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418Y1 -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 - Google Patents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418Y1
KR200477418Y1 KR2020130008684U KR20130008684U KR200477418Y1 KR 200477418 Y1 KR200477418 Y1 KR 200477418Y1 KR 2020130008684 U KR2020130008684 U KR 2020130008684U KR 20130008684 U KR20130008684 U KR 20130008684U KR 200477418 Y1 KR200477418 Y1 KR 2004774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mpeller
casing
auxiliary tank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654U (ko
Inventor
신성희
Original Assignee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한일전기그룹 주식회사
한일전기 주식회사
신한일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한일전기그룹 주식회사, 한일전기 주식회사, 신한일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8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418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6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6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4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4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9/00Priming; Preventing vapour lock
    • F04D9/02Self-priming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탱크로 유입된 기수혼합액이 기수분리부재에 접하는 과정에서 유속이 더욱 저하되어 기수분리가 원활히 이루어짐에 따라 자흡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는,
임펠러를 수용하는 임펠러수용실이 마련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외부로부터 임펠러수용실로의 유체 유동을 위한 흡입관;
상기 임펠러수용실로부터 케이싱 외부로의 유체 유동을 위한 토출관;
상기 임펠러수용실과 토출관 사이에 저수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탱크 내에 복수의 돌출편이 형성된 기수분리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self priming pump}
본 고안은 자흡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적 차에 의해 케이싱 내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물의 흐름이 느린 보조탱크 내에 기수분리부재가 마련됨으로써 보조탱크로 유입된 기수혼합액이 기수분리부재에 접하는 과정에서 유속이 더욱 저하되어 기수분리가 원활히 이루어짐에 따라 자흡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에 관한 것이다.
유체의 수송 수단으로 다양한 종류의 펌프가 이용되고 있다.
한편, 펌프는 자흡 여부에 따라 비자흡식펌프와 자흡식펌프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비자흡펌프의 경우 흡입관 내의 공기를 자체 배출할 수 없는바, 케이싱 및 흡입관 내부가 반드시 물로 채워져 있어야만 펌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비자흡펌프의 경우 펌프 운전 정지시에도 케이싱 및 흡입관 내부가 물로 채워질 수 있도록 흡입관 내의 누수를 방지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비자흡펌프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공개특허 제10-2004-0106935호(공개일 2004. 12. 20)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자흡펌프가 이용되고 있다.
자흡펌프의 경우 자체적으로 흡입관 내의 공기를 펌핑하여 배출하는바, 별도의 외부 장치 없이 흡입관을 통해 물을 끌어올릴 수 있는 것이었다.
이때, 자흡펌프는 흡입관 내의 공기가 케이싱 내부의 마중물과 혼합되어 토출되며 자흡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자흡펌프의 경우 케이싱으로부터 마중물과 혼합된 공기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자흡 성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자칫 자흡 불능에 이르게 되어 펌핑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펌프 운전중에 케이싱 내부의 기수혼합액 즉, 마중물과 공기의 혼합액으로부터 기수분리 즉, 마중물과 혼합된 공기의 분리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흡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자흡 펌프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케이싱 내부의 기수혼합액으로부터 기수분리가 원활하지 못하여 자흡 성능이 저하되거나 자흡 불능에 이르게 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는,
임펠러를 수용하는 임펠러수용실이 마련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외부로부터 임펠러수용실로의 유체 유동을 위한 흡입관;
상기 임펠러수용실로부터 케이싱 외부로의 유체 유동을 위한 토출관;
상기 임펠러수용실과 토출관 사이에 저수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탱크 내에 복수의 돌출편이 형성된 기수분리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에는 토출관 상부로 이어지는 격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의 격벽 일측면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에는 역류방지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탱크에는 개폐 가능한 물투입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수분리부재의 돌출편은 종방향 및 횡방향 및 사선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수분리부재의 일부 돌출편에는 케이싱의 격벽에 마련되는 홈에 끼워지는 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는 보조탱크 내에 복수의 돌출편이 형성된 기수분리부재가 마련된 것인바, 상대적으로 용적이 큰 케이싱의 임펠러수용실로부터 상대적으로 용적이 작은 보조탱크로 향하며 유속이 떨어지게 되는 기수혼합액이 기수분리부재의 돌출편과 접촉함에 따른 저항으로 인하여 더욱 더디게 유동하게 되므로 유속 감소에 따라 기수분리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어 자흡 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에서 기수분리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에서 기수분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A)는 케이싱(10)과, 흡입관(20)과, 토출관(30)과, 보조탱크(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0)은 임펠러(11)를 수용하는 임펠러수용실(12)이 마련된 것이다.
케이싱(10)에 임펠러(11)를 수용하는 임펠러수용실(12)이 마련됨으로써 임펠러(11) 회전에 따른 압력 발생에 의해 펌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케이싱(10)에는 토출관(30) 상부로 이어지는 격벽(13)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10)에 토출관(30) 상부로 이어지는 격벽(13)이 마련됨으로써 임펠러수용실(12) 내부의 물이 격벽(13) 상단에 미치지 못할 경우 토출관(30)을 통한 외부 유출이 차단되므로 임펠러수용실(12) 내에 항상 일정량의 물이 잔존할 수 있게 되어 임펠러(11) 회전시 공회전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격벽(13) 일측면에는 홈(도면부호 미표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13) 일측면에 홈이 형성됨으로서 후술하는 기수분리부재(50)의 일부 돌출편(51)에 형성되는 돌기(도면부호 미표시)가 격벽(13)의 홈에 끼워짐에 따라 격벽(13)과 기수분리부재(5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입관(20)은 케이싱(10) 외부로부터 임펠러수용실(12)로의 유체 유동을 위한 것이다.
케이싱(10) 외부로부터 임펠러수용실(12)로의 유체 유동을 위한 흡입관(20)이 마련됨으로써 흡입관(20)을 통해 케이싱(10) 외부의 물이 임펠러수용실(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흡입관(20)에는 역류방지변(2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관(20)에 역류방지변(21)이 마련됨으로써 역류방지변(21)을 통해 임펠러수용실(12)로부터의 물이 흡입관(20)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역류방지변(21)은 임펠러수용실(12) 내부의 물이 흡입관(20)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므로 역류방지변(21)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 토출관(30)은 임펠러수용실(12)로부터 케이싱(10) 외부로의 유체 유동을 위한 것이다.
임펠러수용실(12)로부터 케이싱(10) 외부로의 유체 유동을 위한 토출관(30)이 마련됨으로써 토출관(30)을 통해 임펠러수용실(12) 내부의 물이 케이싱(10)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토출관(30)은 일반 자흡펌프의 토출관과 동일한 것이므로 토출관(3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 보조탱크(40)는 임펠러수용실(12)과 토출관(30) 사이에 저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보조탱크(40)에는 개폐 가능한 물투입구(41)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탱크(40)에 개폐 가능한 물투입구(41)가 마련됨으로써 펌프 초기 가동의 경우와 같이 케이싱(10) 내부의 임펠러수용실(12)에 물이 미충전된 경우 보조탱크(40)의 물투입구(41)를 개방하고 물을 투입함으로써 임펠러수용실(12) 내부에 물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물투입구(41)의 개방은 마개(도면부호 미표시)를 개방함으로써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인바, 물투입구(41)의 개방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한편, 보조탱크(40)에는 복수의 돌출편(51)이 형성된 기수분리부재(5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탱크(40)에 복수의 돌출편(51)이 형성된 기수분리부재(50)가 마련됨으로써 케이싱(10)의 임펠러수용실(12)로부터 토출관(30)으로 향하는 기수혼합액 즉, 마중물과 공기(100)의 혼합액이 보조탱크(4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기수분리부재(50)의 돌출편(51)과 접촉함에 따른 저항으로 인하여 유속이 저하되므로 기수분리 즉, 마중물에 포함된 공기(100)의 분리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기수분리부재(50)에 형성된 돌출편(51)은 종방향 및 횡방향 및 사선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수분리부재(50)에 형성된 돌출편(51)이 종방향 및 횡방향 및 사선방향으로 마련됨으로써 임펠러수용실(12)로부터 토출관(30)으로 향하는 기수혼합액이 다양한 방향에서 돌출편(51)과 접촉하게 되므로 기수혼합액 전체의 유속이 균일하게 저하될 수 있어 기수분리가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수분리부재(50)의 일부 돌출편(51)에는 돌기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수분리부재(50)의 일부 돌출편(51)에 돌기가 마련됨으로써 기수분리부재(50의 일부 돌출편(51)에 마련되는 돌기가 케이싱(10)의 격벽(13)에 마련되는 홈에 끼워짐에 따라 기수분리부재(50)와 격벽(13)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보조탱크(40) 내에서 기수분리부재(50)의 유동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A)에서의 기수분리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케이싱(10)의 내부에는 임펠러(11)가 수용되는 임펠러수용실(12)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임펠러(11) 회전하게 되면 흡입관(20)을 통한 물 유입에 앞서 흡입관(20) 내의 공기(100)가 흡입되어 임펠러수용실(12)을 거쳐 토출관(30)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임펠러수용실(12) 내에는 마중물이 고여있는바, 임펠러(11) 회전에 의해 흡입된 흡입관(20) 내의 공기(100)는 마중물과 혼합 즉, 기수혼합액이 되어 토출관(30)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임펠러수용실(12)과 토출관(30) 사이에는 저수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탱크(4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임펠러수용실(12)로부터 토출관(30) 측으로 유동하는 기수혼합액은 보조탱크(40)의 저수 공간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보조탱크(40)의 저수 공간 용적은 임펠러수용실(12)의 용적에 비해 작은바, 보조탱크(40)로 유입되는 기수혼합액의 유속이 저하되며 마중물에 포함된 공기(100)의 분리 즉, 기수분리가 시작된다.
더불어, 본 고안의 보조탱크(40)에는 복수의 돌출편(51)이 형성된 기수분리부재(5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탱크(40)로 유입되는 기수혼합액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수분리부재(50)의 각 돌출편(51)과 접촉함에 따른 저항으로 인하여 유속이 더욱 저하되는바, 기수분리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기수분리부재(50)에 형성되는 돌출편(5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및 횡방향 및 사선방향으로 마련된 것이다.
따라서, 임펠러수용실(12)로부터 토출관(30) 측으로 향하는 기수혼합액이 다양한 방향에서 돌출편(51)과 접촉하게 되므로 기수혼합액 전체의 유속이 균일하게 저하될 수 있어 기수분리가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보조탱크(40)로 유입되는 기수혼합액이 기수분리부재(50)에 형성된 돌출편(51)과 접촉하며 유속이 저하되어 기수분리가 원활해짐으로써 자흡 성능 저하나 자흡 불능의 방지는 물론 자흡 성능의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본 고안에 의한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A)를 통한 물 펌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A)는 보조탱크(40) 내에 복수의 돌출편(51)이 형성된 기수분리부재(50)가 마련된 것인바, 상대적으로 용적이 큰 케이싱(10)의 임펠러수용실(12)로부터 상대적으로 용적이 작은 보조탱크(40)로 향하며 유속이 떨어지게 되는 기수혼합액이 기수분리부재(50)의 돌출편(51)과 접촉함에 따른 저항으로 인하여 더욱 더디게 유동하게 되므로 유속 감소에 따라 기수분리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어 자흡 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케이싱 11 : 임펠러
12 : 임펠러수용실 13 : 격벽
20 : 흡입관 21 : 역류방지변
30 : 토출관 40 : 보조탱크
41 : 물투입구 50 : 기수분리부재
51 : 돌출편 100 : 공기
A : 자흡펌프

Claims (7)

  1. 임펠러를 수용하는 임펠러수용실이 마련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외부로부터 임펠러수용실로의 유체 유동을 위한 흡입관; 상기 임펠러수용실로부터 케이싱 외부로의 유체 유동을 위한 토출관; 상기 임펠러수용실과 토출관 사이에 저수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탱크;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탱크 내에 복수의 돌출편이 형성된 기수분리부재를 마련하며,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토출관 상부로 이어지는 격벽을 마련하되, 상기 격벽의 일측면에는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에는 역류방지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에는 개폐 가능한 물투입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수분리부재의 돌출편은 종방향 및 횡방향 및 사선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수분리부재의 일부 돌출편에는 케이싱의 격벽에 마련되는 홈에 끼워지는 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
KR2020130008684U 2013-10-22 2013-10-22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 KR2004774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684U KR200477418Y1 (ko) 2013-10-22 2013-10-22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684U KR200477418Y1 (ko) 2013-10-22 2013-10-22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654U KR20150001654U (ko) 2015-04-30
KR200477418Y1 true KR200477418Y1 (ko) 2015-06-05

Family

ID=53038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684U KR200477418Y1 (ko) 2013-10-22 2013-10-22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4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972A (ko) 2021-02-03 2022-08-10 한일전기 주식회사 기수 분리가 개선되는 자흡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363A (ko) 2020-08-28 2022-03-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추진장치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550Y1 (ko) * 1990-05-31 1992-07-03 주식회사 금성사 펌프의 자흡개선장치
JP2539643B2 (ja) * 1987-11-17 1996-10-02 株式会社芝浦製作所 自吸式ポンプ
JP2005248901A (ja) * 2004-03-05 2005-09-15 Ebara Corp 自吸式ポンプ及び自吸式ポン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9643B2 (ja) * 1987-11-17 1996-10-02 株式会社芝浦製作所 自吸式ポンプ
KR920004550Y1 (ko) * 1990-05-31 1992-07-03 주식회사 금성사 펌프의 자흡개선장치
JP2005248901A (ja) * 2004-03-05 2005-09-15 Ebara Corp 自吸式ポンプ及び自吸式ポン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972A (ko) 2021-02-03 2022-08-10 한일전기 주식회사 기수 분리가 개선되는 자흡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654U (ko)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418Y1 (ko)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
US20130067654A1 (en) Pool water treatment device with simplified hydraulic priming, and pool equipped with such a device
JP2018526573A5 (ko)
TWM589241U (zh) 再生式泵
JP6158106B2 (ja) ポンプ装置
TWM523767U (zh) 高位儲水引導裝置及自吸泵
TWI612220B (zh) 自吸泵
US20120207590A1 (en) Anti-airlock pump
CN106286311B (zh) 回水孔可自动关闭的自吸离心泵
JP2007040155A (ja) 自吸式ポンプ
CN207500144U (zh) 一种防回流潜水泵
JP2015143476A (ja) ポンプ装置
ITPD20120344A1 (it) Tappo da far cooperare con un otturatore di valvola per elettropompa autoadescante
JP6014522B2 (ja) 自吸式ポンプ
CN209195728U (zh) 一种简易式快速自吸泵
JP2014190220A (ja) ウェスコ型電動ポンプ
US20140134021A1 (en) Pump for a Domestic Appliance
CN105240282A (zh) 一种具有防回流悬浮球的自吸泵
JP2014190292A (ja) ウェスコ型電動ポンプ
KR101289519B1 (ko) 어류 이송 펌프
KR20130001126U (ko) 체크밸브가 구비된 진공펌프
CN210317786U (zh) 一种有效提升自吸性能的装置
KR101355209B1 (ko) 체크밸브 일체형 진공펌프
JP4617920B2 (ja) 自吸式電気ポンプ
CN220354142U (zh) 一种离心泵汽蚀抑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