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500Y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500Y1
KR200481500Y1 KR2020140009533U KR20140009533U KR200481500Y1 KR 200481500 Y1 KR200481500 Y1 KR 200481500Y1 KR 2020140009533 U KR2020140009533 U KR 2020140009533U KR 20140009533 U KR20140009533 U KR 20140009533U KR 200481500 Y1 KR200481500 Y1 KR 2004815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eating
connector
connector hous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310U (ko
Inventor
김광환
박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140009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500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3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3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5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01R13/562Bending-relie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01R13/565Torsion-relie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01R13/567Traverse cable outlet or wire 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21Transformer bushing type or high voltage underground connecto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가 설치되며, 상기 단자와 대향하는 개구홀을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개구홀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홀을 노출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개구홀을 커버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단자의 휨을 방지하고 작업성을 개선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류 및 전기적 신호가 공급됨에 따라 작동되는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전장품은 와이어링 하네스와 개별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전선에 의해 배터리 및 전자제어장치 등과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거나 전기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종래와 같이 와이어링 하네스와 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 시, 멀티박스를 이용하여 와이어링 하네스와 연결되는 전장품을 연결하고 있다. 상기 멀티박스는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로 구성되는데, 상기 메일 커넥터는, 메일 커넥터에 장착되는 단자가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자 휨 방지 회수용 커버가 설치된다.
상기 단자 휨 방지 회수용 커버는 메일 커넥터에 별도로 설치되어 커넥터가 이동 중이거나 작업 전 상황일 때, 메일 커넥터의 단자를 커버하여 상기 단자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상기 단자 휨 방지 회수용 커버는 메일 커넥터의 규격과 일치하지 않아 단자의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도 하고, 상기 커버는 커넥터와 별도로 제작되기 때문에 커버 제작에 필요한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메일 커넥터와 와이어링 하네스 연결 작업 도중 상기 단자 휨 방지 회수용 커버의 분실이 발생하기도 하여 커버 제작 비용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자의 휨 또는 파손을 방지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단자를 보호하는 커버가 일체화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커넥터는,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가 설치되며, 상기 단자와 대향하는 개구홀을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개구홀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홀을 노출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개구홀을 커버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고안은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된 커버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의 단자의 휨 또는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커버가 커넥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된 커넥터 본체의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장치를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터의 물류 이동 및 와이어 연결 작업 시, 커버가 단자 노출을 방지하여 단자의 휨 및 파손 등을 방지하여 단자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단자와 와이어 연결 작업 중에도 커버를 커넥터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커버를 분실하는 등의 커버 손실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커버와 커넥터 하우징의 탈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절단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커넥터 하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고안의 특정 상세들이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고안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고안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커버와 커넥터 하우징의 탈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절단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커넥터 하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는, 단자(120)를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100)와, 상기 커넥터 본체(100)가 설치되며, 단자(120)와 대향하는 개구홀(H)을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200)과, 개구홀(H)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홀(H)을 노출하는 개방위치(도 1의 (b))와, 개구홀(H)을 커버하는 폐쇄위치(도 1(a))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커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커넥터(10)는 커넥터 하우징(200)에 설치된 커버(300)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200)에 마련된 복수의 단자(120)의 휨 또는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커버(300)가 커넥터 하우징(200)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커넥터 하우징(200)에 설치된 커넥터 본체(100)의 단자(120)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장치를 커넥터 하우징(200)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커넥터(10)에 대해 살펴보기에 앞서, 상기 커넥터(10)의 커넥터 본체(100)는 커넥터 본체(100)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탭단자가 설치된 메일(Male) 커넥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커넥터 본체(100)는 피메일(Female) 커넥터일 수 있으며, 커넥터 본체(100)의 종류에 의해 본 고안이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커넥터(10)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커버(300)는 커버(300)의 회동축(X_도 1 참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회동부(350)를 포함하고, 커넥터 하우징(200)은 회동부(350)가 안착되는 안착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부(350)는 커버(300) 일 단이 커넥터 하우징(200)에 고정되지 않고, 얹힌 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커버(300)가 회동하면서 커버(300)의 일 단은 커버(300)와 함께 회동해야 한다. 따라서, 커버(300)의 일 단이 커넥터 하우징(200)에 고정될 경우 커버(300)가 회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커버(300)가 커넥터 하우징(200)에 얹힌 상태가 되기 위하여 커버(300)의 일 단에 회동부(350)를 형성한다.
상기 회동부(350)는 안착부(250)에 안착되는 안착바(bar)(320)와, 안착바(320)와 일체로 형성되며, 안착부(250)에 안착된 회동부(350)가 안착부(25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바(340)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바(320)는, 상기 커버(300)의 회동축(X)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바(340)는 커버(300)의 모서리와 엇갈리게 형성된다.
즉, 회동축(X)은 커버(300)의 전, 후 일 모서리와 나란한 축이고, 상기 안착바(320)는 상기 커버(300)의 일 모서리에서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안착바(320)는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착부(250)에 안착바(320)가 안착될 때, 안착바(320)가 안착부(250) 내에 겉도는 것을 방지하여 안착바(320)와 안착부(250)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안착바(320)는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안착바(320)의 외면은 안착부(250)의 내면과 맞물린다. 상기 안착바(320)가 사각 형상이기 때문에 안착부(250)의 내면에 걸림되면서 맞물리기 때문에 안착바(320)가 안착부(250)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바(340)는 상기 커버(300)의 일 모서리와 엇갈리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350)가 안착부(250)에 안착될 때, 커버(300)가 전, 후 방향으로 움직여 회동부(350)가 안착부(250)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안착부(250)는 회동부(350)가 안착되는 구조물로 회동부(350)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1 안착부(250a)와 제1 안착부(250a)와 대향되며, 회동부(350)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2 안착부(250b)를 포함하고, 제1 안착부(250a)와 제2 안착부(250b)의 상측은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안착부(250a, 250b)의 상측을 개구함에 따라 커버(300)를 커넥터 하우징(200)에서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커넥터(10)에 와이어링 하네스 조립 작업 시, 커버(300)가 파손되거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300)를 커넥터 하우징(200)에서 분리해야 하는데, 커버(300)를 개방위치로 위치시키면 이탈방지바(340)는 커버(300)가 세워진, 상, 하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제1 및 제2 안착부(250a, 250b) 사이에서 안착부(250)를 분리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커버(300)를 커넥터 하우징(20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착부(250)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안착부(250a, 250b)의 상측이 이격되게 형성되어 회동부(350)가 회동할 때, 탄성적으로 좌, 우로 벌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회동부(350)가 안착부(250)에 안착된 상태에서 커버(300)의 상태에 따라 회동하여 회동부(350)와 안착부(250)의 마찰이 최소로 발생하여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50) 상측에 인접한 제1 및 제2 안착부(250a, 250b) 사이의 간격(D₁)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200)에 설치되어 개방위치 시, 커버(300)의 일 단부터 슬라이드 삽입되는 커버수납부(220)의 상면과 인접한 제1 및 제2 안착부(250a, 250b) 사이의 간격(D₂)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커버(300)가 개방위치일 때, 상기 커버(300)의 일 단은 상, 하 방향으로 세워진다. 이때, 상기 안착바(320)가 상, 하로 세워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 안착부(250a, 250b)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및 제2 안착부(250a, 250b)의 상측 간격(D₁)을 작게 하여 안착바(320)가 안착부(25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커넥터 하우징(200)은 커버(300)의 개방위치 시, 커버(300)가 수납되는 커버수납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수납부(220)는 개방위치 시, 커넥터(10)의 상, 하로 세워진 커버(300)가 슬라이드 수납되는 구조물이며, 커버(300)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24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커버(300)가 개방위치일 때, 커버수납부(220)에서 커버(300)를 수납함에 따라 커넥터(10)에 와이어링 하네스를 연결하는 연결 작업 시, 작업자의 작업 동선 상에 커버(300)가 위치하여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커버수납부(220)는 커넥터 하우징(200)의 상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커버(300)는 커넥터 본체(100)의 상측과 충분히 이격되도록 형성된다(도 3 및 도 5 참고). 왜냐하면, 커버(300)의 하면과 커넥터 본체(100) 상측이 인접하여 커넥터 본체(100)의 단자가 커버(300)의 하면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커버수납부(220)는 커넥터 하우징(200)의 상측에서 충분히 돌출되게 형성되어 커버(300)가 폐쇄위치 상태에서 커넥터 하우징(200) 상면(T)에서 충분히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커넥터 본체(100)의 단자(120)와 커버(300)의 하면이 인접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커넥터 하우징(200)은 커버수납부(220)와 대향되는 핸들지지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지지부(260)는 커버수납부(220)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커버(300)가 커넥터 하우징(200)의 상면(T)에서 충분히 이격되도록 설치되기 위한 구조물이다.
이때, 커버(300)는 커버(300)의 회동축(X) 반대 단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핸들(360)을 포함하고, 커넥터 하우징(200)은 폐쇄위치 시, 핸들(360)의 위치를 락킹하는 핸들지지부(260)를 포함한다.
특히, 핸들(360)은 핸들지지부(260)를 향해 돌출된 락킹돌부(380)를 포함하고, 핸들지지부(260)는 락킹돌부(380)와 맞물리는 락킹홈(280)을 포함한다. 즉, 커버(300)가 폐쇄위치일 때, 핸들(360)과 핸들지지부(260)는 접한다. 이때, 락킹돌부(380)가 락킹홈(280)에 걸리면서 핸들(360)이 상, 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커버(300)의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 핸들(360)과 핸들지지부(260)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커버(300)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변경될 때, 핸들지지부(260)와 접하는 핸들(360)의 일 면(fa)에 소정의 힘을 가한다. 이때, 발생되는 힘에 의하여 핸들(360)이 탄성 변형이 발생된다. 즉, 핸들(360)의 일 면(fa)에 소정의 힘을 가하면 핸들(360)은 핸들(360)의 타 면(fb)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한다. 이때 발생한 변형에 의해서 락킹돌부(380)가 락킹홈(280)에서 이탈되며 커버(300)가 개방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핸들(360)은 ㄱ-자로 형성되며, 개방위치 시, 상기 커버수납부(220)의 상면(T)에 핸들(360)의 상기 타 면(fb)이 안착되어 커버(300)가 커버수납부(220)에 완전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00)에 설치된 커버(300)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200)의 단자(120)의 휨 또는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커버(300)가 커넥터 하우징(200)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커넥터 하우징(200)에 설치된 커넥터 본체(100)의 단자(120)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장치를 커넥터 하우징(200)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터(10)의 물류 이동 및 와이어 연결 작업 시, 커버(300)가 단자(120) 노출을 방지하여 단자(120)의 휨 및 파손 등을 방지하여 단자(120)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단자(120)와 와이어 연결 작업 중에도 커버(300)를 커넥터(10)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커버(300)를 분실하는 등의 커버(300) 손실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커넥터 100: 커넥터 본체
120: 단자 200: 커넥터 하우징
220: 커버수납부 240: 수납홈
250: 안착부 260: 핸들지지부
280: 락킹홈 300: 커버
320: 안착바 340: 이탈방지바
350: 회동부 360: 핸들
380: 락킹돌부

Claims (7)

  1.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가 설치되며, 상기 단자와 대향하는 개구홀을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
    상기 개구홀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홀을 노출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개구홀을 커버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회동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회동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안착바(bar)와,
    상기 안착바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회동부가 상기 안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회동부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1 안착부와,
    상기 제1 안착부와 대향되며, 상기 회동부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의 상측은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 안착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위치 시, 상기 커버의 일 단부터 슬라이드 삽입되는 핸들지지부의 상면과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 안착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회동축 반대 단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는 상기 폐쇄위치 시, 상기 핸들의 위치를 락킹하는 핸들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지지부를 향해 돌출된 락킹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지지부는 상기 락킹돌부와 맞물리는 락킹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2020140009533U 2014-12-24 2014-12-24 커넥터 KR200481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533U KR200481500Y1 (ko) 2014-12-24 2014-12-24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533U KR200481500Y1 (ko) 2014-12-24 2014-12-24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310U KR20160002310U (ko) 2016-07-04
KR200481500Y1 true KR200481500Y1 (ko) 2016-10-11

Family

ID=5649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533U KR200481500Y1 (ko) 2014-12-24 2014-12-24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50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0517A (ja) * 1998-09-21 2000-04-07 Nec Corp 情報機器のコネクタ収納蓋の開閉構造
WO2009119762A1 (ja) 2008-03-27 2009-10-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ポ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0256A (ko) * 2010-01-05 2011-07-13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도어완충기의 덮개 회동장치
KR101317149B1 (ko) * 2012-01-06 2013-10-10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케이블 단자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0517A (ja) * 1998-09-21 2000-04-07 Nec Corp 情報機器のコネクタ収納蓋の開閉構造
WO2009119762A1 (ja) 2008-03-27 2009-10-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ポ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310U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5355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5534350B2 (ja) コネクタ装置
WO2018163788A1 (ja) シールド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JP4909793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5835434B1 (ja) 防水コネクタ
JP2006294358A (ja) カバー付コネクタ
US10153464B2 (en) Battery cover
JP6701260B2 (ja) 筐体、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03304625A (ja) 電気接続箱
US20110097922A1 (en) Connector attachable to an attaching object without forming a large opening in the attaching object
JP2004032839A (ja) 電気接続箱
JP2007066898A (ja) 電気コネクター部品
US20170229805A1 (en) Lever-type connector
JP5664847B2 (ja) 電気接続箱
US10243293B2 (en) Device connector
KR200481500Y1 (ko) 커넥터
JP2009117059A (ja) コネクタ
JP2015042109A (ja) 端子台
JP2000236611A (ja) 電気接続箱
JP2002170640A (ja) コネクタ
JP2008108660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コネクタ
JP7260490B2 (ja) カバー
KR20170085941A (ko) 커넥터
JP5888507B2 (ja) コンセント
JPH11308734A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