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986Y1 - 아이들러 - Google Patents

아이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986Y1
KR200480986Y1 KR2020150005743U KR20150005743U KR200480986Y1 KR 200480986 Y1 KR200480986 Y1 KR 200480986Y1 KR 2020150005743 U KR2020150005743 U KR 2020150005743U KR 20150005743 U KR20150005743 U KR 20150005743U KR 200480986 Y1 KR200480986 Y1 KR 2004809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housing
support member
length
cor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411U (ko
Inventor
조셉 리치아르디 디 스테파노 카멜로
Original Assignee
아크메다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09900503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9900503A0/en
Application filed by 아크메다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아크메다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500034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4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9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9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50Bear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2009/407Telescopic 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블라인드 시스템용 길이 조정가능한 부품이,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끼워 맞춰지는 구동 부재, 및 상기 구동 부재의 구동부와 결합하기 위한 형상으로 된 코어 부재와, 상기 블라인드 시스템용 길이 조정가능한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형상으로 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코어 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구동 부재의 선택적인 조정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다양한 위치로 축을 따라 상기 코어 부재를 움직이게 하고, 각각의 상기 위치에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위치로부터 상기 축을 따른 상기 코어 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기 코어 부재와 결합한다.

Description

아이들러{AN IDLER}
본 고안은 블라인드 시스템을 위한 길이 조정가능한 지지 부품에 관한 것이다.
구동 부품은 사용자가 윈도우 블라인드와 같은 커버의 확장 및 수축을 조절하는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한 작동 장치이다. 구동 부품은 체인 또는 코드 구동 와인더, 전기 모터, 크랭크, 윈치, 및 스프링 부스터를 구비한 수동 인출 메커니즘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부품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 부품은 튜브(예를 들면, 확장되었을 때, 커버 또는 블라인드로서 사용하기 위해 시트 재료가 튜브 둘레에 감겨진)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 부품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튜브는 시트 재료를 확장하기 위해 회전한다. 반대로, 구동 부품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튜브는 시트 재료를 수축하기 위해 회전한다.
튜브를 더 부드럽게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구동 부품 및 다른 부품(아이들러로 지칭되는)은 튜브의 각각의 다른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 부품 및 아이들러는, 윈도우 실(window sill) 또는 빌딩 벽과 같은 구조체에 고정되는, 각각의 다른 지지 구조체(예를 들면, 장착 브래킷)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그러나, 지지 구조체의 설치 동안에 변동이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지지 구조체는, 튜브의 단부에 끼워 맞춰지는 구동 부품 및 아이들러를 결합하기 위해 다소 멀리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반대로, 지지 구조체는 튜브의 단분에 끼워 맞춰지는 구동 부품 및 아이들러를 겹합하기 위해 다소 너무 근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 구조체는 제거되어서 정확한 위치에 다시 설치될 필요가 있거나(설치면 상의 마무리 품질에 영향을 줄 수도 있음), 만약 지지 구조체와 구동 부품/아이들러 사이의 거리에 편차가 상당하다면 새로운 길이의 튜브가 다시 주문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황 둘 모두 바람직하지 않고, 설치를 성공적으로 완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복잡성과 시간이 추가된다.
그러므로, 하나 이상의 상기 쟁점 또는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또는 적어도 현재의 부품에 훨씬 더 유용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측면은 블라인드 시스템용 길이 조정가능한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블라인드 시스템용 길이 조정가능한 부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끼워 맞춰지는 구동 부재, 및 상기 구동 부재의 구동부와 결합하기 위한 형상으로 되고, 상기 블라인드 시스템용 길이 조정가능한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형상으로 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코어 부재를 포함한다. 하우징에 대해 구동 부재의 선택적인 조정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다양한 위치로 축을 따라 코어 부재를 움직이게 하고, 각각의 상기 위치에서, 구동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위치로부터 상기 축을 따른 코어 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기 코어 부재와 결합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부품은 축을 따라 코어 부품의 돌발적인 수축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은 아이들러의 첫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성의 분해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아이들러의 분해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아이들러의 코어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아이들러의 지지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아이들러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아이들러의 구동 부재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아이들러의 코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아이들러를 사용시 다양한 배치로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6은 각각 도 9 내지 도 12에 대응하는 다양한 배치에서 도 1에 도시된 아이들러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두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성의 분해 정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아이들러의 분해 후방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아이들러의 코어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아이들러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5는 도 17에 도시된 아이들러에 사용하는 구동 부재의 평면도, 좌측면도, 정면도, 우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27 내지 도 28은 도 21에 도시된 아이들러의 구동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1에 도시된 아이들러의 구동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30 내지 도 32는 도 17에 도시된 아이들러를 사용시 다양한 배치로 도시한다.
도 33 내지 도 35는 각각 도 30 내지 도 32에 대응하는 다양한 배치에서 도 1에 도시된 아이들러의 단면도이다.
도 36 내지 도 52는 아이들러의 세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의 양상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러(100)로 지칭될 수 있는 지지 부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지지 부품은 핀 또는 피봇 단부 장치 또는 메커니즘으로 지칭될 수 있다. 지지 부품은 블라인드의 회전을 위한 피봇을 제공하고, 다른 지지 부품(예를 들면 추가적으로 연결된 블라인드를 위한)에 구동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아이들러(100)가 길이 조정될 수 있는 부품 및/또는 메커니즘은, 블라인드 또는 커버(와인더와 같은,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를 확장 및 수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시스템에 어떤 구동 부품을 보완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러(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우징(102), 회전가능한 구동 부재(104), 코어 부재(106), 지지 부재(108)(또한, 핀 부재로 지칭될 수 있는), 제1 바이어싱(biasing) 수단, 제2 바이어싱 수단, 및 잠금 슬리브(114)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바이어싱 수단(110) 및 제2 바이어싱 수단(112)은 다양한 코일 직경의 코일 스프링이다. 코어 부재(106) 및 지지 부재(108)는 코어 부품으로 통칭될 수 있다.
코어 부재(106), 지지 부재(108), 제1 바이어싱 수단(110), 제2 바이어싱 수단(112), 및 잠금 슬리브(114)는 길이 조정 가능한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구동 부재(104)에 결합되고, 그리고 나서 하우징(103) 내로 끼워 맞춰진다. 이러한 부품은 다음의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제2 바이어싱 수단(112)이 지지 부재(108)의 일 단부에 위치되는 목부분(116)에 끼워 맞춰진다. 제2 바이어싱 수단(112)의 일 단부는 지지 부재(108)의 플랜지부(118)를 푸시하고, 제2 바이어싱 수단(112)의 타 단부는 잠금 슬리브(114)의 내부 림부(120)를 푸시한다. 지지 부재(108)의 연결부(122)(목부분(116)의 단부의 반대편 단부에 위치되는)는 코어 부재(106)의 중공부(hollow)(124) 내로 수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공부(124)는 코어 부재(106)의 바디를 완전히 관통하여 형성되어, 지지 부재(108)가 완전히 중공부(124) 내로 수용될 때, 지지 부재(108)의 연결부(126)가 코어 부재(106)의 연장부의 단부(126)를 통하여 돌출할 수 있도록 한다.
구동 부재(104)는 코어 부재(106)를 수용하기 위한 형상으로 된 중공부(128)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공부(128)는 구동 부재(104)의 바디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코어 부재(106)가 완전히 중공부(128) 내로 수용될 때, 코어 부재(106)의 목부분(130)이 구동 부재(104)의 후단부(132)(도 3 참조)를 통하여 돌출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바이어싱 수단(110)은 코어 부재(106)의 복부분(130)에 끼워 맞춰진다. 제1 바이어싱 수단(110)의 일 단부는 구동 부재(104)의 후단부(132)를 푸시하고, 제1 바이어싱 수단(110)의 타 단부는 잠금 슬리브(114)의 외부 림부(134)를 푸시한다.
코어 부재(106)는 잠금 슬리브(114)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개구부(138a, 138b) 내로 확실히 수용되기 위한 형상으로 된 하나 이상의 고정 암(retaining arm)(136a, 136b)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각각의 고정 암(136a, 136b)은 개구부(138a, 138b) 내로 수용되는 확대된 헤드부(140a, 140b)를 포함하여, 코어 부재(106)와 잠금 슬리브(114)가 결합되었을 때, 코어 부재(106)로부터 잠금 슬리브(114)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확대된 헤드부(140a, 140b)가 개구부(138a, 138b)의 적어도 일부분과 결합하도록 한다. 코어 부재(106)와 잠금 슬리브(114) 사이의 결합은 전술한 배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코어 부재(106) 및 잠금 슬리브(114)는 하나 이상의 고정 장치(예를 들면, 핀 또는 스프링 클립) 및/또는 하나 이상의 고정 메커니즘(예를 들면, 스크류 및 스레드 결합 구성을 포함)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어떤 고정 수단에 의해서도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개구부(138a, 138b)는 큰 개구부와 작은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큰 개구부가 최소한의 저항으로 확대된 헤드부(140a, 140b)를 수용할 수 있고, 잠금 슬리브(114)가 잠금 위치에 회전될 수 있어, 더 작은 개구부가 코어 부재(106)로부터 잠금 슬리브(114)의 분리를 방지하기위해 확대된 헤드부(140a, 140b)와 확실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특히 유용하다. 그러므로, 도 1에 도시된 잠금 슬리브(114)의 설계는 아이들러(100)의 조립체를 간소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구동 부재(104)(길이 조정가능한 조립체를 형성하는 다른 부품과 결합된)가 하우징(102)의 중공부(142) 내로 끼워 맞춰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2)은, 구동 부재(104)의 후단부(132)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확대된 고정 헤드부(302)(링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도 3 참조)의 적어도 일부분과 결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고정 탭(502)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고정 탭(502)을 구비한 고정 헤드부(302)의 결합은 하우징(102)으로부터 구동 부재(104)의 분리를 방지한다. 구동 부재(104)와 하우징(102) 사이의 결합은 전술한 배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 부재(104) 및 하우징(102)은 하나 이상의 고정 장치(예를 들면, 핀 또는 스프링 클립) 및/또는 하나 이상의 고정 메커니즘(예를 들면, 스크류 및 스레드 결합 구성을 포함)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어떤 고정 수단에 의해서도 함께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2)은, 확장되었을 때, 커버 또는 블라인드로서 사용하기 위해 튜브 둘레에 감겨진 시트 재료를 포함하는 튜브의 내부면을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핀(144)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우징(102)과 튜브 사이의 결합은 마찰 결합 구성 및 다른 기계적 결합 구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어떤 고정 수단에 의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102)과 튜브 사이의 결합의 스타일 및 배치는 튜브의 프로파일(profile)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아이들러(100)가 축(146)을 중심으로 튜브와 함께 제1 방향(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화살표(B)로 나타낸 바와 같은 블라인드 확장 방향)으로 회전할 때, 튜브는 시트 재료를 확장하도록 회전한다. 반대로, 아이들러(100)가 축(146)을 중심으로 튜브와 함께 제2 방향(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화살표(B) 방향에 반대되는 블라인드 축소 방향)으로 회전할 때, 튜브는 시트 재료를 수축하도록 회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아이들러(100)의 부품이 조립될 때, 코어 부재(106)는 구동 부재(104)의 구동부(304)와 결합하여, 구동 부재(104)가 제1 방향(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화살표(B)로 나타낸 바와 같은, 길이 연장 방향)으로 하우징(102)에 대해 선택적으로 회전될 때, 코어 부재(106)는 하우징(102)에 대해 축(146)을 따라 다양한 고정 위치로 움직이도록 한다. 코어 부재(106)는 각각의 다양한 고정 위치에서 하우징으로부터 다양한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도 3에서, 구동 부재(104)는 단면도(도 1의 A-A면을 따라 절취된)로 도시된다.
코어 부재(106)는 수축 위치와 확장 위치 사이에서 축(146)을 따라 선택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수축 위치에서, 코어 부재(106)의 연장 단부(126)는 구동 부재(104)(하우징(102)에 확실하게 부착된)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예를 들면, 코어 부재(106)가 수축된 위치(도 9 및 도 13 참조)에 놓여 있을 때, 코어 부재(106)는 하우징(102) 내에 완전히 수용되어, 코어 부재(106)의 연장 단부(126)의 적어도 일부분은 구동 부재(104)의 외부 플랜지면(150)과 수평을 이루게 놓인다.
반대로, 확장된 위치에서, 코어 부재(106)의 연장 단부(126)는 하우징(102)의 외부에 돌출하여, 구동 부재(104)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다. 예를 들면, 코어 부재(106)의 연장 단부(126)(확장된 위치에서)는 구동 부재(104)의 외부 플랜지면(150)으로부터 이격된 설정 거리(예를 들면, 1 내지 2 센티미터)까지 확장할 수 있다.
코어 부재(106)는, 대응 형상의 제2 톱니 형상면(구동부(304)의 일부분)과 결합하기 위한 형상으로 된 제1 톱니 형상면(306)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톱니 형상면(306)은, 코어 부재(106)의 외부면 둘레에 "계단 케이스"(또는 지그-재그) 배열로 나선형 경로로 배치된 경사진 면(예를 들면, 축(146)에 대해 경사진)과 잠금면 또는 고정부(예를 들면, 축(146)에 평행하게 정렬된)의 조합을 포함한다. 제1 톱니 형상면(306)은 하부 시작 위치(308)로부터 상부 종료 위치(310)까지 연장하며, 시작 위치(308)와 종료 위치(310)는 간격(312)에 의해 분리된다(코어 부재(106)가 수축된 위치로 돌아오도록 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구동부(304)의 제2 톱니 형상면은, 중공부(128) 주위의 구동 부재(104)의 내부면 둘레에 "계단 케이스"(또는 지그-재그) 배열로 나선형 경로로 배치된 경사진 면(예를 들면, 축(146)에 대해 경사진)과 잠금면 또는 고정부(예를 들면, 축(146)에 평행하게 정렬된)의 조합을 포함한다. 제2 톱니 형상면(306)은 하부 시작 위치(314)로부터 상부 종료 위치(316)까지 연장하며, 시작 위치(314)와 종료 위치(316)는 간격(320)에 의해 분리된다(코어 부재(106)가 수축된 위치로 돌아오도록 하기 위해).
코어 부재(106)가 수축된 위치에 놓여 있을 때, 제1 톱니 형상면(306)의 하부 시작 위치(308)는 구동부(304)의 제2 톱니 형상면의 하부 시작 위치(314)에 위치된다. 그러나, 코어 부재(106)가 확장 위치에 놓여 있을 때는, 제1 톱니 형상면(306)의 하부 시작 위치(308)가 구동부(304)의 제2 톱니 형상면의 상부 종료 위치(316)에 위치된다(코어 부재(106)를 하우징(102)으로부터 더 이격되게 배치하기 위하여).
제1 바이어싱 수단(110)은 잠금 슬리브(114)가 후단부(132)로부터 멀어지도록 편향한다. 도 3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바이어싱 수단(110)(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은 구동 부재(104)의 후단부(132) 및 잠금 슬리브(114)의 외부 림부(134)를 푸시한다. 코어 부재(106)가 잠금 슬리브(114)와 결합되기 때문에(고정 암(136a, 136b)에 의해), 코어 부재(106)는 구동 부재(104)를 향하여 움직이도록 편향된다. 이것은 제1 톱니 형상면(306) 및 제2 톱니 형상면(304)이 서로 상호 잠금 결합을 형성하도록 한다.
코어 부재(106)는 지지 부재(108)에 의해 잠금 위치에 고정되고, 지지 부재(108)는 하우징(102)의 중공부(142) 내부에 형성된 스터브(stub)(504)(도 5 참조)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202)(도 2 참조)를 포함한다. 개구부(202)는 스터브(504)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져서, 스터브(504)가 개구부(202) 내로 수용될 때, 스터브(504)와 개구부(202) 사이의 결합이 하우징(102)에 대한 지지 부재(108)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결합은, 코어 부재(106)가 지지 부재(108)에 의해 잠금 위치에 고정될 때, 코어 부재(106)가 하우징(102)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동 부재(104)는 하우징(102)에 대해 제1 방향(예를 들면, 도 3에 화살표(B) 방향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길이 연장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될 때, 제1 톱니 형상면(306) 및 제2 톱니 형상면(304)의 각각의 경사진 면은 제1 톱니 형상면(306) 및 제2 톱니 형상면(304)이 서로에 대해 다른 잠금 위치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지나가도록(또는 미끄러지도록) 한다. 각각의 다른 잠금 위치에서, 코어 부재(106)는 구동 부재(104) 및 하우징(102)에 대해 다른 고정 위치에 놓인다.
제1 톱니 형상면(306) 및 제2 톱니 형상면(304)의 나선형의 배치 때문에(그리고, 코어 부재(106)가 지지 부재(108)에 의해 잠금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제1 톱니 형상면(306) 및 제2 톱니 형상면(304)의 서로에 대한 움직임(구동 부재(104)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은 코어 부재(106)가 확장된 위치(예를 들면, 도 3에 화살표(C) 방향으로 도시된)를 향하여 움직이도록 한다.
구동 부재(104)가 회전하는 것을 멈출 때, 제1 바이어싱 수단(110)은 코어 부재(106)가 수축된 위치(즉, 도 3에 화살표(D) 방향에 해당되는 구동 부재(104)를 향하여)를 향하여 움직이도록 편향한다. 결과적으로, 제1 톱니 형상면(306) 및 제2 톱니 형상면(304)의 경사진 면은 구동 부재(104)가 반대 방향(즉, 도 3에 화살표(B) 방향에 반대되는 길이 수축 방향)으로 회전(조금)하도록 하고, 코어 부재(106)가 수축된 위치를 향하여 제1 톱니 형상면(306) 및 제2 톱니 형상면(304) 상에 각각의 잠금면이 구동 부재(104)의 추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결합할 때까지 움직이도록(조금) 한다. 결과적으로, 잠금면 사이에 형성된 잠금 결합은 수축된 위치를 향하여 축(146)을 따른 코어 부재(106)의 추가 움직임을 제한한다.
따라서, 코어 부재(106)가 수축된 위치로 배치될 때:
(i) 제1 방향(길이가 확장하는)으로의 구동 부재(104)의 회전은 코어 부재(106)를 확장된 위치를 향하여 움직이게 한다.
(ii) 반대 방향(길이가 수축하는)으로의 구동 부재(104)의 회전은, 수축된 위치를 향한 코어 부재(106)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동 부재(104)와 코어 부재(106)가 모두 결합되게 한다.
코어 부재(106)가 확장된 위치로 배치될 때:
(i) 제1 방향(길이가 확장하는)으로의 구동 부재(104)의 회전은 코어 부재(106)를 수축된 위치를 향하여 움직이게 한다(구동 부재(104)의 추가 회전이 제1 톱니 형상면(306)의 하부 시작 위치(308)가 제2 톱니 형상면(304)의 상부 종료 위치(316)와 해제되도록 하고, 간격(312, 320)이 제1 톱니 형상면(306)의 하부 시작 위치(308)가 제2 톱니 형상면(304)의 하부 시작 위치(314)와 재결합하도록 하기 때문에).
(ii) 반대 방향(길이가 수축하는)으로의 구동 부재(104)의 회전은, 수축된 위치를 향한 코어 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동 부재(104)와 코어 부재(106)가 결합되게 한다.
코어 부재(106)의 확장성(extendibility)은, 사용자가 지지 구조체에 커버 조립체를 올바르게 설치 또는 장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만들기 때문에, 특히 유용하다. 예를 들면, 커버 조립체는 각각의 지지 구조체(예를 들면, 장착 브래킷)에 튜브의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정 가능한 부품을 포함)에 결합된 튜브(튜브 주위에 커버 또는 블라인드 재료가 감겨진)의 조합에 관한 것이다. 만약 지지 구조체가 커버 조립체의 단부로부터 너무 멀리 이격되어 위치되면, 길이 조정 가능한 부품은 사용자가 빠르고 용이하게 부품의 길이를 효율적으로 조정하도록 하여, 지지 구조체(현재 위치에서)가 커버 조립체와 여전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다양한 길이의 튜브를 사용하기 위해 현재의 지지 구조체를 재위치 시키거나 커버 조립체를 변경할 필요가 없게 한다. 지지 부재(108)는 지지 구조체로부터 커버 조립체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코어 부재(106) 내로 수축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지지 부재(108)는 재설치 또는 재사용을 위해 추후 단계에서 코어 부재(106)로부터 선택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아이들러(100)가 조립될 때, 지지 부재(108)는 코어 부재(106)의 캠부(402)와 결합하여, 구동 부재(104)가 반대 방향(예를 들면, 도 4에 화살표(B) 방향 반대로)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될 때, 지지 부재(108)는 코어 부재(106)에 대해 축(146)을 따라 다른 위치로 움직이도록 한다. 도 4에서, 코어 부재(106), 잠금 슬리브(114), 및 하우징(102)은 단면도(도 1의 A-A면을 따라 절취된)로 도시된다.
지지 부재(108)는 수축된 위치와 확장된 위치 사이에서 축(146)을 따라 선택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수축된 위치에서, 지지 부재(108)의 연결부(122)는 코어 부재(106) 내에 완전히 수용되어, 코어 부재(106)의 연장부의 단부(126)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108)가 수축된 위치에 놓여 있을 때(도 11 및 도 15 참조), 지지 부재(108)의 연결부(122)는 코어 부재(106)의 연장부의 단부(126)의 적어도 일부분과 수평을 이루게 놓인다.
반대로, 확장된 위치에서, 지지 부재(108)의 연결부(122)는 코어 부재(106)의 외부에 돌출하여 코어 부재(106)의 연장부의 단부(126)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108)의 연결부(122)(확장된 위치에서)는 연장부의 단부(126)로부터 설정 거리(예를 들면, 약 1 내지 2 센티미터)까지 확장할 수 있다.
지지 부재(108)는 캠면(코어 부재(106)의 캠부(402)의 일부분)에 결합하기 위한 형상으로 된 가이드 부재(404)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캠부(402)는 코어 부재(106)의 내부면 주위에 나선형 구조로 배치된 연속적인 캠면을 포함한다. 캠면은 상부 시작 위치(406)로부터 하부 종료 위치(408)까지 연장한다. 코어 부재(106)는, 상부 시작 위치(406)를 지나서 가이드 부재(404)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캠면의 상부 시작 위치(406)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1 벽부(410)를 포함한다. 또한, 코어 부재(106)는 하부 종료 위치(408)를 지나서 가이드 부재(404)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캠면의 하부 종료 위치(408)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2 벽부(412)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108)가 확장된 위치에 놓여 있을 때, 가이드 부재(404)가 캠부(402)의 상부 시작 위치(406)에 위치된다. 제2 바이어싱 수단(112)은 잠금 슬리브(114)의 내부 림부(120)를 푸시하는 일 단부 및 지지 부재(108)의 플랜지부(118)를 누루는 타 단부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제2 바이어싱 수단(112)은 확장된 위치를 향하게 지지 부재(108)를 편향시킨다.
구동 부재(104)가 제1 방향(길이가 확장하는)(예를 들면, 도 4에 화살표(B) 방향으로 나타낸)으로 회전될 때, 같은 방향(예를 들면, 제1 톱니 형상면(306) 및 제2 톱니 형상면(304) 사이에 형성된 상호 잠금 결합 때문에)으로 코어 부재(106)를 회전하도록 시도한다. 그러나, 코어 부재(106)가 제1 방향으로 회전을 시도할 때, 가이드 부재(404)는 코어 부재(106)의 제1 벽부(410)를 푸시한다. 가이드 부재(404)가 지지 부재(108)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서 위치되기 때문에(그리고, 지지 부재(108)가 스터브(504)에 결합되기 때문에, 따라서 그것은 하우징(102)에 대한 회전을 제한한다), 가이드 부재(404)와 제1 벽부(410) 사이에 형성된 결합은 하우징(102)에 대한 코어 부재(106)의 회전을 또한 제한한다. 그러나, 코어 부재(106)는 확장된 위치를 향하여 축(146)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구동 부재(104)가 반대 방향(길이가 수축하는)(예를 들면, 도 4에서 화살표(B) 방향에 반대로)으로 회전될 때, 제1 톱니 형상면(306)과 제2 톱니 형상면(304) 사이에 형성된 결합은 구동 부재(104)에 대한 코어 부재(106)의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한다. 그러므로, 코어 부재(106)는 반대 방향으로 구동 부재(104)와 함께 회전하고, 이것은 가이드 부재(404)가 상부 시작 위치(406)로부터 하부 종료 위치(408)까지 캠부(402)를 따르도록 하고, 그러므로, 지지 부재(108)가 하우징 및 수축된 위치를 향하여 움직이도록 한다.
따라서, 지지 부재(108)가 확장된 위치로 배치될 때:
(i) 제1 방향(길이가 확장하는)으로의 구동 부재(104)의 회전은, 지지 부재(108)의 추가 확장을 방지하도록, 지지 부재(108)와 코어 부재(106)가 결합되게 한다.
(ii) 반대 방향(길이가 수축하는)으로의 구동 부재(104)의 회전은 수축된 위치를 향하여 지지 부재(108)를 움직이게 한다.
지지 부재(108)가 수축된 위치로 배치될 때:
(i) 제1 방향(길이가 확장하는)으로의 구동 부재(104)의 회전은 제2 바이어싱 수단(112)에 의해 발생된 힘에 의해 확장된 위치를 향하여 지지 부재(108)를 움직이게 한다.
(ii) 반대 방향(길이가 수축하는)으로의 구동 부재(104)의 회전은, 지지 부재(108)의 추가 수축을 방지하도록, 지지 부재(108)와 코어 부재(106)가 결합되게 한다.
지지 부재(108)의 수축성(retractability)은, 지지 부재(108)를 수축하는 것이 지지 구조체(예를 들면, 수리를 위해 해체되어야 하는 커버 조립체에 대하여)로부터 커버 조립체(전술한 바와 같은)를 분리하는데 빠르고 용이한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특히 유용하다. 지지 부재(1080)는 지지 구조체와 재결합하기 위하여 추후 단계에서 확장된 위치로 조정될 수 있어, 커버 조립체는 원래 설치된 위치에 놓이게 된다.
지지 부재(108)가 확장된 위치에 놓여 있을 때(또는, 부분적으로 축(146)을 따라 수축된 위치 방향으로), 수축된 위치 방향으로 지지 부재(108)를 움직이기 위하여 힘이 연결부(122)에 가해지는 경우에 지지 부재(108)는 축(146)을 따라 수축된 위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힘이 더 이상 지지 부재(108)에 가해지지 않을 때, 지지 부재(108)는 확장된 위치 방향으로 축(146)을 따라 움직이도록 편향(제2 바이어싱 수단(112)에 의해)된다.
지지 부재(108)의 자동 수축 및 확장은 사용자가 커버 조립체(전술한 바와 같은)를 설치하는 것을 더 용이하기 하기 때문에 특히 유용하다. 부품(예를 들면, 아이들러(100))과 지지 구조체 사이의 간격이 부품으로부터 확장하는 지지 부재(108)의 길이 보다 작은 경우에, 지지 부재(108)의 길이는 수축된 위치 방향으로 축(146)을 따라 지지 부재(108)를 푸시함으로써 단축될 수 있다. 일단, 부품이 지지 구조체에 결합하기 위해 위치되면, 지지 부재(108)는 지지 구조체에 결합하기 위하여 확장된 위치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움직이도록 편향된다.
지지 부재(108)의 연결부(122)는 단단한 돌출 부재로 전술되고 도시되었지만, 다르게 연결부(122)는 부품(예를 들면, 아이들러(10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로부터 연장하는, 대응 형상의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형상으로 된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변경으로서, 제1 아이들러(100)의 연결부(122)는, 별개의 블라인드를 지지하는 별개의 튜브에 연결된 별개의 지지 부품(예를 들면, 제2 아이들러 또는 연결 구동 유닛)의 대응 형상의 연결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예를 들면, 중간 어댑터 부품을 통해) 결합하도록 형성(예를 들면, 돌출부 또는 리세스의 적합한 형상으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아이들러(100) 및 다른 지지 부품은 함께 회전할 수 있어서, 제1 아이들러(100)에 연결된 각각의 튜브 및 다른 지지 부품이, 단일의 결합된 시스템으로서 블라인드/스크린을 확장 또는 수축하기 위해 일치하여 회전하도록 한다.
도 17 내지 도 35는 아이들러(1700)의 두 번째 대표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기계적 부분을 덜 포함하고,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아이들러(10)보다 간단한 구조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러(1700)가 하우징(1702), 구동 부재(1704), 코어 부재(1706), 지지 부재(1708), 및 주 바이어싱 수단(1710)을 포함한다. 코어 부재(1706) 및 지지 부재(1708)는 코어 부품으로 통칭될 수 있다.
하우징(1702)은, 각각 대응하는 잠금 부재(1714a, 1714b)를 수용하기 위한 형상으로 된 하나 이상의 잠금 개구부(1712a, 1712b)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부재(1714a, 1714b)가 잠금 개구부(1712a, 1712b) 내로 수용될 때, 서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확실한 마찰적 결합이 잠금 부재(1714a, 1714b)와 잠금 개구부(1712a, 1712b) 사이에 형성된다. 각각의 잠금 부재(1714a, 1714b)는, 구동 부재(1704)에 형성된 그루브(1802)(도 18 참조)와 결합하기위해 잠금 개구부(1712a, 1712b)를 통하여 하우징(1702)의 중공 코어(1716) 내로 돌출하는 바디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아이들러(1700)가 조립될 때, 잠금 부재(1714a, 1714b)는, 구동 부재(1704)가 하우징(1702)에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을 돕는다. 구동 부재(1704)와 하우징(1702) 사이에 결합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배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 부재(1704)와 하우징(1702)은 하나 이상의 체결 장치(예를 들면, 통합 클립 또는 스프링 클립) 및/또는 하나 이상의 체결 메커니즘(예를 들면, 스크류 및 스레드 결합 구성을 포함)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어떤 체결 수단에 의해서도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702)은, 도 1에 도시된 아이들러(100)용 핀(144)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핀(fin)(1718)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기재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702)과 튜브 사이의 결합은 마찰 결합 구성 및 다른 기계적 결합 구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어떤 고정 수단에 의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1702)과 튜브 사이의 결합의 스타일 및 배치는 튜브의 프로파일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주 바이어싱 수단(1710)은 하우징(1702)의 중공 코어(1716) 내로 돌출하는 스터브(1900)에 끼워 맞춰진다. 주 바이어싱 수단(1710)의 일 단부는 하우징(1702)의 후방벽(1902)(도 19 참조)을 푸시하는 반면에, 주 바이어싱 수단(1710)의 타 단부는 지지 부재(1708)의 플랜지부(1720)를 푸시한다. 그러므로, 주 바이어싱 수단(1710)은 지지 부재(1708)를 하우징(1702)의 후방벽(190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코어 부재(1706)는 지지 부재(1708)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형상으로 된 보어(1804)를 구비한 튜브형 바디를 포함하여, 지지 부재(1708)의 연결부(1722)가, 코어 부재(1706)의 연장부의 단부(1726)(도 17 및 도 19 참조)에 형성된 개구부(1724)를 통하여 돌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부재(1706)는, 하우징(1702)의 길이 방향 축(1728)을 중심으로 하우징(1702)에 대한 코어 부재(1706)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702)에 형성된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그루브(1906) 내로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핀(1904)을 포함한다. 그러나, 가이드 핀(1904)이 가이드 그루브(1906) 내로 수용될 때, 코어 부재(1706)는 하우징(1702)에 대해 축(1728)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예를 들면, 주 바이어싱 수단(1710) 및, 코어 부재(1706)와 구동 부재(1704) 사이에 기계적 상호 작용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또한, 코어 부재(1706)는, 코어 부재(1706)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가이드 부재(1730)(예를 들면, 탭)를 포함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부재(1704)는, 사용자가 하우징(1702)에 대해 구동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 부재(1704)를 잡기(grip) 위한 작동부(1812)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된 아이들러(100)는 또한, 작동부(148)를 구비한 구동 부재(104)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 부재(1704)는, 코어 부재(1706)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형상으로 된 보어(1808)를 둘러싸는 벽부(1806)를 포함하여, 코어 부재(1706)의 연장부의 단부(1726)가 구동 부재(1704)의 외부 단면에 형성된 단부 개구부(1732)를 통해 돌출할 수 있도록 한다.
구동 부재(1704)의 벽부(1806)는, 코어 부재(1706)의 가이드 부재(1730)와 결합하도록 나선형 경로(1810)로 윤곽을 나타낸다. 도 18에 도시된, 바림직한 실시예에서, 나선형 경로(1810)는 벽부(1806)의 일부분에서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부의 에지로 경계지워진다.
도 17 및 도 18에서 도시된 아이들러(170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아이들러(100)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유사한 원리로 동작한다. 아이들러(1700)의 부품이 조립될 때, 코어 부재(1706)는 구동 부재(1704)(예를 들면, 나선형 경로(1810))와 결합하여, 구동 부재(1704)가 하우징(1702)에 대해 제1 방향(예를 들면, 도 18에 화살표(B) 방향으로 나타낸 길이 확장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될 때, 코어 부재(1706)가 하우징(1702)에 대해 축(1728)을 따라 다양한 고정 위치로 움직이도록 한다.
나선형 경로(1810)는 경로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 위치를 포함하고, 이것은 도 26 내지 도 28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나선형 경로(1810)는 하부 위치(2700)로부터 중간 위치(2702) 및 상부 위치(2704)까지 연장한다. 하부 위치(2700), 중간 위치(2702), 및 상부 위치(2704) 각각에서, 나선형 경로(1810)는, 길이 방향 축(1728)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되는 일부 경로를 포함하는 것과 같이, 경로의 일부를 따라 노치(notch)를 제공하기 위한 형상으로 된다. 가이드 부재(1730)가 하부 위치(2700), 중간 위치(2702), 및 상부 위치(2704)(구동 부재(1704)와 코어 부재(1706) 사이에 관련된 잠금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에서 노치와 결합할 때, 가이드 부재(1730)는, 주 바이어싱 수단(1710)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나선형 경로(1810)를 따른 추가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노치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나선형 경로의 상부 위치(2704)에서 고정부는, 가이드 부재(1730)의 정면부(1814a)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부분(2100) 및, 가이드 부재(1730)의 후방부(1814b)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 부분(2102)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 부분(2100) 및 제2 부분(2102) 모두 축(1728)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된 일부 경로를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1730)가 상부 위치(2704)에서 고정부 내로 수용될 때, 제1 부분(2100) 및 제2 부분(2102)은, 축(1728)을 따른 가이드 부재(1730)의 움직임(예를 들면, 구동 부재(1704)의 회전이 없는 경우에)을 제한하도록 가이드 부재(1730)와 결합할 수 있다. 구동 부재(1704)가 길이가 수축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가이드 부재(1730)는 상부 위치(2704)에 고정 위치에서 해제되어, 중간 위치(2702)에 고정 위치를 향하여 나선형 경로(1810)를 따라 진행할 수 있다.
중간 위치(2702)에서 고정부는, 하우징(1702)의 후방벽(1902)으로부터 이격되는 코어 부재(1706)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가이드 부재(1730)의 정면부(1814a)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부분(2500)을 포함한다. 중간 위치(2702)에서 고정부는 가이드 부재(1730)의 후방부(1814b)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 부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가이드 부재(1730)가 중간 위치(2702)에서 고정부 내로 수용될 때, 지지 부재(1708)는 코어 부재(1706) 내에서 후방벽(1902) 방향으로 푸시될 수 있다(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구동 부재(1704)가 길이가 확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이드 부재(1730)는 중간 위치(2702)에 고정부에서 해제되어 상부 위치(2704)에 고정부를 향하여 나선형 경로(1810)를 따라 진행할 수 있다.
하부 위치(2700)에서 고정부는, 하우징(1702)의 후방벽(1902)으로부터 이격되는 코어 부재(1706)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가이드 부재(1730)의 정면부(1814a)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부분(2400)을 포함한다. 하부 위치(2700)에서 고정부는 가이드 부재(1730)의 후방부(1814b)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 부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가이드 부재(1730)가 하부 위치(2700)에서 고정부 내로 수용될 때, 코어 부재(1706)는 추가적으로 하우징(1702) 내로 움직일 수 없다. 구동 부재(1704)가 길이가 확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이드 부재(1730)는 하부 위치(2700)에 고정부에서 해제되어 중간 위치(2702)에 고정부를 향하여 나선형 경로(1810)를 따라 진행할 수 있다.
지지 부재(1708)는 수축된 위치와 확장된 위치 사이에서 축(1728)을 따라 선택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코어 부재(1706)는, 가이드 부재(1730)가 상부 위치(2704)에 노치와 결합할 때 최대로 확장된 위치에 있게 된다. 또한, 코어 부재(1706)는, 가이드 부재(1730)가 하부 위치(2700)에 노치와 결합할 때 최대로 수축된 위치에 있게 된다.
아이들러(1700)는, 도 30 및 도 33에 도시된 배치에 대응하여, 통상적으로 가이드 부재(1730)가 중간 위치(2702)에 노치와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구동 부재가 길이가 확장하는 방향(예를 들면, 도 18 및 도 31에 화살표(B) 방향에 해당되는)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될 때, 가이드 부재(1730)는 중간 위치(2702)와 상부 위치(2704) 사이에 경로(1810) 부분을 따라 안내된다. 동시에 구동 부재(1704)를 회전시키면서, 주 바이어싱 수단(1710)은 하우징(1702)의 후방벽(190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가이드 부재(1730)를 푸시하고, 또한, 상부 위치(2704)에 노치를 향하도록 가이드 부재(1730)를 푸시한다. 이것은, 도 31 및 도 34에 도시된 배치에 대응하는 확장된 위치에서 코어 부품을 효율적으로 배치한다.
구동 부재가 길이가 수축하는 방향(즉, 도 18 및 도 31에 화살표(B)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될 때, 가이드 부재(1730)는, (i) 상부 위치(2704) 및 중간 위치(2702) 또는, (ii) 중간 위치(2702) 및 하부 위치(2700) 사이에 경로(1810) 중 일부분을 따라 안내된다. (i) 경우에서, 아이들러(1700)는 도 31 및 도 34에 도시된 배치로부터 도 30 및 도 33에 도시된 배치로 구성된다. (ii) 경우에서, 아이들러(1700)는 도 30 및 도 33에 도시된 배치로부터 도 32 및 도 35에 도시된 배치로 구성된다.
도 32 및 도 35에 도시된 배치에서, 지지 부재(1708)는 완전히 하우징(1702) 내에 수용되어, 수축된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아이들러는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편리하게 제거될 수 있다.
도 36 및 도 52는 아이들러(3600)의 세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명세서에 기술된 아이들러(100)의 첫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도면에 대응한다. 아이들러(3600)는 아이들러(100)와 같이 동일한 하우징(102), 지지 부재(108), 제1 바이어싱 수단(110), 및 제2 바이어싱 수단(112)을 포함한다. 그러나, 아이들러(3600)는 다른 구동 부재(3604), 코어 부재(3606), 및 잠금 슬리브(3614)를 포함한다.
아이들러(3600)는 코어 부재(3606)와 잠금 슬리브(3614) 사이에 결합을 제외하고, 아이들러(100)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조립된다. 잠금 슬리브(3614)는 코어 부재(3606)의 확대된 단부(3602)에 끼워 맞추기 위한 캡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확대된 단부(3602)는 코어 부재(3606)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링 부재 및/또는, 코어 부재(3606)의 단부가 리세스된 영역보다 더 크도록 코어 부재(3606)의 외부면 내로 형성된 리세스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슬리브(3614)는, 잠금 슬리브(3614)의 내부면으로부터 내부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탭 부재(3608)를 포함한다. 잠금 슬리브(3614)가 확대된 단부(3602)에 끼워 맞춰질 때, 탭 부재(3608)는 잠금 슬리브와 코어 부재의 분리를 방지하게 위해 확대된 헤드부(3602)와 결합한다.
구동 부재(3604)는 나선형 경로를 형성하는 연속된 구동면(3900)(도 39 참조)을 포함한다. 코어 부재(3606)는 구동면(3900)과 결합하기 위한, 대응 형상의 연속면(3610)을 포함한다. 또한, 코어 부재(3606)는 코어 부재(3606)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잠금 부재(3700)를 포함하고, 잠금 부재는 구동 부재(3604)의 내부면의 일부분으로서 형성된 톱니 형상면의 다양한 그루브(3612)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동 부재(3604)가 회전될 때, 각각의 잠금 부재(3700)는 톱니 형상면의 그루브(3612) 중 하나와 결합하여, 코어 부재(3606)가 구동 부재(3604)에 대해 다양한 위치에 배치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사용자가 구동 부재(3604) 및 코어 부재(3606)의 상대적 위치를 재배치시킬 정도의 충분한 회전 힘을 가하지 않는다면, 잠금 부재(3700)와 톱니 형상면의 그루브(3612) 사이의 결합은 구동 부재(3604)에 대한 코어 부재(3606)의 추가 회전을 방지한다. 구동면(3900) 및 코어 부재(3606) 상에 대응하는 면(3610)의 나선형 형상 때문에, 코어 부재(3606)는 구동 부재(3604)에 대해 다양한 잠금 위치로 확장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아이들러(100, 1700, 360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지지 부재(108, 1708)는 각각의 바이어싱 수단(112, 1710)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각각의 하우징(102, 1702)으로부터(축(146) 또는 축(1728)을 따라) 이격되게 움직이도록 편향된다. 축(146, 1728)을 따라 상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푸시되었을 때(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구동 부재(104, 1704, 3604)에 대한 코어 부재(106, 1706, 3606)의 위치에도 불구하고, 지지 부재(108, 1708)는 또한 각각의 하우징(102, 1702)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대한 변경 및 개선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그러한 변경 및 개선은 본 고안의 보호 범위 내에서 의도된다. 예를 들면, 바람직한 실시예는 전술한 코어 부재(106) 및 지지 부재(108)를 분리된 부분으로 여겼지만, 코어 부재(106)와 지지 부재(108)의 조합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일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어 부재(106)는 지지 구조체(예를 들면, 장착 브래킷)의 일부분과 결합하기 위한 형상으로 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부는 지지 부재(108)의 연결부(122)를 포함한다(전술한 바와 같이). 또한, 코어 부재(106)의 지지부는 코어 부재에 대해 수축 또는 확장할 수 있다(전술한 지지부재(108)와 마찬가지로).
추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코어 부재(106)는 구동 부재(104)에 대해 축(146)을 따라 고정된 위치에서 고정되어, 구동 부재(104)와 하우징(102) 사이의 거리가 길이 조정가능하다. 예를 들면, 구동 부재(104)와 하우징(102) 사이에 거리가 다른 선택된 위치로 조정되도록(예를 들면, 접철식으로), 구동 부재(104)는 하우징(102)과 분리될 수 있다(예를 들면, 하우징(102)에 대해 구동 부재(104)를 회전시킴으로서). 그리고 나서, 선택된 위치에서 축(146)을 따라 구동 부재(104) 또는 하우징(102)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동 부재(104)는 하우징(102)과 재결합할 수 있다(예를 들면, 하우징(102)에 대해 구동 부재(104)를 회전시킴으로써 확실한 잠금 결합을 형성시킨다).
추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코어 부재(106)가 구동 부재(104)에 대해 축(146)을 따라 고정된 위치에서 고정될 때) 하나 이상의 구동 부재(104) 및 하우징(102)은 스레드부(예를 들면, 나사 스레드)를 포함할 수 있어, 하우징(102) 또는 구동 부재(104)의 선택적 회전(서로에 대한)이 코어 부재(106)가 축(146)을 따라 하우징에 대해 다양한 위치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추가하여, (구동 부재(104)가 하우징(102)에 대해 축(146)을 따라 고정된 위치에서 고정될 때) 동일한 동작 컨셉이 코어 부재(106) 와 구동 부재(104)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논문, 법률 또는 지식의 일부가 언급되거나 논의된 본 명세서에서, 이러한 언급 또는 논의는 논문, 법률 또는 지식의 일부 또는 그들의 조합이 본 고안의 우선일에 공중이 이용가능하게 되었고, 공지되었고, 통상적인 일반 지식의 일부가 되었다거나, 본 명세서가 관여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시도와 관련되어 알려졌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포함'이란 단어와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포함'이란 단어의 형태는 본 고안을 어떤 변형 또는 추가를 배제하여 청구되는 것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Claims (16)

  1. 블라인드 시스템용 길이 조정가능한 부품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끼워 맞춰지는 구동 부재, 및
    상기 구동 부재의 구동부와 결합하기 위한 형상으로 된 코어 부재와, 상기 블라인드 시스템용 길이 조정가능한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형상으로 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코어 부품
    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구동 부재의 선택적인 조정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다양한 고정 위치로 축을 따라 상기 코어 부재의 이동을 구동하고,
    각각의 고정 위치에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코어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고정 위치로부터 상기 축을 따른 상기 코어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구동 부재가 길이가 확장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될 때, 상기 코어 부품은, 수축된 위치로부터 상기 코어 부품의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는 확장된 위치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길이가 확장하는 방향의 반대인 길이가 축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될 때, 상기 코어 부품은, 상기 코어 부품이 상기 하우징 내에 완전히 수용되는 상기 수축된 위치 방향으로 움직이며,
    상기 코어 부품은,
    (i) 상기 코어 부품이 상기 확장된 위치에 놓여 있을 때, 길이가 확장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구동 부재의 회전은 상기 코어 부품을 상기 수축된 위치를 향하여 움직이게 하고, 길이가 수축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구동 부재의 회전은, 상기 수축된 위치를 향한 상기 코어 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기 구동 부재와 상기 코어 부품이 결합되게 하는 것과,
    (ii) 상기 코어 부품이 상기 수축된 위치에 놓여 있을 때, 길이가 확장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구동 부재의 회전은 상기 코어 부품을 상기 확장된 위치를 향하여 움직이게 하고, 길이가 수축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구동 부재의 회전은, 상기 수축된 위치를 향한 상기 코어 부품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기 구동 부재와 상기 코어 부품이 결합되게 하는 것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따라 작동할 수 있는, 블라인드 시스템용 길이 조정가능한 부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코어 부재의 가이드부와 결합하기 위한 나선형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부품은,
    상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형상으로 된 튜브형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가 표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코어 부재
    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시스템용 길이 조정가능한 부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수축된 위치 및 확장된 위치 사이에 상기 축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수축된 위치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지지 부재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 내로 완전히 수용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확장된 위치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블라인드 시스템용 길이 조정가능한 부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i)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확장된 위치로 배치될 때, 길이가 확장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구동 부재의 회전은, 상기 지지 부재의 추가 확장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코어 부재가 결합되게 하고, 길이가 수축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구동 부재의 회전은 상기 수축된 위치를 향하여 상기 지지 부재를 움직이게 하는 것과,
    (ii)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수축된 위치로 배치될 때, 길이가 확장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구동 부재의 회전은 상기 확장된 위치를 향하여 상기 지지 부재를 움직이게 하고, 길이가 수축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구동 부재의 회전은, 상기 지지 부재의 추가 수축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코어 부재가 결합되는 것,
    중에서 둘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따라 작동할 수 있는,
    블라인드 시스템용 길이 조정가능한 부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코어 부재의 캠부에 형성된 캠면과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부재가 길이가 확장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캠면은, 상기 코어 부재에 대한 상기 지지 부재의 위치 조정을 제한하기 위해 잠금 결합으로 서로 결합하고,
    상기 구동 부재가 길이가 수축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코어 부재에 대한 상기 지지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캠면을 따르는,
    블라인드 시스템용 길이 조정가능한 부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형상으로 된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캠면은 상기 중공부를 둘러싸는 상기 코어 부재의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 부재의 외부면 상에 돌출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블라인드 시스템용 길이 조정가능한 부품.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된 위치 방향으로 상기 지지 부재를 움직이기 위하여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수축된 위치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힘이 더 이상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확장된 위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편향되는,
    블라인드 시스템용 길이 조정가능한 부품.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는 대응 형상의 돌출부를 수용기 위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지지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중공부, 또는
    상기 길이 조정가능한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지지 부재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단부,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시스템용 길이 조정가능한 부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구동 부재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리브와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시스템용 길이 조정가능한 부품.
KR2020150005743U 2009-02-09 2015-08-27 아이들러 KR20048098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9900503A AU2009900503A0 (en) 2009-02-09 An idler
AU2009900503 2009-02-09
AU2009903030A AU2009903030A0 (en) 2009-06-29 An idler
AU2009903030 2009-06-2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468U Division KR200479059Y1 (ko) 2009-02-09 2010-02-09 아이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411U KR20150003411U (ko) 2015-09-15
KR200480986Y1 true KR200480986Y1 (ko) 2016-08-01

Family

ID=418183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468U KR200479059Y1 (ko) 2009-02-09 2010-02-09 아이들러
KR2020150005743U KR200480986Y1 (ko) 2009-02-09 2015-08-27 아이들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468U KR200479059Y1 (ko) 2009-02-09 2010-02-09 아이들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408486B2 (ko)
EP (1) EP2216487B1 (ko)
JP (1) JP3159364U (ko)
KR (2) KR200479059Y1 (ko)
AU (1) AU2010100126B4 (ko)
ES (1) ES2586470T3 (ko)
NZ (1) NZ583121A (ko)
TW (1) TWM39011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2260169T3 (ko) * 2008-03-03 2018-07-21
NZ583121A (en) * 2009-02-09 2010-06-25 Carmelo Joseph Licciardi Di St An idler for a roller blind system with adjustable axial movement to accommodate different width mountings
US20120177438A1 (en) * 2011-01-06 2012-07-12 Philip Ng Indexable Coupler for Multi-Band Roller Blinds
US8931541B2 (en) * 2012-03-16 2015-01-13 Lutron Electronics Co., Inc. Motorized drive unit assembly for a shade system
US9410367B2 (en) * 2012-09-27 2016-08-09 Global Custom Commerce Inc. System and method for a modular, locking headrail-retention mechanism
AU2012101665A4 (en) * 2012-11-09 2012-12-06 Acmeda Pty Ltd Improved winder assembly
DE102013000281B4 (de) * 2013-01-10 2019-01-03 Roma Kg Gebäudeöffnungsverschattungsvorrichtung und Achsenkappenmodul für die Wickelwelle der Gebäudeöffnungsverschattungsvorrichtung
DE102013000324B4 (de) * 2013-01-10 2020-06-10 Roma Kg Gebäudeöffnungsverschattungsvorrichtung und Achskappenmodul für die Wickelwelle der Gebäudeöffnungsverschattungsvorrichtung
TWI491372B (zh) * 2013-01-16 2015-07-11 Wen Yu Wu 具多段調整長度之窗簾捲軸固定配件
AU2013204634B2 (en) * 2013-04-12 2015-02-19 Wen-Yu Wu Blind reel fixing assembly having multi-stage adjustable lengths
TW201505589A (zh) * 2013-08-02 2015-02-16 Fu-Mei Fan 可調整捲簾定位位置之定位機構
US9016348B2 (en) * 2013-08-09 2015-04-28 Creston Electronics Inc. Spring-loaded roller shade gudgeon
JP6081319B2 (ja) * 2013-08-26 2017-02-15 林テレンプ株式会社 遮蔽装置、及び、その組み付け方法
US10059033B2 (en) * 2014-02-18 2018-08-28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Cementitious slurry mixing and dispensing system with pulser assembly and method for using same
US9631425B2 (en) * 2015-09-08 2017-04-25 Crestron Electronics, Inc. Roller shade with a pretensioned spring and method for pretensioning the spring
CN105649518B (zh) * 2016-01-11 2017-09-29 杭州万事达装饰用品有限公司 方便安装的卷帘
US10676989B2 (en) 2016-02-19 2020-06-09 Hunter Douglas Inc. Motor assembly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CN206545471U (zh) * 2016-10-20 2017-10-10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卷帘支撑结构
DE102017107826A1 (de) * 2017-04-11 2018-10-11 acomax GmbH Wellenbaugruppe, Verschluss- oder Schutzeinrichtung sowie Montagesatz
CN107575503B (zh) * 2017-09-29 2024-01-09 江西亚欣澜宇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制动器
JP6998584B2 (ja) * 2017-10-04 2022-01-18 セイキ住工株式会社 横引き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US10738530B2 (en) 2018-01-16 2020-08-11 Crestron Electronics, Inc. Motor pretensioned roller shade
CA3035047C (en) * 2018-03-16 2024-04-02 Zmc Metal Coating Inc. Idler end for a roller blind
TWI674356B (zh) * 2018-04-12 2019-10-11 程田有限公司 安全捲簾限位器之快速定位結構
US11384597B2 (en) * 2019-09-06 2022-07-12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Idler for a window treatment
CN110725644A (zh) * 2019-11-17 2020-01-24 绍兴豆阳窗饰有限公司 一种可调式自由伸缩安装卷帘
CN113047763B (zh) * 2019-12-26 2023-04-25 郑立铭 收折卷帘
CN111150289A (zh) * 2020-01-20 2020-05-15 宁波利洋新材料股份有限公司 可伸缩帘布挂杆
CA3077999C (en) * 2020-04-10 2024-03-26 Les Entreprises Smartlux Inc. Idler end for a roller blind
DE102020124337A1 (de) 2020-09-17 2022-06-02 Shenzhen Ruiqing Xingye Plastic Co. Ltd. Zweckmässig befestigte rollenblende und befestigungsvorrichtung davon
US11786064B2 (en) * 2021-03-24 2023-10-17 Shenzhen Ruiqing Xingye Plastic Co. Ltd. Zebra curtain
US11965380B2 (en) 2021-09-10 2024-04-23 Draper, Inc. Idler bracket for roller shad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603A (en) * 1912-10-25 1913-04-01 Marion T Whitney Automatic shade-roll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5728A (en) * 1965-09-10 1967-04-25 Breneman Hartshorn Inc Adjustable terminal for shade rollers
US3340922A (en) * 1966-03-24 1967-09-12 Breneman Inc Terminal providing length adjustment for shade rollers
JPS5745600U (ko) * 1980-08-29 1982-03-13
US5813449A (en) * 1997-03-19 1998-09-29 Irvin Automotive Products, Inc. Vehicle security shade with telescoping end pieces
DE19933124A1 (de) 1998-07-20 2000-04-13 Hunter Douglas Ind Bv Endverschluß
US6131643A (en) * 1998-11-17 2000-10-17 New Century Sci & Tech, Inc. Sun shield device for parked automobile
US7143802B2 (en) * 2003-03-20 2006-12-05 Springs Window Fashions Lp Cordless blinds
US7051782B2 (en) * 2003-10-23 2006-05-30 Lutron Electronics Co., Inc. System for coupling roller shade tubes
TWM261146U (en) 2004-09-14 2005-04-11 Sheng-Yi Lin Spring head of roll curtain supporting apparatus
EP1806472A1 (en) 2006-01-10 2007-07-11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End mounting for supporting a roller
KR100658640B1 (ko) * 2006-02-06 2006-12-19 곽재석 롤 스크린의 자동 승강 구동장치
US20080121353A1 (en) * 2006-11-16 2008-05-29 Detmer Brandon J Manual roller shade having clutch mechanism, chain guide and universal mounting
CA2905672C (en) * 2006-12-14 2018-09-04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Roller blind mounting system and parts therefor
EP1936106B1 (en) 2006-12-14 2016-03-16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Mounting system for a roller blind
NO2260169T3 (ko) * 2008-03-03 2018-07-21
JP4729595B2 (ja) 2008-05-12 2011-07-20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日射遮蔽材昇降装置
NZ583121A (en) * 2009-02-09 2010-06-25 Carmelo Joseph Licciardi Di St An idler for a roller blind system with adjustable axial movement to accommodate different width mounting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603A (en) * 1912-10-25 1913-04-01 Marion T Whitney Automatic shade-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100126B4 (en) 2014-01-23
NZ583121A (en) 2010-06-25
KR200479059Y1 (ko) 2015-12-14
ES2586470T3 (es) 2016-10-14
US20100200179A1 (en) 2010-08-12
EP2216487B1 (en) 2016-05-11
AU2010100126A4 (en) 2010-03-11
US9238939B2 (en) 2016-01-19
EP2216487A2 (en) 2010-08-11
KR20100008210U (ko) 2010-08-18
JP3159364U (ja) 2010-05-20
TWM390110U (en) 2010-10-11
US8408486B2 (en) 2013-04-02
EP2216487A3 (en) 2014-11-12
US20130098568A1 (en) 2013-04-25
KR20150003411U (ko) 201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986Y1 (ko) 아이들러
US20200300033A1 (en) Mounting assembly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KR200478329Y1 (ko) 와인더
JP6704473B2 (ja) 面一ガラスデザイン用の、複数の部品からなるガラス側ガイド部材を備えるウィンドウリフタアセンブリ、および組立方法
KR20010030420A (ko) 트레일러 토우 미러
KR101083239B1 (ko) 단순화된 가이드 레일 커플링을 갖는 자동차용 윈도우세이드
US5002113A (en) Tilt wand attachment for window blinds
JP3105173B2 (ja) 回転用スライド及びスナップ
WO1995020107A1 (en) A locking device for telescoping elements
JP2012102870A (ja) 制御ケーブルの鞘を取付けブラケットに固定するためのクイックフィット固定装置
JP2006153257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長さ調整装置
EP2599931B1 (en) Extendable awning assembly and support device for an extendable awning
JP2005313782A (ja) コードガイド
JP2003164352A (ja) ヘッドレストサポートおよびヘッドレストサポートの引き抜き工具
EP4237642A1 (en) Pool cover mechanism
JP3291894B2 (ja) ブラインドシャッタの羽根板の取付け装置
KR20210127176A (ko) 차량용 외부 백미러의 장착 구조체를 부착하기 위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백미러
JP2010132106A (ja) 車両用ミラー装置
JP2011088452A (ja) 遠隔操作ケーブル
JP2011088453A (ja) プーリ、プーリ装置、及び遠隔操作装置
KR20050068513A (ko)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결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