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310U -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 Google Patents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310U
KR20080004310U KR2020070005155U KR20070005155U KR20080004310U KR 20080004310 U KR20080004310 U KR 20080004310U KR 2020070005155 U KR2020070005155 U KR 2020070005155U KR 20070005155 U KR20070005155 U KR 20070005155U KR 20080004310 U KR20080004310 U KR 200800043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main body
fixing plate
bund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경
Original Assignee
김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경 filed Critical 김재경
Priority to KR2020070005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310U/ko
Publication of KR200800043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31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06Electrical outlet box support

Abstract

본 고안의 노출박스는 관통형성된 통공이 형성되고, 드라이버나 소형망치, 니퍼 등의 간단한 공구로 쉽게 절취부(20a)를 이탈시켜 소정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는 삽입부(20)를 형성하여서 상기 삽입부(20)를 제거하고 난 후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관과 단턱을 가진 파이프접속구(미도시함)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못이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벽면 등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구(25)가 구비된 노출박스 본체(11)를 구성하되, 상기 본체 내측 공간의 해당 상하면에는 그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고정플레이트(35)를 본체(11)와 일체되게 구성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고안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플레이트(35)에 탈부착식으로 조립이 용이한 프레임(15)을 더 포함하여서 구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노출박스, 콘센트박스, 통신박스

Description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Exposed box for electro communic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인 본체에 스위치 뭉치가 수용되는 과정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본체에 콘센트 뭉치가 수용되는 과정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의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본체 15. 프레임
17. 결착부재 20. 삽입부
20a. 절취부 21. 고정나사
25. 체결구 35. 고정플레이트
45. 스위치 뭉치 55. 콘센트 뭉치
70. 노출박스
본 고안은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통신 용 노출박스의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및 설치에 따른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줄이고, 하나의 금형을 사용하여 일체형의 노출박스 본체를 성형함으로써 금형비용의 과다소요 방지는 물론,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의 간편성으로 인해 제조공정 또한 용이하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노출박스에는 상면 또는 측면 등에 파이프를 연결하여 그 내부로 전선이나 전화선 등을 인입시키도록 되어 있고, 노출박스의 연결부위에는 파이프를 삽입할 수 있는 연결구를 먼저 고정한 후, 상기 파이프를 삽입 연결하며, 상기 연결구는 별도로 사출하여 노출박스와 같이 포장판매하면 시공자들이 작업시에 노출박스에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는 종래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노출박스로는 실용신안출원번호 제95-9337호가 있으며, 그 기술적 구조를 청구범위 및 해당 도면을 통해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안의 노출박스는 연결구(H)의 하단삽설부(C)에 나사를 형성하고, 노출박스(A)의 삽입구멍(D)에 연결구(H)의 삽설부(C)를 삽입시킨 후, 노출박스의 내부에서 별도의 잠금너트(E)를 연결구의 나사에 손으로 조정하여 잠금으로써 연결구를 고정시키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아울러 노출박스의 각 측벽에 삽입구멍(D)을 계산된 크기로 수개 형성토록 하되, 단턱(K)의 하방에 수개의 걸림홈(M)을 형성하여 걸림턱(N)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F)를 삽탈토록 구성하며, 다수의 지지부 재(R)가 형성된 부싱(S)과 계산된 크기로 파이프삽입공(G)이 형성된 연결구(H)를 구비한 것이 주된 요지로 되어 있다. 이는, 도 8에 상세히 도시하였다.
한편, 또 다른 실용신안등록 제124707호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는 각 측벽에 파이프 접속구를 삽입시킬 수 있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노출박스의 각 측벽 상부에는 단턱을 구성하되, 단턱 직하방에는 수개의 걸림홈을 형성하여 걸림턱이 형성되 고정플레이트를 끼워 결합토록 하고, 파이프 접속구 삽입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파이프가 접속구를 끼운 다음, 삽입부를 관통한 나사부 상에 너트를 죄어 고정토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공통으로 노출박스 본체와 고정플레이트를 상호 결합시켜 구성하는 방식인바, 이는 조립성이 간편하지 못하여 작업시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짐은 물론, 상기 본체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과 고정플레이트를 제작하기 위한 별도의 금형을 더 제작해야만 함으로써 금형비가 가중되고, 이들을 상호 결합하는 과정이 다소 억지스러운 탈부착식이어서 조립시 본체 및 고정플레이트가 강하게 맞물리면서 초래될 수 있는 파손 내지 훼손에 대응할 수 없으며, 또한 조립후 그 외관이 단정하지 못하여 신뢰성이 격감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양산시키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의 주된 구성품인 본체와 고정플레이트의 조립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그로 인한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해소할 수 있으며, 금형비의 절감과 설치시 또 는 설치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외관 손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노출박스 본체에 다소 상당한 부피로 형성된 콘센트 뭉치와 같은 내용물을 수용시키고자 할 경우에, 이에 적합한 내부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탈부착식으로 구현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서 구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노출박스는 관통형성된 통공이 형성되고, 드라이버나 소형망치, 니퍼 등의 간단한 공구로 쉽게 절취부(20a)를 이탈시켜 소정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는 삽입부(20)를 형성하여서 상기 삽입부(20)를 제거하고 난 후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관과 단턱을 가진 파이프접속구(미도시함)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못이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벽면 등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구(25)가 구비된 노출박스 본체(11)를 구성하되, 상기 본체 내측 공간의 해당 상하면에는 그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고정플레이트(35)를 본체(11)와 일체되게 구성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플레이트(35)에 탈부착식으로 조립이 용이한 프레임(15)을 더 포함하여서 구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례에 의하여 구성된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70)와 관련된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인 본체에 스위치 뭉치가 수용되는 과정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본체에 콘센트 뭉치가 수용되는 과정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기술의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각종 스위치와 콘센트를 설치하고 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70)에 관련되는 것으로, 하나의 본체로 하여금 스위치 뭉치(45)와 콘센트 뭉치(55)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통상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파이프의 대소 크기와 설치장소에 구애받음 없이 소정의 박스에 결합가능하도록 파이프 접속구와 부싱을 구비하고, 파이프 접속구 삽입부를 박스의 각 면에 형성시켜 매립 또는 노출되어 기설치된 파이프의 방향과 일치되는 파이프 접속구 삽입부를 천공토록 구성한 노출박스에 관한 것으로, 전기시설을 가설할 경우 부득이하게 케이블과 케이블을 연결 접속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케이블이 연결 접속되면 그 접속부는 피복이 벗겨져 있기 때문에 절연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보호하더라도 습기로 인한 누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고,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거나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쉽게 단선되게 될 우려가 있음에 따라 이러한 폐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로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본체(11)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도록 하나의 함체로 구성하여 케이블 내지 전기선, 이와 연계된 전기시설물을 적절히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11)에는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다수의 삽입부(20)를 형성하여 상기 삽입부(20)에 연결하고자 하는 코드의 굵기에 따라 구멍크기를 선택적으로 구성 할 수 있도록 절취부(20a)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절취부(20a)는 간단한 도구를 사용하여 타격함으로써 쉽게 탈거되어 필요에 따라 적합한 크기의 삽입부(2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35)는 통상 본체 내측에 수용되는 각종 스위치, 콘센트와 결부된 전기내용물을 지지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되며,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고정플레이트(35)의 저면에는 소정의 깊이를 형성한 안착홈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미도시함)은 이후 기술할 프레임(15)의 결착부재(17)와 상호 작용하여 본체(11) 상에 프레임(15)이 탈 부착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된다.
본 고안의 고정플레이트(35)는 상기 본체(11)의 내측 테두리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구성한 기존의 것과는 상이함에 그 특징을 두고 있다.
상기 본체(11)의 개방된 전면을 기준으로 그 상면과 하면의 내측 테두리면에 대해서만 본 고안의 고정플레이트(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본체(11) 내측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고정결합시키는 실질적인 위치에만 상기 고정플레이트(35)를 마련하게 됨으로써 기존과 같은 불필요한 원자재의 사용을 개선할 수 있다. 더불어, 첨부도면에서와 같이 본체(11)의 대향된 양측면에는 고정플레이트가 형성되지 않고 빈 공간으로 남게 되면서, 더욱 넓은 내부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서 공간활용 측면에서도 효율적일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35)를 스위치 뭉치(45) 또는 콘센트 뭉치(55)의 고정나사(21)가 대응되는 위치 상·하측에만 구성 하여서 하나의 본체로 스위치 뭉치(45)와 콘센트 뭉치(55)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있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라 구성된 박스 본체(11)에 적용되는 프레임(15)의 사시도가 상세히 나타나 있으며, 가령 콘센트 뭉치(55)와 같이 전기적 장치가 복잡하여 그와 결부된 전기내용물 또한 부피가 상당하게 됨에 따라 통상적인 박스 본체(11)에 이를 수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에 유용한 수단이 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15)은 도면에서와 같이 본체의 크기 및 형상과 동일하게 제조됨이 바람직하고, 본체(11) 내부공간의 확장을 위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한다. 특히, 상기 고정플레이트(35)로 하여금 프레임(15)이 간편한 방식으로 탈 부착될 수 있도록 이들이 접하게 되는 프레임(15)의 저면에는 소정의 결착부재(17)를 다수 마련하였는바, 상기 결착부재(17)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플레이트의 안착홈에 끼워져 확고한 고정은 물론, 필요에 따라 인위적으로 손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70)는 환형, 직사각형의 구조를 갖는 유니버셜 내지 터미널 캡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노출박스의 측면에 접속되는 케이블의 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케이블 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동일 구조의 박스 내에서도 그 크기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됨이 일반적이다.
한편,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도면(종래도면 포함)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보다 빠른 이해를 위해 전체적인 설치상태를 종래도면을 참고하여 기 술하면, 전기 또는 통신용 케이블이 내입되어 설치된 파이프(미도시함)를 노출박스와 접속하게 하기 위해서는 기설치된 파이프의 방향과 일치되며 파이프접속구(H)의 나사부(C) 외경과 부합하는 노출박스의 파이프접속구 삽입공(D)을 타격하면 절취부(20a)가 떨어지면서 천공이 된다.
상기 노출박스(70)의 파이프접속구 삽입공(D)에 파이프접속구(H)를 끼운 후 돌출된 나사부(C)에는 너트(E)를 나합하여 견고히 고정한 다음, 파이프접속구(H)의 파이프삽입공(G)이 기설치된 파이프 외경과 일치할 경우 그대로 접속하고, 파이프의 외경보다 파이프삽입공(G)이 클 경우에는 다수의 지지부재(R)가 형성된 부싱(S)을 파이프삽입공(G)에 삽입하여 부싱(S)의 내경과 파이프삽입공(G)의 내경이 일치되도록 하여 파이프를 접속하게 된다. 이후, 설치장소에 맞게 바닥부에 다수개 배열 형성되어 천공된 체결구(25)에 피스(미도시함)를 조임하여 견고히 설치함으로써 모든 시설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상기 노출박스(70)는 전면이 개구되어 있어 설치 후 커버가 결합되는데, 노출박스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탭공(미도시함)이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에는 탭공과 일치하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가 노출박스에 나사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그 내부를 차단시키게 됨은 종래와 유사 내지 동일하다.
본 고안의 노출박스 본체(11)는 최초 그 성형시 소정의 공간에 고정플레이트(35)를 함께 형성시켜 본체(11) 및 고정플레이트(35)가 일체된 형상으로 구성함에 특징이 있는바, 본체(11)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과 고정플레이트(35)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별개로 분리하여 사출성형하는 기존의 방식과 성격을 달리하며, 이들 이 따로 형성되어 작업시 조립과정을 거치게 됨에 따라 동반되는 시간상, 작업상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본체 상으로 프레임(15)을 결속시키게 되면, 보다 다양한 크기를 갖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게 되어 기능적으로 더욱 효율적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노출박스(70)는 본 청구범위 권리의 일실시례일 뿐, 권리 범위를 한정한 것이 아니므로 노출박스 외에 건물을 시공할 때 벽면이나 천정으로 매설된 전기선을 통해 전기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기용 매설박스들, 즉 코드를 꼽아 가전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콘센트 박스는 물론, 조명등 점멸용 스위치가 설치되는 스위치 박스, 천정과 같은 곳에 설치되어 조명기구 쪽으로 전기선들을 인출시키는 아우트렛 박스 등 전기에 관련된 모든 박스들의 경우에도 그 기술이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기술된 노출박스와 유사할 경우에는 모든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주지하는 바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보다 구조가 간단하여 금형비 등의 절감과 더불어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설치시 본체와 고정플레이트간의 조립과정을 과감히 생략할 수 있게 되면서 보다 신속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출박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통상 본체와 고정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종래기술과 견주어 볼 때, 본 고안에서는 이들이 일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본체와 고정플레이트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비롯될 수 있는 각 구성요소들의 파손 및 훼손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스위치 뭉치 또는 콘센트 뭉치를 본체 내에 수용하여 고정나사로써 고정하여 구성되는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사출성형시 일체가 되도록 고정플레이트를 구성하되,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스위치 뭉치 또는 콘센트 뭉치의 고정나사에 대응되는 위치 상·하측에만 구성하여서 하나의 본체로 스위치 뭉치와 콘센트 뭉치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형과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결착부재를 일체로 갖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KR2020070005155U 2007-03-29 2007-03-29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KR200800043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155U KR20080004310U (ko) 2007-03-29 2007-03-29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155U KR20080004310U (ko) 2007-03-29 2007-03-29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310U true KR20080004310U (ko) 2008-10-02

Family

ID=4132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155U KR20080004310U (ko) 2007-03-29 2007-03-29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31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813B1 (ko) * 2009-02-27 2009-06-11 (주)서광전기컨설팅 실내 전기구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공동주택의 스위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813B1 (ko) * 2009-02-27 2009-06-11 (주)서광전기컨설팅 실내 전기구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공동주택의 스위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90900C (en) Weatherproof while-in-use electrical box cover with insertable hinge pin
US8158884B2 (en) Angled slots for installation of outdoor metallic boxes
US6786766B1 (en) Electrical outlet box with secure quick connect and release features
US7235739B2 (en) Box extender
US6722621B2 (en) Electrical box assembly with removable protective cover
US20100288526A1 (en) Electrical apparatus having quick connect components
US1130310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cover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for completing electrical installations
KR200403590Y1 (ko) 단자함
US10128646B1 (en) Two-gang TV bridge kit with pre-molded electrical cord for minimizing wiring terminations
KR101093898B1 (ko) 건축물용 매입형 전기스위치박스
US20190097404A1 (en) Junction box
US8445778B2 (en) Cable entry device for wiring boxes
KR20080004310U (ko)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US20040065460A1 (en) Base board system for installing wiring and method therefor
KR101010309B1 (ko) 단자함
KR100880450B1 (ko)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US7083466B1 (en) Cover of wiring box for use in telecommunication line
KR100786376B1 (ko) 전기배선 안전덮개 설치구조
US20050250384A1 (en) Exterior connection weather seal
JP4443820B2 (ja) 分電盤
KR20150024583A (ko) 모듈 확장 및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유닛
KR200198502Y1 (ko) 전기접속구의 전선연결구조
EP2816684B1 (en) Assembly for building into a wall, and method for building in such an assembly
EP2824781B1 (en) Assembly with functional module and method for connecting and building in such a functional module
JP3027408U (ja) 壁埋込み型電気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