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717Y1 - 클램프 - Google Patents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717Y1
KR200480717Y1 KR2020160000213U KR20160000213U KR200480717Y1 KR 200480717 Y1 KR200480717 Y1 KR 200480717Y1 KR 2020160000213 U KR2020160000213 U KR 2020160000213U KR 20160000213 U KR20160000213 U KR 20160000213U KR 200480717 Y1 KR200480717 Y1 KR 2004807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fixing
connection
beam stru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윤
Original Assignee
김창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윤 filed Critical 김창윤
Priority to KR2020160000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7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7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7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 F16G11/04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friction clamps deforming the cable, wire, rope or cor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88Suspended, e.g. ropes or me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주에 클램프를 용이하게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는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H-빔 지주의 일측에 걸리도록 설치된 제 1 고정 부재, H-빔 지주의 타측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제 1 고정 부재에 연결된 제 2 고정 부재, 제 1 고정 부재 및 제 2 고정 부재를 동시에 삽입되며, 가로 부재를 고정하는 제 3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클램프{CLAMP}
본 고안은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낙석 방지책 또는 가설 방음벽에 가로 부재를 고정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설 방음벽은 일반적으로 아파트 공사현장, 신축건물 공사현장 또는 도로공사의 소음차단 및 먼지발생을 억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클램프는 건물 등의 공사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바, 이는 공사기간 중 공사현장 주변에 가설되어 사용되고 공사가 종료되면 가설 방음벽은 철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설 방음벽은 공사현장에서 공사기간 중 한시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경제성을 고려하여 설치 및 철거를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설치에 따른 견고성을 필요로 하며, 나아가서 철거 시 재 사용률을 높여 비용을 절감하고 폐기물발생을 억지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낙석 방지책은 도로의 비탈진 절개 면의 훼손이나 절개 면의 안전조치 미흡 등으로 인하여 산사태나 낙석 등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낙석 방지책은 낙석 방지책인 철망의 견고한 지지를 위하여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 부재를 설치하되, 그 가로 부재의 각 끝단과 지주간의 클램프를 이용하여 가로부재를 고정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가설 방음벽 및 낙석 방지책에 사용되는 클램프들은 각각 한번 설치되면 해체하기가 어려워 가로 부재의 보수작업이 어려움은 물론, 새로운 클램프로 교환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원가상승의 문제점과 작업시간 지연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지주의 클램프를 용이하게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는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이웃한 지주 사이의 간격 및 높이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도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는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이웃한 지주가 일자로 나란히 설치되지 않고, 곡선, 코너 또는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는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는 H-빔 지주의 일측에 걸리도록 설치된 제 1 고정 부재, H-빔 지주의 타측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제 1 고정 부재에 연결된 제 2 고정 부재, 제 1 고정 부재 및 제 2 고정 부재를 동시에 삽입되며, 가로 부재를 고정하는 제 3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제 1 고정 부재는 H-빔 지주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 1 몸체부, 제 1 몸체부의 일측에서 H-빔 지주 측으로 절곡되며 H-빔 지주의 일측에 걸리도록 형성된 제 1 걸림부, 제 1 몸체부의 타측에서 H-빔 지주 반대 측으로 절곡되며, 제 2 고정 부재에 연결된 제 1 연결부 및 제 1 연결부에서 연장되며, 제 3 고정 부재가 삽입된 제 1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고정 부재는 H-빔 지주를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 2 몸체부, 제 2 몸체부의 타측에서 H-빔 지주 측으로 절곡되며 H-빔 지주의 타측에 걸리도록 형성된 제 1 걸림부, 제 2 몸체부의 일측에서 H-빔 지주 반대 측으로 절곡되며, 제 1 고정 부재의 제 1 연결부에 연결된 제 2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에서 연장되며, 제 3 고정 부재가 삽입된 제 2 삽입부를 포함한다.
제 3 고정 부재는 제 1 고정 부재의 제 1 삽입부와 제 2 고정 부재의 제 2 삽입부에 동시에 삽입되는 제 3 몸체부 및 제 3 몸체부에서 연장되며, 가로 부재를 감싸는 고리 형상의 머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 부재 및 제 2 고정 부재는 제 3 고정 부재의 제 3 몸체부를 회전축으로 상호 회동 가능할 수 있다.
제 1 고정 부재는 제 1 연결부에서 제 2 고정 부재의 제 2 연결부 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제 2 고정 부재는 연장부가 삽입되며 제 2 연결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 부재의 연장부는 볼트로 형성되고, 제 2 고정 부재의 제 2 연결부의 외면에서 연장부에 볼트 체결된 제 1 고정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고정 부재의 제 3 몸체부는 볼트로 형성되고, 제 1 고정 부재의 제 1 삽입부 또는 제 2 고정 부재의 제 2 삽입부의 하면에서 제 3 몸체부에 볼트 체결된 제 2 고정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로 부재는 제 1 고정 부재의 제 1 연결부와 제 3 고정 부재의 머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가로 부재는 제 2 고정 부재의 제 2 연결부와 제 3 고정 부재의 머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는 지주에 클램프를 용이하게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는 이웃한 지주 사이의 간격 및 높이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도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는 이웃한 지주가 일자로 나란히 설치되지 않고, 곡선, 코너 또는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가 적용된 지주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가로 부재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2b는 가로 부재가 연장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3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5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가 적용된 가설 방음벽 설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가 적용된 가설 방음벽 설치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가 적용된 지주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가로 부재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2b는 가로 부재가 연장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3을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5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300)가 적용된 지주 구조체는 지주(100), 가로 부재(200), 클램프(300), 인장 부재(400), 벽체(500) 및 조이너(600)를 포함한다.
지주(100)는 중심부와 대향하는 2개의 플랜지가 직각을 이루는 형태를 이루는 H-빔(100)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100)는 적어도 2개로 구성되며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다. 여기서, 지주(100)는 선단 지주(110)와 말단 지주를 포함한다.
가로 부재(200)는 지주(100)들 각각에 고정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가로 부재(2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강선이 꼬여 형성된 강연선(鋼撚線)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로 부재(200)는 자유로이 변형이 가능하므로 곡선, 코너 및 경사 등과 같은 지형 조건에 적응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물론, 가로 부재(200)는 비계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고안에서 가로 부재(20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도 2b를 참조하면, 지주 구조체가 적용되는 낙석 방지책 또는 가설 방음벽의 설치 구간 보다 가로 부재(200)의 길이가 짧은 경우, 가로 부재(200)는 이웃하는 가로 부재(200)와 연장 커플러(210)를 통해 연결되어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클램프(300)는 지주(100)들 각각에 고정되며, 제 1 고정 부재(310), 제 2 고정 부재(320), 제 1 고정 너트(330), 제 3 고정 부재(340) 및 제 2 고정 너트(350)를 포함한다.
제 1 고정 부재(310)는 지주(100)의 플랜지의 일측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고정 부재(310)는 제 1 몸체부(311), 제 1 걸림부(312), 제 1 연결부(313), 제 1 삽입부(314) 및 연장부(315)를 포함한다.
제 1 몸체부(311)는 H-빔 지주(100)의 플랜지의 정면을 마주보도록 판상으로 형성된다.
제 1 걸림부(312)는 제 1 몸체부(311)의 일측에서 상기 H-빔 지주(100)의 플랜지 후면을 에워싸도록 절곡되어 H-빔 지주(100)의 일측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제 1 연결부(313)는 제 1 몸체부(311)의 타측에서 제 1 걸림부(312)의 절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며, 이웃한 제 2 고정 부재(320)에 연결된다.
제 1 삽입부(314)는 제 1 연결부(313)에서 연장되며 제 3 고정 부재(340)가 삽입되도록 중심에 관통 채널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삽입부(314)는 이웃한 제 2 고정 부재(320)와 원활한 연결을 위해, 크기가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장부(315)는 제 1 연결부(313)에서 이웃한 제 2 고정 부재(320) 측으로 더욱 연장되도록 형성된 볼트 등으로 형성된다.
제 2 고정 부재(320)는 지주(100)의 플랜지의 타측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 2 고정 부재(320)는 제 2 몸체부(321), 제 2 걸림부(322), 제 2 연결부(323), 제 2 삽입부(324) 및 관통홀(325)을 포함한다.
제 2 몸체부(321)는 H-빔 지주(100)의 플랜지의 정면을 마주보도록 판상으로 형성된다.
제 2 걸림부(322)는 제 2 몸체부(321)의 타측에서 상기 H-빔 지주(100)의 플랜지 후면을 에워싸도록 절곡되어 H-빔 지주(100)의 타측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제 2 연결부(323)는 제 2 몸체부(321)의 일측에서 제 2 걸림부(322)의 절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며, 이웃한 제 1 고정 부재(310)의 제 1 연결부(313)에 연결된다.
제 2 삽입부(324)는 제 2 연결부(323)에서 연장되며 제 3 고정 부재(340)가 삽입되도록 중심에 관통 채널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2 삽입부(324)는 이웃한 제 1 고정 부재(310)와 원활한 연결을 위해, 크기가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삽입부(314)는 하부측에 형성되고, 제 2 삽입부(324)는 상부측에 형성되어 제 3 고정 부재(340)가 동시에 삽입되는 관통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관통홀(325)은 연장부(315)가 관통되는 장공의 관통홀(321)로 형성된다.
제 1 고정 너트(330)는 제 2 연결부(323)의 외부에서 연장부(315)에 체결되어, 제 1 고정 부재(310)와 제 2 고정 부재(320)가 유동하지 않도록 하며, 제 1 걸림부(312)와 제 2 걸림부(322)가 지주(100)의 플랜지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제 3 고정 부재(340)는 지팡이 형상으로 구성되며, 제 3 몸체부(341) 및 머리부(342)를 포함한다.
제 3 몸체부(341)는 제 1 삽입부(314)와 제 2 삽입부(324)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제 1 고정 부재(310)와 제 2 고정 부재(320)가 회동할 수 있도록 이들 사이에 회전축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3 몸체부(341)는 단부로부터 적어도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머리부(342)는 제 3 몸체부(341)의 상부에 연장되며, 가로 부재(200)를 감싸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가로 부재(200)의 두께 및 형상에 따라 머리부(342)의 크기 및 형상은 변형 가능하다.
제 2 고정 너트(350)는 제 1 삽입부(314)의 하부에서 제 3 고정 부재(340)의 제 3 몸체부(341)에 체결되어, 가로 부재(200)가 제 1 고정 부재(310)와 제 2 고정 부재(320) 상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한다.
인장 부재(400)는 지주(100) 중 선단 지주(110) 및/또는 말단 지주에 배치되어, 가로 부재(200)를 길이방향으로 인장한다.
여기서, 인장 부재(400)는 롱볼트(410), 인장 커플러(420) 및 너트부(430)를 포함한다.
롱볼트(410)의 일단은 인장 커플러(420)를 통해 가로 부재(200)에 연결된다. 또한, 롱볼트(410)의 타단에는 선단 및/또는 말단의 지주(110)에 걸린 너트부(430)가 체결된다.
여기서, 너트부(430)의 조임으로 롱볼트(410)는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결과적으로 가로 부재(200)를 인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벽체(500)들은 상호 연접되는 부위에서 조이너(600)를 이용하여 가로 부재(20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은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가 적용된 가설 방음벽 설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7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가 적용된 가설 방음벽 설치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설치 방법은 지주 설치 단계(S10), 가로 부재 연결 단계(S20), 가로 부재 가고정 단계(S30), 가로 부재 인장 단계(S40), 가로 부재 고정 단계(S50) 및 벽체 고정 단계(S60)를 포함한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 설치 단계(S10)에서는 H-빔(100)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지주(100)들이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면에 수직이게 세워 설치한다. 여기서, 지주(100)들은 햄머를 사용하여 자체 지지력이 확보될 충분한 깊이로 지반에 압입한다. 또한, 지주(100) 삽입 후 램머로 지주(100) 삽입구 주변 지반을 다져, 지주(100)의 지지력을 보강한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부재 연결 단계(S20)에서는 선단 지주(110) 및/또는 말단 지주(120)에 배치된 클램프(300)에 인장 부재(400)와 이에 연결된 가로 부재(200)를 배치한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부재 가고정 단계(S30)에서는 각 지주(100)에 고정된 클램프(300)의 제 1 고정 부재(310)의 제 1 연결부(313)와 제 3 고정 부재(340)의 머리부(342) 사이 및/또는 제 2 고정 부재(320)의 제 2 연결부(323)와 제 3 고정 부재(340)의 머리부(342) 사이에 가로 부재(200)를 삽입하고, 제 3 고정 부재(340)의 머리부(342) 하단에 제 2 고정 너트(350)를 체결한다. 여기서, 제 2 고정 너트(350)는 완전히 조여지지 않은 가체결 상태로 유지되어 가로 부재(200)가 길이방향으로 인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도 1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부재 인장 단계(S40)에서는 인장 부재(400)의 롱볼트(410)의 타단에 체결된 너트부(430)를 조여 롱볼트(41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롱볼트(410)의 일단에 연결된 가로 부재(200)를 길이방향으로 인장시킨다.
이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부재 고정 단계(S50)에서는 클램프(300)의 제 2 고정 너트(350)를 완전히 조여 제 1 고정 부재(310)의 제 1 연결부(313)와 제 3 고정 부재(340)의 머리부(342) 사이 및/또는 제 2 고정 부재(320)의 제 2 연결부(323)와 제 3 고정 부재(340)의 머리부(342) 사이에서 인장된 가로 부재(200)가 완전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고정 단계(S60)에서는 조이너(600)를 통해 다수의 벽체(500)를 인장된 가로 부재(200)에 각각 고정하여 방음 벽체 또는 낙석 방지책을 구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지주 200: 가로 부재
300: 클램프 400: 인장 부재
500: 벽체 600: 조이너

Claims (10)

  1. H-빔 지주(100)에 가로 부재(200)를 고정하는 클램프(300)에 있어서,
    상기 H-빔 지주(100)의 일측에 걸리도록 설치된 제 1 고정 부재(310);
    상기 H-빔 지주(100)의 타측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1 고정 부재(310)에 연결된 제 2 고정 부재(320);
    상기 제 1 고정 부재(310) 및 상기 제 2 고정 부재(320)를 동시에 삽입되며, 상기 가로 부재(200)를 고정하는 제 3 고정 부재(34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 부재(310)는
    상기 H-빔 지주(100)를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 1 몸체부(311);
    상기 제 1 몸체부(311)의 일측에서 상기 H-빔 지주(100) 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H-빔 지주(100)의 일측에 걸리도록 형성된 제 1 걸림부(312);
    상기 제 1 몸체부(311)의 타측에서 상기 H-빔 지주(100) 반대 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 2 고정 부재(320)에 연결된 제 1 연결부(313); 및
    상기 제 1 연결부(313)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3 고정 부재(340)가 삽입된 제 1 삽입부(3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 부재(320)는
    상기 H-빔 지주(100)를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 2 몸체부(321);
    상기 제 2 몸체부(321)의 타측에서 상기 H-빔 지주(100) 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H-빔 지주(100)의 타측에 걸리도록 형성된 제 2 걸림부(322);
    상기 제 2 몸체부(321)의 일측에서 상기 H-빔 지주(100) 반대 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 1 고정 부재(310)의 제 1 연결부(313)에 연결된 제 2 연결부(323); 및
    상기 제 2 연결부(323)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3 고정 부재(340)가 삽입된 제 2 삽입부(3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고정 부재(340)는
    상기 제 1 고정 부재(310)의 상기 제 1 삽입부(314)와 상기 제 2 고정 부재(320)의 제 2 삽입부(324)에 동시에 삽입되는 제 3 몸체부(341); 및
    상기 제 3 몸체부(341)에서 연장되며, 상기 가로 부재(200)를 감싸는 고리 형상의 머리부(3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부재(310) 및 상기 제 2 고정 부재(320)는 상기 제 3 고정 부재(340)의 상기 제 3 몸체부(341)를 회전축으로 상호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부재(310)는 상기 제 1 연결부(313)에서 상기 제 2 고정 부재(320)의 상기 제 2 연결부(323) 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 부재(320)는 상기 연장부(315)가 삽입되며 상기 제 2 연결부(323)에 형성된 관통홀(3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부재(310)의 상기 연장부(315)는 볼트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 부재(320)의 상기 제 2 연결부(323)의 외면에서 상기 연장부(315)에 볼트 체결된 제 1 고정 너트(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고정 부재(340)의 상기 제 3 몸체부(341)는 볼트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고정 부재(310)의 상기 제 1 삽입부(314) 또는 상기 제 2 고정 부재(320)의 상기 제 2 삽입부(324)의 하면에서 상기 제 3 몸체부(341)에 볼트 체결된 제 2 고정 너트(3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부재(200)는 상기 제 1 고정 부재(310)의 상기 제 1 연결부(313)와 상기 제 3 고정 부재(340)의 상기 머리부(342)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부재(200)는 상기 제 2 고정 부재(320)의 상기 제 2 연결부(323)와 상기 제 3 고정 부재(340)의 상기 머리부(342)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KR2020160000213U 2016-01-14 2016-01-14 클램프 KR2004807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213U KR200480717Y1 (ko) 2016-01-14 2016-01-14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213U KR200480717Y1 (ko) 2016-01-14 2016-01-14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717Y1 true KR200480717Y1 (ko) 2016-06-28

Family

ID=56344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213U KR200480717Y1 (ko) 2016-01-14 2016-01-14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7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952U (ko) 2020-06-24 2021-12-31 최병하 건설현장용 석재 지지클램프
KR102507885B1 (ko) * 2022-02-22 2023-03-09 주식회사 포유텍 기초 연결형 브레이싱을 구비한 철도 방음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3044A (ja) * 1993-05-11 1994-11-22 Nippon Kiden Kk 仮囲い板取付金具
JPH0949336A (ja) * 1995-08-04 1997-02-18 Sato Kogyo Co Ltd 建設現場用仮囲い板
JP2001152674A (ja) * 1999-11-26 2001-06-05 Suzutou Kk 仮囲い用パネルの取付金具
KR100872325B1 (ko) * 2007-06-25 2008-12-08 (주)삼정스틸 방음벽용 파이프 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3044A (ja) * 1993-05-11 1994-11-22 Nippon Kiden Kk 仮囲い板取付金具
JPH0949336A (ja) * 1995-08-04 1997-02-18 Sato Kogyo Co Ltd 建設現場用仮囲い板
JP2001152674A (ja) * 1999-11-26 2001-06-05 Suzutou Kk 仮囲い用パネルの取付金具
KR100872325B1 (ko) * 2007-06-25 2008-12-08 (주)삼정스틸 방음벽용 파이프 클램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952U (ko) 2020-06-24 2021-12-31 최병하 건설현장용 석재 지지클램프
KR102507885B1 (ko) * 2022-02-22 2023-03-09 주식회사 포유텍 기초 연결형 브레이싱을 구비한 철도 방음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128B1 (ko) 버팀부재 지지용 스크류잭
US20140208683A1 (en) Anchoring system
KR200480717Y1 (ko) 클램프
JP2006225879A (ja) ワイヤロープ型落石防護柵
KR102168938B1 (ko) 강연선과 길이조절 가능형 트러스 구조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KR20090054053A (ko)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한 가설방음벽
KR200427523Y1 (ko) 펜스구조물 조립용 클램프
KR101336732B1 (ko) 지주 보강형 기초와 밴드형 클램프를 이용한 가설 울타리 및 이의 시공 방법
JP4223535B2 (ja) 低層用柵構造体と接続用ブラケット
JP5789606B2 (ja) 方杖付つなぎ材および仮設足場
JP5503408B2 (ja) 建物の施工方法
KR20150003683U (ko) 와이어로프용 조이너
JP6148099B2 (ja) 天井落下防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469905Y1 (ko)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설치가이드대
JP5612353B2 (ja) 建物
KR102382845B1 (ko) 경사식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JPH0728180Y2 (ja) 落石防止柵
KR101345397B1 (ko) 가설방음벽용 포스트 부재
KR20160013233A (ko) 유연성 가로부재를 이용한 가설방음벽 설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설 방음벽
KR100892750B1 (ko) 펜스 설치구조
JP2017210834A (ja) アンカー
KR200392074Y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협소한작업공간에 설치되는 트러스동바리
KR20150113511A (ko) 유연성 가로부재를 이용한 가설방음벽 설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설 방음벽
JP4122027B2 (ja) 雪崩防止柵の施工法
KR200235549Y1 (ko) 철골 구조물의 임시 난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