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390Y1 - 적재용 파레트 - Google Patents
적재용 파레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9390Y1 KR200479390Y1 KR2020150006137U KR20150006137U KR200479390Y1 KR 200479390 Y1 KR200479390 Y1 KR 200479390Y1 KR 2020150006137 U KR2020150006137 U KR 2020150006137U KR 20150006137 U KR20150006137 U KR 20150006137U KR 200479390 Y1 KR200479390 Y1 KR 20047939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llet
- fixing bracket
- connecting member
- hole
- loa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51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skeleton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636—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to the pallet
- B65D2519/00641—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98—Dismountable elements
- B65D2519/00995—Dismountable elements detachable elements of the side wall, i.e. not the whol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재용 파레트를 개별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사이드바가 적재용 파레트의 측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적재용 파레트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적재용 파레트와 함께 겹쳐서 보관하고자 할 경우 사이드바를 해당 적재용 파레트의 후방으로 옮겨서 거치시키도록 하여 적재용 파레트의 사용 여부에 따라 사이드바가 결합 위치를 변경하여 해당 적재용 파레트에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적재용 파레트 상부와 사이드바를 결합하는 결합브라켓을 회전 가능하게 하여 사이드바가 적재용 파레트의 측부에서 제거된 이후 결합브라켓이 적재용 파레트의 외측으로 돌출된 채 남아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각종 공산품이나 농수산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적재용 파레트에 관련된 것이다. 특히 적재용 파레트를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적재용 파레트를 다른 적재용 파레트와 함께 겹쳐서 보관하는 경우에 따라 사이드바를 탈부착할 수 있는 적재용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각종 농산품의 경우 수확 후 바로 판매가 되는 경우도 있지만 여러 사정상 저온 창고에서 장시간 보관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농산품을 보관할 때 보통 다단 적재가 가능한 적재용 파레트를 이용하게 된다.
적재용 파레트는 구조적으로 튼튼해야 하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하도록 만들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고안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350830호의 "농수산물 보관용 파레트"가 제시된 바 있다.
이하에서 종래의 적재용 파레트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도 1의 종래의 적재용 파레트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개념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사이드바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적재용 파레트는, 바닥부(100)와, 전방지주(200), 후방지주(300), 제1수평상 연결부재(600), 제2수평상 연결부재(700) 등으로 이루어진다.
바닥부(100)는 사각관의 결합에 의하여 사각형 형태의 바닥을 이루게 된다.
바닥부(100)의 전방 모서리부의 좌우 외측면에 한 쌍의 전방지주들(200)이 수직 상방으로 연결된다.
바닥부(100)의 후방 모서리부의 배면에 후방지주(300)들이 수직 상방으로 연결된다.
수평상으로 배치되어 두 개의 후방지주(300)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1수평상 연결부재(600)가 마련되며, 수평상으로 배치되어 제1수평상 연결부재(600)와 전방지주(20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2수평상 연결부재(700)가 마련된다.
또한 제1수평상 연결부재(600)와 바닥부(100)를 연결하면서 고정되는 후방고정바(400)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바닥부(100) 상부에 적재된 물품이 측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이드바(500)가 마련된다.
사이드바(500)는, 하단에 위치되어 바닥부(100)의 테두리에 결합되기 위한 형태로 절곡된 결합브라켓(510)과, 상기 결합브라켓(510)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고정바(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도 1에서 사이드바(500)의 결합브라켓(510)은 바닥부(100)의 측부 테두리에 결합되어 있다.
한편, 제2수평상 연결부재(700)에는 사이드바(500)의 상단, 구체적으로는 고정바(520)의 상단을 고정하기 위하여 제2관통홀(722)이 형성된 고정브라켓(720)이 마련된다. 즉, 사이드바(500)는 그 상단이 제2관통홀(722)을 관통하고 그 하단이 바닥부(100)의 테두리에 결합되면서 적재용 파레트의 측부로 물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적재용 파레트는 개별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적재용 파레트가 항상 개별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므로, 적재용 파레트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적재용 파레트를 다른 적재용 파레트와 함께 겹쳐서 보관하게 된다. 만일 빈 적재용 파레트를 개별적으로 방치한다면 낭비되는 공간이 매우 많아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적재용 파레트를 겹쳐서 보관하는 상태의 사진은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적재용 파레트를 겹쳐서 보관하고자 할 경우 이미 거치되어있는 적재용 파레트의 전방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서 다른 적재용 파레트를 밀어 넣게 되는데, 이때 만일 밀어 넣어지는 적재용 파레트에 사이드 바가 장착되어 있다면 적재용 파레트를 깊숙히 밀어 넣을 수가 없게 된다.
도 2는 도 1의 개념 평면도이며, 이 도면에서 사이드바(500)의 고정바(520)가 바닥부(100)의 상부로 연장되는 공간의 외측에 돌출되어 위치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만약 도 2의 상태에서 적재용 파레트를 겹쳐서 보관하는 경우 도 6과 같은 평면도 상태가 된다.
물론 도 6과 같은 상태로 적재용 파레트를 겹치는 것은 실제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적재용 파레트를 겹쳐서 보관할 경우 사이드바(500)는 적재용 파레트로부터 분리되야한다.
이와 같이 사이드바(500)를 분리하면 제2수평상 연결부재(700)의 하면에 부착된 고정브라켓(720)은 상기 제2수평상 연결부재(700)의 외측에 돌출된 채 남아있게된다.
적재용 파레트의 외측으로 돌출된 채 남아있는 고정브라켓(720)은 상기 적재용 파레트를 겹쳐서 보관하는 과정에서 외부 환경과 부딪혀서 파손되거나 작업자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또한, 제2수평상 연결부재(700)로부터 분리된 사이드바(500)는 별도의 장소를 마련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도 5는 매우 많은 숫자의 사이드바(500)가 특정 장소에 보관되어 있는 상태의 사진이다.
이와 같이 사이드바(500)를 분리하여 특정 장소에 보관하고 적재용 파레트를 겹쳐서 보관한다면, 결국 개별적으로 적재용 파레트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다시 적재용 파레트에 사이드바(500)를 장착하여야 하나, 이때 사이드바(500)의 보관 장소까지 가서 사이드바(500)를 가지고 와 적재용 파레트에 장착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적재용 파레트의 규격이 상이한 경우, 즉 사이드바(500)의 규격이 상이한 경우 더욱더 문제가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사이드바를 적재용 파레트의 측부에서 분리한 이후 상기 적재용 파레트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남아있는 고정브라켓을 회동하여 외부와의 부딪힘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이드바를 적재용 파레트의 측부에서 분리한 이후 파레트의 후방에 옮겨서 거치하여, 적재용 파레트의 구성품 중 일부를 분리하여 따로 보관하지 않고 적재용 파레트를 겹쳐서 보관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각형 형태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전방 모서리부의 좌우 외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전방지주들, 상기 바닥부의 후방 모서리부의 배면에 결합되는 후방지주들, 수평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후방지주들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1수평상 연결부재, 수평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수평상 연결부재와 상기 전방지주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수평상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재용 파레트에 있어서 : 상기 제2수평상 연결부재는 상기 제1수평상 연결부재와 상기 전방지주의 상단부를 연결하되 중앙 모서리부가 상부를 향하여 배치된 앵글부재와 상기 앵글부재의 하단부에 서로 이격되면서 수평상으로 고정 배치되되 제2-2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회전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일단부가 상기 회전지지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이 마련되며 ;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단부에는 제2-1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2-1구멍과 상기 회전지지판의 제2-2구멍을 관통하면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단부를 상기 회전지지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축부재가 마련되며 ;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단부가 상기 회전지지판에 대하여 회동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단부는 상기 제2수평상 연결부재의 하측에 위치되거나 상기 제2수평상 연결부재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단부가 상기 제2수평상 연결부재의 외측에 위치될 때 그 하단부는 상기 바닥부의 측부 테두리에 결합되며 그 상단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제2관통홀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사이드바가 마련되며 ; 상기 사이드바가 상기 바닥부의 측부 테두리에 결합되지 않을 때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단부는 상기 제2수평상 연결부재의 하측에 위치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단부가 상기 적재용 파레트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걸림턱이 상기 회전지지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단부가 상기 적재용 파레트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걸림턱이 상기 회전지지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상 연결부재에 상기 사이드바의 상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관통홀이 형성되며 ; 상기 사이드바는 그 하단부가 상기 바닥부의 측부 테두리에 결합되며 그 상단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제2관통홀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1위치와 그 하단부가 상기 바닥부의 후방 테두리에 결합되며 그 상단부는 제1수평상 연결부재의 제1관통홀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될 수 있는 것 ; 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적재용 파레트를 개별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사이드바가 적재용 파레트의 측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적재용 파레트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적재용 파레트와 함께 겹쳐서 보관하고자 할 경우 사이드바를 적재용 파레트의 측부에서 제거할 수 있다.
적재용 파레트를 제거한 이후 적재용 파레트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남아있는 고정브라켓을 회전시켜, 외부 환경과의 부딪힘으로 인한 고정브라켓의 파손을 막고 작업자가 고정브라켓으로 인하여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할수있다.
또한, 적재용 파레트의 겹침 보관시 사이드바를 후방으로 옮겨서 거치할 수 있어 사이드바만을 위한 별도의 보관장소가 불필요하므로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다.
더불어 본 고안은 적재용 파레트의 겹침 보관시 혹은 겹침 보관의 해제시에 사이드바의 분리와 재장착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특정 보관 장소로 사이드바를 운반하거나 혹은 특정 보관 장소로부터 사이드바를 가져오는 일련의 과정들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적재용 파레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념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사이드바의 사시도,
도 4는 적재용 파레트를 겹쳐서 보관하는 상태의 사진,
도 5는 매우 많은 숫자의 사이드바가 특정 장소에 보관된 상태의 사진,
도 6은 도 2의 종래의 적재용 파레트를 겹치는 경우의 평면도,
도 7은 제1관통홀을 포함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인 적재용 파레트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고정브라켓 부위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인 고정브라켓 부위의 분리 사시도,
도 10는 도 7에서 사이드바를 후방으로 옮겨 거치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후방에 거치된 사이드바 부위의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적재용 파레트가 겹쳐서 보관되는 상태를 도 11을 기준으로 도시한 개념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개념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사이드바의 사시도,
도 4는 적재용 파레트를 겹쳐서 보관하는 상태의 사진,
도 5는 매우 많은 숫자의 사이드바가 특정 장소에 보관된 상태의 사진,
도 6은 도 2의 종래의 적재용 파레트를 겹치는 경우의 평면도,
도 7은 제1관통홀을 포함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인 적재용 파레트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고정브라켓 부위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인 고정브라켓 부위의 분리 사시도,
도 10는 도 7에서 사이드바를 후방으로 옮겨 거치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후방에 거치된 사이드바 부위의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적재용 파레트가 겹쳐서 보관되는 상태를 도 11을 기준으로 도시한 개념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은 제1관통홀을 포함한 본 고안에 의한 제 1 실시예인 적재용 파레트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고정브라켓 부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고정브라켓 부위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제 2 실시예의 고정브라켓 부위의 분리 사시도 이며, 도 10는 도 7에서 사이드바를 후방으로 옮겨 거치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후방에 거치된 사이드바 부위의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적재용 파레트가 겹쳐서 보관되는 상태를 도 11을 기준으로 도시한 개념 단면도이다.
적재용 파레트는 사각형 형태의 바닥부(100), 상기 바닥부(100)의 전방 모서리부의 좌우 외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전방지주(200)들, 상기 바닥부(100)의 후방 모서리부의 배면에 결합되는 후방지주(300)들, 수평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후방지주(300)들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1수평상 연결부재(600), 수평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수평상 연결부재(600)와 상기 전방지주(200)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수평상 연결부재(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수평상 연결부재(600)와 상기 바닥부(100)를 연결하면서 고정되는 후방고정바(4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까지는 종래의 적재용 파레트와 동일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적재용 파레트를 개별적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적재용 파레트에 적재된 물품이 측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사이드바(500)가 추가로 장착된다.
도 3에서 도식화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바(500)는 바닥부의 테두리에 결합할 수 있도록 고리 모양으로 절곡된 결합브라켓(510)과 상기 결합브라켓(510)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고정바(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적재용 파레트의 제2수평상 연결부재(700)의 하부에 상기 고정바(520)의 상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고정브라켓(720)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상기 고정브라켓(720)은 일단부에 상기 제2수평상 연결부재(700)의 하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보조하는 구조물이 형성되거나, 별도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용 구멍이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타단부에 사이드바(500)의 상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제2관통홀(722)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가 계단형태로 절곡되어있다.
제 1 실시예에서 제2수평상 연결부재(700)는 중앙 모서리부가 상부를 향하여 배치된 앵글부재와 상기 앵글부재의 하단부에 수평상으로 부착된 두 개의 회전지지판(710)으로 구성되며, 제1수평상 연결부재(600)와 전방지주(200)의 상단부를 연결하고있다.
상기 회전지지판(710)은 하면에 상기 고정브라켓(720)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제2-2구멍(711)이 회전지지판(710)의 중앙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직사각형 금속판재이다. 또한, 적재용 파레트에 부착되는 사이드바(500)의 수에 따라 그 수량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수평상 연결부재(700)의 하부에 고정브라켓(720)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해서는, 결합볼트(730a)와 결합너트(73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결합부재가 추가로 필요하다.
아울러 고정브라켓(720)의 일단부에 상기 제2수평상 연결부재(7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지지판(710)의 제2-2구멍(711)에 대응하는 제2-1구멍(721)이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회전지지판(710)의 제2-2구멍(711)에 상기 고정브라켓(72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2-1구멍(721)을 일치시키고, 결합볼트(730a)를 제2-1구멍(721)과 제2-2구멍(711)의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통과시킨다. 이어서, 돌출된 결합볼트(730a)에 결합너트(730b)를 체결한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720)의 제2관통홀(722)이 형성된 타단부가 제2-1구멍(721)이 형성된 일단부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지지판(710)으로부터 고정브라켓(720)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부재를 느슨하게 체결하도록한다.
상기 적재용 파레트를 개별적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고정브라켓(720)의 제2관통홀(722)이 형성된 타단부를 적재용 파레트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고 사이드바(500)의 상단부를 제2관통홀(722)에 통과시킨 후 상기 사이드바(500)의 결합브라켓(510)을 바닥부(100)의 측부 테두리에 수직으로 결합한다.
상기 적재용 파레트를 겹쳐서 보관하고자 할 경우 사이드바(500)를 적재용 파레트의 측부에서 분리한다. 이때, 상기 사이드바(500)가 제거된 고정브라켓(720)의 타단부가 적재용 파레트의 외측으로 돌출된채 남아있어서 외부와 부딪혀서 파손되거나 작업자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브라켓(720)의 타단부가 제2수평상 연결부재(70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브라켓(720)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고정브라켓(720)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경우, 상기 고정브라켓(720)은 자유롭게 회전하여 고정브라켓(720)의 타단부가 적재용 파레트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브라켓(720)의 회동범위를 제한하여 고정브라켓(720)의 타단부가 적재용 파레트의 내측에 위치하여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정브라켓(720) 부위에 추가된 고안에 대해서 도 9의 분리 사시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의 회전지지판(710)에는 고정브라켓(720)이 내측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해서 걸림턱(71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712)은 회전지지판(710)의 하면 테두리 중 적재용 파레트의 내측 쪽 변에, 회전지지판(710)의 하면과 수직 하도록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브라켓(720)의 타단부가 제2수평상 연결부재(700)의 하측에 위치할 때 고정브라켓(720)의 일단부의 두 외측면 중 한 면이 상기 걸림턱(712)의 내측면에 닿도록 한다.
또한, 고정브라켓(720)의 타단부가 제2수평상 연결부재(700)의 하측에서 적재용 파레트의 외측으로 회전할때 걸림이 없도록, 일단부의 모서리가 제2-1구멍(721)의 중심으로부터 같은 반경을 갖는 반원 형태로 가공된다.
이와 같이 고정브라켓(720)의 회동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고정브라켓(720)이 적재용 파레트의 내측에 위치하지 않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적재용 파레트를 겹쳐서 보관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걸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적재용 파레트의 사이드바(500)를 분리하여 상기 적재용 파레트를 겹쳐서 보관할 수 있으나, 사이드바(500)의 보관에 대한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적재용 파레트에서 분리된 사이드바(500)를 별도의 보관장소에 모아서 보관하면, 공간이 낭비될 뿐만 아니라 특정 보관장소로 사이드바(500)를 운반하거나 혹은 특정 보관장소로부터 사이드바(500)를 가져오는 일련의 과정들이 필요하여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만약 적재용 파레트의 사이드바(500)를 별도의 장소에 모아서 보관하지 않고 해당 적재용 파레트에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다면 이러한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수평상 연결부재(6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관통홀(610)이 상기 제1수평상 연결부재(600)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홀(610)은 상기 고정바(500)의 일단부가 출입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야한다.
본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에서는 적재용 파레트의 측면에 각 2개의 사이드바(500)를 사용하므로, 후방지주(300)의 상단과 후방고정바(400)의 상단 사이의 제1수평상 연결부재(600) 부위에 각 2개의 제1관통홀(610)이 형성된다.
적재용 파레트의 사이드바(500)를 해당 적재용 파래트의 후면에 거치하기 위해서 상기 사이드바(500)의 상단을 제1수평상 연결부재(600)에 위치한 제1관통홀(610)의 하면으로 삽입하고, 사이드바(500)의 하단부에 위치한 결합브라켓(510)을 바닥부(100)의 후방 테두리에 고정바(520)가 바닥부(100)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결합한다.
이와 같이 결합하면 사이드바(500)가 상기 제1수평상 연결부재(600)의 하면에 생성되는 가상의 공간 내에 위치하게 되어, 적재용 파레트를 겹쳐서 보관하는데 걸림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적재용 파래트와 해당 사이드바(500)를 따로 분리하여 보관하지 않고 함께 보관할 수 있다.
만일 사이드바(500)를 제1수평상 연결부재(600)가 아닌 다른 부재에 거치시키거나 상기 사이드바(500)를 수용할 수 있는 다른 장치를 추가로 덧붙이면, 적재용 파레트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생길 수 있어 다른 적재용 파레트와 겹쳐서 보관할 때 서로 간섭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즉 본 고안은 고정브라켓(720)을 회동 가능하게 하고, 제1관통홀(610)을 제1수평상 연결부재(600)에 추가함으로써, 단순히 사이드바(500)를 탈부착하는 방법만을 제시한 것이 아니라, 사이드바(500)를 해당 적재용 파레트와 함께 보관할 수 있는 장소적 특징과 상기 사이드바(500)를 적재용 파레트의 측부 또는 후방에 결합하는 형태, 그리고 사이드바(500)가 분리된 이후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브라켓(720)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까지 제시하는 것이다.
추가로, 본 고안의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 적재용 파레트의 제작시 추가의 비용이나 수고가 크게 발생하지 않아, 적재용 파레트를 제작하는 업체에도 큰 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바닥부
200 : 전방지주
300 : 후방지주
400 : 후방고정바
500 : 사이드바
510 : 결합브라켓 520 : 고정바
600 : 제1수평상 연결부재 610 : 제1관통홀
700 : 제2수평상 연결부재
710 : 회전지지판
711 : 제2-2구멍 712 : 걸림턱
720 : 고정브라켓 721 : 제2-1구멍
722 : 제2관통홀
730a : 결합볼트 730b : 결합너트
200 : 전방지주
300 : 후방지주
400 : 후방고정바
500 : 사이드바
510 : 결합브라켓 520 : 고정바
600 : 제1수평상 연결부재 610 : 제1관통홀
700 : 제2수평상 연결부재
710 : 회전지지판
711 : 제2-2구멍 712 : 걸림턱
720 : 고정브라켓 721 : 제2-1구멍
722 : 제2관통홀
730a : 결합볼트 730b : 결합너트
Claims (4)
- 삭제
- 사각형 형태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전방 모서리부의 좌우 외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전방지주들, 상기 바닥부의 후방 모서리부의 배면에 결합되는 후방지주들, 수평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후방지주들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1수평상 연결부재, 수평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수평상 연결부재와 상기 전방지주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수평상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재용 파레트에 있어서 :
상기 제2수평상 연결부재는 상기 제1수평상 연결부재와 상기 전방지주의 상단부를 연결하되 중앙 모서리부가 상부를 향하여 배치된 앵글부재와 상기 앵글부재의 하단부에 서로 이격되면서 수평상으로 고정 배치되되 제2-2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회전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일단부가 상기 회전지지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이 마련되며 ;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단부에는 제2-1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2-1구멍과 상기 회전지지판의 제2-2구멍을 관통하면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단부를 상기 회전지지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축부재가 마련되며 ;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단부가 상기 회전지지판에 대하여 회동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단부는 상기 제2수평상 연결부재의 하측에 위치되거나 상기 제2수평상 연결부재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단부가 상기 제2수평상 연결부재의 외측에 위치될 때 그 하단부는 상기 바닥부의 측부 테두리에 결합되며 그 상단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제2관통홀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사이드바가 마련되며 ;
상기 사이드바가 상기 바닥부의 측부 테두리에 결합되지 않을 때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단부는 상기 제2수평상 연결부재의 하측에 위치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파레트.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단부가 상기 적재용 파레트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걸림턱이 상기 회전지지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파레트.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
상기 제1수평상 연결부재에 상기 사이드바의 상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관통홀이 형성되며 ;
상기 사이드바는 그 하단부가 상기 바닥부의 측부 테두리에 결합되며 그 상단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제2관통홀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1위치와 그 하단부가 상기 바닥부의 후방 테두리에 결합되며 그 상단부는 제1수평상 연결부재의 제1관통홀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될 수 있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파레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6137U KR200479390Y1 (ko) | 2015-09-14 | 2015-09-14 | 적재용 파레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6137U KR200479390Y1 (ko) | 2015-09-14 | 2015-09-14 | 적재용 파레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9390Y1 true KR200479390Y1 (ko) | 2016-01-22 |
Family
ID=55310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6137U KR200479390Y1 (ko) | 2015-09-14 | 2015-09-14 | 적재용 파레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9390Y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1864B1 (ko) | 2016-03-11 | 2016-12-01 | 한인호 | 화물용 파렛트의 사이드 바 고정장치 |
KR20210070550A (ko) | 2019-12-05 | 2021-06-15 | 주식회사 만곡 | 확장형 파렛트 |
KR200493970Y1 (ko) | 2020-12-31 | 2021-07-08 | 거창피엘티 주식회사 | 다단 적재가 가능한 적재용 파레트 |
KR20210107440A (ko) | 2020-02-24 | 2021-09-01 | 주식회사 만곡 | 적재용 파렛트 |
KR20210107441A (ko) | 2020-02-24 | 2021-09-01 | 주식회사 강산인더스트리 | 적재용 파렛트의 연결고정구 |
KR102590300B1 (ko) | 2023-04-24 | 2023-10-17 | 글로벌 영농조합법인 | 양파의 벌크 저장 시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파 저장 방법 |
CN117775451A (zh) * | 2024-02-28 | 2024-03-29 | 泰州德丰塑胶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空间可调的塑料托盘 |
-
2015
- 2015-09-14 KR KR2020150006137U patent/KR200479390Y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1864B1 (ko) | 2016-03-11 | 2016-12-01 | 한인호 | 화물용 파렛트의 사이드 바 고정장치 |
KR20210070550A (ko) | 2019-12-05 | 2021-06-15 | 주식회사 만곡 | 확장형 파렛트 |
KR20210107440A (ko) | 2020-02-24 | 2021-09-01 | 주식회사 만곡 | 적재용 파렛트 |
KR20210107441A (ko) | 2020-02-24 | 2021-09-01 | 주식회사 강산인더스트리 | 적재용 파렛트의 연결고정구 |
KR200493970Y1 (ko) | 2020-12-31 | 2021-07-08 | 거창피엘티 주식회사 | 다단 적재가 가능한 적재용 파레트 |
KR102590300B1 (ko) | 2023-04-24 | 2023-10-17 | 글로벌 영농조합법인 | 양파의 벌크 저장 시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파 저장 방법 |
CN117775451A (zh) * | 2024-02-28 | 2024-03-29 | 泰州德丰塑胶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空间可调的塑料托盘 |
CN117775451B (zh) * | 2024-02-28 | 2024-05-28 | 泰州德丰塑胶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空间可调的塑料托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9390Y1 (ko) | 적재용 파레트 | |
JP3224918U (ja) | バックル式組合カート | |
JP6758665B2 (ja) | コンテナ | |
WO2016115937A1 (zh) | 拼接式多功能塑料托盘 | |
KR101384458B1 (ko) | 조립식 파레트의 측벽 고정 클램프 | |
KR101472205B1 (ko) | 조립식 파레트의 측벽과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라켓 | |
JP4945584B2 (ja) | スチールラック及びスチールラック用ビーム | |
CN209862877U (zh) | 货架 | |
KR200469751Y1 (ko) | 적재용 파레트 | |
KR100896869B1 (ko) | 물품포장용 파레트의 모서리 연결구조 | |
KR20090030382A (ko) | 물품포장용 파레트의 좌우판 조립구조 | |
JP6603735B2 (ja) | パレット機能を有するラック及び保管システム | |
KR101465864B1 (ko) | 조립식 파레트의 측벽 서포트 고정 클램프 | |
KR102074598B1 (ko) | 화물운반 파렛트용 모서리 연결캡 | |
KR20090030387A (ko) | 물품포장용 파레트의 전후판 조립구조 | |
JP2008050063A (ja) | 流動棚および組み付け部材 | |
IT201800002488U1 (it) | Contenitore per lastre di grandi formati disposte in assetto inclinato. | |
TWM572172U (zh) | Storage basket rack | |
JP6492122B2 (ja) | コンテナ | |
JP3907904B2 (ja) | ボックスパレット | |
GB2559359B (en) | Stackable frame | |
JP3214858U (ja) | 組み立て式コンテナ | |
TWM660209U (zh) | 貨架 | |
JP2004026428A (ja) | 組立式整理用ラック | |
KR200296885Y1 (ko) | 조립식 포장박스 적치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