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857Y1 - 구조물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구조물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857Y1
KR200478857Y1 KR2020140004388U KR20140004388U KR200478857Y1 KR 200478857 Y1 KR200478857 Y1 KR 200478857Y1 KR 2020140004388 U KR2020140004388 U KR 2020140004388U KR 20140004388 U KR20140004388 U KR 20140004388U KR 200478857 Y1 KR200478857 Y1 KR 200478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upporting
support
vehic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4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8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8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물 지지구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운반차량의 측면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일부가 결합되며 구조물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는 상기 브라켓에 고정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힌지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구조물을 지지하는 고임부재로 이루어진 구조물 지지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구조물 지지구조{Supporting Structure}
본 고안은 구조물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구조물의 운반시 신속하면서도 안정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건조시에 사용되는 대형 구조물은 운반차량("트랜스포터" 라고 함)에 탑재하여 운반하게 된다. 즉, 선박이 대형화되면서 이와 비례하게 선박을 이루는 구조물 역시 대형화되어 별도의 이동수단인 운반차량을 사용하여 구조물을 이동시키고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대형 구조물을 운반하기 위해 운반차량에 탑재시 통상 운반차량과 구조물 사이에는 받침목(반목)을 위치시켜 구조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차량(1)의 상측에 받침목(2)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목(2)의 상부에 구조물(3)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반차량(1)의 상부면과 소정높이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한 후 운반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조물 지지구조는 운반차량(1)의 갑작스러운 출발 또는 급정거시 구조물(3)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는 받침목(2)이 관성에 의해 이탈되면서 구조물(3)이 운반차량(1)에서 낙하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구조물(3)을 지지하고 있는 받침목(2)을 여러겹으로 쌓아 올릴 경우 운반차량(1)의 급발진 혹은 급정지시에 받침목(2)과 받침목(2)이 상호 이격되면서 구조물(3)이 기울어지면서 운반차량(1)에서 낙하됨으로써 안전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다분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 지지구조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운반차량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운반시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반차량의 급발진 또는 급정시에도 구조물이 운반차량에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 지지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구조물 지지구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운반차량의 측면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일부가 결합되며 구조물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는 상기 브라켓에 고정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힌지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구조물을 지지하는 고임부재로 이루어진 구조물 지지구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물 지지구조는 운반차량의 일측에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과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받침목을 설치함으로써, 운반차량의 이동시 안정적으로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목이 운반차량과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급출발 또는 급정거시에도 받침목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구조물이 낙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구조물 지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받침목을 여러겹으로 적층한 후 구조물을 지지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구조가 사용된 운반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구조의 고임부재가 다단으로 적층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다단으로 적층된 고임부재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사용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구조(100)는 운반차량(110)의 급출발 또는 급정거시에도 구조물(W)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운반차량(110)에 설치되는 브라켓(120)과, 상기 브라켓(120)과 고정결합되는 받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차량(110)의 측면 일측에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상술한 운반차량(110)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바퀴가 구동되어 이동되는 이동수단 및 작업자가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120)은 운반차량(110)의 측면에 돌출되게 고정설치되되, 복수개의 결합공(122)을 갖는 판부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120)은 단일의 판부재에 결합공(122)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받침부(130)와 볼트(S) 결합할 수도 있으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상호 마주보도록 한 쌍의 판부재를 위치시키고, 상기 마주보도록 위치된 한 쌍의 판부재 사이에 후술하는 받침부(130)의 일부가 끼움되도록 한 후 볼트(S)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받침부(130)는 운반차량(110)과 구조물(W)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구조물(W)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브라켓(120)과 볼트(S)를 통해 고정결합되는 지지부재(132)와, 상기 지지부재(132)에 힌지결합되며 구조물(W)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고임부재(134)로 이루어진다.
지지부재(132)는 상기 한 쌍의 판부재로 이루어진 브라켓(120)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호 마주보게 위치된 판부재와 판부재 사이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판부재에 형성된 결합공(122)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133)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볼트(S)를 통해 브라켓(120)에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32)의 상부에는 고임부재(134)가 힌지결합된다.
상기 고임부재(134)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구조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임부재(134)는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하여 운반차량(110)에 대해 상기 구조물(W)이 소정 높이 이상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구조는 상기 고임부재(134)를 여러겹으로 적층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임부재(134)를 복수개 구비한 후 각각의 고임부재(134) 일측을 힌지부재(136)로 결합함으로써, 적층될 수 있게 하여 고임부재(134)의 전체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136)에 의해 결합된 고임부재(134)와 또 다른 고임부재(134)의 타측에는 상기 고임부재(134)들의 회전을 구속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138)을 설치하여 다단으로 적층되는 상기 고임부재(134)가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적층된 고임부재(134) 중 어느 하나에는 링 형태의 고리(138a)를 설치하고, 또 다른 고임부재(134)에는 상기 고리(138a)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축 형상의 구속부재(138b)를 설치하여 상기 고리(138a)와 상기 구속부재(138b)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다단으로 적층되는 고임부재(134)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구조는 운반차량(110)의 일측에 볼트(S)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받침부(130)을 설치함으로써, 운반차량(110)의 급발진 또는 급정거시 구조물(W)을 지지하고 있는 받침부(130)가 운반차량(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임부재(134)를 힌지부재 및 고정수단(138)을 이용하여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임부재(134)를 여러겹으로 적층하더라도 안정적으로 구조물(W)을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고임부재(134)의 전체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반차량(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브라켓(120)에 상기 받침부(130)의 지지부재(132)를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부재(132)에 대해 힌지가능하게 고임부재(134)를 설치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임부재(134)를 운반차량(110)의 측면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도 운반차량(110)의 운행이 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0 : 운반차량 120 : 브라켓
122 : 결합공 130 : 받침부
132 : 지지부재 133 : 관통공
134 : 고임부재 136 : 힌지부재
138 : 고정수단 138a : 고리
138b : 구속부재

Claims (4)

  1. 운반차량의 측면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일부가 결합되며 구조물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는
    상기 브라켓에 고정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힌지결합되고 다단으로 적층되어 상부에 상기 구조물을 지지하는 고임부재로 이루어진 구조물 지지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단으로 적층되는 상기 고임부재들은 힌지부재에 의해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물 지지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단으로 적층되는 고임부재들은 상기 힌지부재에 의해 결합된 타측에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수단이 마련되는 구조물 지지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다단으로 적층된 고임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고리가 마련되고, 또 다른 고임부재에는 상기 고리와 결합될 수 있는 축 형상의 구속부재가 마련되는 구조물 지지구조.
KR2020140004388U 2014-06-11 2014-06-11 구조물 지지구조 KR2004788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388U KR200478857Y1 (ko) 2014-06-11 2014-06-11 구조물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388U KR200478857Y1 (ko) 2014-06-11 2014-06-11 구조물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857Y1 true KR200478857Y1 (ko) 2015-11-25

Family

ID=54868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388U KR200478857Y1 (ko) 2014-06-11 2014-06-11 구조물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8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806A (ko) * 2016-12-15 2017-02-28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수송용 가대 및 수송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806A (ko) * 2016-12-15 2017-02-28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수송용 가대 및 수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212477A (ja) 吊り足場
WO2018018841A1 (zh) 无人机货舱
US7134151B1 (en) Toilet transport device and method to use
KR200478857Y1 (ko) 구조물 지지구조
JP2019505716A (ja) 風力タービン翼の輸送枠体
KR101640245B1 (ko) 자동차 유리 적재용 팔레트
JP2007131332A (ja) タンクコンテナ
JP2009166874A (ja) 板状体の積載装置及び運搬車両
JP2016094301A (ja) 折畳式ガントリ
KR102279414B1 (ko)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KR20170003629U (ko) 래싱 브리지
JP5639966B2 (ja) 固定治具及び建物ユニットの輸送方法
JP2019048540A (ja) ダンプトラック
KR101427159B1 (ko) 야외용 스피커 리프트
JP6556591B2 (ja) ロールボックスパレット
CN104279130B (zh) 塔节存储
KR20150115542A (ko) 차량용 선루프 이송용 파렛트
KR101267042B1 (ko) 자동차 차체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
JP6653966B2 (ja) 落下防止用足場
JP2016037228A (ja) 運搬車
KR20150002648U (ko) 분리형 래싱 브리지 운반장치
KR200476263Y1 (ko) 선박의 휴대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KR20210026820A (ko) 장비 이송용 지그장치
KR20110095447A (ko) 멀티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초중량물 설치방법
KR20160024044A (ko) 사다리차용 운반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