구멍에 분리 장착되어 케이블에 배선되는 배선기구들과;
이 배선기구들의 장착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장착유지수단으로 구성된 통합수구에 있어서,
상기 장착유지수단은 브라케트와 배선기구들의 외부에 노출되고, 일체로 형성되며, 상호 결합하여 상기 배선기구들이 브라케트의 외부에서 장착되고, 분리되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통합수구로부터 배선기구들을 별다른 도구 없이 쉽고 간편하게 분리토록 하여 서로 다른 날에 배선기구들을 배선하는데 따른 편의성의 향상을 추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선기구들의 부분파손시 누구나 쉽게 배선기구들을 교체토록 하여 통합수구를 사용하는데 따른 사용성의 향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제품의 신뢰도를 높여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합수구의 실시 예를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브라케트의 전면에 콘센트, 티브이단자, 통신단자로 구성된 배선기구가 통합장착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합수구의 배선기구 장착구조를 분해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브라케트에 형성된 조립구멍에 장착유지수단을 갖는 배선기구들이 장착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착유지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통신단자의 측면에 장착유지수단으로 탄성편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통합수구의 설치상태를 단면도로 보인 것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케이블들이 노출되어 있는 벽면에 통합수구가 설치되어 배선기구가 배선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통합수구에 커버를 씌운 상태를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브라케트에 배선기구만을 노출하기 위한 커버가 씌워진 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2에서 보인 것과 같이, 본 고안은 브라케트(10)와 서로 다른 종류의 배선기구(20)로 구성되고, 이 배선기구(20)의 장착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장착유지수단(30)을 포함하여 제공하게 된다.
상기 브라케트(10)는 배선기구(20)들이 장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의 조립구멍(11)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종류의 케이블들이 노출되어 있는 벽면에 주로 볼트 등의 체결요소를 통해 고정된다.
이러한 브라케트(10)에 형성된 조립구멍(11)에 장착되는 배선기구(20)는 콘센트(21), 티브이단자(22), 통신단자(23)를 포함하여 제공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배선기구(20)의 종류 및 개수를 증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선기구(20)는 반드시 본 고안의 실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주로 많이 사용되는 콘센트(21), 티브이단자(22), 통신단자(23)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된다는 것을 사전에 밝혀둔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배선기구(20)는 서로 다른 종류로 제공되어 벽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케이블들에 배선되며, 이를 통해 전기전자제품을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배선기구(20)들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브라케트(10)의 전면으로부터 장착되는 것을 보이고 있으며, 분리 또한 상기 브라케트(10)의 외부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장착유지수단(30)은 이와 같은 배선기구(20)들의 장착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전기전자제품의 접속이나 접속해제시 상기 배선기구(20)의 움직임을 단속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착유지수단(30)은 상기 설명과 같이, 배선기구(20)들이 브라케트(10)의 외부에서 장착되고,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케트(10)와 배선기구(20)들의 외부에 노출되고, 일체로 형성되며, 상호 결합하게 된다.
이를 위한 실시 예로 상기 장착유지수단(30)은 브라케트(10)와 배선기구(20) 중 어느 하나의 외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이 돌기에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되어 제공된다.
즉, 브라케트(10)에 장착유지수단(30)으로 돌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면에 형성될 경우 배선기구(20)에는 상기 돌기에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되어 제공되고, 반대로 상기 배선기구(20)의 배면에 돌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경우에는 브라케트(10)에 구멍이 형성되어 제공된다.
상기 돌기와 이에 끼워지는 구멍의 형상에 관련하여서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여 보이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이러한 돌기와 구멍이 각각 브라케트(10)와 배선기구(20)에 형성되어 상호 결합함으로써, 상기 배선기구(20)들이 브라케트(10)의 외부에서 장착되고, 분리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와 구멍은 브라케트(10)와 배선기구(20)에 다수로 형성하여 전기전자제품을 접속하거나 접속해제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선기구(20)의 일부분이라도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장착유지수단(30)의 다른 실시 예로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보인 것과 같이, 배선기구(20)에 탄성편(31)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탄성편(31)은 배선기구의 둘레에 힌지(c) 연결된 상태로 이 힌지(c)를 중심으로 탄력 회동하고, 바깥면에는 조립구멍(11)의 안쪽에서 단속되는 고정 편(32)이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또한, 상기 힌지(c)의 반대편 끝 부분에는 고정편(32)을 조립구멍(11)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누름부(33)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으며, 이 누름부(33)는 브라케트(10)의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케트(10)에 장착된 배선기구(20)들을 분리시 브라케트(10)의 외부로 노출된 누름부(33)를 안쪽으로 눌러 가압함으로써, 탄성편(31)이 힌지(c)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브라케트(10)의 안쪽에 단속되어 있던 고정편(32)이 분리되어 배선기구(20)의 장착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배선기구(20)의 장착시에는 탄성편(31)이 힌지(c)를 중심으로 안쪽으로 회동하여 고정편(32)이 조립구멍(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c)를 중심으로 벌어 질려고 하는 탄성력으로 배선기구(20)의 장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장착유지수단(30)을 포함하고 있는 통합수구(1)의 설치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통합수구(1)를 벽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케이블들이 노출되어 있는 벽면에 볼트 등의 체결요소를 이용하여 브라케트(10)를 고정설치하게 된다.
상기 브라케트(10)의 설치가 완료되면 본 고안에 따른 장착유지수단(30)이 적용된 배선기구(20)들을 조립구멍(11)에 각각 장착하게 되며, 배선에 따른 상기 배선기구(20)의 분리시에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장착유지수단(30)이 적용된 배선기구(20)는 돌기와 구멍을 분리하여 장착상태를 해제하여 케이블을 배선하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착유지수단(30)이 적용된 배선기구(20)는 도 4에서 보인 것과 같이, 브라케트(10)의 외부로 노출된 누름부(33)를 안쪽으로 가압하여 탄성편(31)을 힌지(c)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브라케트(10)로부터 배선기구(20)를 분리한 후 케이블을 배선하게 된다.
따라서, 업체의 사정 등에 의해 상기 배선기구(20)들을 서로 날짜에 배선하더라도 장착유지수단(30)을 이용하여 브라케트(10)에 장착되어 있는 배선기구(20)를 쉽고 간편하게 분리하여 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배선과정에서의 실수에 의해 새로 배선을 수행하거나 배선기구(20)의 부분파손에 의해 교체가 필요할 경우 별다른 도구 없이 누구나 쉽게 브라케트(10)로부터 상기 배선기구(20)들을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선기구(20)들의 배선이 완료되면 도 5에서 보인 것과 같이, 브라케트(10)의 외부에 커버(40)를 씌워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합수구의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합수구의 배선기구 장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착유지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통합수구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통합수구에 커버를 씌운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통합수구 10 - 브라케트
11 - 조립구멍 20 - 배선기구
21 - 콘센트 22 - 티브이단자
23 - 통신단자 30 - 장착유지수단
31 - 탄성편 32 - 고정편
33 - 누름부 c - 힌지
40 - 커버

Claims (3)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구멍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종류의 케이블들이 노출되어 있는 벽면에 고정된 브라케트와;
    상기 조립구멍에 분리 장착되어 케이블에 배선되는 배선기구들과;
    이 배선기구들의 장착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장착유지수단으로 구성된 통합수구에 있어서,
    상기 장착유지수단은 배선기구에 힌지 연결된 상태로 이 힌지를 중심으로 탄력 회동하고, 일면에는 조립구멍의 안쪽에서 단속되는 고정편이 형성되며, 이 고정편을 상기 조립구멍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브라케트의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부가 형성된 탄성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수구의 배선기구 장착구조.
  2. 삭제
  3. 삭제
KR2020070013255U 2007-08-08 2007-08-08 통합수구의 배선기구 장착구조 KR2004456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255U KR200445607Y1 (ko) 2007-08-08 2007-08-08 통합수구의 배선기구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255U KR200445607Y1 (ko) 2007-08-08 2007-08-08 통합수구의 배선기구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442U KR20090001442U (ko) 2009-02-12
KR200445607Y1 true KR200445607Y1 (ko) 2009-08-17

Family

ID=4129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255U KR200445607Y1 (ko) 2007-08-08 2007-08-08 통합수구의 배선기구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6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952B1 (ko) 2013-08-27 2015-04-14 파나소닉이에스신동아(주) 모듈 확장 및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유닛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542Y1 (ko) * 2005-04-19 2005-06-29 주식회사 퍼시스 매입형 플러그 소킷
KR100601018B1 (ko) * 2005-12-01 2006-07-24 김용현 개폐형 안전콘센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542Y1 (ko) * 2005-04-19 2005-06-29 주식회사 퍼시스 매입형 플러그 소킷
KR100601018B1 (ko) * 2005-12-01 2006-07-24 김용현 개폐형 안전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952B1 (ko) 2013-08-27 2015-04-14 파나소닉이에스신동아(주) 모듈 확장 및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442U (ko)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7429B1 (en) Junction box
US7205488B2 (en) Receptacle box for an underfloor system
CN101617253B (zh) 插座装置
US8222521B2 (en) Multi-piece coverplate assembly and modular device assembly
CN102844938A (zh) 背面安装的排式电源插座
KR200445607Y1 (ko) 통합수구의 배선기구 장착구조
US10085076B2 (en) Omedia panel
CN101682802A (zh) 具有接线端模块和线材导向壳体的电信组件
KR101677244B1 (ko) 광전 복합케이블 분배함
JP4369781B2 (ja) 光端末装置
CN201119176Y (zh) 电子式传感装置的插接结构
KR200435288Y1 (ko) 세대 및 동 단자용 광분배함
KR200205750Y1 (ko) 멀티플렉스 콘센트 박스
CN218731849U (zh) 一种低压分线连接头
GB2474500A (en) Network Terminating Equipment
KR101159483B1 (ko) 선박용 전기/통신 네트워크 통합 분배상자
JP5090029B2 (ja) アウトレット
JP5759056B1 (ja) 連結具取り付け構造と、連結具を備えた通信機器
AU2008255170B2 (en) An External Power Point Arrangement
KR20090079482A (ko) 통합배선기구
KR101833444B1 (ko) 퓨즈박스
KR100402821B1 (ko) 콘센트 아우트레트 박스용 홀더 브라켓트
JP5224394B2 (ja) 電源分岐器具
KR20080067097A (ko) 전자기기의 리어 패널 조립체
KR20080004310U (ko)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