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705Y1 - 배처 플랜트 및 그를 구비하는 배처 플랜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처 플랜트 및 그를 구비하는 배처 플랜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705Y1
KR200480705Y1 KR2020140009232U KR20140009232U KR200480705Y1 KR 200480705 Y1 KR200480705 Y1 KR 200480705Y1 KR 2020140009232 U KR2020140009232 U KR 2020140009232U KR 20140009232 U KR20140009232 U KR 20140009232U KR 200480705 Y1 KR200480705 Y1 KR 200480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mixing assembly
assembly
cemen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163U (ko
Inventor
권상태
Original Assignee
대우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9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705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1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1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7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0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 B28C5/12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 B28C5/14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the stirrers hav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or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12Supplying or proportioning liquid ingredi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재료를 믹싱하도록 구성되는 믹싱 어셈블리; 상기 믹싱 어셈블리와 연통되어, 상기 믹싱 어셈블리에 상기 재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급 어셈블리; 및 상기 믹싱 어셈블리에 연통되어, 상기 믹싱 어셈블리 내의 함진 가스를 흡입하고 상기 믹싱 어셈블리 내의 압력을 낮추도록 구성되는 흡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배처 플랜트 및 그를 구비하는 배처 플랜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처 플랜트 및 그를 구비하는 배처 플랜트 시스템{BATCHER PLANT AND BATCHER PLANT SYSTEM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배처 플랜트 및 그를 구비하는 배처 플랜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처 플랜트는 콘크리트를 만들 때 물 · 시멘트 · 모래 · 자갈 등을 정해진 비율로 계량하여 믹서로 보내 섞는 장치를 말한다.
그런데, 위의 골재의 사용으로 인해, 분진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분진은 환경 공해의 요인이 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믹서로의 물의 공급이 믹서 내의 공기에 의해 원활하지 못한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골재로 인한 분진을 제거하면서도 믹싱 어셈블리로의 물의 공급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배처 플랜트 및 그를 구비하는 배처 플랜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과 관련된 배처 플랜트는,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재료를 믹싱하도록 구성되는 믹싱 어셈블리; 상기 믹싱 어셈블리와 연통되어, 상기 믹싱 어셈블리에 상기 재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급 어셈블리; 및 상기 믹싱 어셈블리에 연통되어, 상기 믹싱 어셈블리 내의 함진 가스를 흡입하고 상기 믹싱 어셈블리 내의 압력을 낮추도록 구성되는 흡기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 어셈블리는, 상기 믹싱 어셈블리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재료 중 하나로서 골재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골재 공급 유닛; 상기 믹싱 어셈블리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재료 중 하나로서 시멘트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시멘트 공급 유닛; 및 상기 믹싱 어셈블리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재료 중 하나로서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물 공급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멘트 공급 유닛은, 상기 시멘트를 저장하는 저장 빈; 및 상기 저장 빈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 빈에서 공급된 상기 시멘트를 계량하여 상기 믹싱 어셈블리에 전달하는 계량 빈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빈과 상기 계량 빈은,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네 세트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 공급 유닛은, 상기 믹싱 어셈블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유동 파이프; 상기 유동 파이프에 개구되어, 상기 유동 파이프를 흐르는 물이 상기 믹싱 어셈블리로 토출되게 하는 토출공; 및 상기 유동 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공을 통해 토출되는 물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전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유동 파이프의 외측에서 상기 토출공에 대응하여 돌출되는 저항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기 어셈블리는, 상기 믹싱 어셈블리에 연통되는 흡기 배관; 및 상기 흡기 배관에 연통되고, 상기 흡기 배관을 통해 상기 믹싱 어셈블리에서 유출되는 기류를 형성하는 흡입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기 어셈블리는, 상기 흡기 배관에서 분기되며, 상기 골재 공급 유닛과 연통되는 분기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 팬은, 상기 골재 공급 유닛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처 플랜트 시스템은, 위의 배처 플랜트; 상기 골재 공급 유닛을 향해 상기 골재를 운반하도록 구성되는 골재 컨베이어; 및 상기 골재 컨베이어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골재 컨베이어에 상기 골재를 투하도록 구성되는 골재 투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골재 투하 유닛은, 상기 골재를 수용하는 계량 호퍼; 상기 계량 호퍼 상측에 배치되는 설치대; 및 상기 계량 호퍼를 상기 설치대에 연결하고, 중간에 로드셀이 구비된 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골재 투하 유닛은, 걸림홀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대는, 상기 프레임에 걸리고, 상기 연결대는, 상기 걸림홀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홀은, 단턱을 가지고, 상기 설치대는, 상기 단턱에 걸리고, 상기 연결대는, 상기 걸림홀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관련된 배처 플랜트 및 그를 구비하는 배처 플랜트 시스템에 의하면, 골재로 인한 분진을 제거하면서도 믹싱 어셈블리로의 물의 공급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처 플랜트 시스템(1000)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처 플랜트(1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시멘트 공급 유닛(135)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의 물 공급 유닛(141)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의 골재 투하 유닛(2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처 플랜트 및 그를 구비하는 배처 플랜트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처 플랜트 시스템(1000)을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배처 플랜트 시스템(1000)은, 배처 플랜트(100), 골재 투하 유닛(200), 골재 컨베이어(300), 및 시멘트 사일로(400)를 가질 수 있다.
배처 플랜트(100)는, 골재와 시멘트, 그리고 물을 섞어서 시멘트를 제조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배처 플랜트(100)는, 골재 컨베이어(300)와 시멘트 사일로(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골재 투하 유닛(200) 및 골재 컨베이어(300)는 골재를 배처 플랜트(10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골재 투하 유닛(200)은 트럭 등에 의해 운반된 골재를 골재 컨베이어(300)에 투하하기 위한 구성이다. 골재 컨베이어(300)는 골재 투하 유닛(200)에 의해 투하된 골재를 배처 플랜트(100)까지 이송하는 구성이다. 골재 컨베이어(300)는 골재를 이송하는 중에 골재를 스크리닝할 수도 있다.
시멘트 사일로(400)는 시멘트를 저장하고 또한 시멘트를 배처 플랜트(10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골재는 골재 투하 유닛(200) 및 골재 컨베이어(300)를 거쳐 배처 플랜트(100)로 전달된다.
또한, 시멘트는 시멘트 사일로(400)에서 배처 플랜트(100)로 전달된다.
물은 배처 플랜트(100)에 구비되는 물 탱크(142, 도 2)에 저장된다.
배처 플랜트(100)는 이러한 골재, 시멘트, 물을, 일정한 비율로 섞어서 시멘트를 제조하게 된다.
위의 배처 플랜트(100)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도 1의 배처 플랜트(1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배처 플랜트(100)는, 믹싱 어셈블리(110)와, 공급 어셈블리(130), 그리고 흡기 어셈블리(150)를 가질 수 있다.
믹싱 어셈블리(110)는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재료를 섞는 구성이다. 상기 재료는, 골재, 시멘트, 및 물 등이 될 수 있다. 믹싱 어셈블리(110)는, 하우징(111)과, 믹셔(115)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111)은 내부 공간을 구비한다. 믹셔(115)는 상기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믹셔(115)는, 예를 들어 스크류, 롤러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공급 어셈블리(130)는, 믹싱 어셈블리(110)에 연통되어 상기 재료를 믹싱 어셈블리(110)에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공급 어셈블리(130)는 믹싱 어셈블리(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급 어셈블리(130)는, 골재 공급 유닛(131)과, 시멘트 공급 유닛(135), 및 물 공급 유닛(141)을 가질 수 있다.
골재 공급 유닛(131)은 골재 컨베이어(300)에서 골재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구성이다. 투입될 골재에 대한 계량은 골재 투하 유닛(200, 도 1)에 의해 이미 이루어졌기에, 골재 공급 유닛(131)은 골재에 대한 저장 및 믹싱 어셈블리(110)로의 투입만을 담당할 수 있다.
시멘트 공급 유닛(135)은 시멘트를 저장하고 믹싱 어셈블리(110)에 투입하는 구성이다. 시멘트 공급 유닛(135)은, 저장 빈(136)과, 계량 빈(138)을 가질 수 있다. 저장 빈(136)은 시멘트를 단순히 저장하는 구성이고, 계량 빈(138)은 믹싱 어셈블리(110)에 투입될 양의 시멘트를 계량하여 투입하는 구성이다.
물 공급 유닛(141)은 물을 저장하고 믹싱 어셈블리(110)에 투입하는 구성이다. 믹싱 어셈블리(110)는, 물 탱크(142)와, 물 계량통(143)을 가질 수 있다. 물 탱크(142)는 물을 저장하는 구성이고, 물 계량통(143)은 믹싱 어셈블리(110)에 투입될 양의 물을 계량하여 투입하는 구성이다.
흡기 어셈블리(150)는 믹싱 어셈블리(110)에 연통되어, 믹싱 어셈블리(110) 내의 공기를 뽑아내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흡기 어셈블리(150)는, 흡기 배관(151)과, 흡입 팬(156)을 가질 수 있다.
흡기 배관(151)은 믹싱 어셈블리(110)와 흡입 팬(156)을 연통시키는 구성이다. 흡기 배관(151)은 믹싱 어셈블리(110)에서 시작하여, 골재 공급 유닛(131)의 상측에 있는 흡입 팬(156)으로 연장될 수 있다. 흡기 배관(151)은 그러한 연장 중에, 골재 공급 유닛(131)에 연통되는 분기 배관(152)을 가질 수 있다.
흡입 팬(156)은 흡기 배관(151)에 연통되고, 흡기 배관(151)을 통해 믹싱 어셈블리(110)에서 유출되는 기류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흡입 팬(156)은 골재 공급 유닛(13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믹싱 어셈블리(110)는 공급 어셈블리(130)로부터 골재, 시멘트, 및 물 등을 공급받아 섞게 된다.
이때, 믹싱 어셈블리(110)에서는 골재, 시멘트에 의해 분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분진이 함유된 가스, 다시 말해 함진 가스는 흡기 어셈블리(150)에 의해 믹싱 어셈블리(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믹싱 어셈블리(110)에서 배출된 분진은 집진기에 의해 모여질 수 있다.
또한, 분기 배관(152)이 구비된 경우라면, 흡입 팬(156)은 골재 공급 유닛(131)의 분진까지도 선제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흡기 어셈블리(150)는 위의 함진 가스 배출 외에도, 믹싱 어셈블리(110) 내로 물 공급 유닛(141)에 의한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다시 말해, 흡기 어셈블리(150)에 의해 믹싱 어셈블리(110) 내의 공기가 배출됨에 의해, 믹싱 어셈블리(110) 내의 압력이 낮아져서, 물 공급 유닛(141)에서 믹싱 어셈블리(110)로의 물의 투입이 원활하게 된다.
다음으로, 시멘트 공급 유닛(135)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시멘트 공급 유닛(135)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시멘트 공급 유닛(135)은,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저장 빈(136)과, 계량 빈(138)을 가질 수 있다.
저장 빈(136)은 시멘트 사일로(400, 도 1)로부터 시멘트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구성이다. 저장 빈(136)의 하측에는 저장된 시멘트를 토출하기 위한 피더(137)가 구비된다. 피더(137)는 날개를 가진 회전형 피더(feeder)일 수 있다.
계량 빈(138)은 저장 빈(136)의 하측에 배치되어, 저장 빈(136)에서 공급된 시멘트를 계량하여 믹싱 어셈블리(110)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계량 빈(138)은 로드셀(139)에 의해 프레임에 매달려서, 시멘트의 무게를 계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저장 빈(136)과 계량 빈(138)은 모두 네 세트로 구비될 수 있다. 그에 의해, 통상 사용되는 3 종류의 시멘트 외에, 간혹 추가 1 종류의 시멘트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바로 대응 가능하게 된다.
공급 어셈블리(130)의 다른 하나로서, 물 공급 유닛(141)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물 공급 유닛(141)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물 공급 유닛(141)은, 유동 파이프(145), 토출공(146), 및 전환 부재(147)를 가질 수 있다.
유동 파이프(145)는 믹싱 어셈블리(110)의 하우징(111)을 가로질러 배열된다. 유동 파이프(145)는 또한 물 계량통(143)에 연결되고, 그 내부에 물이 유동하는 공간을 구비한다.
토출공(146)은 유동 파이프(145)에 개구되어 형성된다. 토출공(146)은 유동 파이프(145)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전환 부재(147)는 유동 파이프(145)에 토출공(146)과 연관되어 설치된다. 그에 의해, 전환 부재(147)는 토출공(146)에서 토출되는 물의 방향을 바꾸게 된다. 전환 부재(147)는, 구체적으로 유동 파이프(145)의 외측에서 돌출되는 저항 플레이트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물 계량통(143)에서 유동 파이프(145)로 유입된 물은 유동 방향(F)을 따라 진행하게 된다. 그러한 진행 중에, 물은 토출공(146)을 통해 유동 파이프(145)에서 토출되어 믹싱 어셈블리(110)의 하우징(111) 내로 투입된다.
이때, 물은 진행 방향(F)으로의 압력에 의해, 도면상 하우징(111)의 우측에 몰리게 되나, 전환 부재(147)에 의해 방향을 바꾸게 되므로 도면상 하우징(111)의 좌측에도 고루 투입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앞서의 골재 투하 유닛(200)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골재 투하 유닛(2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골재 투하 유닛(200)은, 계량 호퍼(210), 설치대(230), 연결대(250), 프레임(270), 및 공급 호퍼(290)를 가질 수 있다.
계량 호퍼(210)는 골재를 계량하여 골재 컨베이어(300, 도 1)로 보내는 구성이다. 설치대(230)는 프레임(270)에 걸리는 구성이다. 연결대(250)는 계량 호퍼(210)를 설치대(230)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프레임(270)은 그의 하부에 계량 호퍼(210) 등이 설치되는 바닥일 수 있다. 공급 호퍼(290)는 계량 호퍼(210)의 상측에 배치되어 골재를 계량 호퍼(210)에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연결대(250)는 로드(251)와, 로드셀(255)을 가질 수 있다. 로드(251)는 계량 호퍼(210)에서 설치대(230)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rod)이다. 이때, 로드(251)은 로드(251)의 중앙에 배치된 계측기(load-cell)이다.
프레임(270)은 걸림홀(271)을 가질 수 있다. 걸림홀(271)은 단턱(273)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프레임(270)은 걸림홀(271), 구체적으로 단턱(273)에 걸리게 될 수 있다.
이때, 연결대(250)는 걸림홀(271)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고, 나아가 걸림홀(271)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공급 호퍼(290)는 설치대(230)의 중앙에 설치된 개구부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공급 호퍼(290)와 계량 호퍼(210) 간의 복잡한 관계가 없이, 그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로드셀(255)을 수리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공급 호퍼(290) 등이 구조적으로 간섭되는 일이 없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배처 플랜트 및 그를 구비하는 배처 플랜트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배처 플랜트 110: 믹싱 어셈블리
130: 공급 어셈블리 131: 골재 공급 유닛
135: 시멘트 공급 유닛 141: 물 공급 유닛
150: 흡기 어셈블리 200: 골재 투하 유닛
210: 계량 호퍼 230: 설치대
250: 연결대 270: 프레임
300: 골재 컨베이어 400: 시멘트 사일로
1000: 배처 플랜트 시스템

Claims (12)

  1.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재료를 믹싱하도록 구성되는 믹싱 어셈블리; 상기 믹싱 어셈블리와 연통되어, 상기 믹싱 어셈블리에 상기 재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급 어셈블리; 및 상기 믹싱 어셈블리에 연통되어, 상기 믹싱 어셈블리 내의 함진 가스를 흡입하고 상기 믹싱 어셈블리 내의 압력을 낮추도록 구성되는 흡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어셈블리는, 상기 믹싱 어셈블리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재료 중 하나로서 골재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골재 공급 유닛; 상기 믹싱 어셈블리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재료 중 하나로서 시멘트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시멘트 공급 유닛; 및 상기 믹싱 어셈블리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재료 중 하나로서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물 공급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흡기 어셈블리는, 상기 믹싱 어셈블리에 연통되는 흡기 배관; 상기 흡기 배관에 연통되고, 상기 흡기 배관을 통해 상기 믹싱 어셈블리에서 유출되는 기류를 형성하는 흡입 팬; 및 상기 흡기 배관에서 분기되며, 상기 골재 공급 유닛과 연통되는 분기 배관을 포함하는, 배처 플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공급 유닛은,
    상기 시멘트를 저장하는 저장 빈; 및
    상기 저장 빈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 빈에서 공급된 상기 시멘트를 계량하여 상기 믹싱 어셈블리에 전달하는 계량 빈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빈과 상기 계량 빈은,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네 세트로 구비되는, 배처 플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 유닛은,
    상기 믹싱 어셈블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유동 파이프;
    상기 유동 파이프에 개구되어, 상기 유동 파이프를 흐르는 물이 상기 믹싱 어셈블리로 토출되게 하는 토출공; 및
    상기 유동 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공을 통해 토출되는 물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전환 부재를 포함하는, 배처 플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유동 파이프의 외측에서 상기 토출공에 대응하여 돌출되는 저항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배처 플랜트.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팬은,
    상기 골재 공급 유닛의 상측에 위치하는, 배처 플랜트.
  9. 제1항에 따른 배처 플랜트;
    상기 골재 공급 유닛을 향해 상기 골재를 운반하도록 구성되는 골재 컨베이어; 및
    상기 골재 컨베이어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골재 컨베이어에 상기 골재를 투하도록 구성되는 골재 투하 유닛을 포함하는, 배처 플랜트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 투하 유닛은,
    상기 골재를 수용하는 계량 호퍼;
    상기 계량 호퍼 상측에 배치되는 설치대; 및
    상기 계량 호퍼를 상기 설치대에 연결하고, 중간에 로드셀이 구비된 연결대를 포함하는, 배처 플랜트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 투하 유닛은,
    걸림홀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대는, 상기 프레임에 걸리고,
    상기 연결대는, 상기 걸림홀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배처 플랜트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홀은, 단턱을 가지고,
    상기 설치대는, 상기 단턱에 걸리고,
    상기 연결대는, 상기 걸림홀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배처 플랜트 시스템.
KR2020140009232U 2014-12-15 2014-12-15 배처 플랜트 및 그를 구비하는 배처 플랜트 시스템 KR200480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232U KR200480705Y1 (ko) 2014-12-15 2014-12-15 배처 플랜트 및 그를 구비하는 배처 플랜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232U KR200480705Y1 (ko) 2014-12-15 2014-12-15 배처 플랜트 및 그를 구비하는 배처 플랜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163U KR20160002163U (ko) 2016-06-23
KR200480705Y1 true KR200480705Y1 (ko) 2016-06-28

Family

ID=56344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232U KR200480705Y1 (ko) 2014-12-15 2014-12-15 배처 플랜트 및 그를 구비하는 배처 플랜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70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6551A (zh) * 2021-12-21 2022-05-27 北京城建亚泰金砼混凝土有限公司 一种封闭式搅拌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6101A (ja) * 2008-09-24 2010-04-08 Nikko Co Ltd 生コンクリート製造プラントの集塵装置
JP2014180770A (ja) * 2013-03-18 2014-09-29 Oru Japan Kk 生コンクリート用混合機の除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2695B2 (ja) * 1990-10-01 1995-12-06 第一コンクリート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等の混練用ミキサー
EP1405705A4 (en) * 2001-06-20 2006-11-29 Ohbayashi Corp CONCRETE COMPONENT WEIGHING EQUIP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6101A (ja) * 2008-09-24 2010-04-08 Nikko Co Ltd 生コンクリート製造プラントの集塵装置
JP2014180770A (ja) * 2013-03-18 2014-09-29 Oru Japan Kk 生コンクリート用混合機の除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163U (ko)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38848A (zh) 搅拌站及其自动上料装置
KR101224550B1 (ko)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
CN105922438A (zh) 一种混凝土一体化生产系统
CN107891523B (zh) 一种多搅拌罐式混凝土生产装置
WO2011153935A1 (zh) 一种混凝土搅拌站
CN209337720U (zh) 一种用于石膏板生产中短切玻纤干法添加的装置
CN205704731U (zh) 一种多搅拌罐式混凝土生产装置
JP2012188282A (ja) 粉体定量供給方法
CN109352821A (zh) 混凝土配料、搅拌、输送系统及其控制方法
KR200480705Y1 (ko) 배처 플랜트 및 그를 구비하는 배처 플랜트 시스템
CN205295132U (zh) 一种玻璃配料系统
US201201927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tering and adding fibres to a cement matrix
CN108002037B (zh) 一种全自动pvc粉料集中负压供料系统
CN203767674U (zh) 粉煤灰稳定下料及计量系统
CN205572724U (zh) 建筑混凝土搅拌系统中的自动进料装置
CN203973769U (zh) 混凝土搅拌站及其骨料中间仓
CN213198248U (zh) 路面砖原料上料装置
CN210336450U (zh) 垂直上料混凝土搅拌系统
CN206589157U (zh) 一种混凝土搅拌楼结构
CN205088543U (zh) 细集料供给系统及具有该系统的沥青混凝土搅拌设备
CN213166086U (zh) 路面砖原料混合及输送装置
CN204980126U (zh) 塑料混配自动送料系统的辅料输送、称量机构
CN204658690U (zh) 搅拌站配料机骨料分配装置
CN203712874U (zh) 粉料上料系统
CN206690303U (zh) 一种石膏成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