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025Y1 -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025Y1
KR200478025Y1 KR2020140005790U KR20140005790U KR200478025Y1 KR 200478025 Y1 KR200478025 Y1 KR 200478025Y1 KR 2020140005790 U KR2020140005790 U KR 2020140005790U KR 20140005790 U KR20140005790 U KR 20140005790U KR 200478025 Y1 KR200478025 Y1 KR 200478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hole
striker
guide slit
guid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경
오서원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2020140005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0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0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차체에 결합되고, 일측에 제1회전홀이 형성되며 제1회전홀의 상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 제1회전홀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의 제1가이드슬릿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차체측에서 덮는 덮개형상으로써, 상기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홀과 제1가이드슬릿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회전홀과 제2가이드슬릿이 형성된 브라켓; 및 일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시트의 래치와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단부가 상기 제1회전홀과 제1가이드슬릿을 관통하여 제2회전홀과 제2가이드슬릿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스트라이커;를 포함하는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ANGLE CONTROLLING APPARATUS OF SEAT-BACK}
본 고안은 차량의 시트 중 특히 후석시트의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여 탑승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후석시트는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시트백의 리클라이닝이나 틸팅, 시트쿠션의 전후방 슬라이딩이 가능하지 않다. 후석 탑승자의 경우 등을 뉘이거나 바로 세우는 등의 기본적인 편의도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후석시트에 비해 전석시트에는 리클라이닝, 틸팅, 슬라이딩 등 각종의 승객 편의용 메카니즘이 구비된다. 전석 이용율이 높고 후석은 공간적 제약이 있다는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후석에 주요 인사가 앉게 됨에도 시트 편의는 지나치게 전석에만 집중되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를 통해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탑승자에게 편의성 및 안락감을 제공하는 후석시트 시트백의 각도 조절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고안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4-0033909 A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를 통해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탑승자에게 편의성 및 안락감을 제공하는 후석시트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는 차체에 결합되고, 일측에 제1회전홀이 형성되며 제1회전홀의 상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 제1회전홀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의 제1가이드슬릿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차체측에서 덮는 덮개형상으로써, 상기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홀과 제1가이드슬릿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회전홀과 제2가이드슬릿이 형성된 브라켓; 및 일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시트의 래치와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단부가 상기 제1회전홀과 제1가이드슬릿을 관통하여 제2회전홀과 제2가이드슬릿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스트라이커;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라이커는 바 형상이되,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동일한 길이로 절곡되어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절곡부가 형성되고, 절곡부의 단부가 각각 상기 회전홀과 가이드슬릿에 삽입되어 회전홀을 중심으로 가이드슬릿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스트라이커의 일측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는 지지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홀과 제2회전홀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슬릿과 제2가이드슬릿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에 따르면, 종래의 래치-스트라이커 구조에서 래치가 체결되는 스트라이커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탑승자가 후석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탑승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리클라이너 매커니즘을 제거할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시트가 전방측에 위치할 때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실내측 확대도.
도 5는 시트의 후방측에 위치할 때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B부분의 실내측 확대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는 차체에 결합되고, 일측에 제1회전홀(310)이 형성되며 제1회전홀(310)의 상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 제1회전홀(310)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의 제1가이드슬릿(330)이 형성된 플레이트(300); 상기 플레이트(300)를 차체측에서 덮는 덮개형상으로써, 상기 플레이트(300)와의 사이에 공간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홀(310)과 제1가이드슬릿(3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회전홀(430)과 제2가이드슬릿(450)이 형성된 브라켓(400); 및 일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510)가 형성되고, 타측은 시트(200)의 래치(미도시)와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단부가 상기 제1회전홀(310)과 제1가이드슬릿(330)을 관통하여 제2회전홀(430)과 제2가이드슬릿(450)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스트라이커(500);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400)은 플레이트(300)의 차체측에 플랜지(470)를 통해 결합되며, 플랜지(470)에서 차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후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다시 플레이트측으로 절곡된 후 연장되어 "⊂" 단면에 상하측으로 플랜지(470)가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차체측으로 연장된 후 절곡되기 때문에 플레이트(300)와 차체측 최후면 사이에는 공간부(410)가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커(500)가 회전홀(310,430)을 중심으로 가이드슬릿(330,450)을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여유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다. 혹은 상기 브라켓(400)은 상기 플레이트(300)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공간부(410)를 형성하는 판넬 형상으로써, 제1회전홀(310)과 제1가이드슬릿(33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는 브라켓(400)은 플레이트(300) 결합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300)와 평행한 측면에 제1회전홀(310)과 제1가이드슬릿(330)이 형성되되, 상기 제1회전홀(310)과 제2회전홀(430)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슬릿(330)과 제2가이드슬릿(450)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회전홀(310)과 제1가이드슬릿(330)이 제1회전홀(310)을 중심으로 제1가이드슬릿(330) 내를 회전하도록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플레이트(300) 후방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면, 경우에 따라서는 브라켓(400)을 삭제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트라이커(500)의 회전 시 보다 안정적인 거동을 위하여 브라켓(400)을 결합하였다. 따라서, 상기 스트라이커(500)가 상기 회전홀(310,430)을 중심으로 가이드슬릿(330,450) 내를 회전함으로써, 가이드슬릿(330,450)의 양측단부의 거리만큼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홀(310,430)과 가이드슬릿(330,450)의 전방측에 스트라이커(500)가 위치할 때보다 회전홀(310,430)과 가이드슬릿(330,450)의 후방측에 스트라이커(500)가 위치할 때가 시트백의 각도가 더 커지게 되어 탑승자가 보다 편안하게 신체를 시트백에 기댈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트라이커(500)는 바 형상이되,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심부(530)를 기준으로 양측이 동일한 길이로 절곡되어 서로 평행을 이루는 절곡부(550,570)를 형성하고, 절곡부(550,570)의 단부가 각각 상기 회전홀(310,430)과 가이드슬릿(330,450)에 삽입되어 회전홀(310,430)을 중심으로 가이드슬릿(330,450) 내에서 회전된다. 상기 스트라이커(500)의 일측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돌출부(51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510)의 사이에는 지지부재(700)가 결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500)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700)는 플레이트 형상이되 중심측에 스트라이커(500)의 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홀(710)이 형성된 부시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라이커(500)의 절곡부(550,570)의 일측에 각각 2개씩의 돌출부(510)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700)가 돌출부(510)의 사이에 관통홀(710)을 통해 관통결합됨으로써, 스트라이커(500)의 회전 시 스트라이커(500)가 비틀리거나 절곡부(550,570)끼리 교차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적인 회전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의 각도 조절장치의 동작 도면의 의거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시트백이 도 5 대비 전방측에 위치할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실내측 확대도이다. 도 4를 보면, 상기 스트라이커(500)의 제1절곡부(550)가 상기 플레이트(300)의 제1회전홀(310)을 관통하여 브라켓(400)의 제2회전홀(430)에 삽입된다. 상기 스트라이커(500)의 제2절곡부(570)는 플레이트(300)의 제1가이드슬릿(330)을 관통하여 브라켓(400)의 제2가이드슬릿(450)에 삽입되되, 가이드슬릿(330,450)의 차량의 전방측 단부에 위치하여 고정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3과 도 4의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도 5와 도 6을 보면, 상기 스트라이커(500)의 제1절곡부(550)는 상기와 동일하게 삽입된 상태이나, 스트라이커(500)의 제2절곡부(570)는 제1절곡부(550)를 회전축으로 하여 가이드슬릿(330,45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가이드슬릿(330,450)의 차량의 후방측 단부에 위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도 3의 보다는 도 5의 시트백이 시트(100)의 결합부(210)를 중심으로 후방측으로 더 이동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가 시트백의 각도 조절을 위해서는 시트백을 시트쿠션측으로 폴딩한 후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를 노출시키고, 스트라이커(500)를 가이드슬릿(330,450)의 전방측과 후방측 단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스트라이커(500)의 제1절곡부(550)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2절곡부(550)가 가이드슬릿(330,450) 내를 슬라이딩하여 가이드슬릿(330,450)의 양측 단부 중 한 곳에 고정됨으로써, 시트백을 원하는 각도의 기울기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시트백의 각도 조절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래치-스트라이커 구조에서 래치가 체결되는 스트라이커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탑승자가 후석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탑승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리클라이너 매커니즘을 제거할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차체 200 : 시트
210 : 결합부 300 : 플레이트
310 : 제1회전홀 330 : 제1가이드슬릿
400 : 브라켓 410 : 공간부
430 : 제2회전홀 450 : 제2가이드슬릿
470 : 플랜지 500 : 스트라이커
510 : 돌출부 530 : 중심부
550 : 제1절곡부 570 : 제2절곡부
700 : 지지부재 710 : 관통홀

Claims (4)

  1. 차체에 결합되고, 일측에 제1회전홀이 형성되며 제1회전홀의 상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 제1회전홀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의 제1가이드슬릿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차체측에서 덮는 덮개형상으로써, 상기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홀과 제1가이드슬릿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회전홀과 제2가이드슬릿이 형성된 브라켓; 및
    일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시트의 래치와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단부가 상기 제1회전홀과 제1가이드슬릿을 관통하여 제2회전홀과 제2가이드슬릿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스트라이커;를 포함하는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는 바 형상이되,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동일한 길이로 절곡되어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절곡부가 형성되고, 절곡부의 단부가 각각 상기 회전홀과 가이드슬릿에 삽입되어 회전홀을 중심으로 가이드슬릿 내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의 일측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는 지지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의 회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홀과 제2회전홀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슬릿과 제2가이드슬릿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KR2020140005790U 2014-08-01 2014-08-01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KR200478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790U KR200478025Y1 (ko) 2014-08-01 2014-08-01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790U KR200478025Y1 (ko) 2014-08-01 2014-08-01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025Y1 true KR200478025Y1 (ko) 2015-08-20

Family

ID=5433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790U KR200478025Y1 (ko) 2014-08-01 2014-08-01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0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492B1 (ko) * 2022-06-03 2023-11-08 대원산업 주식회사 원형 래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3262A (ja) 2007-03-09 2008-09-25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ストライカ装置
KR200459315Y1 (ko) 2010-11-12 2012-03-2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의 백테이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3262A (ja) 2007-03-09 2008-09-25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ストライカ装置
KR200459315Y1 (ko) 2010-11-12 2012-03-2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의 백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492B1 (ko) * 2022-06-03 2023-11-08 대원산업 주식회사 원형 래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4959C2 (ru) Посадочный узе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RU2684957C2 (ru) Посадочный узе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US10065546B2 (en)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manual independent thigh supports
US10377270B2 (en) Seat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for vehicle
US9126508B2 (en) Upper seatback pivot system
RU2683714C2 (ru) Опорная несу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US7568759B2 (en) Passenger seat, an aircraft passenger seat in particular, and a passenger seat group, an aircraft passenger seat group in particular
JP4767966B2 (ja) 折りたたみ式肘掛け
US9126504B2 (en) Integrated thin flex composite headrest assembly
US6511130B2 (en)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US10093204B2 (en) Motor vehicle seat having an armrest
DE602006020920D1 (de) Rückenlehnenunterhaltungsanzeigesystem
US20080116731A1 (en) Seat, in Particular Aircraft Passenger Seat
US9758065B2 (en) Vehicle seat
KR101620231B1 (ko) 차량용 후석 리클라이닝 장치
KR200478025Y1 (ko)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KR101592758B1 (ko) 차량용 후석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US9150121B2 (en) Adjusting mechanism, in particular in the interior fittings area of a motor vehicle
JP2007075347A (ja) 車両用シート
KR20160082857A (ko)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
KR200479022Y1 (ko)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KR101407262B1 (ko) 차량용 시트의 틸팅 장치
KR20160013405A (ko)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KR20190127169A (ko) 하부의 레일과 연동하여 180도 접힘이 가능한 버스용 좌석 시스템
KR20200018971A (ko) 자동차용 시트 회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