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378B1 -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결착구조 - Google Patents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결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378B1
KR100570378B1 KR1020030100017A KR20030100017A KR100570378B1 KR 100570378 B1 KR100570378 B1 KR 100570378B1 KR 1020030100017 A KR1020030100017 A KR 1020030100017A KR 20030100017 A KR20030100017 A KR 20030100017A KR 100570378 B1 KR100570378 B1 KR 100570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rail
fastening member
fixing
rail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8513A (ko
Inventor
손중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0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378B1/ko
Publication of KR20050068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결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로스바의 레일 결착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크로스바가 분리되어 힌지결합에 의해 일정 각도범위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회전에 따른 각도변위만큼 힌지축과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의 누름손잡이에 양측단부가 각각 연결된 고정와이어가 작동하여 누름 손잡이를 당김으로써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와 레일간의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크로스바의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한 크로스바 결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결착구조{Roof carrier cross bar fixing structure to the rail}
도 1a 는 루프캐리어가 설치된 차량의 사시도,
도 1b 는 루프캐리어 크로스바가 레일과 결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c 는 상기 도 1b 의 A 부 확대사시도,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조절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b 는 회전힌지에 고정와이어가 결착된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2c 는 크로스바 일측단부와 크로스바 연결부재간의 결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d 는 크로스바 연결부재와 크로스바 레일 결착부재간의 연결부위를 도시한 도면,
도 2e 는 상기 도 2d 의 D 부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f 는 상기 도 2a 에서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2g 는 본 발명의 고정와이어가 누름 손잡이 하부에 결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바의 조절장치의 초기상태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바 조절장치의 누름 손잡이를 눌러 크로스바 레일 체결부재를 측방으로 이동시킬 경우 구성부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루프캐리어 장착차량 30 : 루프캐리어
31 : 레일 33,40 : 크로스바
35,70 :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 41,43 : 크로스바 단부
44,54 : 힌지 결착홈 50 : 크로스바 연결부재
60 : 회전힌지 71 : 레일 결착부재 손잡이부
81,83 : 고정와이어 91 : 레일
93 : 레일 고정홈 100 : 크로스바 위치 조절장치
본 발명은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결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로스바의 레일 결착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크로스바가 분리되어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회전에 따른 각도변위만큼 고정와이어에 의해 누름 손잡이가 움직여 레일과의 결착상태를 해지시켜 크로스바의 조작을 용이하게 한 루프캐리어 크로스바 결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a 는 HP 차량의 루프 상부에 루프 캐리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 도이고, 도 1b 는 루프 캐리어의 레일과 크로스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c 는 상기 도 1b 의 A 부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차량(10)의 상부에 장착된 루프 캐리어(30)는 운전자가 직접 크로스바(33)를 조절하여 크로스바(33)의 위치를 옮기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33)의 설치위치가 높고,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크로스바(33)를 조절하기가 어려웠었다.
일반적으로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33)는 2인 이상이 조절하게끔 구성되어 있으며, 루프 캐리어(30)가 장시간 외부에 노출되면서 레일(31)과 크로스바(33)간의 접촉이 타이트한 결착상태로 변하여 크로스바(33)의 이동이 힘들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크로스바(33)의 양측 단부에는 레일(31)과의 결착을 용이하게 하는 크로스바 레일결착부(3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35)에는 그 내측에 누름 손잡이(35a)가 형성되어 상기 누름 손잡이(35a)의 조작에 의해 크로스바(33)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다른 위치로 옮길 수 있는 크로스바 고정 및 잠금 해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크로스바(33)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크로스바 레일 결착부재(35)에 마련된 누름 손잡이(35a)를 계속적으로 누른 상태에서 크로스바(33)를 이동시켜야 하므로 크로스바(33)의 양측단에 설치된 상기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35)의 누름 손잡이(35a)를 동시에 누르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 한 사람에 의해서는 크로스바(33)의 위치를 조절하기가 매우 어려웠었 다.
또한, 차량을 한쪽 벽면측에 밀착하여 주차시켜 놓았을 경우에는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의 조절을 위해 차량을 다시 이동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크로스바의 레일과 결착되는 결착부의 인접한 위치에 크로스바가 분리되고, 분리된 지점에서의 힌지결합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고, 회전에 따른 각도변위만큼 힌지축에 일단이 결착된 고정와이어가 손잡이부를 이동시켜 크로스바가 레일로부터 고정된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하여 크로스바의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루프캐리어 크로스바 결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결착구조는 차량 루프캐리어의 레일과 레일 사이에 위치한 크로스바와; 상기 크로스바의 양측단부에 일측단이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크로스바 연결부재와; 상기 크로스바의 일측단부와 상기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의 일측단부를 힌지 결합시키는 회전힌지와; 일측단은 상기 크로스바 연결부재의 단부에 결착되고, 타측단은 레일에 결착되어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부의 작동에 의해 레일상에서 고정되거나 이동하는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와; 상기 회전힌지와 상기 손잡이부에 그 양측단부가 결착되어 회전힌지의 회전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를 작동시켜 상기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의 레일과의 고정 및 해제상태를 조절하는 고정와이어를 포함하여, 손잡이부를 인위적으로 계속 눌러주지 않아도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가 레일로부터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한 사람에 의해서도 크로스바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고정와이어는 상기 회전힌지를 중심으로 그 배면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 손잡이 고정부에 각각 연결되게 하며, 상기 크로스바 연결부재와 상기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간의 결착은 크로스바와 크로스바 연결부재간의 회전에 의해 그 길이의 변동을 수렴할 수 있도록 상기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 내부로 삽착되는 상기 크로스바 연결부재의 단부에 다수의 스프링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결착구조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조절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 는 회전힌지에 고정와이어가 결착된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c 는 크로스바 조절장치부와 크로스바 연결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루프캐리어 크로스바 장착구조는 크로스바(40)의 일정지점에서 분리되도록 하고, 분리된 두 구성부재의 단부에 회전힌지(60)를 결착시켜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운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즉, 상기 회전힌지(60)는 크로스바(40)의 일단에 형성된 결착홈(44)과, 크로스바 연결부재(50)의 단부측에 형성된 결착홈(54)에 삽착되어 두 구성부재(40,50)를 결착시키며, 이때 상기 회전힌지(60)는 크로스바(40)와 함께 일체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크로스바 연결부재(50)에 대해서는 회전 중심축의 역할을 수행토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힌지(60)와 손잡이부(71)간에는 고정와이어(81,8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고정와이어(81,83)는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힌지(60)의 배면부측에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회전힌지(60)가 회전할 경우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 2b 의 C 부는 상기 고정와이어(81,83)가 회전힌지(60)에 고정된 결착부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고정와이어(81,83)와 손잡이부(71)간의 결착구조에 대해서는 이후 도 2f를 참조하여 다시 하기로 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크로스바(40)의 일측 단부와, 크로스바 연결부재(50)간의 결합은 상기 각 부재(40,50)의 결합부 단부 형상을 반원형으로 하고, 일측의 크로스바(40)의 단부는 대향하는 상기 크로스바 연결부재(50)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크로스바 연결부재 수용 공간부(4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공간부(43)로는 대향하는 크로스바 연결부재(50)의 단부(51)가 삽입되며, 크로스바(40)의 단부 상측부재(41)와 하측부재(42)는 그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크로스바 연결부재(50)의 단부 상측면 및 하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크로스바 연결부재(50)의 단부(51)는 그 상측면이 일정두께로 절개된 상태로서, 절개된 부위가 크로스바(40)의 결합부 공간(43)에 삽착되고, 크로스바 연결부재(50) 상부면상에서의 절개된 부위와 절 개되지 않은 부위가 만나는 경계면(52)은 크로스바 결합부의 상측부재(41)의 전면과 접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크로스바(40)와 크로스바 연결부재(50)간의 회전힌지(60)를 축으로 하는 회전은 일정범위의 각도 이상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조절되도록 한다.
도 2d 는 본 발명의 크로스바 연결부재(50)와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70)간의 연결부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e 는 상기 도 2d 의 D 부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크로스바 연결부재(50)와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70)간의 결착은 상기 크로스바 연결부재(50)와 크로스바(40)간의 결착이 힌지 결합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질 경우, 크로스바(40)의 전체적인 길이가 늘어나게 되므로 크로스바(40)의 기울기에 따른 길이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도 2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 연결부재(50)의 단부에 일정 길이에 걸쳐 스프링홈(53)을 형성하여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70) 연결부의 내측에 삽착되도록 한다. 즉, 크로스바(40)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경우 상기 크로스바 연결부재(40)의 스프링홈(53)과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70)간의 위치이동이 발생하여 크로스바(40)의 길이 변경에 따른 변형을 보상해주게 된다.
도 2f 는 상기 도 2a 에서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7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70)는 상부에 손으로 직접 누르는 손잡이 누름부(71a)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누름부(71a)의 선단부에는 힌지축(77)을 중심으로 하부로 굴곡되어 있는 손잡이 고정부(71b)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고정부(71b)의 하측단부의 측방향으로 걸림턱(71c)이 형성되어 레일 고정홈(93)에 삽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71)는 그 선단의 힌지축(77)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힌지축(77)에는 핀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75)가 결착되어 탄성력에 의해 손잡이 누름부(71a)는 항시 상부에 위치해 있도록 힘을 받게 되고, 힌지축(77)을 중심으로 하부로 굴곡된 손잡이 고정부(71b)는 레일 고정홈(93)에 걸림턱(71c)이 삽착되어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70)가 레일에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평상시는 상기 손잡이부(71)의 힌지축(77)에 결착된 탄성부재(75)에 의해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70)가 레일과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71)의 손잡이 누름부(71a)를 손으로 눌러주면 손잡이 고정부(71b)의 걸림턱(71c)이 레일 고정홈(93)으로부터 이탈되어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70)는 레일에 고정된 상태에서 벗어나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손잡이부(71)에서 손을 때면 탄성부재(75)의 힘에 의해 원래의 고정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손잡이부(71)의 손잡이 고정부(71b)에 고정와이어(81,83)의 일측을 결착시키고, 고정와이어(81,83)의 타측 부위를 크로스바 연결부에 삽착된 회전힌지(60)에 결착되도록 하여, 회전힌지(60)의 회전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71)를 계속적으로 누르고 있지 않아도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70)가 레일상에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해제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g 는 상기 레일결착부재(70)의 손잡이 고정부(71b)에 본 발명의 고정와이어(81,83)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손잡이 고정부(71b)상에 관통공(71d)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71d)으로 고정와이어(81,83)가 삽입되어 손잡이부(71)와 결착된다. 이때, 상기 고정와이어(81,83)의 단부에 돌기부(85)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와이어(81,83)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레일 손잡이 고정부(71b)가 전방으로 당겨질 경우 고정와이어(81,83)가 관통공(71d)으로부터 완전히 빠져 나가는 것을 막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와이어(81,83)로 일정 크기의 강성을 지닌 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루프캐리어 크로스바 결착구조에 있어서, 크로스바의 이동 및 크로스바 레일 결착부재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는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가 레일에 고정되어 있는 크로스바 조절장치의 초기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 는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를 측방으로 조금 이동시킨 상태의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크로스바(40)와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70)가 일직선상으로 결착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회전힌지(60)의 이동이 없으므로 고정와이어(81,83)의 이동도 없게 되어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70)가 레일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도 3b 를 참조하면, 상기 도 3a 의 상태에서 손잡이 누름부(71a)를 눌러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70)를 레일상에서 측방향으로 조금 이동시키면, 크로스바(40)는 회전힌지(60)와 함께 힌지부를 중심으로 일정각도(θ)만큼 회전하게 되며, 상기 크로스바(40)와 크로스바 연결부재(50)간에 새로이 형성된 각(θ)만큼 고정와이어(81)도 이동하게 되고, 고정와이어(81)의 회전에 의해 늘어난 길이(△ℓ)만큼 고정와이어(81)의 타단에 연결된 손잡이 고정부(71b)를 잡아당기게 되어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70)가 레일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 상태는 길이가 늘어난 일측의 고정와이어(81)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지 않는 이상 그대로 유지되므로, 레일결착부재 손잡이부(71)를 계속적으로 누르지 않아도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70)의 레일에 고정된 상태에서 벗어난 자유해지 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되므로 크로스바(40)를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옮길 수 있게 된다.
상기 크로스바(40)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옮긴 후에는, 크로스바(40) 또는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50)의 위치를 조정하여 크로스바(40)와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50)가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면, 크로스바(40)의 힌지 결합부에서 형성되는 각도는 0 이 되므로, 늘어난 상태의 일측 고정와이어(81)는 다시 느슨해짐과 동시에 손잡이부(71)에 장착된 탄성부재(도 2f의 75)에 의해 손잡이부(71)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고, 손잡이 고정부(71b)는 레일 고정홈(93) 내부로 삽착되어 들어감으로써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70)는 레일에 고정된다.
상기 도 3a 와 도 3b 에서는 일측의 고정와이어(81)가 움직이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경사각의 방향이 반대일 경우에는 타측의 고정와이어(83)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고정와이어(81)와 동일하게 작동함을 알 수 있다.
도 3c 를 참조하면, 일측의 고정와이어(81,83)가 도면상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지면, 손잡이부(71)가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손잡이 고정부(71b)의 측방향에 형성된 걸림턱(71c)이 레일 고정홈(93)에서 이탈되므로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70)가 레일(91)로부터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로 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크로스바(40)의 힌지 결합부 및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70)는 크로스바(40)의 양측단에 함께 형성되므로, 크로스바(70)의 일측에 위치한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70)를 옮길 경우, 반대편의 크로스바 힌지결합부에서도 회전이 일어나게 되므로 역시 반대편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도 레일(91)과의 고정상태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레일(91)에 고정되어 있는 일측의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70)만을 손잡이 누름부(71a)를 눌러 레일상에서 측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시키면, 반대편의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도 고정와이어(81,83)의 작동에 의해 레일(91)과의 고정상태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한 사람에 의해서도 크로스바(40)의 이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로스바의 레일 결착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크로스바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두 구성부재간에 회전힌지를 삽착시켜 일정 각도범위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회전각도 변위만큼 회전힌지와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의 손잡이 고정부에 양측단부가 연결된 고정와이어가 이동하여,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와 레일간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손잡이부를 인위적으로 계속 눌러주지 않아도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가 레일로부터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어, 한 사람에 의해서도 크로스바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4)

  1. 차량 루프캐리어의 레일과 레일 사이에 위치한 크로스바와;
    상기 크로스바의 양측단부에 일측단이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크로스바 연결부재와;
    상기 크로스바의 일측단부와 상기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의 일측단부를 힌지 결합시키는 회전힌지와;
    일측단은 상기 크로스바 연결부재의 단부에 결착되고, 타측단은 레일에 결착되어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부의 작동에 의해 레일상에서 고정되거나 이동하는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와;
    상기 회전힌지와 상기 손잡이부에 그 양측단부가 결착되어 회전힌지의 회전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를 작동시켜 상기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의 레일과의 고정 및 해제상태를 조절하는 고정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 크로스바 결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와이어는 상기 회전힌지를 중심으로 그 배면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 손잡이 고정부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 크로스바 장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와이어의 단부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와이어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레일 손잡이 고정부가 전방으로 당겨질 경우 고정와이어가 관통공으로부터 완전히 빠져 나가는 것을 막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 크로스바 결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 연결부재와 상기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간의 결착은 크로스바와 크로스바 연결부재간의 회전에 의해 그 길이의 변동을 수렴할 수 있도록 상기 크로스바 레일결착부재 내부로 삽착되는 상기 크로스바 연결부재의 단부에 다수의 스프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 크로스바 결착구조.
KR1020030100017A 2003-12-30 2003-12-30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결착구조 KR100570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017A KR100570378B1 (ko) 2003-12-30 2003-12-30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결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017A KR100570378B1 (ko) 2003-12-30 2003-12-30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결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513A KR20050068513A (ko) 2005-07-05
KR100570378B1 true KR100570378B1 (ko) 2006-04-11

Family

ID=3725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017A KR100570378B1 (ko) 2003-12-30 2003-12-30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결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3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078B1 (ko) * 2007-11-26 2008-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전식 크로스바 장치 및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513A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324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시스템
US6120309A (en) Electrical connector
JP4720395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US7556308B2 (en) Sunvisor of a vehicle
KR100598855B1 (ko) 루프랙 장착장치
US20060091643A1 (en) Adjustment device for an accessory such as a ski binding heelpiece
KR960040231A (ko) 은폐식 슬라이드 파스너용 자동 잠금 슬라이더
JPH11342773A (ja) カムによって駆動される固定用装置を備えた座席の軌道
KR100462114B1 (ko)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0570378B1 (ko) 루프 캐리어 크로스바 결착구조
JP2000006694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スライドロック機構
JP2003316472A (ja) 電子機器用機能拡張ユニットの固定機構
KR100675477B1 (ko) 가동체의 동작기구
EP1033463A2 (en) A disengageable door stop for vehicles
JP3190258B2 (ja) 蝶 番
JP3383606B2 (ja) 建具用ランナ
KR100526654B1 (ko) 차량용 틸트 스티어링 장치
JP2007120076A (ja) ロック装置
JP3167375B2 (ja) 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
KR100507306B1 (ko) 자동차의 시트용 롱 슬라이드 록킹구조
KR100527930B1 (ko)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KR101631088B1 (ko) 로드 연동장치
JP3513023B2 (ja) 自動車部品の遠隔操作装置
KR100533464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높이 조절장치
FR2615807A1 (fr) Dispositif de reglage en hauteur actionnable a di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