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036Y1 -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 - Google Patents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036Y1
KR200481036Y1 KR2020140007644U KR20140007644U KR200481036Y1 KR 200481036 Y1 KR200481036 Y1 KR 200481036Y1 KR 2020140007644 U KR2020140007644 U KR 2020140007644U KR 20140007644 U KR20140007644 U KR 20140007644U KR 200481036 Y1 KR200481036 Y1 KR 2004810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k
closed
voltage generator
diagnosis function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423U (ko
Inventor
김경호
김세령
안상근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안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602383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81036(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안상근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7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03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4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4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0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0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22Details
    • F23Q7/24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전전압 발생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전원과 외부전원 사이에서 절환시키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전원 절환에 따라 상기 제어전원이 인가되면 미리 설정된 기본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스파크 플러그에 고압을 인가하여 스파크가 발생되도록 하는 방전전압 발생기, 스파크 발생에 따라 상기 스파크 플러그를 통해 발생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 및 상기 인디케이터를 통해 전류가 감지되면 클로즈(close) 되는 아웃풋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BOILER IGNITOR HAVING SELF DIAGNOSIS FUNCTION}
본 고안은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GNITION EXCITER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력발전소는 석탄, 중유, 천연가스 등을 태워 얻은 열로 고온고압의 증기를 만들고, 증기 터빈을 회전시켜 발전기를 돌려서 전기를 생산한다. 따라서 화력발전소에는 보통 대형 보일러가 설치되며, 보일러에는 천연가스 등을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점화장치의 고장, 파손 등으로 인해 점화 불량이 발생하면 해당 장비의 구동실패로 인한 전력 공급 차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계통 운영의 예측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 점화장치의 스파크 정상동작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점화장치를 노외로 취외 후 외부에서 스파크 동작을 확인하여야 하였으며, 휴대용 테스트기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테스트 장소에서 점화장치를 테스트하여야 했다. 이러한 종래 방식은 고압 스파크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으며, 취외 및 취부 작업으로 인한 소요인력의 피로도를 증가시킨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스파크 동작 확인을 위한 많은 작업시간이 필요하여 점화지연을 초래함에 따라 계통 병입까지 지연되는 파급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88452호(2009.03.05.)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점화장치 자체적으로 스파크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는 방전전압 발생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전원과 외부전원 사이에서 절환시키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전원 절환에 따라 상기 제어전원이 인가되면 미리 설정된 기본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스파크 플러그에 고압을 인가하여 스파크가 발생되도록 하는 방전전압 발생기; 스파크 발생에 따라 상기 스파크 플러그를 통해 발생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 및 상기 인디케이터를 통해 전류가 감지되면 클로즈(close) 되는 아웃풋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는 상기 아웃풋 접점이 클로즈 되면 점등되는 LE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는 상기 방전전압 발생기에 상기 제어전원이 인가되면 클로즈 되는 라인 접점을 더 포함하되, 상기 LED는 상기 라인 접점이 클로즈 되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는 스파크 방전 시 발생하는 전류의 감지에 따라 클로즈 되는 접점을 구비함으로써 스파크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는 라인 전원 인가에 따라 클로즈 되는 접점을 구비함으로써 라인 전원 정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는 접점의 클로즈에 따라 점등되는 LED를 구비함으로써 점화장치의 오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에서 스파크 발생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에서 스파크 발생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는 스위치(110), 방전전압 발생기(120), 인디케이터(130), 아웃풋 접점(140), 라인 접점(150) 및 LED(160)를 포함한다.
스위치(110)는 방전전압 발생기 케이스(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방전전압 발생기(1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전원과 외부전원 사이에서 절환시킨다. 즉 사용자는 스위치(110)를 조작하여 점화장치의 오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방전전압 발생기(ignition exciter)(120)는 스위치(110)의 전원 절환에 따라 제어전원이 인가되면 미리 설정된 기본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전원은 계통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보일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예 : Distributed Control System, DCS)의 제어에 따라 보일러에 인가되는 전원을 의미하며, 기본동작을 수행한다함은 DCS 등 제어시스템에 의해 보일러의 기동 및 정지가 수행됨을 의미한다.
또한 방전전압 발생기(120)는 스위치(110)의 전원 절환에 따라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스파크 플러그에 고압을 인가하여 스파크가 발생되도록 한다. 즉 기본동작을 위한 제어전원이 아니라 스파크 정상동작 진단을 위한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방전전압 발생기(120)는 그 즉시 스파크가 발생되도록 하여, 점화장치의 자체 점검이 가능하게 한다.
인디케이터(130)는 스파크 발생에 따라 스파크 플러그를 통해 발생되는 전류를 감지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스파크 발생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 감지 과정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방전전압 발생기(120)가 스파크 플러그에 고압을 인가하면, 스파크 플러그의 팁(전극)에서 방전이 일어나 스파크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스파크 플러그의 바디를 통해 전류가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된 전류는 방전전압 발생기(120)로 복귀하게 된다. 인디케이터(130)는 방전전압 발생기(120)에 설치되어 이러한 전류를 감지하여 점화장치의 스파크 정상동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아웃풋 접점(140)은 인디케이터(130)를 통해 전류가 감지되면 클로즈(close) 된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130)를 통해 전류가 감지되면, 아웃풋 접점(140)이 포함된 릴레이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아웃풋 접점(140)이 클로즈 될 수 있다. 즉 점화장치의 스파크가 정상동작하면 아웃풋 접점(140)이 클로즈 되게 된다.
라인 접점(150)은 방전전압 발생기(120)에 제어전원이 인가되면 클로즈 된다. 예를 들어 방전전압 발생기(120)에 제어전원이 인가되면, 라인 접점(150)이 포함된 릴레이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라인 접점(150)이 클로즈 될 수 있다.
LED(160)는 방전전압 발생기 케이스(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아웃풋 접점(140)이 클로즈 되면 점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160)와 LED(16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사이에 아웃풋 접점(140)이 위치하여, 아웃풋 접점(140)이 클로즈 되면 LED(160)에 전원이 인가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점화장치의 스파크가 정상동작하면 아웃풋 접점(140)이 클로즈 되고, 이에 따라 LED(160)가 점등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LED(160)의 점등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점화장치의 스파크 정장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LED(160)는 라인 접점(150)이 클로즈 되는 경우에도 점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160)와 LED(16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사이에 아웃풋 접점(140)과 라인 접점(150)이 병렬로 위치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아웃풋 접점(140) 또는 라인 접점(150) 중 하나가 클로즈 되면, LED(160)에 전원이 인가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방전전압 발생기(120)에 제어전원이 인가되면 라인 접점이 클로즈 되고, 이에 따라 LED(160)가 점등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LED(160)의 점등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점화장치의 라인전원(제어전원)의 정상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의 동작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스위치(110)를 Auto(제어전원 인가)에서 Manual(외부전원 인가)로 돌리면 방전전압 발생기(120)에 외부전원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방전전압 발생기(120)는 스파크 플러그에 고압을 인가하여 스파크가 발생되도록 한다. 만약 스파크가 정상적으로 발생되었다면 스파크 플러그를 통해 전류가 발생하게 되고, 인디케이터(130)의 전류 감지에 의해 아웃풋 접점(140)이 클로즈 된다. 이렇게 아웃풋 접점(140)이 클로즈 되면, LED(160)에 전원이 인가되어 점등되므로, 사용자는 점화장치의 스파크 정장동작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스위치(110)를 Manual에서 Auto로 돌리면 방전전압 발생기(120)에 제어전원이 인가된다. 만약 방전전압 발생기(120)에 제어전원이 정상적으로 인가되었다면 라인 접점(150)이 클로즈 되고, 이에 따라 LED(160)에 전원이 인가되어 점등되므로, 사용자는 라인전원의 정상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는 스파크 방전 시 발생하는 전류의 감지에 따라 클로즈 되는 접점, 라인 전원 인가에 따라 클로즈 되는 접점 및 접점의 클로즈에 따라 점등되는 LED를 구비함으로써 점화장치의 오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방전전압 발생기 케이스
110: 스위치
120: 방전전압 발생기
130: 인디케이터
140: 아웃풋 접점
150: 라인 접점
160: LED

Claims (3)

  1. 방전전압 발생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전원과 외부전원 사이에서 절환시키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전원 절환에 따라 상기 제어전원이 인가되면 미리 설정된 기본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스파크 플러그에 고압을 인가하여 스파크가 발생되도록 하는 방전전압 발생기;
    스파크 발생에 따라 상기 스파크 플러그를 통해 발생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
    상기 인디케이터를 통해 전류가 감지되면 클로즈(close) 되는 아웃풋 접점; 및
    상기 아웃풋 접점이 클로즈 되면 점등되는 LED를 포함하고,
    상기 방전전압 발생기에 상기 제어전원이 인가되면 클로즈 되는 라인 접점을 더 포함하되,
    상기 LED는 상기 라인 접점이 클로즈 되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140007644U 2014-10-21 2014-10-21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 KR2004810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644U KR200481036Y1 (ko) 2014-10-21 2014-10-21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644U KR200481036Y1 (ko) 2014-10-21 2014-10-21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23U KR20160001423U (ko) 2016-05-03
KR200481036Y1 true KR200481036Y1 (ko) 2016-08-05

Family

ID=56023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644U KR200481036Y1 (ko) 2014-10-21 2014-10-21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03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5354A (ja) 2001-03-30 2002-10-09 Diamond Electric Mfg Co Ltd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2011220168A (ja) * 2010-04-07 2011-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点火診断機能を有する内燃機関の点火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125B1 (ko) * 2008-12-02 2014-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불꽃점화시스템 엔진의 점화계통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5354A (ja) 2001-03-30 2002-10-09 Diamond Electric Mfg Co Ltd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2011220168A (ja) * 2010-04-07 2011-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点火診断機能を有する内燃機関の点火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23U (ko)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567Y1 (ko) 방전횟수 선택이 가능한 점화장치
JP2012237283A (ja) イオン電流検出装置
KR200481036Y1 (ko)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보일러 점화장치
KR101861657B1 (ko) 자가 진단형 점화장치
US3955910A (en) Self-checking automatic pilot fuel ignition system
JP2013154397A (ja) 溶接装置
JP2016035256A5 (ko)
KR101444840B1 (ko) 플레어 라인 시스템 및 플레어 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US9777924B2 (en) Method and device for verifying the integrity of gas valve operators in a gas appliance
CN105705780A (zh) 用于运行点火系统的方法和相应的点火系统
WO2020121515A1 (ja) 点火装置
WO2016063430A1 (ja) 内燃機関用失火検出方法
JP2008267319A (ja) 内燃機関用容量放電式点火装置
JP2016121846A (ja) 燃焼制御装置
KR102185810B1 (ko) 엔진 시스템
KR20140040945A (ko) 플레어 라인 시스템 및 플레어 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14386B1 (ko) 휴대용 파이롯트 버너 점화 계통 테스트 장치
JP6251592B2 (ja) 電源監視機能付き制御ユニット
KR100777238B1 (ko) 파이롯 버너의 이그니터 전극 감시장치
CN217132568U (zh) 燃气轮机点火系统双向测试装置
CN203478320U (zh) 一种mft控制设备
JP2022140707A (ja) 点火スパークの高圧電流の有無を判別する方法
JP2017221032A (ja) 車両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70022307A (ko) 차량용 점화 장치
KR20070107446A (ko) 누전 조기경보 기능을 갖는 전원 공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4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179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611

Effective date: 20220727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200004772;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829

Effective date: 20230914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