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641Y1 -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 - Google Patents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641Y1
KR200477641Y1 KR2020140006141U KR20140006141U KR200477641Y1 KR 200477641 Y1 KR200477641 Y1 KR 200477641Y1 KR 2020140006141 U KR2020140006141 U KR 2020140006141U KR 20140006141 U KR20140006141 U KR 20140006141U KR 200477641 Y1 KR200477641 Y1 KR 200477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elf
seat
backrest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섭
Original Assignee
(주)에스오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오앤 filed Critical (주)에스오앤
Priority to KR2020140006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6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6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movably mounted on a working-tabl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freely-rotatable type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석유닛의 양측에 선반이 구비되어 작업물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고, 좌판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미싱 장치와의 거리 조절을 할 수 있어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는, 좌우 이격 배치된 제1선반(110) 및 제2선반(120); 상기 제1선반(110)과 제2선반(120) 사이에 배치되는 좌석유닛(200); 상기 제1선반(110)과 제2선반(12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선반(110)과 제2선반(12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30); 상기 연결프레임(130)에 장착되어 상기 좌석유닛(200)을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유닛(300); 상기 승강유닛(300)과 상기 좌석유닛(20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좌석유닛(20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유닛(50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 {Chair for sewing worker}
본 고안은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봉제 작업시 작업물을 보관 및 적재할 수 있는 선반과, 작업자의 허리를 다양한 각도로 지지해 주는 좌석을 구비한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봉작업을 수행하는 봉제라인은 의류, 인형 등과 같이 직물지, 가죽재질들을 재봉기를 이용하여 봉제작업을 수행하고, 의류나, 커튼, 침구류 및 인형 등과 같은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재봉기를 이용한 봉제작업은 일정한 공간 내에 많은 수의 재봉기를 배치한 후 각각의 재봉기에 작업자가 앉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종래에는 재봉기에 단순히 의자를 두고 앉아서 작업을 하였는데, 이로 인해 작업시 봉제 작업물을 적재할 선반이 없어 맨바닥에 작업물을 방치하여 쉽게 오염될 위험에 놓이게 되었다.
또한, 개인 공구 등을 작업대에 방치하여 쉽게 분실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한편, 재봉 작업은 장시간 앉아서 작업하기 때문에 허리에 많은 부담을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작업자의 허리에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미싱기와 작업자 간의 거리가 중요한데, 기존의 작업자용 의자는 이동이 쉽지 않아서 미싱기와 작업자간 거리가 일정치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허리에 많은 부담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9515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석유닛의 양측에 선반이 구비되어 작업물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고, 좌판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미싱 장치와의 거리 조절을 할 수 있어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작업자의 허리에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는, 좌우 이격 배치된 제1선반(110) 및 제2선반(120); 상기 제1선반(110)과 제2선반(120) 사이에 배치되는 좌석유닛(200); 상기 제1선반(110)과 제2선반(12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선반(110)과 제2선반(12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30); 상기 연결프레임(130)에 장착되어 상기 좌석유닛(200)을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유닛(300); 상기 승강유닛(300)과 상기 좌석유닛(20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좌석유닛(20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유닛(500); 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유닛(500)은, 상기 승강유닛(300)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며,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된 레일부(511)가 형성된 가이드레일(510); 상기 가이드레일(51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부에 상기 좌석유닛(200)이 장착되는 이동판(520); 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부(511)에는 상기 이동판(5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걸림공(512)이 이격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520)의 측부에는 탄성부재(540)와, 상기 탄성부재(540)에 의해 상기 걸림공(512)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걸림부재(530)가 구비된다.
상기 좌석유닛(200)은, 상기 승강유닛(300)의 상부에 장착되며, 후방 양측에 각각 연결브라켓(212)이 구비된 좌판(210); 상기 연결브라켓(212)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등받이지지대(220); 상기 등받이지지대(220)의 전방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등받이패드(230); 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프레임(130)에 장착된 보조실린더와, 상기 보조실린더를 따라 상하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드유닛(500)과 연결되는 보조피스톤으로 이루어진 보조지지유닛(400); 을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승강유닛(300)과 상기 좌석유닛(20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좌석유닛(20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유닛(500)이 구비됨으로써, 작업자에 따라 상기 좌석유닛(20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작업을 편안한 자세로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허리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이동판(520)에 상기 탄성부재(540)에 의해 상기 걸림공(512)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걸림부재(53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이동판(520)이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좌석유닛(200)은 상기 등받이지지대(220)가 전후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되고, 상기 등받이패드(230)가 좌우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됨으로써, 작업자의 허리와 등을 전체적으로 골고루 받쳐주어 편안하게 작업자의 허리를 보호하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의 슬라이드유닛의 작동 과정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의 A-A에서 바라본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의 B-B에서 바라본 단면 구조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의 슬라이드유닛의 작동 과정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의 A-A에서 바라본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의 B-B에서 바라본 단면 구조도 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는 제1선반(110), 제2선반(120), 좌석유닛(200), 승강유닛(300), 보조지지유닛(400) 및 슬라이드유닛(5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선반(110)과 제2선반(120)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 좌측면, 우측면 및 후면에 판재를 부착하여 내부에 수용공간(S)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선반(110)과 상기 제2선반(120)은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연결프레임(13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상기 제1선반(110)과 상기 제2선반(120) 사이의 하단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알루미늄 프로파일이며, 상기 제1선반(110)과 상기 제2선반(120)을 연결한다.
이러한 상기 제1선반(110)과 상기 제2선반(120)은 내부 수용공간(S)이나 상부에 봉제 작업물 등을 수납 및 적재할 수 있어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 시킨다.
또한, 상기 제2선반(120)에는 서랍장(140)이 구비되어 작업 공구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좌석유닛(200)은 상기 제1선반(110)과 상기 제2선반(120) 사이에 배치되어 작업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구체적으로 좌판(210), 등받이지지대(220) 및 등받이패드(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판(210)은 대략 사각형의 나무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착석시 편안함을 주기 위해 쿠션부(211)가 구비되고, 후술할 상기 슬라이드유닛(500)의 이동판(520)에 고정 장착된다.
또한, 상기 좌판(210)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등받이지지대(220)가 연결되는 연결브라켓(212)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등받이지지대(220)는 양단이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막대 형상으로, 절곡된 양단의 선단이 상기 연결브라켓(212)에 회전핀(221)으로 피봇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핀(221)에는 상기 등받이지지대(220)를 상기 좌판(210)에 세워지게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222)이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토션스프링(222)은 상기 등받이지지대(220)가 일정 이상의 압력을 받았을 경우에만 압축되어 상기 등받이지지대(220)가 후방으로 일정각도 회전되게 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지지대(220)의 가운데에는 후술할 상기 등받이패드(230)의 회전축(233)이 삽입되는 연결구(223)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223)에는 상하 및 전방으로 개방된 원통형의 회전홈(224)이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패드(230)를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한편, 상기 등받이패드(230)는 2개로 이루어지며, 대략 상하로 긴 유선형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전면에는 쿠션부(231)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등받이패드(230)는 상기 등받이지지대(220)에 서로 모아지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패드(230)는 상기 좌판(210) 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패드(230)는 상기 등받이지지대(220)에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패드(230)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연결대(23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232)의 선단에는 상기 회전홈(224)에 삽입되는 회전축(23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등받이지지대(220)가 상기 좌판(210)의 후방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등받이패드(23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작업자가 등을 기대고 있을 때 허리와 등을 골고루 지지하여 작업자의 허리에 부담을 줄이고, 이로 인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좌석유닛(200)은 상기 승강유닛(300)에 의해 상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승강유닛(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310)와 피스톤(320) 및 레버(330)로 구성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레버(330)를 당기면 하강하게 되고, 착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레버(330)를 당기면 상승하게 되는 일반적인 의자의 승강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보조지지유닛(400)은 후술할 상기 슬라이드유닛(500)과 상기 좌석유닛(200)의 후방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보조실린더(410)와 보조피스톤(4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실린더(410)는 하단이 상기 연결프레임(130)에 장착되고, 상단에는 상기 보조피스톤(420)이 삽입 장착된다.
상기 보조피스톤(420)은 하단이 상기 보조실린더(410)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실린더(410)를 따라 상하 이동되게 장착되고, 상단은 후술할 상기 슬라이드유닛(500)에 고정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보조지지유닛(400)은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드유닛(500)의 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유닛(500)의 후방 양측에 상기 보조지지유닛(40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승강유닛(300)에 의한 상기 슬라이드유닛(500)과 상기 좌석유닛(200)의 상하 이동을 좀더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안전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유닛(500)은 상기 좌석유닛(20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가이드레일(510), 이동판(520), 걸림부재(530) 및 탄성부재(5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일(510)은 사각형의 납작한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유닛(300)의 피스톤(320)의 상단과 상기 보조지지유닛(400)의 보조피스톤(420) 상단에 고정 장착되어 상하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510)은 좌우 양단이 'ㄷ'와 같이 절곡되어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된 레일부(5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레일부(511)에는 상기 이동판(520)의 양단이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된다.
또한, 상기 레일부(511)에 측면에는 상기 걸림부재(530)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걸림공(512)이 개방 형성된다.
상기 걸림공(512)은 원형 형상이며, 상기 이동판(5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된다.
상기 이동판(520)은 사각형의 납작한 판 형상이며, 상기 레일부(511)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판(520)의 상부에는 상기 좌석유닛(200)이 고정 장착되어 함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한편, 상기 걸림부재(530)는 원통형 형상이며, 상기 걸림공(512) 방향의 선단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상기 이동판(520)의 후방 측부에 삽입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부재(530)는 상기 탄성부재(540)에 의해 상기 걸림공(512)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부재(540)는 코일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걸림부재(53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탄성부재(540)에 의해 선단이 상기 걸림공(512)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판(520)이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을 주어 상기 이동판(520)을 밀었을 때 상기 탄성부재(540)를 압축하며 상기 걸림공(512)에서 이탈하였다가 이웃한 다른 상기 걸림공(512)에 다시 삽입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는 상기 승강유닛(300)과 상기 좌석유닛(20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좌석유닛(20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유닛(500)이 구비됨으로써, 작업자에 따라 상기 좌석유닛(20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작업을 편안한 자세로 할 수 있어 작업자의 허리 부담을 감소시키고, 이노 인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이동판(520)에 상기 탄성부재(540)에 의해 상기 걸림공(512)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걸림부재(53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이동판(520)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좌석유닛(200)은 상기 등받이지지대(220)가 전후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되고, 상기 등받이패드(230)가 좌우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됨으로써, 작업자의 허리와 등을 전체적으로 골고루 받쳐주어 작업자의 허리를 편안하게 하고, 이로인해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10 : 제1선반 120 : 제2선반
130 : 연결프레임 140 : 서랍장
200 : 좌석유닛 210 : 좌판
211 : 쿠션부 212 : 연결브라켓
220 : 등받이지지대 221 : 회전핀
222 : 토션스프링 223 : 연결구
224 : 회전홈 230 : 등받이패드
231 : 쿠션부 232 : 연결대
300 : 승강유닛 400 : 보조지지유닛
410 : 보조실린더 420 : 보조피스톤
500 : 슬라이드유닛 510 : 가이드레일
511 : 레일부 512 : 걸림공
520 : 이동판 530 : 걸림부재
540 : 탄성부재

Claims (5)

  1. 좌우 이격 배치되며 연결프레임(130)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제1선반(110) 및 제2선반(120);
    상기 제1선반(110)과 제2선반(120) 사이에 배치되는 좌석유닛(200);
    상기 연결프레임(130)에 장착된 실린더(310)와, 상기 실린더(310)에 구비되며 상단에 상기 좌석유닛(200)이 결합된 피스톤(320) 및 상기 실린더(31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피스톤(320)을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승강시키는 레버(330)를 포함하여 상기 좌석유닛(200)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300)
    상기 승강유닛(300)과 상기 좌석유닛(20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좌석유닛(20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유닛(500); 을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유닛(500)은,
    상기 승강유닛(300)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며,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된 레일부(511)가 형성된 가이드레일(510);
    상기 가이드레일(51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부에 상기 좌석유닛(200)이 장착되는 이동판(5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511)에는 상기 이동판(5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걸림공(512)이 이격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520)의 측부에는 탄성부재(540)와, 상기 탄성부재(540)에 의해 상기 걸림공(512)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걸림부재(5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유닛(200)은,
    상기 승강유닛(300)의 상부에 장착되며, 후방 양측에 각각 연결브라켓(212)이 구비된 좌판(210);
    상기 연결브라켓(212)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등받이지지대(220);
    상기 등받이지지대(220)의 전방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등받이패드(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130)에 장착된 보조실린더와, 상기 보조실린더를 따라 상하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드유닛(500)과 연결되는 보조피스톤으로 이루어진 보조지지유닛(40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
KR2020140006141U 2014-08-18 2014-08-18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 KR200477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141U KR200477641Y1 (ko) 2014-08-18 2014-08-18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141U KR200477641Y1 (ko) 2014-08-18 2014-08-18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641Y1 true KR200477641Y1 (ko) 2015-07-03

Family

ID=5379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141U KR200477641Y1 (ko) 2014-08-18 2014-08-18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6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521A (ko) 2016-11-29 2016-12-20 주식회사 동양봉제기계 재봉작업용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128Y1 (ko) * 1990-03-19 1992-07-27 이규상 회전 및 전후 이동가능한 의자
KR930004459B1 (ko) * 1991-03-22 1993-05-27 박재진 안락의자의 시트 및 머리받이 가변장치
KR200331391Y1 (ko) * 2003-06-27 2003-10-30 이영애 보조받침대를 갖는 의자
KR100686700B1 (ko) * 2005-03-28 2007-03-02 임지선 장애인 이동이 용이한 좌식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128Y1 (ko) * 1990-03-19 1992-07-27 이규상 회전 및 전후 이동가능한 의자
KR930004459B1 (ko) * 1991-03-22 1993-05-27 박재진 안락의자의 시트 및 머리받이 가변장치
KR200331391Y1 (ko) * 2003-06-27 2003-10-30 이영애 보조받침대를 갖는 의자
KR100686700B1 (ko) * 2005-03-28 2007-03-02 임지선 장애인 이동이 용이한 좌식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521A (ko) 2016-11-29 2016-12-20 주식회사 동양봉제기계 재봉작업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93857B (zh) 可调节的活动靠背座椅
EP2490574B1 (en) Adjustable furniture
US9193064B2 (en) Personal positioning creeper
CN102846068B (zh) 一种转椅底盘
US8851563B2 (en) Furniture fitting system
CN102599746A (zh) 一种办公用休闲椅
JP2013208264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WO2015106478A1 (zh) 一种沙发伸缩装置
KR20090013952A (ko) 자세교정의자
KR20130091812A (ko) 적재 물품의 높이가 자동 조절되는 적재 테이블
KR200477641Y1 (ko) 허리보호를 위한 봉제 안전의자
JP6689098B2 (ja) 移乗支援装置
KR20160145521A (ko) 재봉작업용 의자
US2922463A (en) Combination chair-table device
US11219564B2 (en) Electric bed
CN211092824U (zh) 椅具单元及椅具
CN107199927B (zh) 一种扶手调节装置及具有扶手调节装置的工程车辆
CN102846067B (zh) 一种转椅靠背锁定机构
KR101369405B1 (ko) 포워드 슬로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200479799Y1 (ko) 굴삭기용 운전석 팔걸이
US20210298478A1 (en) A drive mechanism
CN210520540U (zh) 站立工作椅的座垫防脱落机构
CN211092812U (zh) 高安全性坐站工作椅
KR200362853Y1 (ko) 다용도 의자
CN113311916B (zh) 可移动防倾倒的电脑机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