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649Y1 - 가마솥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가마솥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649Y1
KR200478649Y1 KR2020150002436U KR20150002436U KR200478649Y1 KR 200478649 Y1 KR200478649 Y1 KR 200478649Y1 KR 2020150002436 U KR2020150002436 U KR 2020150002436U KR 20150002436 U KR20150002436 U KR 20150002436U KR 200478649 Y1 KR200478649 Y1 KR 200478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uldron
heater member
upper heater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철
Original Assignee
김석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철 filed Critical 김석철
Priority to KR2020150002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6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6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로부터 사용해 온 가마솥의 우수한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빵 혹은 통닭을 구울 수 있게 하여 가마솥이 갖는 빠른 열전달 및 열의 축적율에 의해 빠른 시간내에 빵 혹은 통닭을 구울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빠른 시간내에 빵 혹은 통닭을 구울 수 있음으로서 전기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한 가마솥 구이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뚜껑을 구비하고, 내부 수용부를 갖는 가마솥 본체; 상기 가마솥 본체의 내부 수용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 수용부를 상부 공간부와 하부 공간부로 구획하는 동판부재; 상기 동판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마솥 본체의 내부 바닥면을 따라 인접하게 설치된 하부 히터부재; 상기 동판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마솥 본체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링 형태로 인접하게 설치된 상부 히터부재; 상기 상부 히터부재의 온도가 180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상부 히터 온도조절기와 상기 하부 히터부재의 온도가 150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하부 히터 온도조절기와 상기 상부 히터부재 및 하부 히터부재에 과열이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기로 이루어진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상부 히터부재의 안쪽으로 배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히터부재가 내부 수용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는 링 형상으로 설치된 링판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마솥 구이장치{cauldron roasted device}
본 고안은 가마솥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로부터 사용해 온 가마솥의 우수한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빵 혹은 통닭 등을 구울 수 있게 하여 가마솥이 갖는 빠른 열전달 및 열의 축적율에 의해 빠른 시간내에 빵 혹은 통닭을 구울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빠른 시간내에 빵 혹은 통닭을 구울 수 있음으로서 전기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한 가마솥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빵을 만드는 제빵과정은, 밀가루와 설탕 및 베이킹파우더 등의 재료를 준비하여 이들을 반죽한 후, 반죽한 재료를 발효하고 굽는 등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빵을 만들기 위해 굽는 과정은 통상 오븐 레인지 등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오븐 레인지는, 전기 오븐 레인지와 가스 오븐 레인지로 대별되며, 이 중에서 전기 오븐 레인지는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히터(예를 들어, 세라믹 히터(ceramic heater), 그릴 히터(sheath grill heater) 또는 할로겐 히터(halogen heater) 등)를 이용하여 오븐 내부에서 각종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이러한 오븐 레인지를 이용하여 빵을 굽고 있다.
특히, 전기 오븐 레인지는 화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가스 오븐 레인지에 비해 화재로부터 안전하다는 장점으로 소비자들에게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 오븐 레인지는 빵을 굽는 내부 수용부에 열전달이 빨리 이루어지지 못하고, 열손실이 생기기 때문에 빵을 굽는데 많이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가열된 내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등의 단점도 있다. 즉, 종래의 전기 오븐 레인지는 전기 소모량이 18KW 정도로서 전기 소모량이 많은 단점이 있으며, 빵을 굽는데 상대적으로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0289802호, 가마솥의 제조방법. 국내 실용 공개번호 제20-2000-0006036호, 통닭 구이용 가마솥.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예로부터 사용해 온 가마솥의 우수한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빵 혹은 통닭을 구울 수 있게 하여 가마솥이 갖는 빠른 열전달 및 열의 축적율에 의해 빠른 시간내에 빵 혹은 통닭을 구울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빠른 시간내에 빵 혹은 통닭을 구울 수 있음으로서 전기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한 가마솥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마솥 구이장치로서, 뚜껑을 구비하고, 내부 수용부를 갖는 가마솥 본체; 상기 가마솥 본체의 내부 수용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 수용부를 상부 공간부와 하부 공간부로 구획하는 동판부재; 상기 동판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마솥 본체의 내부 바닥면을 따라 인접하게 설치된 하부 히터부재; 상기 동판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마솥 본체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링 형태로 인접하게 설치된 상부 히터부재; 상기 상부 히터부재의 온도가 180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상부 히터 온도조절기와 상기 하부 히터부재의 온도가 150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하부 히터 온도조절기와 상기 상부 히터부재 및 하부 히터부재에 과열이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기로 이루어진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상부 히터부재의 안쪽으로 배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히터부재가 내부 수용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는 링 형상으로 설치된 링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판부재는 상단 일부위를 외측 방향으로 직교하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가 상부 히터부재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마솥 본체는: 철 75~95 중량%와 동 5~25 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에는: 상기 가마솥 본체의 내부 수용부에 대한 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온도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마솥 본체의 외주면 테두리에는 환 형상의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부가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가마솥 본체의 하부가 삽입되어 얹혀지도록 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가 지면으로 부터 소정 높이를 이루게 지지할 수 있게 설치된 다리부재; 및 상기 다리부재의 하단에 설치된 바퀴;로 이루어지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가마솥 구이장치에 의하면, 가마솥이 갖는 빠른 열전달 및 열의 축적율에 의해 빠른 시간내에 빵 혹은 통닭을 구울 수 있게 하여 전기 소모량을 줄여 전기를 절약할 수 있고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마솥 구이장치에 의해 빵을 구울 수 있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가마솥 구이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표시의 가마솥 구이장치가 받침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표시에서 바퀴에 의해 받침대를 움직일 수 있게 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마솥 구이장치에 의해 통닭을 구울 수 있는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마솥 구이장치에 의해 빵을 구울 수 있는 일 실싱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가마솥 구이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표시의 가마솥 구이장치가 받침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표시에서 고정구에 의해 받침대가 지면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가마솥을 이용하여 빵을 구울 수 있도록 제작된 것으로, 가마솥 본체(110)와, 그 가마솥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동판부재(120), 동판부재(120)의 상부, 하부로 각각 배치되게 설치된 상부 히터부재(130)와 하부 히터부재(140), 및 상부 히터부재(130)와 하부 히터부재(14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50), 그리고 상부 히터부재(13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링판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마솥 본체(110)는 내부 수용부(112)를 갖는 통상의 가마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뚜껑(114)이 구비되고, 이러한 뚜껑(114)에는 손잡이(114a)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기 가마솥 본체(110)는 철 75~95 중량%와 동 5~25 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가마솥은 주철재를 주물 작업하여 제작함으로서 열의 축적율이 높기 때문에 밥을 짓거나 조리를 함에 있어서, 이상적인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본 고안은 통상의 가마솥 제작을 위한 주철재에 동을 더 함유하여 제작함으로서 열전달 성능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가마솥에 동이 함유됨으로서 가마솥의 우수한 성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다 빠른 열전달이 이루어지고, 열손실이 최소화되어 빵을 굽기 위한 온도의 가열을 빠른 시간내 할 수 있고, 이는 빵을 빠르게 구울 수 있으며 전기 소모량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본 고안은 10~15분 정도면 빵이 구워지고, 전기 소모량도 3.5KW 밖에 되지 않음으로서 기존의 오븐이 갖는 전기 소모량 보다 줄어들어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가마솥 본체(110)의 내부 수용부(112)에는 동판부재(120)가 설치되어, 상기 동판부재(120)에 의해 가마솥 본체(110)의 내부 수용부(112)를 상부 공간부(112a)와 하부 공간부(112b)로 구획한다.
이때, 상기 동판부재(120)의 상부에 빵판(102)이 설치되어 빵을 굽게되며, 상기 상부 공간부(112a)와 하부 공간부(112b)로 구획되는 내부 수용부(112)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부 히터부재(130)와 하부 히터부재(140)가 가마솥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하부 히터부재(140)는 동판부재(12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마솥 본체(110)의 내부 바닥면을 따라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 히터부재(130)는 동판부재(12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마솥 본체(110)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링 형태로 인접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상부 히터부재(130)와 하부 히터부재(140)는 컨트롤러(150)에 구비되는 상부 히터 온도조절기(152)와 하부 히터 온도조절기(154)에 의해 제어되는데, 상기 상부 히터 온도조절기(152)는 상부 히터부재(130)의 온도가 180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하부 히터 온도조절기(154)는 하부 히터부재(140)의 온도가 150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50)에는 차단기(156)가 구비되는데, 상기 차단기(156)에 의해 상부 히터부재(130) 및 하부 히터부재(140)에 과열이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150)에 의해 제어되는 상부 히터부재(130)의 안쪽으로 배치되도록 링판부재(160)가 링 형상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링판부재(160)는 상부 히터부재(130)가 가마솥 본체(110)의 내부 수용부(112)로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서, 사용시 사용자의 신체(예컨대, 손이나 팔 등)이 상부 히터부재(130)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화상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링판부재(160)는 상단 일부위를 외측 방향으로 직교하도록 절곡하여 형성한 걸림부(162)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162)가 상부 히터부재(130)에 걸리도록 설치함으로서, 탈착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판부재(16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161)들이 형성되어 상부 히터부재(130)에서 발생하는 열을 내부 수용부(112)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링판부재(160)에 의해 상부 히터부재(130)가 가려지면 열전달에 손실이 있음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관통공(16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가마솥 본체(110)에서 내부 수용부(112)의 온도를 감지하여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온도계(170)가 상기 뚜껑(114)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온도계를 보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가마솥 본체(110)의 사용을 위한 받침대(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대(200)는 프레임부재(202)와 다리부재(204) 및 바퀴(2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재(202)는 상부에 가마솥 본체(110)을 걸어줄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부재(202)는 가마솥 본체(110)의 외주면 테두리에 환 형상의 걸림돌부(111)가 형성되고, 그 걸림돌부(111)가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가마솥 본체(110)의 하부가 삽입되어 얹혀지도록 하는 삽입부(202a)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다리부재(204)는 프레임부재(202)가 지면으로 부터 소정 높이를 이루게 지지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고, 이러한 다리부재(204)의 하단에 바퀴(206)가 설치되어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이동을 완료한 후 움직임을 방지하는 고정구(20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구(208)은 나사 결합되어 상하 승강되며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부재(202) 및 다리부재(204)는 금속재질,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가마솥 본체(110)가 받침대(200)를 구성하는 프레임부재(202)의 상부에 얹혀져 바퀴(206)로 이동이 가능하고, 이동 후에는 고정구(208)를 내려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도 5 내지 도 6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가마솥 구이장치는 가마솥 본체(110)에 동이 함유되어 있음으로, 빠른 열전달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빵을 굽는 시간을 단축하여 전기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내부 수용부(112)의 온도가 빵이 가장 잘 익는 온도인, 상부 180도 하부 150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부 히터부재(130)의 온도가 180도로 유지되게 제어하고, 하부 히터부재(140)의 온도가 150도로 유지되게 제어하여 10~15분 정도에 빵을 구울 수 있으며, 전기 소모량도 3.5KW 정도로 적게 소모되므로, 기존 오븐기에 보다 전기를 절약할 수 있다.
첨부된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마솥 구이장치에 의해 통닭을 구울 수 있는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가마솥을 이용하여 통닭을 구울 수 있도록 제작된 것으로, 위에서 설명한 빵을 굽기 위한 가마솥의 실시예에서 가마솥 본체(110)의 하부에 기름배출공(110a)이 형성되고, 상기 기름배출공(110a)을 통해 기름이 배출되도록 기름배출관(190)이 설치되며, 상기 기름배출관(190)에 밸브(192)가 설치되어 통닭을 구울 수 있게 한 구성만이 상이하다.
또한, 본 고안의 가마솥을 이용하여 통닭을 굽기 위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 보다 더욱 빠른 열전달 및 고열을 형성하기 위해 보조 히터부재(180)를 뚜껑(114) 밑에 배치되도록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가마솥을 이용하여 통닭을 굽기 위해서는 통닭을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이 하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위 실시예에서의 동판부재(120)를 그릴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고안의 가마솥 구이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3개의 히터에 의해 가마솥 본체(110)의 내부 수용부(112)에 보다 빠른 열전달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빠른 시간내에 통닭을 구울 수 있다.
특히, 통닭을 구울 때 발생된 기름은 하부에 설치되는 기름배출공(110a)과 기름배출관(190)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밸브(192)를 개방하여 기름배출관(190)을 통해 기름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10 - 가마솥 본체 120 - 동판부재
130 - 상부 히터부재 140 - 하부 히터부재
150 - 컨트롤러 160 - 링판부재

Claims (5)

  1. 뚜껑(114)을 구비하고, 내부 수용부(112)를 갖는 가마솥 본체(110);
    상기 가마솥 본체(110)의 내부 수용부(112)에 설치되어, 그 내부 수용부(112)를 상부 공간부(112a)와 하부 공간부(112b)로 구획하는 동판부재(120);
    상기 동판부재(12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마솥 본체(110)의 내부 바닥면을 따라 인접하게 설치된 하부 히터부재(140);
    상기 동판부재(12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마솥 본체(110)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링 형태로 인접하게 설치된 상부 히터부재(130);
    상기 상부 히터부재(130)의 온도가 180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상부 히터 온도조절기(152)와 상기 하부 히터부재(140)의 온도가 150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하부 히터 온도조절기(154)와 상기 상부 히터부재(130) 및 하부 히터부재(140)에 과열이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기(156)로 이루어진 컨트롤러(150); 및
    상기 컨트롤러(150)에 의해 제어되는 상부 히터부재(130)의 안쪽으로 배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히터부재(130)가 내부 수용부(112)로 노출되지 않게 하는 링 형상으로 설치된 링판부재(160);를 포함하고,
    상기 링판부재(160)는 상단 일부위를 외측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걸림부(162)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162)가 상부 히터부재(130)에 걸리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마솥 구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마솥 본체(110)는:
    철 75~95 중량%와 동 5~25 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마솥 구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14)에는:
    상기 가마솥 본체(110)의 내부 수용부(112)에 대한 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온도계(17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마솥 구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마솥 본체(110)의 외주면 테두리에는 환 형상의 걸림돌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부(111)가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가마솥 본체(110)의 하부가 삽입되어 얹혀지도록 하는 삽입부(202a)를 구비하는 프레임부재(202);
    상기 프레임부재(202)가 지면으로 부터 소정 높이를 이루게 지지할 수 있게 설치된 다리부재(204); 및
    상기 다리부재(204)의 하단에 설치된 바퀴(206);로 이루어지는 받침대(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마솥 구이장치.
  5. 뚜껑(114)을 구비하고, 내부 수용부(112)를 갖는 가마솥 본체(110);
    상기 가마솥 본체(110)의 내부 수용부(112)에 설치되어, 그 내부 수용부(112)를 상부 공간부(112a)와 하부 공간부(112b)로 구획하는 그릴 형태로 형성된 동판부재(120);
    상기 동판부재(12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마솥 본체(110)의 내부 바닥면을 따라 인접하게 설치된 하부 히터부재(140);
    상기 동판부재(12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마솥 본체(110)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링 형태로 인접하게 설치된 상부 히터부재(130);
    상기 상부 히터부재(130)의 온도가 180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상부 히터 온도조절기(152)와 상기 하부 히터부재(140)의 온도가 150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하부 히터 온도조절기(154)와 상기 상부 히터부재(130) 및 하부 히터부재(140)에 과열이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기(156)로 이루어진 컨트롤러(150); 및
    상기 컨트롤러(150)에 의해 제어되는 상부 히터부재(130)의 안쪽으로 배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히터부재(130)가 내부 수용부(112)로 노출되지 않게 하는 링 형상으로 설치된 링판부재(160);를 포함하고,
    상기 링판부재(160)는 상단 일부위를 외측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걸림부(162)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162)가 상부 히터부재(130)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뚜껑(114) 밑에 배치되도록 보조 히터부재(180)를 더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가마솥 본체(110)의 하부에 기름배출공(110a)이 형성되고, 상기 기름배출공(110a)을 통해 기름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기름배출관(190)이 설치되되, 상기 기름배출관(190)에는 밸브(192)가 설치되어 통닭을 구울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마솥 구이장치.
KR2020150002436U 2015-04-16 2015-04-16 가마솥 구이장치 KR2004786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436U KR200478649Y1 (ko) 2015-04-16 2015-04-16 가마솥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436U KR200478649Y1 (ko) 2015-04-16 2015-04-16 가마솥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649Y1 true KR200478649Y1 (ko) 2015-10-29

Family

ID=5443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436U KR200478649Y1 (ko) 2015-04-16 2015-04-16 가마솥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64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903Y1 (ko) 2008-05-06 2008-12-17 허회욱 회전 가마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903Y1 (ko) 2008-05-06 2008-12-17 허회욱 회전 가마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5179B2 (ja) 焼き器
US11187416B2 (en) Gas cooktop and grate for the gas cooktop
KR101641461B1 (ko)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KR101703292B1 (ko) 접철식 휴대용 화로대
KR101547264B1 (ko) 휴대용 오븐
KR20120008881U (ko) 돌판구이 겸용 조개류 찜이 가능한 로스터
KR200478649Y1 (ko) 가마솥 구이장치
KR101816526B1 (ko)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
CN204764180U (zh) 一种桌锅一体餐桌
CN208851294U (zh) 烧烤炉
KR101867008B1 (ko) 수직형 구이기
US20190069353A1 (en) Dimpled Wok
KR101541482B1 (ko)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
CN211212726U (zh) 一种新型空气炸锅炸篮
JP2014211262A (ja) コンロ
JP2006247041A (ja) 餃子焼き器
KR20180043949A (ko) 테이블 화로용 석쇠 높낮이 조절구
WO2018214511A1 (zh) 一种明火烤炉
CN205849306U (zh) 家用炉火安全烤锅
US20120017777A1 (en) Multifunctional Bread Maker
KR102526657B1 (ko) 부침개 조리방법
JP3211771U (ja) 蓋支持部付き鉄板
CN211022175U (zh) 一种多功能炊具
WO2016019990A1 (en) Poultry holder accessory for use in an oven
JP3116019U (ja) 蒸し焼き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