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256Y1 - 드릴 구조 - Google Patents

드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256Y1
KR200477256Y1 KR2020130007649U KR20130007649U KR200477256Y1 KR 200477256 Y1 KR200477256 Y1 KR 200477256Y1 KR 2020130007649 U KR2020130007649 U KR 2020130007649U KR 20130007649 U KR20130007649 U KR 20130007649U KR 200477256 Y1 KR200477256 Y1 KR 200477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outlet
chip
drill
tilt angle
bla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6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866U (ko
Inventor
치우 시-펭
성-하오 치엔 닉
자오 밍-유안
Original Assignee
티씨티 글로벌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씨티 글로벌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티씨티 글로벌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028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8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2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6Drills with lubricating or coo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드릴 구조는 핸들부 및 블레이드부를 포함한다. 블레이드부는 핸들부에 연결되고, 블레이드부의 표면에는 두 개의 칩 배출구가 나선형으로 설치되며, 두 개의 칩 배출구는 드릴 팁으로부터 핸들부를 향하여 교호적으로 연장되고, 블레이드부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 거리 단(distance-variable step)을 포함하되, 두 개의 칩 배출구는 가변 거리 단에서 홈 폭이 변화한다. 블레이드부의 두 개의 칩 배출구의 홈 폭을 조절하여, 드릴 구조의 칩 배출구의 변화성을 증가시키고, 드릴의 전반적인 강성 강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칩 수납공간 및 칩 배출력을 증가시켜, 바람직한 드릴 홀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드릴 구조{DRILL STRUCTURE}
본 고안은 드릴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분적 채널 폭이 점차적으로 변화하는 두 개의 칩 배출구를 가지는 드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의 전기회로는 고밀도와 고정밀도 라인으로 발전하여가고 있다. 드릴가공에서는 이미 초소형 직경의 드릴들이 많이 사용되고, 또한 시장경쟁은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고 품질, 고 수요량 및 신속한 공급을 필요로 하므로 드릴이 고 정밀도, 고 공급속도, 양호한 홀 벽 품질 및 작업도중 부러지지 않는 가공조건에 도달하는 것은 이미 보편적인 기대이자 요구가 되었다. 그 중에서 작업효율을 높이고 제조원가를 낮추기 위해, 인쇄회로기판의 관통홀 드릴 가공은 여전히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겹쳐 관통홀 드릴 가공을 진행하므로 긴 드릴이 필요하며 또한 드릴이 충분한 강도와 신속한 칩 배출기능을 가질 것이 필요하다.
전통적인 드릴의 두 개의 칼날은 대다수가 드릴 축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칩 배출구를 구성하여 칼날에 의해 생긴 칩을 칩 배출구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드릴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면에서와 같이, 드릴구조(100)는 핸들부(110) 및 블레이드부(120)를 포함한다. 블레이드부(120) 표면에 형성된 두 개의 칩 배출구(G1, G2)는 교호식 나선형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대칭되게 설치된다. 또한 두 개의 칩 배출구(G1, G2)의 홈 폭은 동일하며, 칩 배출량의 많고 적음에 따라 칩 배출구의 홈 폭을 조절할 수 없으며, 이는 칩 배출의 원활성에 영향 주며, 드릴 가공 공정에서 칩이 블레이드부(120)와 홀 벽 사이에 끼워져 서로 긁히게 되어 홀벽 질량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US7516686의 도 1에서의 종래의 칼날(10)의 칩 배출구(18)(two flutes 18, 네 번째 칼럼의 마지막으로 두 번째 줄)이다.
또한, 만일 블레이드부(120)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두 개의 나선형 칩 배출구(G1, G2)의 홈 폭은 모두 동일하며 조정할 수 없어, 드릴 구조(100)의 전반적인 강도가 영향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칩 배출구의 밀도가 너무 크면 강도가 부족하게 되어, 블레이드부(120)가 고속으로 회전할 경우 마모 및 손상되는 속도가 빨라지며, 비트가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1. 미국 특허 US7516686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두 개의 칩 배출구의 홈 폭을 조절하여, 드릴 구조의 칩 배출구의 변화성을 증가시키고, 드릴의 전반적인 강도를 높이며, 또한 칩 수용 공간 및 칩 배출력을 보강시키며, 드릴 홀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더 나은 드릴 홀 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드릴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실시예의 드릴 구조는 핸들부 및 블레이드부를 포함한다. 블레이드부는 핸들부에 연결되고, 블레이드부의 표면에는 제 1 칩 배출구 및 제 2 칩 배출구가 나선형으로 설치되며, 제 1 칩 배출구 및 제 2 칩 배출구는 드릴 팁으로부터 핸들부로 향하여 교호적으로 연장되고, 블레이드부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 거리 단(distance-variable step)를 포함하되, 제 1 칩 배출구 및 제 2 칩 배출구는 가변 거리 단에서 홈 폭이 변화한다.
아래에 도면과 결합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여, 본 고안의 목적, 기술내용, 특징 및 본 고안이 달성한 효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블레이드부의 두 개의 칩 배출구의 홈 폭을 조절하여, 드릴 구조의 칩 배출구의 변화성을 증가하고, 드릴의 전반적인 강성 강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칩 수납공간 및 칩 배출력을 증가시켜, 바람직한 드릴 홀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의 드릴 구조의 부분적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드릴 구조의 부분적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드릴 구조의 부분적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드릴 구조의 부분적 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드릴 구조(200)는 핸들부(210) 및 블레이드부(220)를 포함한다. 블레이드부(220)는 핸들부(210)에 연결되고, 제 1 칩 배출구(V1) 및 제 2 칩 배출구(V2)는 나선형으로 설치되고, 제 1 칩 배출구(V1) 및 제 2 칩 배출구(V2)의 드릴 팁(221)은 핸들부(210)를 향해 교호식으로 연장되며, 또한 블레이드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 거리 단(223)을 포함하며, 그 중에서 제 1 칩 배출구(V1) 및 제 2 칩 배출구(V2)의 가변 거리 단(223)의 홈 폭(Dv)이 점차 변화된다. 또한, 가변 거리 단(223) 외에, 블레이드부(220)는 등거리 단(222)을 더 포함한다. 그 중에서, 제 1 칩 배출구(V1) 및 제 2 칩 배출구(V2)는 등거리 단의 홈 폭(Dv)은 변화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블레이드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 거리 단을 구비하는 전제에서, 가변 거리 단과 등거리 단의 수량은 제한을 받지 않으며, 또한 자유롭게 배열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드릴 구조(200)의 블레이드부(220)는 등거리 단(222) 및 가변 거리 단(223)을 구비하되, 제 1 칩 배출구(V1) 및 제 2 칩 배출구(V2)는 등거리 단(222)에서 홈 폭(Dv)이 변화되지 않는다. 제 1 칩 배출구(V1)와 제 2 칩 배출구(V2)는 가변 거리 단(223)까지 연장되어 있고, 홈 폭(Dv)은 핸들부(210)의 방향으로 점차 넓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등거리 단(222)은 좁고 고정된 홈 폭(Dv)을 구비하는 것은 등거리 단(222)이 드릴 구조(200)의 전단이기 때문이다. 즉, 드릴 팁(221)에 인접한 부분은 직접 공작물을 절단하여 대량의 절단 칩을 생성하므로, 집중된 홈이 설치되어 칩을 배출하여 드릴 홀 공정이 원활하도록 할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가변 거리 단(223)은 드릴 구조(200)의 후단에서 핸들부(210)에 인접 위치하였으므로 칩 배출에 대한 영향이 적다. 그러므로 홈 폭(Dv)이 점차 넓어지므로, 홈의 밀도가 감소하고, 드릴 구조(200)의 구조 강도가 보강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홈 폭의 가변식 설계는 사용자를 감안하는 것과 칩 배출 기능 및 드릴 구조의 물리적 강도를 동시에 감안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드릴 구조의 부분적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드릴 구조(300)의 블레이드부(320)는 등거리 단(322), 가변 거리 단(323) 및 또 다른 등거리 단(324)을 포함한다. 즉, 등거리 단(322, 324)과 가변 거리 단(323)은 교호적으로 배열된다. 그 중에서 제 1 칩 배출구(V1′) 및 제 2 칩 배출구(V2′)는 등거리 단(322)에서 홈 폭(Dv′)은 변화되지 않는다. 제 1 칩 배출구(V1′) 및 제 2 칩 배출구(V2′)는 가변 거리 단(323)까지 연장되고, 홈 폭(Dv′)은 핸들부(310)의 방향을 향해 점차 넓어진다. 계속해서 제 1 칩 배출구(V1′) 및 제 2 칩 배출구(V2′)는 등거리 단(324)까지 연장되어 있고, 홈 폭(Dv′)은 다시 변하지 않는다. 이로부터 홈 폭(Dv′)은 등거리 단(322)에서 좁고 밀집해 있으며, 가변 거리 단(323)에서 점차 넓어지고, 등거리 단(324)에서 점차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홈 폭의 가변식 설계는 칩 배출 기능 및 드릴 구조의 물리적 강도를 동시에 감안한다. 그 원리는 이미 앞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여러 가지 방식으로 블레이드부에 가변 거리 단이 형성될 수 있고, 그 중의 한가지는 나선형 경사각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제 1 칩 배출구(V1) 및 제 2 칩 배출구(V2)는 각각 제 1 나선형 경사각(A1) 및 제 2 나선형 경사각(A2)을 구비한다. 제 1 나선형 경사각(A1)은 등거리 단(222)에서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므로 홈 폭(Dv)은 등거리이다. 그러나 제 1 칩 배출구(V1)가 계속 가변 거리 단(223)까지 연장되고, 제 1 나선형 경사각(A1)이 점차 작아지면, 홈 폭(Dv)은 점차 증가한다. 또한 제 1 나선형 경사각(A1) 및 제 2 나선형 경사각(A2)을 변화시키는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양자가 모두 변화 가능하고 또한 하나가 고정되고 다른 하나가 변화되며, 또한 양자의 각도의 변화율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그 중에서, 나선형 경사각도가 변화할 경우, 무단 점진식으로 설계 가능하다. 즉, 나선형 경사각의 변화는 점진식 변화이지, 단순히 나선형 각도의 어느 한 각도로부터 직접 다른 각도로 변화되는 것은 아니다.
홈 폭을 변화시키는 것 외에도 부가로 칩 배출구의 심도(H)(도 2에서의 H와 같이)도 부가로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칩 배출구 및 제 2 칩 배출구는 모두 심도가 점진식 변화하는 구조이다(미도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칩 배출구 및 제 2 칩 배출구의 심도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미도시).
본 고안에서, 드릴 구조의 블레이드부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 거리 단을 구비하는 전제에서, 가변 거리 단과 등거리 단의 수 및 배열방식은 제한을 받지 않는다. 가변 거리 단을 생성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 중 한 가지는 나선형 경사각을 변화하는 것이다. 변화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는다. 즉, 제 1 나선형 경사각과 제 2 나선형 경사각은 동시에 변화할 수 있고 또는 하나가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변화할 수 있다. 그 외에 칩 배출구의 심도도 조절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사상 및 특징을 설명할 뿐이고 당업자가 본 고안의 내용을 더 잘 이해하고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본 고안에서 제시한 사상을 전제로 진행한 균등한 변화 또는 보정은 여전히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100, 200, 300: 드릴 구조
110, 210, 310: 핸들부
120, 220, 320: 블레이드부
221, 321: 드릴 팁
222, 322, 324: 등거리 단
223, 323: 가변 거리 단
A1: 제 1 나선형 경사각
A2: 제 2 나선형 경사각
Dv, Dv′: 홈 폭
H: 심도
G1, V1, V1′: 제 1 칩 배출구
G2, V2, V2′: 제 2 칩 배출구

Claims (10)

  1.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에 연결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부의 표면에는 제 1 칩 배출구 및 제 2 칩 배출구가 나선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 1 칩 배출구 및 상기 제 2 칩 배출구는 드릴 팁으로부터 상기 핸들부로 향하여 교호적(alternatively)으로 연장되고, 상기 블레이드부는 2개의 등거리 단 및 하나의 가변 거리 단을 포함하되, 상기 가변 거리 단은 2개의 등거리 단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 1 칩 배출구 및 상기 제 2 칩 배출구는 상기 등거리 단에서의 홈 폭이 변하지 않고,
    상기 제 1 칩 배출구 및 상기 제 2 칩 배출구는 상기 가변 거리 단에서 홈 폭이 변화하는 드릴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등거리 단은 상기 드릴 팁에 인접하고, 다른 하나의 등거리 단은 상기 핸들부에 인접한 드릴 구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칩 배출구 및 상기 제 2 칩 배출구는 각각 제 1 나선형 경사각 및 제 2 나선형 경사각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나선형 경사각 및 상기 제 2 나선형 경사각 중의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상기 제 1 칩 배출구 및 상기 제 2 칩 배출구가 상기 가변 거리 단에서 홈 폭이 변화되도록 하는 드릴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나선형 경사각 및 상기 제 2 나선형 경사각 중 하나를 고정하는 드릴 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나선형 경사각 및 상기 제 2 나선형 경사각의 각도 변화율이 동일하거나 상이한 드릴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칩 배출구 및 상기 제 2 칩 배출구는 모두 심도가 점차 변화하는 구조인 드릴 구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칩 배출구 및 상기 제 2 칩 배출구의 심도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드릴 구조.
KR2020130007649U 2012-11-06 2013-09-11 드릴 구조 KR20047725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1221438U TWM449048U (zh) 2012-11-06 2012-11-06 鑽頭結構
TW101221438 2012-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866U KR20140002866U (ko) 2014-05-14
KR200477256Y1 true KR200477256Y1 (ko) 2015-05-21

Family

ID=4847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649U KR200477256Y1 (ko) 2012-11-06 2013-09-11 드릴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182506U (ko)
KR (1) KR200477256Y1 (ko)
CN (1) CN203109307U (ko)
TW (1) TWM44904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5049A (zh) * 2019-05-24 2020-11-24 江苏叁陆零工具有限公司 一种防断裂高速钢直柄麻花钻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3177A (ja) * 2007-11-08 2009-05-28 Union Tool Co 穴明け工具
JP3169922U (ja) * 2011-04-01 2011-08-25 尖點科技股▲ふん▼有限公司 ドリルの切屑排出溝の構造
KR20120055442A (ko) * 2010-11-22 2012-05-31 유니온쓰루 가부시키가이샤 천공 공구
JP2012148384A (ja) * 2011-01-21 2012-08-09 Carbide Internatl Co Ltd ドリルビット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3177A (ja) * 2007-11-08 2009-05-28 Union Tool Co 穴明け工具
KR20120055442A (ko) * 2010-11-22 2012-05-31 유니온쓰루 가부시키가이샤 천공 공구
JP2012148384A (ja) * 2011-01-21 2012-08-09 Carbide Internatl Co Ltd ドリルビット構造
JP3169922U (ja) * 2011-04-01 2011-08-25 尖點科技股▲ふん▼有限公司 ドリルの切屑排出溝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109307U (zh) 2013-08-07
TWM449048U (zh) 2013-03-21
KR20140002866U (ko) 2014-05-14
JP3182506U (ja)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004B1 (ko) 마이크로 드릴
CN102198533B (zh) 开孔工具
US10596641B2 (en) Drill structure
CN106270666B (zh) 一种单刃微型钻头
KR200477256Y1 (ko) 드릴 구조
JP2012148384A (ja) ドリルビット構造
JP2019063977A (ja) リーマ
JP5474227B2 (ja) 穴明け工具
JP2013208692A (ja) ドリル及び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KR101493596B1 (ko) 드릴 구조
US10661357B2 (en) Drill structure
US20170066063A1 (en) Drill structure
CN105562788B (zh) 用于pcb板钻孔的钻头
TWI554348B (zh) 鑽頭結構
CN207223009U (zh) 一种新型钻头
JPWO2015030212A1 (ja) 刃先交換式ドリルのボデーおよびドリル
CN205464476U (zh) 用于pcb板钻孔的钻头
TWI683711B (zh) 錐孔鑽頭
JP3173703U (ja) ドリルビット構造
KR20140138503A (ko) 마이크로 스텝 드릴 비트
TWM530196U (zh) 鑽頭結構
KR20120076960A (ko) 드릴 비트 구조
KR20130005393U (ko) 중복된 절삭 홈을 갖춘 드릴비트
US20180021861A1 (en) Drill structure
TWM427221U (en) Drill bit structure with reduplicate flu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6