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222Y1 - 원단커팅기 - Google Patents

원단커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222Y1
KR200481222Y1 KR2020140003243U KR20140003243U KR200481222Y1 KR 200481222 Y1 KR200481222 Y1 KR 200481222Y1 KR 2020140003243 U KR2020140003243 U KR 2020140003243U KR 20140003243 U KR20140003243 U KR 20140003243U KR 200481222 Y1 KR200481222 Y1 KR 200481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utting
housing
fabric
cutt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000U (ko
Inventor
최창순
Original Assignee
최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순 filed Critical 최창순
Priority to KR2020140003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222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0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0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2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3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 B26D1/4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and coacting with a rotary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11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web rolls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되는 두 롤러 사이로 원단을 삽입시켜 커팅시킴에 있어 일측 롤러에 커팅날을 구비하고, 타측 롤러에는 커팅날의 커팅시 이를 지지하는 우레탄 재질의 받침부를 구비하여 기계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소음 발생을 줄여주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원단커팅기에 관한 것으로,
커팅수단이 구비된 제1 롤러와, 상기 제1 롤러와 맞물려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커팅수단과 대응되게 위치하는 받침부가 구비된 제2 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부는 우레탄 재질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단커팅기{CUTTING APPARATUS FOR FABRIC}
본 고안은 원단 커팅을 위한 원단커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되는 두 롤러 사이로 원단을 삽입시켜 커팅시킴에 있어 일측 롤러에 커팅날을 구비하고, 타측 롤러에는 커팅날의 커팅시 이를 지지하는 우레탄 재질의 받침부를 구비하여 기계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소음 발생을 줄여주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원단커팅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 공정이 이루어지면서 특정 공정에 사용되는 원단을 커팅하는 장치 역시 수작업보다는 기계에 의존하는 자동화 공정이 일반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소위 커팅기의 경우 주입되는 원단을 인지하여 특정 지점에 위에서 아래로 커팅날을 이동시켜 상하 운동을 통해 원단을 커팅시키는 방법 및 이에 따른 장치가 있는 반면,
한편으로는 한 쌍의 롤러가 구비되되 일측에 커팅날이 구비되어 한 쌍의 롤러 사이로 원단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커팅날에 의해 원단을 커팅시키는 방법 및 이에 따른 장치가 일반적이다.
물론 전자의 방법이건 후자의 방법이건 장단점이 있으나 자동화 공정이라는 측면에서 고려하면 원단 공급을 자동화시키고 원하는 커팅 시점에서 용이하고 간편하게 원단을 커팅한다는 측면에서는 전자보다는 후자 방식이 보편적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커팅 대상을 원단이라고 칭하였으나, 원단이라 함은 영문 표현의 패브릭(Fabric)에 한정되지 않고 필름이나 시트 등 커팅을 필요로 하는 대상을 통칭하는 것으로 일컫는다.
다음으로 후자 방식의 경우 등록특허 제10-1023749호(2011.03.14)『시트타입의 절단 및 권취가 가능한 점착필름 절단장치』가 있는데,
등록특허 제10-1023749호는 점착력이 있는 필름을 롤 타입으로 권취함에 있어 점착 필름을 권취하는 메인롤러와 점착 필름 두께로 이루어진 칼날이 구비된 터치롤이 맞물려 함께 회전하면서 점착 필름을 일정한 길이의 시트 타입으로 절단하여 권취하게 함으로써 반도체 제조 설비의 동작을 멈추지 않고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작업 수율을 향상시킨 필름 절단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즉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통해 원단을 커팅시킨다는 점에서는 이하 설명될 본원고안의 커팅기와 공통되는 면이 있으나, 그러한 등록특허 제10-1023749호의 커팅대상이 점착력 있는 필름이기에 이하 설명되는 본원고안과 같은 목적 해결보다는 점착력 있는 필름을 일정 길이를 갖는 시트 타입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롤 형태로 권취함으로써 이후 공정을 멈추지 않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점에 목적이 맞춰져 있다.
그러기에 등록특허 제10-1023749호에 개시된 롤러 및 상기 롤러에 구비된 칼날 구성에 의하면 칼날의 빠른 마모를 저지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이 부족하며, 또한 칼날이 바로 타측에 구비된 롤러에 접하는 구성으로 기계 작동시 소음 발생이 예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예견된다.
본 고안은 전술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롤러 회전을 통해 롤러 사이로 투입되는 원단을 커팅함에 있어 기계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원단커팅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마모되는 정도를 체크하여 커팅날의 전진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커팅날을 안정적으로 회전 롤러에 설치시킬 수 있어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면서 설치된 커팅날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어 이후 유지보수가 용이한 원단커팅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원단커팅기는,
커팅수단이 구비된 제1 롤러와, 상기 제1 롤러와 맞물려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커팅수단과 대응되게 위치하는 받침부가 구비된 제2 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부는 우레탄 재질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커팅수단은,
커팅날과, 상기 커팅날이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여 하우징의 전진여부를 조절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나사는 회전 정도에 따라 하우징의 전진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팅날은 판상 형태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원단커팅기에 의하면,
일측의 롤러에는 커팅날을 구비하고, 타측의 롤러에는 커팅날을 받쳐주는 받침부가 구비되되 이를 하드재질이 아닌 소프트 재질의 우레탄 재질로 형성하여
커팅날이 받침부에 접촉이 받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커팅날의 마모정도를 지연시킬 수 있고,
또한 커팅날과 받침부 간의 접촉시 발생되는 타격음을 우레탄 재질의 받침부가 흡음하여 소음발생이 적은 원단커팅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커팅날을 판상 형태로 하여 커팅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받침부와의 접촉면적을 줄여 커팅날의 마모지연 내지 소음 저감의 효과를 더욱 기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측 롤러에 커팅날을 포함한 커팅수단을 장착함에 있어 롤러에 대한 안정적이면서 손쉬운 커팅수단 장착이 가능하며, 또한 커팅날의 전진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조절나사를 구비하여 이로 인해 커팅날 마모시 커팅날을 전진 이동시켜 커팅기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원단커팅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단커팅기 요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단커팅기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원단커팅기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단커팅기는 다양한 커팅 방식 중 한 쌍의 롤러를 이용하여 롤러 사이로 삽입되는 원단을 커팅하기 위한 장치인 것이고,
커팅되는 대상은 원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이나 시트 등 절단이 필요한 대상이라면 모두 해당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단커팅기는 커팅수단이 구비된 제1 롤러(10)와, 상기 제1 롤러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 롤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롤러(20)에는 롤러 회전시 제1 롤러에 구비된 커팅수단(30)과 맞닿는 위치에 커팅수단의 커팅날과 접촉되면서 이를 지지할 수 있는 받침부(40)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부(40)는 다양항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원단커팅기의 소음을 줄이고 기계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하고자 하는 이유에서 소프트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예로 우레탄 재질의 받침부를 고려할 수 있다.
즉, 제1 롤러(10)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 롤러(20)에 커팅수단(30)의 커팅날(31)과 접촉되면서 커팅날의 원단커팅시 커팅작업을 지지해 줄 수 있는 받침부(4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받침부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제2 롤러 외주면에 바로 커팅날이 접촉되어 롤러 및 커팅날 손상은 몰론이고 정확한 원단 커팅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40)의 경우 스테인레스와 같은 하드 재질로 구성하게 된다면 커팅날과의 접촉시 커팅날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고, 또한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에 따른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기계에 무리를 주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받침부(40)를 구비하되, 그 재질을 소프트한 우레탄 재질로 형성하여 커팅날 접촉시 받는 타격을 흡수할 수 있고, 역시 타격시 발생되는 타격음을 최소화할 수 있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물론 하드 재질끼리의 부딪힘이 없어 기계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는 효과 역시 기대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커팅수단을 살펴보면, 상기 커팅수단(30)은
커팅날(31)과, 상기 커팅날이 장착되는 하우징(32)과,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여 제1 롤러에 장착된 하우징의 전진 여부를 제어하는 조절나사(33)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2)은 사각기둥과 같은 형상으로 제1 롤러(10)에는 상기 사각기둥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11)이 마련되고, 상기 공간에 커팅날(31)이 장착된 하우징(32)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의 상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12)이 연결형성되고, 상기 나사공(12)에 고정볼트(B1)가 삽입 체결되면서 공간에 삽입된 하우징(32)을 눌러주고 이를 제1 롤러(10)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조절나사(33)를 살펴보면, 이는 조절나사의 회전 정도에 따라 하우징의 전진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롤러에는 하우징이 삽입 설치된 공간(11)의 후방으로 조절나사의 전면이 하우징의 후면과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조절공(13)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공(13)의 내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절나사(33) 회전시 조절나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조절공의 나사산과 맞물리면서 조절나사가 전진되고, 전진하는 과정에서 하우징의 후면을 전방으로 밀어 하우징을 전진이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방법으로 커팅수단의 전진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즉, 원단커팅기의 지속적 사용이 이루어지면 커팅날 마모가 생기고 마모된 부분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자는 조절나사를 돌려 하우징을 전진이동시키게 된다.
물론, 이 경우 하우징을 상부에서 눌러주는 고정볼트(B1)의 고정력을 일정 부분 해제시킨 후 조절나사(33)를 돌려 하우징을 전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커팅날(31)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판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상이 아닌 입체 형상으로 부피를 가지는 경우 커팅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부담이 있으며, 판상 형태의 커팅날이 원단 절단시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판상 형태의 커팅날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이를 바로 제1 롤러(10)에 설치시키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32)에 장착시킨 후 제1 롤러에 설치되는 구성이기에 설치도 편리하다.
다음으로 받침부(40)가 설치된 제2 롤러(20)를 살펴보면,
받침부(40)가 설치되는 제2 롤러 역시 받침부가 삽입 및 장착될 수 있는 제2 공간(21)이 제2 롤러(20)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간 상부로 제1 롤러와 동일한 형태의 제2 나사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공에 제2 고정볼트(B2)가 스크류 결합된다.
즉 제2 고정볼트가 제2 롤러에 장착되면서 제2 롤러의 제2 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받침부를 눌러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단커팅기의 한 쌍의 롤러는 전체적인 원통형상을 하고 있으나, 전술된 조절나사 또는 고정볼트에 대한 용이한 조임 작업을 위해 롤러의 필요한 부분에 절단부(C1, C2, C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고정볼트(B1. B2)가 설치되기 위해 롤러에서 잘려지는 절단부(C1. C2)의 경우 세로절단면과 가로절단면을 형성하되, 가로절단면은 하우징(32) 및 받침부(40)와 평행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한 쌍의 롤러를 구동시키면 상기 롤러 사이로 원단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커팅날이 받침부에 받쳐지면서 삽입된 원단을 커팅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구성 외 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등의 구성이 포함되나 이는 본 고안을 이해함에 있어 핵심적인 부분이 아니고 또한 보편적으로 채용해오던 구성이 실시되는 것으로 상기 언급된 구성 이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원단커팅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 롤러 11: 공간
12: 나사공 13: 조절공
20: 제2 롤러
30: 커팅수단 40: 받침부
31: 커팅날 32: 하우징
33: 조절나사 B1: 고정볼트

Claims (4)

  1. 커팅수단이 구비된 제1 롤러와, 상기 제1 롤러와 맞물려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커팅수단과 대응되게 위치하는 받침부가 구비된 제2 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부는 우레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커팅수단은,
    커팅날과, 상기 커팅날이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여 하우징의 전진여부를 조절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우징은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롤러에는 고정볼트가 삽입 체결되기 위한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는 나사공에 삽입 체결되어 하우징을 눌러 하우징을 제1 롤러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롤러에도 제2고정볼트가 삽입 체결되기 위한 제2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볼트는 제2나사공에 삽입 체결되어 받침부를 눌러 받침부를 제2 롤러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에는 롤러 일부가 잘려진 것으로 상기 고정볼트와 제2고정볼트 체결을 위한 절단부가 형성되되, 상기 절단부는 세로절단면과 가로절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가로절단면은 상기 하우징과 받침부와 평행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커팅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는 회전 정도에 따라 하우징의 전진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커팅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날은 판상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커팅기.
KR2020140003243U 2014-04-23 2014-04-23 원단커팅기 KR200481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243U KR200481222Y1 (ko) 2014-04-23 2014-04-23 원단커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243U KR200481222Y1 (ko) 2014-04-23 2014-04-23 원단커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000U KR20150004000U (ko) 2015-11-02
KR200481222Y1 true KR200481222Y1 (ko) 2016-09-01

Family

ID=5470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243U KR200481222Y1 (ko) 2014-04-23 2014-04-23 원단커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22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3841Y2 (ja) * 1993-10-20 2000-03-27 株式会社名南製作所 ベニヤ単板のスカーフ切断装置
JP2008178932A (ja) * 2007-01-24 2008-08-07 Ibaraki Precision Mach Co Ltd ロータリ式カッター
KR101023749B1 (ko) * 2009-11-02 2011-03-28 (주)티엔에프 시트타입의 절단 및 권취가 가능한 점착 필름 절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3841B2 (ja) * 1987-12-04 1997-04-23 森山工業株式会社 電動船外機
JPH06134703A (ja) * 1992-10-28 1994-05-17 Meinan Mach Works Inc ベニヤ単板の接合方法及び接合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3841Y2 (ja) * 1993-10-20 2000-03-27 株式会社名南製作所 ベニヤ単板のスカーフ切断装置
JP2008178932A (ja) * 2007-01-24 2008-08-07 Ibaraki Precision Mach Co Ltd ロータリ式カッター
KR101023749B1 (ko) * 2009-11-02 2011-03-28 (주)티엔에프 시트타입의 절단 및 권취가 가능한 점착 필름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000U (ko) 201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1945B1 (en) Automatic movable machine for chamfering pipe and metal sheet
TW201628813A (zh) 用於加工機械的壓輥的調整裝置,特別是開槽機,以及加工機械,特別是具有此種調整裝置的開槽機
KR100972221B1 (ko) 원통의 표면가공장치
KR101657047B1 (ko) 스트립 절단장치
KR20120013036A (ko) 파이프 절단장치
RU2619380C2 (ru) Натя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ращающегося режущего механизма
JP2012035362A (ja) 切断機
KR200481222Y1 (ko) 원단커팅기
KR101979440B1 (ko) 이동식 제재 장치
CN204471615U (zh) 一种能够切割超大规格可变厚度板材的切割锯床
CN104647444A (zh) 一种建筑装饰板条切割设备
CN201823820U (zh) 一种用于钢带去毛刺的整形装置
CN206927341U (zh) 一种商标裁切机输送装置
CN210236658U (zh) 印刷机的分条装置
KR101583160B1 (ko) 엣지밴드트리머 및 그 엣지밴드트리머를 갖는 웨이브 패널의 엣지 밴드 트리밍 장치
KR200482915Y1 (ko)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
KR101773441B1 (ko) 파이프의 단부를 면취하는 장치
CN207808603U (zh) 一种开槽机的切角机构
CN109807384A (zh) 一种金属分切机
CN213795623U (zh) 一种双头同步磨花机
CN205240832U (zh) 一种简易开卷机装置
KR101310165B1 (ko) 압연 코드지의 사이드 트리밍 장치
JP7194980B2 (ja) 溶接ビード切削装置
US10814520B2 (en) Pressure roller system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planer snipe and configured for quick change
CN207858994U (zh) 一种木加工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