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876Y1 - 냉기유동 가이드판을 구비하는 과냉각기 - Google Patents

냉기유동 가이드판을 구비하는 과냉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876Y1
KR200479876Y1 KR2020150004914U KR20150004914U KR200479876Y1 KR 200479876 Y1 KR200479876 Y1 KR 200479876Y1 KR 2020150004914 U KR2020150004914 U KR 2020150004914U KR 20150004914 U KR20150004914 U KR 20150004914U KR 200479876 Y1 KR200479876 Y1 KR 200479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ner space
evaporator
pai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숙
Original Assignee
송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인숙 filed Critical 송인숙
Priority to KR2020150004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8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8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2Sub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과냉각기는, 전방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공간에 다수 개의 선반이 상하로 배열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몸체의 전방에 장착되는 도어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 상부에 배치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 세워지며 좌우측단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 좌우측 내벽에 결합되는 전방차단판과 상기 전방차단판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증발기의 저면을 가리며 좌우측단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 좌우측 내벽에 결합되는 저면차단판으로 구성되는 격리패널과, 상기 전방차단판에 장착되어 전방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로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저면차단판으로부터 하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선반이 배열된 공간의 상부를 덮되 좌우측단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 좌우측 내벽과 이격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좌우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으로 구성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몸체의 좌우측 내벽과 상기 한 쌍의 수직판 사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수평판 상을 흐르는 냉기를 상기 몸체의 내벽과 수직판 사이로 유동시키는 한 쌍의 크로스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냉기유동 가이드판을 구비하는 과냉각기 {Super cooler for having guide plate for preventing cold air leakage}
본 고안은 과냉각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본체의 내부공간 후방으로 배출되는 냉기가 본체의 좌우측 내벽을 타고 하강하였다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냉각대상물 냉각시키도록 냉기의 유동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하는 과냉각기에 관한 것이다.
과냉각이란, 용융체 또는 고체가 평형상태에서의 상전이 온도 이하까지 냉각되어도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물질에는 각각 그때의 온도에 따른 안정상태가 있어서, 온도를 서서히 변화시켜 가면 이에 따라 그 물질의 구성원자가 각 온도에서 안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온도의 변화를 따라갈 수가 있다. 그러나 온도가 갑자기 변하면 구성원자가 각 온도에 따른 안정상태로 변화할 만한 여유가 없기 때문에, 출발점 온도에서의 안정상태를 그대로 지니거나, 또는 일부분이 종점 온도에서의 상태로 변화하다가 마는 현상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물을 서서히 냉각하면, 0℃ 이하의 온도가 되어도 일시적으로 응고하지 않는다. 그러나, 물체가 과냉각상태로 되면 일종의 준안정 상태가 되어, 사소한 자극에 의해서도 그 불안정한 평형상태가 깨져서 보다 안정된 상태로 옮아가기 쉽다. 즉, 과냉각된 액체에 그 물질의 작은 조각을 투입하거나, 액체를 갑자기 흔들면 즉시 응고하기 시작하여 액체의 온도가 응고점까지 올라가고, 그 온도에서 안정된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채소류나, 과일류 및 육류 등이나 식음료 등의 식품을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여, 신선함을 유지하고 있다. 이럴 경우, 이들 식품은 물과 같은 액체 성분을 포함하게 되며, 이 액체 성분이 상전이 온도 이하에서 냉각되면, 어느 순간이 지나면 고체 성분으로 전이가 이루어진다. 물과 같은 수납물을 단시간 동안 과냉각 상태로 보전할 수는 있으나, 수분이 함유된 식품에서 수분이 동결되는 경우 식품의 질이 떨어지고 식품의 장기 보관 면에서 과냉각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서는 음료나 음식물 등을 0℃ 이하로 냉각시키되 상기 음료나 음식물이 얼지 아니하도록 하는 과냉각기가 다양한 구조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과냉각기는 냉기가 몸체의 상측에서 아래로 흐르도록 구성되는바, 몸체의 도어를 개방시키는 경우 몸체 내부의 냉기가 빠르게 외부로 유출되어 에너지 소비율이 매우 나빠질 뿐만 아니라, 과냉각상태 유지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몸체 내부 중 냉기를 처음으로 전달받는 상부는 매우 낮은 온도로 냉각되는데 비해, 몸체 내부 중 냉기를 가장 늦게 전달받는 하부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가 유지되는바, 몸체 내에 저장된 음료 및 음식물이 전체적으로 고른 온도로 냉각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과냉각 성능이 현저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KR 10-2015-0047472 A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몸체 내부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냉기가 몸체의 내벽을 타고 하강하였다가 상승하도록 냉기의 유동 경로를 가이드함으로써, 몸체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몸체 내에 저장된 냉각대상물을 보다 고르고 낮게 냉각시킬 수 있는 과냉각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과냉각기는,
전방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공간에 다수 개의 선반이 상하로 배열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몸체의 전방에 장착되는 도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 상부에 배치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 세워지며 좌우측단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 좌우측 내벽에 결합되는 전방차단판과, 상기 전방차단판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증발기의 저면을 가리며 좌우측단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 좌우측 내벽에 결합되는 저면차단판으로 구성되는 격리패널;
상기 전방차단판에 장착되어 전방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로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저면차단판으로부터 하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선반이 배열된 공간의 상부를 덮되 좌우측단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 좌우측 내벽과 이격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좌우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으로 구성되는 가이드판;
상기 몸체의 좌우측 내벽과 상기 한 쌍의 수직판 사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수평판 상을 흐르는 냉기를 상기 몸체의 내벽과 수직판 사이로 유동시키는 한 쌍의 크로스팬;
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판은, 후단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 후면까지 연장되고, 선단이 상기 도어와 이격되며,
상기 수직판은, 하단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 바닥면과 이격되고, 각 선반 상에 안착된 냉각대상물과 대응되는 지점에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한 쌍의 수직판 선단으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전방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전방차단판은 상단이 상기 도어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은 회전축 방향이 상기 전방차단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상기 수평판 선단과 상기 도어 사이를 통해 상승하는 공기를 상기 증발기로 순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격리패널은, 상기 전방차단판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수평판의 상면까지 하향 연장되는 하부차단판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과냉각기는, 몸체 내부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냉기가 몸체의 내벽을 타고 하강하였다가 상승하면서 냉각대상물을 냉각시키도록 구성되는바, 몸체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몸체 내에 저장된 냉각대상물을 보다 균일하고 낮은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과냉각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과냉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과냉각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과냉각기 제2 실시예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냉기유동 가이드판을 구비하는 과냉각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과냉각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과냉각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과냉각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냉각장치는 냉매가 증발될 때 발생되는 흡열반응을 이용하여 냉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압축기(400), 응축기(500), 팽창밸브(미도시) 및 증발기(300)를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하되, 냉기를 냉각대상물 저장공간의 후방으로 송풍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냉기가 냉각대상물 저장공간의 후방으로 송풍되면, 냉각물질 저장공간의 후면에 부딪힌 냉기가 전방으로 흐르게 되어, 도어(200) 개방 시 냉기가 빠르게 유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냉각장치로는 과냉각을 구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과냉각기는 음료수나 음식물 등과 같은 냉각대상물을 0℃ 이하로 냉각시키되 상기 냉각대상물이 얼지 아니하도록 즉, 상기 냉각대상물을 과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기가 냉각대상물 저장공간의 측방으로 냉기를 유동시킨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과냉각기는, 전방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공간에 다수 개의 선반(110)이 상하로 배열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몸체(100)의 전방에 장착되는 도어(200)와,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400)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50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 상부에 배치되며 냉매 증발 시 발생되는 흡열반응을 이용하여 냉기를 발생시키는 증발기(300)와, 상기 증발기(300)에서 발생된 냉매를 몸체(100)의 내부공간 후방으로 가이드하는 격리패널(700)과, 상기 격리패널(700)에 장착되어 전방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300)로 유동시키는 송풍팬(610)과, 몸체(100)의 내부공간 후방으로 배출된 냉기가 몸체(100)의 내부공간 좌우측벽으로 흐르도록 하는 가이드판(800) 및 크로스팬(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격리패널(700)은, 증발기(300)의 전방에 세워지며 좌우측단이 몸체(100)의 내부공간 좌우측 내벽에 결합되는 전방차단판(710)과, 상기 전방차단판(710)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증발기(300)의 저면을 가리며 좌우측단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 좌우측 내벽에 결합되는 저면차단판(7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송풍팬(610)은 전방차단판(710)에 장착된다.
또한 가이드판(800)은, 상기 저면차단판(720)으로부터 하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선반(110)이 배열된 공간의 상부를 덮되 좌우측단은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 좌우측 내벽과 이격되는 수평판(810)과, 상기 수평판(810)의 좌우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8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크로스팬(620)은 몸체(100)의 좌우측 내벽과 한 쌍의 수직판(820) 사이에 각각 하나 이상씩 즉, 2개 이상 구비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증발기(300)를 통해 후방으로 배출된 냉기는 몸체(100)의 내부공간 후면에 부딪힌 후 하강되었다가, 수평판(810)의 상면에 부딪혀 상기 수평판(810)의 상면을 타고 전방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증발기(300)를 통해 후방으로 배출된 냉기가 곧바로 수직 하강하지 못하도록 상기 수평판(810)의 후단은 몸체(100)의 내부공간 후면까지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수평판(810)의 상면을 타고 흐르던 냉기는 수직판(820)과 몸체(100) 내벽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한 쌍의 크로스팬(620)에 의해 좌우로 나뉘어 몸체(100)의 좌우측 내벽을 타고 하강하여 몸체(100)의 내부공간 바닥면에 부딪히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수직판(820)은 하단이 몸체(100)의 내부공간 바닥면과 이격되는바, 몸체(100)의 좌우측 내벽을 타고 하강하던 냉기는 한 쌍의 수직판(820) 사이의 공간 즉, 냉각대상물이 적재된 공간을 통해 상승하면서 냉각대상물을 냉각시키게 된다.
한편, 수평판(810)의 저면까지 상승한 냉기는 더 이상 수직으로 상승하지 못하고, 수평판(810)의 저면을 타고 전방으로 유동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판(810)의 선단과 도어(200)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송풍팬(610)으로 흡입된다. 이때, 수평판(810) 저면을 타고 흐르던 냉기가 수평판(810) 선단과 도어(200) 사이로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판(810)의 선단은 도어(200)와 이격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과냉각기는, 증발기(300)를 지나면서 냉각된 냉기가 수평판(810)의 상면을 타고 흐르면서 상측에 위치한 냉각대상물을 간접적으로 냉각시킨 후, 몸체(100)의 내부공간 바닥면으로부터 상승하면서 냉각대상물들을 직접적으로 냉각시키는바, 상측과 하측에 위치한 냉각대상물들을 보다 고르게 냉각시킬 수 있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물론, 상측에 위치하는 냉각대상물은 어느 정도 온도가 상승된 냉기와 접촉되므로 하측에 위치하는 냉각대상물보다 비교적 덜 차갑게 냉각될 것이라 예상될 수도 있지만, 상측에 위치하는 냉각대상물은 증발기(300)에서 갓 토출된 매우 차가운 냉기에 의해 간접적으로 냉각되는 과정을 거치므로, 상측에 위치하는 냉각대상물과 하측에 위치하는 냉각대상물의 최종 냉각률은 매우 비슷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각 증발기(300)에서 갓 토출된 냉기가 몸체(100)의 좌우내벽을 타고 하강하도록 구성되면, 하강하는 냉기가 일종의 에어커튼 역할을 하게 되는바, 몸체(100)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냉각장치는 하강된 냉기가 도어(200)를 타고 상승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도어(200)를 개방시켰을 때 순간적으로 대량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에너지 소비효율이 매우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과냉각기는 하강된 냉기가 도어(200)를 타고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공간의 가운데 부위로 모여 상승되므로, 도어(200)를 개방시켰을 때 외부로 유출되는 냉기가 거의 없어진다는 장점 즉, 에너지 소비효율이 현저히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각대상물을 보다 낮은 온도로 과냉각시키기 위해서는 냉각대상물이 매우 안정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종래의 냉각장치와 같이 증발기(300)에서 갓 토출된 냉기가 냉각대상물에 직접 접촉되면 상기 냉각대상물에 미세하게나마 진동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상기 냉각대상물이 과냉각되지 아니하고 얼어버리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과냉각기와 같이 증발기(300)로부터 토출된 냉기가 하강되었다가 상승하면서 냉각대상물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냉각대상물에 발생되는 진동을 줄일 수 있어 과냉각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과냉각기는 냉기의 유로가 좌우로 분배되도록 구성되므로, 냉기의 유속을 낮추더라도 냉기의 유량을 충분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냉기와의 접촉에 의한 냉각대상물의 진동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측에 배치된 냉각대상물이 하강하는 냉기에 의해 간접적으로 냉각된다 하더라도 몸체(100)의 내부공간에 많은 양의 냉각대상물이 저장되면 상측에 위치하는 냉각대상물이 충분히 냉각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수직판(820)과 몸체(100)의 좌우측 내벽 사이를 통해 하강하는 냉기 중 일부가 각 선반(110) 상에 안착된 냉각대상물로 바이패스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수직판(820) 각각에는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수직판(820) 중 각 선반(110) 상에 안착된 냉각대상물과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는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입된 일부의 냉기는 선반(110)에 안착된 냉각대상물을 직접 냉각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의 크기 및 개수는, 냉기의 유속 및 몸체(100) 내부공간의 높이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수직판(820)과 몸체(100)의 좌우측 내벽 사이를 통해 하강하던 냉기의 유동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되면, 하강하던 냉기 중 일부가 도어(200)를 향해 즉, 전방으로 흐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판(820)과 몸체(100)의 좌우측 내벽 사이를 통해 하강하던 냉기가 전방으로 흐르는 현상이 발생되면, 사용자가 도어(200)를 열었을 때 냉기가 다량으로 유출될 우려가 있는바, 상기 수직판(820)의 선단에는 냉기가 전방으로 흐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방판(8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판(830)은, 한 쌍의 수직판(820) 선단으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바, 수직판(820)과 몸체(100)의 좌우측 내벽 사이의 냉기가 전방으로 흐르려고 하는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평판(810)의 선단과 도어(200) 사이를 통해 상승하던 냉기가 보다 원활하게 송풍팬(610)에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전방차단판(710)은 상단이 상기 도어(20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610)은 회전축 방향이 전방차단판(710)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방차단판(710) 및 이에 결합된 송풍팬(610)이 비스듬히 경사지게 배열되면, 수평판(810) 선단과 도어(200) 사이를 통해 상승하던 냉기의 대부분이 송풍팬(610)에 의해 증발기(300)를 거치게 되는바, 상기 증발기(300)를 통해 배출되는 냉기의 온도를 더욱 낮출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과냉각기 제2 실시예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증발기(300)를 통해 배출된 후 수평판(810)의 상면을 타고 전방으로 흐르던 냉기는, 크로스팬(620)에 의해 좌우로 나뉘어 몸체(100)의 좌우측 내벽과 수직판(820) 사이로 유입되는데, 상기 크로스팬(620)에 의해 발생되는 진공압이 매우 크지 아니하면 수평판(810)의 상면을 타고 전방으로 흐르던 냉기 중 일부는 좌측이나 우측으로 흡입되지 아니하고 도어(200)에 이를 때까지 전진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판(810) 상면을 타고 흐르던 냉기가 도어(200)까지 이르는 경우, 사용자가 도어(200)를 개방시켰을 때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에 의한 과냉각기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전방차단판(710)의 하단으로부터 수평판(810)의 상면까지 하향 연장되는 하부차단판(73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차단판(730)이 추가로 구비되면, 수평판(810) 상면을 타고 흐르던 냉기는 하부차단판(730)에 막혀 도어(200)를 향해 전진하지 못하고 좌측이나 우측으로 유동방향을 변경할 수밖에 없으므로, 좌측에 위치한 크로스팬(620)이나 우측에 의한 크로스팬(620)으로 흡입되어 하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차단판(730)이 추가로 구비되면, 냉각기를 통해 배출되는 냉기 전량(全量)이 몸체(100)의 좌우측 내벽을 타고 하강하게 되는바, 도어(200) 개방 시 유출되는 냉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냉각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100) 내부공간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면, 몸체(100) 내부공간의 온도가 항상 기준치 이하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는바, 냉각대상물을 과냉각시키는 성능이 현저히 향상된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수평판(810)의 선단과 도어(200) 사이를 통해 상승하는 냉기는 냉각대상물을 일정 수준 냉각시킨 이후이므로, 증발기(300)부터 배출된 냉기에 비해 온도가 다소 높아진다. 따라서 수평판(810)의 선단과 도어(200) 사이를 통해 상승하는 냉기가 송풍팬(610)으로 흡입되지 아니하고 수평판(810)과 저면차단판(720) 사이를 통해 크로스팬(620)으로 흡입됨으로써, 냉각대상물을 냉각시키는 용도로 다시 사용되는 경우 냉각성능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차단판(720)과 수평판(810) 사이를 차단하는 하부차단판(730)이 추가로 구비되면, 수평판(810)의 선단과 도어(200) 사이를 통해 상승하는 냉기가 수평판(810)과 저면차단판(720) 사이로 유입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는바, 높은 냉각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몸체 110 : 선반
200 : 도어 300 : 증발기
400 : 압축기 500 : 응축기
610 : 송풍팬 620 : 크로스팬
700 : 격리패널 710 : 전방차단판
720 : 저면차단판 730 : 하부차단판
800 : 가이드판 810 : 수평판

Claims (5)

  1. 전방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공간에 다수 개의 선반(110)이 상하로 배열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몸체(100)의 전방에 장착되는 도어(200);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 상부에 배치되는 증발기(300);
    상기 증발기(300)의 전방에 세워지고, 좌우측단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 좌우측 내벽에 결합되는 전방차단판(710)과, 상기 전방차단판(710)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증발기(300)의 저면을 가리며 좌우측단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 좌우측 내벽에 결합되는 저면차단판(720)과, 상기 전방차단판(710)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하부차단판(730)을 포함하는 격리패널(700);
    상기 전방차단판(710)에 장착되어 전방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300)로 유동시키는 송풍팬(610);
    상기 저면차단판(720)으로부터 하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선반(110)이 배열된 공간의 상부를 덮되 좌우측단은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 좌우측 내벽과 이격되는 수평판(810)과, 상기 수평판(810)의 좌우측단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하향 연장되고 상기 선반(110)의 좌우측을 덮는 한 쌍의 수직판(820)과, 상기 한 쌍의 수직판(820) 선단으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전방판(830)을 포함하는 가이드판(800); 및
    상기 몸체(100)의 좌우측 내벽과 상기 한 쌍의 수직판(820) 사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수평판(810) 상을 흐르는 냉기를 상기 몸체(100)의 내벽과 수직판(820) 사이로 유동시키는 한 쌍의 크로스팬(620); 을 포함하되,
    상기 수평판(810)은 후단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 후면까지 연장되고, 선단이 상기 도어(200)와 이격되고,
    상기 수직판(820)은 하단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 바닥면과 이격되고, 각 선반(110) 상에 안착된 냉각대상물과 대응되는 지점에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차단판(710)은 상단이 상기 도어(20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610)은 회전축 방향이 상기 전방차단판(710)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상기 수평판(810) 선단과 상기 도어(200) 사이를 통해 상승하는 공기를 상기 증발기(300)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50004914U 2015-07-21 2015-07-21 냉기유동 가이드판을 구비하는 과냉각기 KR200479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914U KR200479876Y1 (ko) 2015-07-21 2015-07-21 냉기유동 가이드판을 구비하는 과냉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914U KR200479876Y1 (ko) 2015-07-21 2015-07-21 냉기유동 가이드판을 구비하는 과냉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876Y1 true KR200479876Y1 (ko) 2016-03-16

Family

ID=55645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914U KR200479876Y1 (ko) 2015-07-21 2015-07-21 냉기유동 가이드판을 구비하는 과냉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8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129B1 (ko) 2021-03-08 2021-08-03 어덕선 냉동식품의 해동보관을 위한 과냉각고
KR102476811B1 (ko) 2021-11-23 2022-12-13 김병욱 냉동 및 과냉각이 가능한 다목적 냉각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4124A1 (en) * 2002-01-22 2004-07-29 Bottom Kenneth H. Retail banana storage un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4124A1 (en) * 2002-01-22 2004-07-29 Bottom Kenneth H. Retail banana storage un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129B1 (ko) 2021-03-08 2021-08-03 어덕선 냉동식품의 해동보관을 위한 과냉각고
KR102476811B1 (ko) 2021-11-23 2022-12-13 김병욱 냉동 및 과냉각이 가능한 다목적 냉각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386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용 증발기
KR101578003B1 (ko) 냉장고
EP2752631B1 (en) Refrigerator
EP3217126B1 (en) Refrigerator
KR101570221B1 (ko) 냉기유출 방지구조를 구비하는 과냉각기
US20170292766A1 (en) Refrigerator and cold air circulation module for a refrigerator
EP3524907B1 (en) Refrigerator
EP2778577A1 (en) Refrigerator
JP2005083687A (ja) 冷蔵庫
KR200479876Y1 (ko) 냉기유동 가이드판을 구비하는 과냉각기
JP4712056B2 (ja) 冷蔵庫
JP2013036665A (ja) 冷蔵庫
KR102159133B1 (ko) 과냉각 냉동고
KR101798570B1 (ko) 냉장고의 제빙 장치
JP2008075987A (ja) 乾燥装置
JP2015034647A (ja) 冷蔵庫
JP2018031552A (ja) 冷凍冷蔵庫
JP2018036024A (ja) 冷蔵庫
KR101660719B1 (ko) 냉장고
JPWO2005124249A1 (ja) 冷却装置
JP6429595B2 (ja) 冷蔵庫
KR101559786B1 (ko) 냉장고
KR101306508B1 (ko) 냉장고용 증발기 설치구조
JP2005083681A (ja) 冷凍冷蔵庫
KR101184793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