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363A - 선박 추진장치 모듈 - Google Patents

선박 추진장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363A
KR20220030363A KR1020200109198A KR20200109198A KR20220030363A KR 20220030363 A KR20220030363 A KR 20220030363A KR 1020200109198 A KR1020200109198 A KR 1020200109198A KR 20200109198 A KR20200109198 A KR 20200109198A KR 20220030363 A KR20220030363 A KR 20220030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unit
hull
housing
ship prop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신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9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0363A/ko
Publication of KR20220030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선박 추진장치 모듈이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장치 모듈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선체에 장착 또는 선체로부터 분리되는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선체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쓰러스터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추진장치 모듈{PROPULSION MODULE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 추진장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선박 추진장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는 선박의 추진력을 제공하거나 또는 동적 위치 조절을 위해 추진장치가 구비된다. 추진장치는 선체의 다양한 부분에 마련될 수 있으며, 그 필요에 따라 다양한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 추진장치는 선체와 연결되기 위한 바디와,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펠러와, 프로펠러를 감싸는 덕트 등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선박 추진장치는 선박이 해상에 부유된 상태에서 설치가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선박 건조시 육상에서 설치되도록 한다.
한편, 선박 건조시 육상에서 선박 추진장치를 선체에 설치 또는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다소 복잡한 공정이 수행되었다.
한편, 위와 같은 선박 추진장치를 선체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다소 복잡한 공정이 수행되었다. 선박 추진장치가 선박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우선 선박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야 하며, 이후 선박 추진장치를 유압기 등을 이용하여 결합 지점으로 승강시켜야 했다.
그러나 선박 추진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선박은 최소한 선박 추진장치의 높이만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야 하고, 이에 더해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선박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야 했다.
한편, 선박이 지면으로부터 과도하게 이격된 상태에서 선박 추진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설치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유압기를 통해 선박 추진장치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설치 작업을 지지하기 때문에, 선박 추진장치가 들어올려진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하중지지대 등이 필요하였다.
아울러, 선박 추진장치가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높이 방향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풍하중이나 기타 외부 요인으로 인해 선박 추진장치 및 이를 지지하는 하중지지대 등이 전도 또는 전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1654호(2015.04.30 공개)
본 실시 예는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선박 추진장치 모듈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선체에 장착 또는 선체로부터 분리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선체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쓰러스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선체의 구동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상방을 폐쇄하는 상면; 상기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하방을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는 하면; 및 상기 상면 및 하면을 연결하며, 상기 수용공간의 측방을 둘러싸는 복수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상면 중 전방부 측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쓰러스터부는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거나 또는 상기 레일부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구동부와 동력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체의 추진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면이 전개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하방이 개방되고, 상기 프로펠러부가 전개되는 경우, 상기 바디부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되며, 상기 구동부와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펠러부는 상기 바디부에 대해 회동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하단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는 후단부가 상기 복수의 측면 중 후방에 위치된 측면에 결합되며, 전단부가 상기 복수의 측면 중 전방에 위치된 측면에 결합되고, 일측단부가 상기 복수의 측면 중 일측방에 위치된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경우, 상기 쓰러스터부의 높이 방향 및 횡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는 타측단부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된 플랜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단 또는 하단을 가압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단을 가압하는 수직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쓰러스터부는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거나 또는 상기 레일부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구동부와 동력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내장되거나 또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바디부의 하방으로 돌출되며, 선체의 추진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선박 추진장치 모듈은 선박에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선박 추진장치 모듈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통해서도 선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선체에 결합 공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선박 추진장치 모듈은 선박 건조시, 선박을 지면으로부터 과도하게 이격시키지 않고, 이에 따라 작업의 용이성 및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장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장치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장치 모듈의 레일부 및 레일부에 결합되는 바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장치 모듈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장치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장치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장치 모듈의 레일부 및 레일부에 결합되는 바디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장치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장치 모듈(100)은 내부에 수용공간(125)이 형성되며, 선체(미도시)에 장착 또는 선체로부터 분리되는 하우징(120)과, 수용공간(125)에 마련되며, 하우징(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레일부(140) 및 레일부(140)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선체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쓰러스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하우징(120)은 내부에 수용공간(125)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0)의 수용공간(125)에는 레일부(140) 및 레일부(14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쓰러스터부(160)가 내장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선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은 선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선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선박 추진장치 모듈(100)은 하우징(120)이 선체에 장착되거나 또는 분리됨으로써, 선박 추진장치 모듈(100)이 선체에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하우징(120)은 선체와 동일한 재질 또는 동종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종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우징(120)은 상면(121)과, 하면(123)과, 상면(121) 및 하면(123)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을 포함할 수 있다. 일 례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은 내부에 수용공간(125)이 형성되며, 수용공간(125)의 측방을 둘러싸는 측면(122a, 122b, 122c, 122d)이 4개가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은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20)의 상면(121)은 선체의 구동부(R)가 삽입되는 삽입부(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21a)는 선체의 구동부(R)가 삽입되며, 선체의 구동부(R)는 쓰러스터부(160)의 프로펠러부(164)로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삽입부(121a)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 상면(121) 중 일측에 마련되며, 삽입부(121a)는 선체의 구동부(R)가 삽입되어 수용공간(125)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도면부호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례로, 구동부(R)는 선박에 마련된 모터 등과 같은 액츄에이터(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부(R)는 내부에 액츄에이터의 회전력을 쓰러스터부(160)로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의 샤프트 또는 복수의 기어들이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R)는 액츄에이터의 회전력을 샤프트 또는 기어 등과 같은 기구적인 장치들을 통해 쓰러스터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례로, 구동부(R)는 선박에 마련된 배터리 등과 같은 전력공급원(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부(R)는 내부에 전력공급원의 전력을 쓰러스터부(160)로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의 케이블 등이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R)는 전력공급원의 전력을 케이블 등과 같은 장치들을 통해 쓰러스터부(16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쓰러스터부(160)는 공급받은 전력으로 쓰러스터부(160) 내부에 내장된 모터 등을 동작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하우징(120)의 상면은 수용공간(125)의 상방을 폐쇄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20)의 상면(121) 및 하우징(120)의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은 본 발명의 선박 추진장치 모듈이 선체에 장착되는 경우 선체와 결합되는 부위를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120)의 상면(121) 및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은 선체의 하부에 용접 결합 또는 볼팅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20)의 하면(123)은 하우징(120)의 상면(121)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며, 수용공간(125)의 하방을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20)의 하면은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 중 어느 하나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우징(120)의 하면은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 중 어느 하나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20)의 하면(123)은 회전축(미도시)을 통해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 중 어느 하나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의 하면은 하우징(120)의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 중에서 레일부(140)가 결합되는 측면(122c)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용공간(125)의 하방을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할 수 있는 다른 측면(122a, 122b, 122d)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3과 같이 일 례로, 하우징(120)의 하면(123)은 전개시 결합된 측면(122c)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동되며, 이에 따라 수용공간(125)의 하방을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도 2와 같이 하우징(120)의 하면은 미전개시 수용공간(125)의 하방을 폐쇄할 수 있다.
하우징(120)은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이 구비될 있다. 하우징(120)의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은 각각 하우징(120)의 상면(121) 및 하면(123)을 연결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의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은 하우징(120)의 상면(121) 및 하면(123)의 외측단부들을 연결할 수 있으나,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의 결합 위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은 수용공간의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3에서는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 중 어느 하나(122d)가 미도시된 상태이며, 미도시된 측면(122d)은 도 4에 도시되었다.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은 수용공간(125)의 측방을 둘러싸며, 수용공간(125)의 측방을 폐쇄할 수 있다. 하우징(120)은 하우징(120)의 하면(123)이 미전개된 경우, 하우징(120)의 상면(121) 및 하면(123)과,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이 수용공간(125)을 외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수용공간(125)을 폐쇄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은 도시된 바와 같이 4개가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용공간(125)에 레일부(140) 및 쓰러스터부(160)가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이 4개로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하우징(120) 상면(121)의 삽입부(121a)는 하우징(120) 상면(121) 중 전방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3에 기재된 전방 및 후방에 대한 기재는 본 발명의 선박 추진장치 모듈(100)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선박 추진장치 모듈(100)의 권리범위를 어떠한 방향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도 3과 같이 쓰러스터부(16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하우징(120) 상면(121) 중 전방부 측에 형성된 삽입부(121a)를 통해 삽입된 선체의 구동부(R)와 쓰러스터부(160)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선체의 구동부(R)와 쓰러스터부(160)의 바디부(162)가 동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레일부(140)는 수용공간(125) 내에서 후단부(142)가 전단부(141)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즉, 레일부(140)는 하우징(120) 내부에 수용공간(125) 내에서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레일부(140)는 하우징(120)과 동일 재질 또는 동종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종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레일부(140)는 하우징(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140)의 전단부(141) 및 후단부(142)는 각각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 중 서로 대향하는 한 쌍(122a, 122b)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쓰러스터부(160)는 레일부(140)를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거나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일부(140)는 수용공간(125) 내에서 후단부(142)가 전단부(141)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20)의 하면(123)이 전개되어 수용공간(125)의 하방이 개방되는 경우, 쓰러스터부(160)는 레일부(140)를 따라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러스터부(160)는 하우징(120)의 하면(123)이 전개되지 않아 수용공간(125)의 하방이 폐쇄되는 경우, 쓰러스터부(160)는 수용공간(125) 내에서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러스터부(160)는 하우징(120)의 하면이 전개되어 수용공간(125)의 하방이 개방되는 경우, 쓰러스터부(160)는 수용공간(125) 내에서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쓰러스터부(160)는 하우징(120)의 수용공간(125) 내에서 레일부(140)의 후단부(142)가 전단부(141)보다 높게 위치되기 때문에 레일부(140)의 전방 측으로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동작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쓰러스터부(160)는 바디부(162)와 프로펠러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62)는 레일부(1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거나 또는 레일부(140)에 체결된 상태에서 레일부(1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62)는 쓰러스터부(16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구동부(R)와 동력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162)와 구동부(R)가 동력적으로 연결된 경우, 바디부(162)를 매개로 구동부(R)의 회전력 또는 전력이 프로펠러부(164)로 전달될 수 있다.
프로펠러부(164)는 바디부(16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펠러부(164)는 회전축(미도시) 등을 통해 바디부(162)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부(164)는 바디부(162)의 외측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프로펠러부(164)의 일부가 바디부(162)의 내부에 내장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프로펠러부(164)는 선체 또는 선박에 대해 위치 이동 또는 동적 위치 조절을 위한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펠러부(164)는 바디부(162)를 매개로 선체의 구동부(R)를 통해 회전력 또는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프로펠러부(164)는 내부에 다수의 기어, 샤프트 또는 모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바디부(162)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프로펠러부(164)의 회전 날개(도면부호 미도시)를 동작시키거나 또는 바디부(162)를 통해 전력을 전달받아 프로펠러부(164)의 회전 날개를 동작시킬 수 있다. 프로펠러부(164)는 공지된 영역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부(164)가 수납되는 경우, 쓰러스터부(160)의 높이는 하우징(120)의 높이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프로펠러부(16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부(16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로펠러부(1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62)를 기준으로 바디부(162)의 측방에 위치되도록 회전되는 경우(수납되는 경우), 쓰러스터부(160)의 높이는 하우징(120)의 높이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쓰러스터부(160)는 하우징(120)의 수용공간(125) 내부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의 하면(123)이 전개되어 수용공간(125)의 하방이 개방되고 프로펠러부(164)가 전개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본다. 이 경우, 바디부(162)는 레일부(140)를 따라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되며, 구동부(R)와 동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프로펠러부(164)는 바디부(162)에 대해 회동되어 바디부(162)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125)의 하단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펠러부(164)가 수용공간(125)의 하단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었으므로, 선박의 운항 또는 동적 위치 조절시 프로펠러부(164)가 해류 상에서 선박에 대해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레일부(140)는 후단부(142)가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 중 후방에 위치된 측면(122b)에 결합되며, 전단부(141)가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 중 전방에 위치된 측면(122a)에 결합되고, 일측단부(143)가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 중 일측방에 위치된 측면(122c)에 결합될 수 있다. 레일부(140)는 후단부(142), 전단부(141) 및 일측단부(143)가 각각 복수의 측면(122b, 122a, 122c)에 용접 결합 또는 볼팅 결합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바디부(162)는 레일부(1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경우, 쓰러스터부(160)의 높이 방향 및 횡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결합부(163)가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와 같이 레일부(140)는 하우징(120) 측면(122c)에 결합된 일측단부(143)와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타측단부(도면부호 미도시)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된 플랜지부(145a, 145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63)는 레일부(140)의 플랜지부(145a, 145b)의 상단 또는 하단을 가압하는 수평부(163a) 및 수평부(163a)에서 연장되어 플랜지부(145a, 145b)의 일측단을 가압하는 수직부(163b)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바디부(162)의 결합부(163)는 레일부의 플랜지부(145a, 145b)의 상단 및 하단과, 일측단을 가압함으로써 바디부(162) 및 바디부(162)를 구비한 쓰러스터부(160)가 높이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수평부(163a)는 바디부(162)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수직부(163b)는 수평부(163a)에 대해 수직부(163b)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평부(163a)는 바디부(162)에 대해 랙 앤 피니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수직부(163b)는 바디부(162)에 대해 랙 앤 피니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수평부(163a) 및 수직부(163b)의 결합 방식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평부(163a) 및 수직부(163b)가 슬라이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바디부(162)가 레일부(140)에 체결되는 경우에는 도 4에 실선과 같이 수직부(163b) 및 수평부(163a)가 배치되며, 바디부(162)가 레일부(140)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도 4에 점선과 같이 수직부(163b) 및 수평부(163a)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162)가 레일부(140)에 체결되는 경우 쓰러스터부(160)가 높이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쓰러스터부(16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수직부(163b) 및 수평부(163a)가 도 4의 점선과 같이 배치되어 쓰러스터부(160)를 레일부(14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선박 추진장치 모듈(100)은 스토퍼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스토퍼부(180)는 복수의 측면(122a, 122b, 122c, 122d) 중 레일부(140)의 전단부(141)가 결합되는 측면(122a)에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부(180)는 하우징(120)의 측면(122a)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스토퍼부(180)는 하우징(120)과 동일 재질 또는 동종 재질로 제작되거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종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180)는 하우징(120)의 측면(122a)에 용접 결합 또는 볼팅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부(18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일 례로,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부(180)는 2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스토퍼부(180)는 쓰러스터부(160)가 레일부(140)를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쓰러스터부(160)가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즉, 쓰러스터부(160)는 레일부(140)의 경사를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더라도, 스토퍼부(180)에 의해 이동거리가 제한되어 스토퍼부(180)와 쓰러스터부(160)가 접촉되는 지점 이상으로는 슬라이딩될 수 없다.
쓰러스터부(160)는 스토퍼부(180)에 의해 레일부(140) 상에서 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쓰러스터부(16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스토퍼부(180)에 의해 정지되는 지점에서 바디부(162)와 삽입부(121a)를 통해 삽입되는 구동부(R)와 연결될 수 있다. 스토퍼부(180)는 쓰러스터부(160)가 전방으로 계속 슬라이딩되어 하우징(120)의 측면(122a)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쓰러스터부(160)의 바디부(162)가 선체의 구동부(R)와 연결할 수 있도록 쓰러스터부(1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스토퍼부(180)는 텔레스코픽 구조로 마련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20) 상면(121)에 삽입부(121a)의 위치 및 바디부(162)의 외관 크기에 대응하여, 스토퍼부(180)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바디부(162)와 구동부(R)가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장치 모듈(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장치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장치 모듈(100)은 하우징(120)과, 쓰러스터부(160) 및 레일부(140)가 마련된다. 하우징(120), 쓰러스터부(160) 및 레일부(140)는 전술한 도 1 내지 4에서 설명한 하우징(120), 쓰러스터부(160) 및 레일부(14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장치 모듈(100)의 레일부(140)는 제1 레일부(140a) 및 제1 레일부(140a)와 이격된 제2 레일부(140b)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레일부(140)는 서로 이격된 한 쌍(140a, 140b)으로 마련될 수 있다.
쓰러스터부(160)는 바디부(162) 및 프로펠러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바디부(162)는 제1 레일부(140a) 및 제2 레일부(140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거나 또는 제1 레일부(140a) 및 제2 레일부(140b)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62)는 선체의 구동부(R)와 동력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프로펠러부(164)는 선체의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5와 같이 바디부(162)가 한 쌍의 레일부(140a, 140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경우, 바디부(162)는 각각 제1 레일부(140a) 및 제2 레일부(140b)에 체결되어 쓰러스터부(160)의 높이방향 및 횡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한 쌍의 결합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프로펠러부(164)는 바디부(162)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프로펠러부(164)는 바디부(162)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바디부(162)의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선으로 도시된 프로펠러부(164)는 바디부(162)의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며, 점선으로 도시된 프로펠러부(164)는 바디부(162)에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프로펠러부(164)가 바디부(162)에 내장된 상태에서 쓰러스터부(160)의 높이는 하우징(120)의 높이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선체 또는 선박에서 추진장치가 필요한 부분에 선박 추진장치 모듈 자체만 장착하므로 결합 공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종래 추진장치를 선체에 설치하기 위해 추진장치의 높이와, 작업공간의 높이 등을 고려하여 선체를 지면으로부터 과도하게 이격시킴으로써 발생하는 결합 공정의 불편함 및 작업자의 안전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장치 모듈은 선박 추진장치 모듈만을 선체에 직접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선체에 추진장치(쓰러스터부)가 결합되므로 비교적 공정이 용이하다. 또한 선박 추진장치 모듈을 결합시키기 위해 선박 추진장치 모듈의 높이만큼만 선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므로, 작업자의 안전 확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장치 모듈은 선박의 운행시 또는 동적 위치 조절시 하우징의 하면을 개방하여 쓰러스터부의 프로펠러부가 하우징의 수용공간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선박 추진장치 모듈 120 : 하우징
140 : 레일부 160 : 쓰러스터부
180 : 스토퍼부

Claims (8)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선체에 장착 또는 선체로부터 분리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선체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쓰러스터부;를 포함하는 선박 추진장치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선체의 구동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상방을 폐쇄하는 상면;
    상기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하방을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는 하면; 및
    상기 상면 및 하면을 연결하며, 상기 수용공간의 측방을 둘러싸는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는 선박 추진장치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상면 중 전방부 측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높게 위치되는 선박 추진장치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쓰러스터부는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거나 또는 상기 레일부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구동부와 동력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체의 추진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부;를 포함하는 선박 추진장치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이 전개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하방이 개방되고, 상기 프로펠러부가 전개되는 경우,
    상기 바디부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되며, 상기 구동부와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펠러부는
    상기 바디부에 대해 회동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하단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선박 추진장치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후단부가 상기 복수의 측면 중 후방에 위치된 측면에 결합되며, 전단부가 상기 복수의 측면 중 전방에 위치된 측면에 결합되고, 일측단부가 상기 복수의 측면 중 일측방에 위치된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경우, 상기 쓰러스터부의 높이 방향 및 횡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선박 추진장치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타측단부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된 플랜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단 또는 하단을 가압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단을 가압하는 수직부로 마련되는 선박 추진장치 모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쓰러스터부는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거나 또는 상기 레일부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구동부와 동력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내장되거나 또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바디부의 하방으로 돌출되며, 선체의 추진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부;를 포함하는 선박 추진장치 모듈.
KR1020200109198A 2020-08-28 2020-08-28 선박 추진장치 모듈 KR202200303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198A KR20220030363A (ko) 2020-08-28 2020-08-28 선박 추진장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198A KR20220030363A (ko) 2020-08-28 2020-08-28 선박 추진장치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363A true KR20220030363A (ko) 2022-03-11

Family

ID=8081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198A KR20220030363A (ko) 2020-08-28 2020-08-28 선박 추진장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036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654U (ko) 2013-10-22 2015-04-30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654U (ko) 2013-10-22 2015-04-30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기수분리의 개선을 위한 자흡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26299T3 (es) Escalón escamoteable con una función de elevación y de rampa
CN101224758B (zh) 油箱盖模件
KR101304259B1 (ko) 장치캐리어를 구비한 잠수함
JP2008516847A (ja) 引込み可能な車輪を持つ水陸両用車
EP1878835B1 (en) Construction machine
GB2437533A (en) Turbine and support engagement
KR20150088812A (ko) 수중 커넥터 장치를 구비한 모듈식 수력 발전소 및 그 설치 방법
KR20220030363A (ko) 선박 추진장치 모듈
EP1713686B1 (en) Trim apparatus for marine outdrive with steering capability
RU99121175A (ru) Судно из двух частей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нефти в водах с возможным наличием льда
EP3052835A2 (en) Linear actuator
US8113135B2 (en) Device for closing a fuselage connected to a towed submarine object and the appliance thus equipped
CN101509374A (zh) 矿用挖掘机地面随动式电缆收放装置
CA3120603A1 (en) Powered hydrofoil system
CN110932148B (zh) 一种继电保护控制柜
EP0794115B1 (en) Trim adjusting device for planing hull
KR101510371B1 (ko) 차량 엔진 조립용 리프트
CN115234059B (zh) 一种可升降供电的机械立体车位
US8317647B2 (en) Drive unit
CN112357759A (zh) 一种港口大型设备自动锚定装置
EP2253795A2 (en) Drive unit
KR101138100B1 (ko) 특수 차량용 회전식 지지대
NL2015981B1 (en) Fairlead for a mooring leg
CN210126452U (zh) 地埋式充电座壳体组件及地埋式充电系统
KR100295417B1 (ko) 소형선박용 추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